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001B1 - 펌프 용기 - Google Patents

펌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001B1
KR102062001B1 KR1020190067729A KR20190067729A KR102062001B1 KR 102062001 B1 KR102062001 B1 KR 102062001B1 KR 1020190067729 A KR1020190067729 A KR 1020190067729A KR 20190067729 A KR20190067729 A KR 20190067729A KR 102062001 B1 KR102062001 B1 KR 102062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ylindrical
bellows
pump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구
Original Assignee
강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구 filed Critical 강민구
Priority to KR1020190067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05B11/30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2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05B11/1025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a spring urging the outlet valve in its closed position
    • B05B11/3025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10)와; 상하부가 개구되고, 상부원통부(21)보다 하부원통부(22)가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1)에 하부원통부(22)가 나사 결합되는 숄더부재(20)와; 상기 숄더부재(20)의 상부원통부(21)의 하면과 상기 용기(10)의 상부개구부(11)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부재로서, 중앙에 밀착홀(41)이 형성된 패킹부재(40)와;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숄더부재(20)의 상부원통부(21)의 외주연 상부에서 하부원통부(22)의 상부면까지 상하이동하는 노즐체(50)와; 상기 노즐체(50)의 하부 중앙에 상단이 고정되고, 중간은 상기 패킹부재(40)의 밀착홀(41)에 밀착지지되어 상기 노즐체(50)의 토출구(51)로 용기(10) 내의 액체를 배출시키는 튜브(60)와; 상기 튜브(6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자바라형 펌프체(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바라형 펌프체(70)가 용기(10) 내의 바닥에 위치하고 있어서, 내용물의 흡입이 쉽고, 상기 원통형 주름부재(72c)가 상하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 즉 장구형으로 되어 있어 복원력이 좋다. 즉, 상측으로 힘 있게 밀어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노즐체의 누름작동에 의해 원통형 주름부재의 내용적이 줄어들면서, 즉 원통형 주름부재가 접혀지면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고, 누름 작동을 해제하면 원통형 주름부재가 팽창하면서 원상 복귀되도록 구성, 즉 소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하였고, 철재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적이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펌프 용기{Pump vessel}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체의 누름작동에 의해 원통형 주름부재의 내용적이 줄어들면서, 즉 중앙이 오목한 원통형 주름부재가 접혀지면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게 되는 바, 자바라형 펌프체가 용기 내의 바닥에 위치하고 있어서, 내용물의 흡입이 쉽고, 상측으로 힘있게 밀어 올릴수 있는 즉, 펌핑력이 좋도록 하고, 누름 작동을 해제하면 원통형 주름부재가 팽창하면서 원상 복귀되도록 구성, 즉 소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하였으며, 철재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펌프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는 유체형태의 생활용품을 담은 용기에는 수동식 소형 펌프가 장치되어 있어서 단순히 펌프를 누름에 의해 내용물이 일정한 양씩 밖으로 토출되므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장치는 일명 '디스펜서(dispenser)'라고 하는데, 펌프를 누르면 펌프 내부의 챔버(chamber)안에 들어있던 내용물이 노즐을 통해 밖으로 토출된다. 펌프를 누른 힘을 제거하면 용기와 펌프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펌프가 상방으로 원상복귀하면서 용기안의 내용물이 펌프내의 챔버(chamber)로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는 샴푸용기에도 널리 사용되는데 샴푸용기 내부에 들어있는 샴푸용액을 일정량씩 간편하게 배출 사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과거에는 일반적인 뚜껑으로 덮여져 있고 샴푸용액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캡이 사용되어 왔으나, 샴푸용기를 가압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발생하여 오늘날 샴푸용액의 배출 편리성과 과다한 배출을 억제하여 샴푸용액의 낭비를 방지한다는 구조상의 이점에 의해 대부분의 삼푸 용기에 장착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제작된 종래의 디스펜서(100)(등록실용 20-0428943)가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20)와 상기 용기(20)의 개구부 측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형성되며, 부압홀을 구비하는 하우징(22), 상기 하우징(22) 내에서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는 중공(中空)의 샤프트(23), 상기 샤프트(23)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22)의 내부를 가압 또는 감압시키는 피스톤(24), 상기 샤프트(23)와 연통되면서 상기 샤프트(23)의 상부에 고정되는 노즐 헤드(31) 및 상기 하우징(22)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22)과 샤프트(23) 사이에 위치하는 차플렛(26)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2) 내부에 위치하고 상단이 상기 피스톤(24)의 하단에 접촉되는 스프링(25), 상기 샤프트(23)와 차플렛(26) 사이에는 공기의 유출입을 확보하는 배출공이 형성되도록 제작된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펜서는 펌핑시 튜브(30)의 끝단, 즉 최하단에서 내용물을 끌어 올려야 하므로 펌핑력이 적을 뿐만 아니라 펌핑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특히 내용물의 점도가 높을 경우에는 더 펌핑이 되지 않아 내용물의 토출력이 저하되며, 버튼을 누르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고, 철재의 스프링(25)이 하우징(22) 내부에 내장되어 있어 항상 용기 내부에 액체와 접촉하므로 스프링(25)의 부식에 의한 액체의 변질 우려가 있으며,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부품이 과다하여 그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철재의 스프링과 플라스틱이 함께 조립되어 있어 디스펜서의 폐기시 재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노즐체의 누름작동에 의해 원통형 주름부재의 내용적이 줄어들면서, 즉 중앙이 오목한 원통형 주름부재가 접혀지면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게 되는 바, 자바라형 펌프체가 용기 내의 바닥에 위치하고 있어서, 내용물의 흡입이 쉽고, 상측으로 힘있게 밀어 올릴수 있는 즉, 펌핑력이 좋도록 하고, 누름 작동을 해제하면 원통형 주름부재가 팽창하면서 원상 복귀되도록 구성, 즉 소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하였으며, 철재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펌프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펌프 용기는,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10)와; 상하부가 개구되고, 상부원통부(21)보다 하부원통부(22)가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1)에 하부원통부(22)가 나사 결합되는 숄더부재(20)와; 상기 숄더부재(20)의 상부원통부(21)의 하면과 상기 용기(10)의 상부개구부(11)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부재로서, 중앙에 밀착홀(41)이 형성된 패킹부재(40)와;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숄더부재(20)의 상부원통부(21)의 외주연 상부에서 하부원통부(22)의 상부면까지 상하이동하는 노즐체(50)와; 상기 노즐체(50)의 하부 중앙에 상단이 고정되고, 중간은 상기 패킹부재(40)의 밀착홀(41)에 밀착지지되어 상기 노즐체(50)의 토출구(51)로 용기(10) 내의 액체를 배출시키는 튜브(60)와; 상기 튜브(6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자바라형 펌프체(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바라형 펌프체(70)는, 상기 튜브(60)의 하부측에 수직하게 다수개 연결되어 있으되,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의 텐션스프링(71)과; 상기 텐션스프링(71) 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튜브(60)의 텐션스프링(71)의 상부측 내주연에 삽입되는 상부지지부재(72a)와, 상기 텐션스프링(71)의 하부측 내주연에 삽입되는 하부지지부재(72b)와,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72a, 72b)의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하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원통형 주름부재(72c)로 이루어진 자바라부재(72)와; 상기 자바라부재(72)의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72a, 72b)의 내주연에 각각 삽입된 체크밸브(30)와; 상기 텐션스프링(71)의 원형 하부에 다수개 부착되어 상기 용기(10)의 바닥면과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용기(10) 내의 액체가 체크밸브(30)로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경사지지대(7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펌프용기는,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10)와; 상하부가 개구되고, 상부원통부(21)보다 하부원통부(22)가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1)에 하부원통부(22)가 나사 결합되는 숄더부재(20)와;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숄더부재(20)의 상부원통부(21)의 외주연 상부에서 하부원통부(22)의 상부면까지 상하이동하는 노즐체(50)와; 상기 노즐체(50)의 내부에 삽입된 자바라형 펌프체(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펌프 용기에 의하면, 노즐체의 누름작동에 의해 원통형 주름부재의 내용적이 줄어들면서, 즉 중앙이 오목한 원통형 주름부재가 접혀지면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게 되는 바, 자바라형 펌프체가 용기 내의 바닥에 위치하고 있어서, 내용물의 흡입이 쉽고, 상측으로 힘있게 밀어 올릴수 있는 즉, 펌핑력이 좋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고, 원통형 주름부재가 접혀지면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고, 누름 작동을 해제하면 원통형 주름부재가 팽창하면서 원상 복귀되도록 구성, 즉 소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하였으며, 철재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른 형상의 자바라를 적용한 용기 펌프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펌프 용기가 작동할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C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펌프 용기가 누름 작동이 해제될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D 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펌프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E 부분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펌프용 체크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펌프용 체크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펌프용 체크밸브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14는 종래의 펌프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그 순서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용기 펌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다른 형상의 자바라를 적용한 용기 펌프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펌프 용기가 작동할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C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펌프 용기가 누름 작동이 해제될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D 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펌프용기는,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10)와; 상하부가 개구되고, 상부원통부(21)보다 하부원통부(22)가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1)에 하부원통부(22)가 나사 결합되는 숄더부재(20)와; 상기 숄더부재(20)의 상부원통부(21)의 하면과 상기 용기(10)의 상부개구부(11)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부재로서, 중앙에 밀착홀(41)이 형성된 패킹부재(40)와;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숄더부재(20)의 상부원통부(21)의 외주연 상부에서 하부원통부(22)의 상부면까지 상하이동하는 노즐체(50)와; 상기 노즐체(50)의 하부 중앙에 상단이 고정되고, 중간은 상기 패킹부재(40)의 밀착홀(41)에 밀착지지되어 상기 노즐체(50)의 토출구(51)로 용기(10) 내의 액체를 배출시키는 튜브(60)와; 상기 튜브(6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자바라형 펌프체(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바라형 펌프체(70)는, 상기 튜브(60)의 하부측에 수직하게 다수개 연결되어 있으되,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의 텐션스프링(71)과, 상기 텐션스프링(71) 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튜브(60)의 텐션스프링(71)의 상부측 내주연에 삽입되는 상부지지부재(72a)와, 상기 텐션스프링(71)의 하부측 내주연에 삽입되는 하부지지부재(72b)와,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72a, 72b)의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하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원통형 주름부재(72c)로 이루어진 자바라부재(72)와, 상기 자바라부재(72)의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72a, 72b)의 내주연에 각각 삽입된 체크밸브(30)와, 상기 텐션스프링(71)의 원형 하부에 다수개 부착되어 상기 용기(10)의 바닥면과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용기(10) 내의 액체가 체크밸브(30)로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경사지지대(73)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형 주름부재(72c)는, 상하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어 복원력이 좋다.
상기 자바라부재(72)의 원통형 주름부재(72c)는 중앙에 장구형상으로 된 것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된다(도 3).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크밸브(30)는, 상기 자바라부재(72)의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72a, 72b)의 내주연에 삽입 설치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인 밸브몸체(31)와, 상기 밸브몸체(31)의 측면에 연결된 연결띠(32)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밸브몸체(31)의 상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원통형의 체크밸브(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형의 체크밸브(33)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부(33a)와, 상기 원통형부(33a)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밸브몸체(31)의 상부홀(31a)을 개폐하는 원판개폐부(33b)와, 상기 원판개폐부(33b)의 외주연과 원통형부(33a)의 내주연을 다수개 연결하는 에스자형의 연결부(33c)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52는 노즐체(50)의 토출구(51)에 삽입되어 있는 캡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펌프 용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이 펌프 용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캡(52)을 제거한후, 노즐체(50)를 하부로 누르면, 튜브(60)의 하부측에 있는 텐션스프링(71)이 압축, 즉 외주연으로 볼록하게 된 것이 더 볼록하게 되고(도 5), 이와 동시에 그 내부의 자바라부재(72)의 원통형 주름부재(72c)가 압축된다. 즉 원통형 주름부재(72c)의 내부 공간, 즉 체적이 줄어 들면서, 상기 자바라부재(72)의 상부지지부재(72a) 내의 체크밸브(30)가 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원통형 주름부재(72c) 내의 체적이 감소하면서 그 압력에 의해 밸브몸체(31)의 상부홀(31a)을 폐쇄하고 있던 원판개폐부(33b)가 상승하면서, 원통형 주름부재(72c) 내의 화장품 내용물이나, 그 밖의 액상의 내용물이 유입된다.
그리고, 노즐체(50)의 누름작동을 멈추게 되면, 중앙이 볼록하게 된 텐션스프링(71)이 내부로 줄어들면서(도 7) 튜브(60)와 노즐체(50)가 상승하게 되고, 원통형 주름부재(72c) 내의 체적이 늘어나면서 상기 자바라부재(72)의 하부지지부재(72b) 내의 체크밸브(30)가 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원통형 주름부재(72c) 내의 체적이 증가하면서 밸브몸체(31)의 상부홀(31a)을 폐쇄하고 있던 원판개폐부(33b)가 상승하게 되고, 용기(10) 내의 화장품 내용물이나, 그 밖의 액상의 내용물이 다수의 경사지지대(73) 사이 공간을 통해 원통형 주름부재(72c) 내로 유입된다.
상기의 자바라부재(72)나 텐션스프링(71)은 플라스틱 소재로 되어 있어 친환경적이다.
또한, 자바라형 펌프체(70)가 용기(10) 내의 바닥에 위치하고 있어서, 내용물의 흡입이 쉽고, 상기 원통형 주름부재(72c)가 상하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 즉 장구형으로 되어 있어 복원력이 좋다. 즉, 상측으로 힘 있게 밀어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펌프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E 부분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자바라형 펌프체(70)가 노즐체(50)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자바라형 펌프체(70)의 구조 및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0 : 용기 11 : 상부 개구부
20 : 숄더부재 21 : 상부원통부
22 : 하부원통부 30 : 체크밸브
40 : 패킹부재 41 : 밀착홀
50 : 노즐체 51 : 토출구
52 : 캡 60 : 튜브
70 : 자바라형 펌프체 71 : 다수의 텐션스프링
72 : 자바라부재 72a, 72b :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
72c : 원통형 주름부재 73 : 다수의 경사지지대

Claims (4)

  1.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10)와; 상하부가 개구되고, 상부원통부(21)보다 하부원통부(22)가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1)에 하부원통부(22)가 나사 결합되는 숄더부재(20)와; 상기 숄더부재(20)의 상부원통부(21)의 하면과 상기 용기(10)의 상부개구부(11)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원판 형상의 부재로서, 중앙에 밀착홀(41)이 형성된 패킹부재(40)와; 누름 작동에 의해 상기 숄더부재(20)의 상부원통부(21)의 외주연 상부에서 하부원통부(22)의 상부면까지 상하이동하는 노즐체(50)와; 상기 노즐체(50)의 하부 중앙에 상단이 고정되고, 중간은 상기 패킹부재(40)의 밀착홀(41)에 밀착지지되어 상기 노즐체(50)의 토출구(51)로 용기(10) 내의 액체를 배출시키는 튜브(60)와; 상기 튜브(6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자바라형 펌프체(70)로 이루어진 펌프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형 펌프체(70)는,
    상기 튜브(60)의 하부측에 수직하게 다수개 연결되어 있으되,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의 텐션스프링(71)과;
    상기 텐션스프링(71) 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튜브(60)의 텐션스프링(71)의 상부측 내주연에 삽입되는 상부지지부재(72a)와, 상기 텐션스프링(71)의 하부측 내주연에 삽입되는 하부지지부재(72b)와,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72a, 72b)의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하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원통형 주름부재(72c)로 이루어진 자바라부재(72)와;
    상기 자바라부재(72)의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72a, 72b)의 내주연에 각각 삽입된 체크밸브(30)와;
    상기 텐션스프링(71)의 원형 하부에 다수개 부착되어 상기 용기(10)의 바닥면과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용기(10) 내의 액체가 체크밸브(30)로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경사지지대(7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부재(72)의 원통형 주름부재(72c)는 상하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장구형의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용기.






  4. 삭제
KR1020190067729A 2019-06-10 2019-06-10 펌프 용기 KR102062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729A KR102062001B1 (ko) 2019-06-10 2019-06-10 펌프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729A KR102062001B1 (ko) 2019-06-10 2019-06-10 펌프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001B1 true KR102062001B1 (ko) 2020-01-02

Family

ID=6915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729A KR102062001B1 (ko) 2019-06-10 2019-06-10 펌프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00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715B1 (ko) * 2020-08-03 2020-11-05 박대한 펌프 디스펜서용 합성수지재 스프링
KR20210129555A (ko) 2020-04-20 2021-10-28 정만택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20230023223A (ko) 2021-08-10 2023-02-17 정만택 거품 토출형 화장품 펌프용기
KR20230025194A (ko) 2021-08-13 2023-02-21 정만택 에어리스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2535161B1 (ko) 2021-12-08 2023-05-26 정만택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20230115809A (ko) 2022-01-27 2023-08-03 정만택 펌프형 샴푸용기
KR20230126010A (ko) 2022-02-22 2023-08-29 정만택 자동 노즐개폐 단속형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
KR102590170B1 (ko) 2022-04-14 2023-10-17 정만택 자동 노즐개폐가 가능한 카트리지 교체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201A (ja) * 2002-07-24 2004-02-19 Katsutoshi Masuda 流体吐出ポンプ
KR101306511B1 (ko) * 2013-05-01 2013-09-09 김용범 흘러내림 예방 디스펜스 펌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201A (ja) * 2002-07-24 2004-02-19 Katsutoshi Masuda 流体吐出ポンプ
KR101306511B1 (ko) * 2013-05-01 2013-09-09 김용범 흘러내림 예방 디스펜스 펌프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555A (ko) 2020-04-20 2021-10-28 정만택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2174715B1 (ko) * 2020-08-03 2020-11-05 박대한 펌프 디스펜서용 합성수지재 스프링
KR20230023223A (ko) 2021-08-10 2023-02-17 정만택 거품 토출형 화장품 펌프용기
KR20230025194A (ko) 2021-08-13 2023-02-21 정만택 에어리스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2535161B1 (ko) 2021-12-08 2023-05-26 정만택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20230115809A (ko) 2022-01-27 2023-08-03 정만택 펌프형 샴푸용기
KR102625263B1 (ko) 2022-01-27 2024-01-15 정만택 펌프형 샴푸용기
KR20230126010A (ko) 2022-02-22 2023-08-29 정만택 자동 노즐개폐 단속형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
KR102590170B1 (ko) 2022-04-14 2023-10-17 정만택 자동 노즐개폐가 가능한 카트리지 교체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001B1 (ko) 펌프 용기
KR102044128B1 (ko) 펌프 용기
KR102116648B1 (ko) 펌프 용기
KR101972213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CN113562324B (zh) 弹性部件及包括其的泵组件
JP4309279B2 (ja) 低背型予備加圧ポンプ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KR101907778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102120009B1 (ko) 펌프 용기
KR20100065941A (ko) 액체용기의 배출펌프
US20150260179A1 (en) Fluent Product Dispensing Package and Diaphragm Pump For Use Therein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KR102120010B1 (ko) 펌프 용기
KR102125611B1 (ko) 펌프 용기
US8453884B2 (en) Diaphragm pump actuated liquid dispensing apparatus having dome shaped deformable membrane
JPH1072052A (ja) 液体注出器
KR102062002B1 (ko) 펌프 용기
KR200312903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US20220072573A1 (en)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KR101082427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US10850293B2 (en) Device for spraying liquid cosmetic mist
KR102145131B1 (ko) 펌프 용기
JP2006315745A (ja) ポンプ付チューブ容器
KR102215864B1 (ko) 펌프 용기
CN116323405A (zh) 用于喷射液体的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