KR102125639B1 - 진공용기 - Google Patents

진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639B1
KR102125639B1 KR1020190009721A KR20190009721A KR102125639B1 KR 102125639 B1 KR102125639 B1 KR 102125639B1 KR 1020190009721 A KR1020190009721 A KR 1020190009721A KR 20190009721 A KR20190009721 A KR 20190009721A KR 102125639 B1 KR102125639 B1 KR 102125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ceptacle
piston
push button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석
손주희
Original Assignee
박민석
손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석, 손주희 filed Critical 박민석
Priority to KR1020190009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65D2501/24006Details relating to bottle crates
    • B65D2501/24866Other details
    • B65D2501/24872Information, identification or de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또는 밀폐를 요구하는 용기에 설치되어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용기내부에 공기가 적게 저장되고 밀폐를 유지할 수 있게 한 밀폐용 마개를 구비한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마개을 구비하여,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도 및 유지하기 위한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용기고정관부와, 상기 용기고정관부의 안쪽에 일체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용기의 내부를 향한 단부에 배기홀이 형성된 실린더부로 이루어진 체결바디;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피스톤; 일단은 상기 피스톤의 상단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기 푸쉬버튼에 연결되어 푸쉬버튼의 작동에 의해 회동됨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푸쉬레그; 상기 푸쉬레그의 타단에 연결되어 눌려짐에 의해 푸쉬레그를 작동시키는 푸쉬버튼; 및 상기 푸쉬버튼에 의해 회동된 푸쉬레그를 원 위치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용기{vacuum receptacle}
본 발명은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진공 또는 밀폐를 요구하는 용기에 설치되어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용기내부에 공기가 적게 저장되고 밀폐를 유지할 수 있게 한 밀폐용 마개를 구비한 진공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 약물 등을 저장하는 포장 용기는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둥이부에 마개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용기는 단순하게 용기를 밀폐시키는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거나 밀폐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용기들 중에는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하는 진공용기가 있으며, 진공용기와 관련된 기술에는 특허문헌 1내지 4가 있다.
특허문헌 1은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빈 공간의 측면 둘레를 둘러싸는 몸통부; 몸통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몸통부 둘레를 따라 설치된 탄성밀폐 날개부; 및 탄성밀폐 날개부 위쪽의 몸통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몸통부 둘레를 따라 설치된 다기능 날개부를 포함하고, 탄성밀폐 날개부에는 탄성밀폐 날개부와 다기능 날개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외부공간과 항상 연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진공용기 밀봉재이고,
특허문헌 2는 통기공과 밸브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마개에 결합되어 통기공을 통한 공기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체크밸브에 있어서, 탄성재질로 되고, 저면에 가장자리보다 높은 빈 공간을 제공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하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몸체부; 통공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이격한 위치의 통공의 내벽면을 따라 브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밸브몸체부의 두께보다 얇게 그리고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마개과 밸브몸체부 사이의 공간에 부압이 걸리면 마개을 향해 함몰되는 진공표시부; 및 밸브결합부에 결합되어 밸브몸체부를 밸브결합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밸브몸체부의 가장자리 상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링모양을하고 있고, 상방으로 돌출된 가장자리돌기를 구비한 진용공기용 체크밸브이고,
특허문헌 3은 외벽과, 외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내벽과, 단면이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주름져 형성되며 상변이 각각 외벽의 내측과 내벽의 외측에 교대로 접합되어 외벽과 내벽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샌드위치 판재로 되며, 식품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된 몸체;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판과, 상판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는 하판과, 상판과 하판을 서로 연결하며 격자형태로 배치되고 상판과 하판 사이에 빈 코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보강리브와, 하판의 외곽 하부에 위치하며 몸체의 상단 테두리와 접하여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패킹부재로 이루어지는 상부커버; 상부커버에 구비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몸체의 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수용부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부; 상부커버에 구비되며 몸체의 수용부 내부로 공기를 유입되도록 하여 상부커버가 몸체로부터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 유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몸체는 금속재로 되고, 몸체는 외벽과 내벽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테두리가 더 구비되며, 코어부는 측면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고 상부가 잘린 삼각뿔 형상으로 되며, 하나의 코어부와 이와 인접한 코어부는 서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이며,
특허문헌 4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본체의 개방면을 완전히 밀봉되도록 덮을 수 있는 주 덮개 및 주 덮개에 형성되어 본체내부와 연통되는 통기공에 삽입 결합되어 본체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진공형성부와 통기공에 삽입되어 진공해제 후에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흐름방지부가 형성된 보조 덮개를 포함하는 휴대용 진공보관용기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진공용기와 관련된 기술이 개발되어 있고, 이러한 마개들 중에 일부는 쉽게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 일부는 용기를 밀폐시키는 것 등이 있으나, 종래의 밀폐용 마개의 경우 밀폐하는 기능만이 있을 뿐 내부의 공기를 쉽게 배출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762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809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80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285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용기의 주둥이부를 밀폐시켜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용 마개를 구비한 진공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공기 배출 수단을 구비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킴에 의해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공기에 의해 오염되거나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용 마개를 구비한 진공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는 용기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마개을 구비하여,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도 및 유지하기 위한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 용기고정관부와, 상기 용기고정관부의 안쪽에 일체 형성되고 용기의 내부를 향한 단부에 배기홀이 형성된 실린더부로 이루어진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의 일단에 설치된 푸쉬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버튼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서의 피스톤의 흡입동작으로 전환시켜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푸쉬버튼의 가압력 해제 시 복원되어 상기 실린더부 내부의 피스톤의 배기 동작으로 복원시켜 상기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바디에 형성된 실린더부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피스톤; 일단은 상기 피스톤의 상단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푸쉬버튼에 연결되어 푸쉬버튼의 작동에 의해 회동됨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푸쉬레그; 및 상기 푸쉬버튼에 의해 회동된 푸쉬레그를 원 위치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의 중앙과 실린더부의 배기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체크밸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바디의 일단에 설치되어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검출하는 압력측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압력측정수단은 실린더부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에 구비되어 용기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압력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압력서와 동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는 밀폐용 마개를 구비하여 용기의 주둥이부를 밀폐시켜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공기 배출 수단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킴에 의해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공기에 의해 오염되거나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 마개를 구비한 진공용기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 마개를 구비한 진공용기의 일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에 구비된 밀폐용 마개의 일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에 구비된 밀폐용 마개의 일예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에 구비된 밀폐용 마개의 일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에 구비된 밀폐용 마개의 작동상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용기를 밀폐시킴은 물론,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진공용기와 같이 용기본체(2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마개(100)을 구비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진공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도 및 유지하기 위해 상기 마개(100)의 구조를 특화한 것이다.
상기 마개(100)는, 도 2, 도 5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200)의 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용기고정관부(11)와, 상기 용기고정관부의 안쪽에 일체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유로(12a)가 형성되며 용기의 내부를 향한 단부에 배기홀(12h)이 형성된 실린더부(12)로 이루어진 체결바디(10);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피스톤(20); 일단은 상기 피스톤의 상단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기 푸쉬버튼에 연결되어 푸쉬버튼의 작동에 의해 회동됨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푸쉬레그(30); 상기 푸쉬레그의 타단에 연결되어 눌려짐에 의해 푸쉬레그를 작동시키는 푸쉬버튼(40); 및 상기 푸쉬버튼에 의해 회동된 푸쉬레그를 원 위치시키는 복원스프링(50)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개(100)는 용기본체의 입구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용기본체 내부를 밀폐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체결바디(10)에는 상기한 용기고정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용기고정부(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통체 형상을 이루고 있고, 내주면에 나사산(11s)이 형성되어 용기본제의 입구 부분에 형성된 나사산에 조여짐에 의해 용기본체를 밀폐시킨다.
상기 용기고정부(11)의 안쪽에는 역시 원통형을 이루고, 하단(도면상)이 막히고, 막힌 하단의 중앙에 배기홀(11h)이 형성된 실린더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부(12)는 상기 피스톤(20)이 왕복 운동하는 공간으로, 피스톤이 왕복 운동함에 의해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피스톤(20)을 왕복 운동시키는 수단이 상기 푸쉬레그(30)와 푸쉬버튼(40)이다.
상기 피스톤(20)은 푸쉬버튼(40)이 눌림에 의해 상하로 왕복 운동하는데, 이렇게 푸쉬버튼의 왕복운동이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전달되게 하는 수단이 상기 푸쉬레그이다.
즉, 도 6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버튼(40)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피스톤(20)이 하강하여 용기본체 내부에 인접한 상태에 있지만, 도 6 (b)와 같이 푸쉬버튼이 눌리면, 푸쉬레그의 중간이 실린더부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단이 눌려짐에 따라 하단이 상승하여 피스톤을 위로 끌어당기며, 이러한 과정에서 피스톤이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동하는 푸쉬레그(30)가 원활하게 작동되게 하기 위해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과 결합되는 단부에 길에 장홈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피스톤과 푸쉬레그는 직접 연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연결부재(21)를 연결수단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푸쉬버튼(40)의 눌림에 의해 회동된 푸쉬레그(30)는 도 6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되어야 푸쉬버튼이 다시 눌릴 수 있다.
이렇게 푸쉬레그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복원스프링(5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원스프링(5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바디에 고정되고 푸쉬레그의 상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즉, 상기 복원스프링(50)은 상기 용기고정관부 중앙에 형성되는 실린더부(12)의 바깥쪽의 용기고정관부의 외부 단부에 서로 등간격으로 2개 이상 설치되어 실린더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주지 않게 하였다.
상기 푸쉬레그(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2개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의 중앙과 실린더부의 배기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체크밸브(13, 2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푸쉬버튼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고, 이러한 피스톤의 왕복 운동시 피스톤이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여 실린더부 내부의 공기가 배출된 상태에서 피스톤이 원상태로 복귀될 때 외부의 공기가 다시 안쪽으로 들어오면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없다.
이에 따라 배출된 공기가 다시 용기본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체크밸브(13, 22)를 더 구비한 것이다.
즉, 피스톤이 바깥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실린더부에 형성된 배기홀을 개방하고, 피스톤이 안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실린더부에 형성된 배기홀을 밀폐하여 공기가 외부로만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체크밸브(13, 22)들 중 흡입체크밸브(13)는 체결바디 중앙의 실린더부 중앙에 설치되어 피스톤이 바깥 방향으로 이동할 때만 개방되고, 배출체크밸브(22)는 피스톤의 중앙에 형성된 유로에 설치되어 피스톤이 안쪽으로 이동할 때만 개방된다.
즉,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체크밸브(13)는 상기 압력측정수단(60)을 실린더부 하단의 공기유로(12a)에 대등되게 고정시키는 센서마개(60c)에 형성된 밸브홈(60v)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용기는 상기 체결바디의 일단에 설치되어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검출하는 압력측정수단(6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압력측정수단(60)은 진공용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수단으로, 실린더부(12)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에 구비되어 용기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61)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압력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통신모듈(62), 및 상기 압력서와 동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압력 정보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휴대단말기나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 전송되고, 사용자는 이 정보를 확인한 후, 설정된 압력에 맞추어 푸쉬버튼을 작동시킨다.
100: 마개
10: 체결바디
11: 용기고정관부 11s: 나사산
12: 실린더부 12a: 공기유로 12h: 배기홀
13: 흡입체크밸브
20: 피스톤
21: 연결부재 22: 배출체크밸브
30: 푸쉬레그 40: 푸쉬버튼
50: 복원스프링
60: 압력측정수단 60c: 센서마개
61: 압력센서 62: 통신모듈 63: 배터리
200: 용기본체

Claims (5)

  1. 용기본체(2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마개(100)을 구비하여,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도 및 유지하기 위한 진공용기로,
    상기 마개(100)는, 상기 용기본체(200)의 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 용기고정관부(11)와, 상기 용기고정관부의 안쪽에 일체 형성되고 용기의 내부를 향한 단부에 배기홀(12h)이 형성된 실린더부(12)로 이루어진 체결바디(10); 상기 체결바디의 일단에 설치된 푸쉬버튼(40)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버튼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서의 피스톤의 흡입동작으로 전환시켜 용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푸쉬버튼의 가압력 해제 시 복원되어 상기 실린더부 내부의 피스톤의 배기 동작으로 복원시켜 상기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상기 체결바디(10)에 형성된 실린더부(12)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피스톤(20); 일단은 상기 피스톤의 상단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푸쉬버튼에 연결되어 푸쉬버튼의 작동에 의해 회동됨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푸쉬레그(30); 상기 푸쉬버튼에 의해 회동된 푸쉬레그를 원 위치시키는 복원스프링(50); 상기 피스톤의 중앙과 실린더부의 배기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체크밸브(13, 22); 및 상기 실린더부(12)의 하단에 설치되어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검출하는 압력측정수단(60)을 구비하고,
    상기 압력측정수단(60)은 실린더부(12)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에 구비되어 용기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61)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압력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전송하는 통신모듈(62), 및 상기 압력센서와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3)로 이루어지는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 복원스프링(50)은 상기 용기고정관부 중앙에 형성되는 실린더부(12)의 바깥쪽의 용기고정관부의 외부 단부에 서로 등간격으로 2개 이상 설치되어 실린더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주지 않게 하고,
    흡입체크밸브(13)는 상기 압력측정수단(60)을 실린더부 하단의 공기유로(12a)에 대등되게 고정시키는 센서마개(60c)에 형성된 밸브홈(60v)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09721A 2019-01-25 2019-01-25 진공용기 KR102125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721A KR102125639B1 (ko) 2019-01-25 2019-01-25 진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721A KR102125639B1 (ko) 2019-01-25 2019-01-25 진공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639B1 true KR102125639B1 (ko) 2020-06-22

Family

ID=7114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721A KR102125639B1 (ko) 2019-01-25 2019-01-25 진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6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127A (ja) * 2002-10-10 2004-04-30 Ninfu Chin 減圧容器
KR20130097621A (ko) 2012-07-31 2013-09-03 주식회사 보루인터내셔날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101388092B1 (ko) 2013-02-22 2014-04-22 박소규 진공용기용 체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JP3194876U (ja) * 2014-10-01 2014-12-11 有限会社トーアコーポレーション 真空保存容器
KR20160084011A (ko) * 2015-01-03 2016-07-13 김명국 진공 펌핑장치가 구비되는 음식물보관통
KR101668071B1 (ko) 2015-06-09 2016-10-21 강동수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
KR20180128581A (ko) 2017-05-24 2018-12-04 씨티엠(주) 휴대용 진공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127A (ja) * 2002-10-10 2004-04-30 Ninfu Chin 減圧容器
KR20130097621A (ko) 2012-07-31 2013-09-03 주식회사 보루인터내셔날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101388092B1 (ko) 2013-02-22 2014-04-22 박소규 진공용기용 체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JP3194876U (ja) * 2014-10-01 2014-12-11 有限会社トーアコーポレーション 真空保存容器
KR20160084011A (ko) * 2015-01-03 2016-07-13 김명국 진공 펌핑장치가 구비되는 음식물보관통
KR101668071B1 (ko) 2015-06-09 2016-10-21 강동수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
KR20180128581A (ko) 2017-05-24 2018-12-04 씨티엠(주) 휴대용 진공보관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EP1792661B1 (en) Portable liquid dispenser
KR101033754B1 (ko) 액체용기의 배출펌프
US10266315B2 (en) Upright dispenser
KR102062001B1 (ko) 펌프 용기
KR101448829B1 (ko) 내용물 배출펌프
US20100038267A1 (en) Vacuum packaging container
KR20070054579A (ko) 벨로우즈 펌프 기구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KR20150111213A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US10144562B1 (en) Vacuum breaker valves for fuel canisters
KR102125639B1 (ko) 진공용기
KR200465590Y1 (ko) 스포이트 타입의 화장품용기
KR20100136183A (ko)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용기
JP6907082B2 (ja) 詰め替え容器
CN217885342U (zh) 化妆品容器
CN104859934B (zh) 可伸缩侧划口吸嘴盖
KR200394424Y1 (ko) 내용물의 소진인지수단이 구비된 디스펜서 용기
KR102372050B1 (ko) 진공보관함
KR102125611B1 (ko) 펌프 용기
KR200468191Y1 (ko) 절약형 용기
KR20050093743A (ko) 공기 펌프식 토출용기
KR102109284B1 (ko) 용기 밀폐용 마개
US5518376A (en) Combined housing and air pump
KR200402438Y1 (ko) 진공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