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162A -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162A
KR20210123162A KR1020200040566A KR20200040566A KR20210123162A KR 20210123162 A KR20210123162 A KR 20210123162A KR 1020200040566 A KR1020200040566 A KR 1020200040566A KR 20200040566 A KR20200040566 A KR 20200040566A KR 20210123162 A KR20210123162 A KR 20210123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lunger
base
vacuum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457B1 (ko
Inventor
최지혜
Original Assignee
최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혜 filed Critical 최지혜
Priority to KR1020200040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45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edicinal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시간 보관에도 약이 수분이나 공기 중의 균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약을 진공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약 보관용기는, 약이 저장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의 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 홀과, 배기 홀과 연결되는 용기 배기 챔버와, 용기 배기 챔버와 저장실을 연결하는 용기 연결유로를 갖는 용기 본체와,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과, 배기 홀을 통한 저장실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용기 본체에 설치되는 용기 체크밸브 유닛을 포함한다. 용기 체크밸브 유닛은, 용기 연결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용기 배기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플런저와, 용기 배기 챔버에 설치되어 용기 플런저에 대해 용기 연결유로를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용기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용기 플런저는 용기 본체가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공급기에 결합됨에 따라 진공압 발생기에 접하여 용기 연결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VACUUM STORAGE CONTAINER FOR MEDICINEE AND VACUUM STORAGE DEVICE FOR MEDICINEE}
본 발명은 진공 약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을 진공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문명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각종 성인병의 증가로 약을 장기간 복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웰빙 트렌드의 확산으로 비타민이나 영양제 등의 건강 보조약품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인구도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병의 치유와 건강 증진을 위한 약들은 지속적이고 꾸준한 복용으로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지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매일 시간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하므로, 복용해야 하는 약을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약을 휴대하는 방법으로는 일정량의 약을 수용할 수 있는 휴대용 보관용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장기간 약을 복용하여야 하는 환자들이 약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휴대 시 약제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 약제의 오염으로 인한 부작용을 줄여줄 수 있다.
휴대용 약 보관용기로는 일정량의 약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와, 용기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을 갖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하나의 저장 공간을 갖는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저장 공간은 상대적으로 크지만 여러 종류의 약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여러 종류의 약을 복용해야 하는 사용자에게는 사용이 불편하다.
이러한 종래 휴대용 약 보관용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저장 공간을 격판을 이용하여 복수의 격실로 구획한 휴대용 약 보관용기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분리 형성된 격실에 약이 종류별로 수납 보관되거나 1회 복용분의 약들이 수납 보관될 수 있어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약이 수용되는 저장 공간을 간단한 구조의 뚜껑으로 덮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저장 공간에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막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저장 공간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함에 따라 약이 오염되거나 약 성분이 변질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특히, 무균 상태로 보관되어야 하는 약의 경우, 보관 중에 공기 중에서 오염됨에 따라 이를 복용하는 환자에게 위해를 줄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840299호 (2018. 03. 2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시간 보관에도 약이 수분이나 공기 중의 균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약을 진공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약 보관용기는, 약이 저장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 홀과, 상기 배기 홀과 연결되는 용기 배기 챔버와, 상기 용기 배기 챔버와 상기 저장실을 연결하는 용기 연결유로를 갖는 용기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 및 상기 배기 홀을 통한 상기 저장실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설치되는 용기 체크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체크밸브 유닛은,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배기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플런저와, 상기 용기 배기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용기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플런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공급기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진공압 발생기에 접하여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플런저는 상기 진공압 공급기가 접할 수 있는 용기 플런저 바디와, 상기 용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용기 플런저 바디의 끝단에 연결되는 용기 플런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연결유로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용기 플런저 헤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플런저 헤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 플런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진공압 발생기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에는 상기 진공압 발생기의 일부분이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진공압 발생기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 플런저에는 상기 진공압 발생기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용기 플런저 홀이 마련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은 상기 용기 플런저 홀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는, 약이 저장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저장실과 연결되는 배기 홀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과, 상기 배기 홀을 통한 상기 저장실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설치되는 용기 체크밸브 유닛을 구비하는 진공 약 보관용기; 상기 진공 약 보관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과, 상기 진공 약 보관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면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홀과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커플링부 유로를 갖는 커플링부와, 상기 커플링부 유로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연결유로를 갖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상기 진공 약 보관용기에 진공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배기 홀과 연결되는 용기 배기 챔버 및 상기 용기 배기 챔버와 상기 저장실을 연결하는 용기 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체크밸브 유닛은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배기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플런저와, 상기 용기 배기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용기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플런저가 상기 커플링부에 의해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저장실이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커플링부 유로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용기 플런저는 상기 커플링부가 접할 수 있는 용기 플런저 바디와, 상기 용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용기 플런저 바디의 끝단에 연결되는 용기 플런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연결유로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용기 플런저 헤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플런저 헤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 플런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에는 상기 커플링부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배기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에는 상기 커플링부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용기 플런저 홀이 마련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은 상기 용기 플런저 홀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는, 상기 커플링부 유로를 통한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와 상기 커플링부 유로를 연결하는 베이스 배기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은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배기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런저와, 상기 베이스 배기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런저에 대해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를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베이스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런저가 상기 용기 본체에 의해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가 상기 베이스 배기 챔버를 통해 상기 커플링부 유로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런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분이 접할 수 있는 베이스 플런저 바디와, 상기 베이스 플런저 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런저 바디의 끝단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런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베이스 플런저 헤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런저 헤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런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런저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분이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베이스 플런저 가이드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커플링부는 복수 개가 상기 진공 펌프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약 보관용기는 복수 개가 상기 복수의 커플링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진공 약 보관용기의 좌우 양측으로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다른 진공 약 보관용기와 접할 수 있는 평평한 제 1 접촉 측면 및 제 2 접촉 측면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는, 상기 진공 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장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 약 보관용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안착면에 돌출 구비되는 보조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는, 상기 안착면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진공 펌프를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는 약을 진공 약 보관용기에 담아 진공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보관에도 약을 수분이나 공기 중의 균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는 진공 약 보관용기가 진공압을 발생하는 진공압 공급기에 탈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약이 담긴 진공 약 보관용기를 진공압 공급기에서 분리하여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의 진공 약 보관용기가 진공압 공급기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의 진공압 공급기에 진공 약 보관용기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의 진공압 공급기에서 진공 약 보관용기가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의 진공 약 보관용기에 구비되는 뚜껑이 용기 본체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100)는 약(M)을 저장할 수 있는 복수의 진공 약 보관용기(110)와, 진공 약 보관용기(110)에 진공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진공 약 보관용기(1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진공압 공급기(150)를 포함한다. 진공압 공급기(150)는 복수의 진공 약 보관용기(110)가 안착될 수 있는 베이스(151)와, 베이스(15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진공 펌프(180)를 포함한다.
진공 약 보관용기(110)는 약(M)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실(112)과, 약(M)이 출입할 수 있도록 저장실(112)과 연결되는 출입구(113)가 구비된 용기 본체(111)와, 용기 본체(111)의 출입구(113)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140)을 포함한다. 복수의 진공 약 보관용기(110)는 베이스(15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진공 펌프(180)의 둘레에 배치된다.
용기 본체(111)의 좌우 양측으로는 평평한 제 1 접촉 측면(114) 및 제 2 접촉 측면(115)이 구비된다. 베이스(151)에 결합되는 용기 본체(111)는 제 1 접촉 측면(114) 및 제 2 접촉 측면(115)이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는 다른 용기 본체(111)의 제 1 접촉 측면(114) 또는 제 2 접촉 측면(115)과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용기 본체(111)는 이들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베이스(15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11)의 후방으로는 접촉 후면(116)이 구비된다. 접촉 후면(116)은 진공 펌프(180)를 감싸는 하우징(183)에 접촉할 수 있다. 접촉 후면(116)은 하우징(183)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83)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접촉 후면(116)은 원통형의 하우징(183)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굽은 형상을 갖는다.
용기 본체(111)의 하면에는 용기 홈(117)이 마련된다. 그리고 용기 홈(117) 속에는 용기 가이드면(118)이 구비된다. 용기 가이드면(118)은 용기 본체(111)의 하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용기 본체(111)는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약(M)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실(112)과, 출입구(113)를 갖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용기 본체(111)의 하단부에는 저장실(112)의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도록 저장실(112)과 연결되는 배기 홀(119)이 구비된다. 배기 홀(119)의 둘레에는 용기 실링재(121)가 배치된다. 그리고 용기 본체(111)의 내측에는 내부 하우징(123)이 용기 본체(111)의 하면과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내부 하우징(123)에는 용기 배기 챔버(124)와, 통공(125)이 마련된다. 용기 배기 챔버(124)는 배기 홀(119)과 연결되고, 통공(125)은 저장실(112)과 연결된다. 내부 하우징(123)의 내측에는 용기 실링부(126)가 구비된다. 용기 실링부(126)는 후술할 용기 체크밸브 유닛(130)의 용기 플런저(131)가 틈새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 실링부(126)에는 통공(125)과 연결되는 용기 삽입홀(127)이 구비된다. 용기 삽입홀(127)은 용기 배기 챔버(124)에서 통공(125)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통공(125)과 용기 삽입홀(127)은 저장실(112)과 용기 배기 챔버(124)를 연결하는 용기 연결유로(128)를 구성한다.
내부 하우징(123)과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 실링부(126)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삽입홀(127)이 내부 하우징(123)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배기 챔버(124)에는 용기 체크밸브 유닛(130)이 설치된다. 용기 체크밸브 유닛(130)은 배기 홀(119)을 통한 저장실(112)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용기 체크밸브 유닛(130)은 용기 연결유로(128)를 개폐할 수 있도록 용기 배기 챔버(12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플런저(131)와, 용기 플런저(1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용기 탄성부재(137)를 포함한다.
용기 플런저(131)는 용기 본체(111)가 베이스(151)의 커플링부(163)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용기 배기 챔버(124)에 배치된다. 용기 플런저(131)는 진공 약 보관용기(110)가 진공압 공급기(150)에 결합될 때, 배기 홀(119) 속으로 진입하는 커플링부(163)에 의해 가압되어 움직이게 된다. 용기 플런저(131)는 용기 플런저 바디(132)와, 용기 플런저 바디(132)의 일단에 연결되는 용기 플런저 헤드(133)를 포함한다.
용기 플런저 바디(132)는 용기 탄성부재(137)와 결합되어 용기 탄성부재(137)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용기 플런저 바디(132)의 중간 부분에는 진공압 공급기(150)의 커플링부(163)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용기 플런저 홀(134)이 마련된다. 용기 플런저 홀(134)은 용기 플런저 바디(132)의 중간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용기 배기 챔버(124)와 배기 홀(119)을 연결한다. 용기 플런저 홀(134)의 둘레에는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135)이 배치된다.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135)은 용기 본체(111)가 커플링부(163)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용기 플런저 헤드(133)는 용기 연결유로(128)의 용기 삽입홀(127)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용기 플런저 헤드(133)는 용기 플런저 바디(132)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기 삽입홀(127)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용기 탄성부재(137)는 용기 배기 챔버(124)에 설치되어 용기 플런저(131)에 대해 용기 연결유로(128)를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용기 탄성부재(137)는 도시된 것과 같은 코일 스프링 구조 등 용기 플런저(1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 탄성부재(137)는 용기 플런저(131)의 용기 플런저 헤드(133)가 용기 삽입홀(127) 속으로 압입되도록 용기 플런저(131)에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용기 플런저(131)에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용기 플런저 헤드(133)가 용기 삽입홀(127) 속에 압입된다. 이때, 용기 플런저 헤드(133)는 용기 실링부(126)에 밀착됨으로써 저장실(112)과 용기 배기 챔버(124) 사이의 공기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용기 플런저 헤드(133)가 용기 삽입홀(127) 속에 압입된 상태에서 용기 플런저 홀(134)의 중심은 배기 홀(119)의 중심과 편심되어 위치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 본체(111)가 베이스(151)에 결합될 때, 커플링부(163)가 배기 홀(119) 속으로 삽입되며, 커플링부(163)의 끝단이 용기 플런저 홀(134) 속으로 진입한다. 커플링부(163)의 끝단이 용기 플런저 홀(134) 속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커플링부(163)의 끝단이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135)에 접하여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135)을 가압하게 되며, 이러한 커플링부(163)의 가압력에 의해 용기 플런저(131)가 용기 탄성부재(137)를 압축하면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이때, 용기 플런저 헤드(133)가 용기 실링부(126)에서 떨어져 용기 플런저 헤드(133)와 용기 실링부(126)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틈새가 만들어지며, 이러한 틈새를 통해 저장실(112)과 용기 배기 챔버(124)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뚜껑(140)은 용기 본체(111)의 출입구(113)를 밀폐할 수 있도록 용기 본체(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뚜껑(140)의 좌우 양측으로는 평평한 제 1 접촉 측면(141) 및 제 2 접촉 측면(142)이 구비된다. 뚜껑(140)은 진공 약 보관용기(110)가 베이스(151)에 결합될 때 제 1 접촉 측면(141) 및 제 2 접촉 측면(142)이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는 다른 진공 약 보관용기(110)에 구비되는 뚜껑(140)의 제 1 접촉 측면(141) 또는 제 2 접촉 측면(142)과 맞닿을 수 있다. 또한, 뚜껑(140)의 후방으로는 접촉 후면(143)이 구비된다. 접촉 후면(143)은 용기 본체(111)의 접촉 후면(116)에 대응하는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원통형의 하우징(183)에 밀착될 수 있다.
뚜껑(140)의 상면에는 마크(144)가 구비된다. 마크(144)는 도시된 것과 같이 요일을 표시하는 문자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진공 약 보관용기(110)는 일곱 개가 구비되며, 각 진공 약 보관용기(110)의 뚜껑(140)에는 요일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마크(144)가 형성된다. 약을 매일 복용해야 하는 사용자의 경우, 일곱 개의 진공 약 보관용기(110) 각각에 매일 복용해야 할 약을 요일별로 구분하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요일에 맞춰 진공 약 보관용기(110)를 하나씩 진공압 공급기(150)에서 분리하거나,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한 약을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다.
뚜껑(140)은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용기 본체(111)의 출입구(113)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베이스(151)는 복수의 진공 약 보관용기(11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152)과, 진공 펌프(180)와 연결되는 허브 챔버(153)를 포함한다. 허브 챔버(153)는 베이스(151)의 중심 부분 내측에 마련되어 진공 펌프(180)와 연결된다. 베이스(151)의 상면 중앙에는 진공 펌프(180)를 감싸는 하우징(183)이 구비되고, 안착면(152)은 하우징(183)의 주위에 배치된다.
베이스(151)의 내측에는 복수의 배기로(154)와, 복수의 배기로(154)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베이스 배기 챔버(155)가 구비된다. 배기로(154)는 허브 챔버(153)와 연결되며, 허브 챔버(153)로부터 베이스(151)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된다. 복수의 배기로(154)는 허브 챔버(153)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베이스 배기 챔버(155)는 배기로(154)를 통해 허브 챔버(153)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각의 베이스 배기 챔버(155)는 안착면(152)에서 외측으로 개방되는 개구(162)와 연결된다. 개구(162)는 베이스 배기 챔버(155)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된다.
배기로(154)와 베이스 배기 챔버(155)의 사이에는 베이스 실링부(157)가 구비된다. 베이스 실링부(157)는 후술할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170)의 베이스 플런저(171)가 틈새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실링부(157)에는 배기로(154)와 베이스 배기 챔버(155)를 연결하는 베이스 삽입 홀(158)이 구비된다. 베이스 삽입 홀(158)은 베이스 배기 챔버(155)에서 배기로(154)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배기로(154)와 베이스 삽입 홀(158)은 허브 챔버(153)와 베이스 배기 챔버(155)를 연결하는 베이스 연결유로(159)를 구성한다.
베이스(151)와 별도로 구비되는 베이스 실링부(157)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삽입 홀(158)이 베이스(151)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배기 챔버(155)에는 베이스 실링재(160)가 배치된다. 베이스 실링재(160)는 후술할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170)의 베이스 플런저(17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간 부분에 관통구가 마련된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실링재(160)는 베이스 플런저(171)가 틈새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실링재(160)에 의해 베이스 배기 챔버(155)는 커플링부 유로(164)와 연결되는 공간과, 개구(162)와 연결되는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들 두 개의 공간 사이에서는 공기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베이스(151)에는 진공 약 보관용기(1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커플링부(163)가 안착면(15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커플링부(163)의 내측에는 베이스 배기 챔버(155)와 연결되는 커플링부 유로(164)가 구비된다. 진공 약 보관용기(110)가 커플링부(163)에 결합될 때 진공 약 보관용기(110)의 용기 배기 챔버(124)가 커플링부 유로(164)와 연결된다. 따라서, 진공 약 보관용기(110)의 용기 배기 챔버(124)는 커플링부 유로(164)를 통해 베이스 배기 챔버(155)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부(163)의 끝단에는 커플링부 가이드면(165)이 구비된다. 커플링부 가이드면(165)은 용기 플런저(131)의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135)에 대응하도록 용기 본체(111)가 커플링부(163)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용기 본체(111)가 커플링부(163)에 결합될 때 커플링부 가이드면(165)이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135)에 접함으로써 용기 플런저(131)를 통공(125)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베이스 배기 챔버(155)에는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170)이 설치된다.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170)은 커플링부 유로(164)를 통한 허브 챔버(153)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170)은 베이스 연결유로(159)를 개폐할 수 있도록 베이스 배기 챔버(155)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런저(171)와, 베이스 플런저(17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베이스 탄성부재(177)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런저(171)는 용기 본체(111)가 커플링부(163)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 배기 챔버(155)에 배치된다. 베이스 플런저(171)는 진공 약 보관용기(110)가 진공압 공급기(150)에 결합될 때, 용기 본체(111)에 의해 가압되어 움직이게 된다. 베이스 플런저(171)는 베이스 플런저 바디(172)와, 베이스 플런저 바디(172)의 일단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런저 헤드(173)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런저 바디(172)는 베이스 탄성부재(177)와 결합되어 베이스 탄성부재(177)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베이스 플런저 바디(172)의 중간 부분에는 베이스 플런저 돌기(174)가 돌출 구비된다. 베이스 플런저 돌기(174)는 베이스(151)의 개구(162)를 통해 안착면(152)으로부터 돌출된다. 베이스 플런저 돌기(174)의 일측에는 베이스 플런저 가이드면(175)이 구비된다. 베이스 플런저 가이드면(175)은 용기 본체(111)가 커플링부(163)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용기 본체(111)가 커플링부(163)에 결합될 때 베이스 플런저 돌기(174)가 용기 본체(111)의 용기 홈(117) 속으로 삽입된다. 이때, 용기 본체(111)의 용기 가이드면(118)이 베이스 플런저 돌기(174)의 베이스 플런저 가이드면(175)에 접함으로써 베이스 플런저(171)가 가압력을 받게 되며, 베이스 플런저(171)가 베이스 탄성부재(177)를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베이스 플런저 헤드(173)는 베이스 연결유로(159)의 베이스 삽입 홀(158)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베이스 플런저 헤드(173)는 베이스 플런저 바디(172)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베이스 삽입 홀(158)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탄성부재(177)는 베이스 배기 챔버(155)에 설치되어 베이스 플런저(171)에 대해 베이스 연결유로(159)를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베이스 탄성부재(177)는 도시된 것과 같은 코일 스프링 구조 등 용기 플런저(1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베이스 탄성부재(177)는 베이스 플런저(171)의 베이스 플런저 헤드(173)가 베이스 삽입 홀(158) 속으로 압입되도록 베이스 플런저(171)에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베이스 플런저(171)에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베이스 플런저 헤드(173)가 베이스 삽입 홀(158) 속에 압입된다. 이때, 베이스 플런저 헤드(173)는 베이스 실링부(157)에 밀착됨으로써 허브 챔버(153)와 베이스 배기 챔버(155) 사이의 공기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 본체(111)가 베이스(151)에 결합될 때, 베이스 플런저(171)의 베이스 플런저 돌기(174)가 용기 본체(111)의 용기 홈(117) 속으로 삽입된다. 베이스 플런저 돌기(174)가 용기 홈(117) 속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용기 본체(111)의 용기 가이드면(118)이 베이스 플런저 돌기(174)의 베이스 플런저 가이드면(175)에 접하여 베이스 플런저 가이드면(175)을 가압하게 되며, 용기 본체(111)의 가압력에 의해 베이스 플런저(171)가 베이스 탄성부재(177)를 압축하면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 플런저 헤드(173)가 베이스 실링부(157)에서 떨어져 베이스 플런저 헤드(173)와 베이스 실링부(157)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틈새가 만들어지며, 이러한 틈새를 통해 허브 챔버(153)와 베이스 배기 챔버(155)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진공 펌프(180)는 베이스(151)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안착면(152)으로부터 돌출된다. 진공 펌프(180)의 펌프 흡입구(181)는 허브 챔버(153)와 연결된다. 진공 펌프(180)가 작동하면 펌프 흡입구(181)를 통해 허브 챔버(153)의 공기가 진공 펌프(180) 속으로 유입되어 허브 챔버(153)에 진공압이 발생하게 된다. 진공 펌프(180) 속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진공 펌프(180)의 펌프 배기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된다. 펌프 배기구는 진공 펌프(180)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진공 펌프(180)는 베이스(151)에 결합되는 하우징(183)에 의해 보호된다. 하우징(183)의 상단부에는 디스플레이(185)와, 조작부(187)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185)는 시간 등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조작부(187)는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187)를 통해 사용자가 진공 펌프(180)의 동작이나 정지 등 진공 약 보관장치(1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진공 펌프(180)와 디스플레이(185)는 제어부(191)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91)는 베이스(151)에 구비되는 보조 하우징(193)에 설치된다. 보조 하우징(193)에는 제어부(191) 이외에, 진공 펌프(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종 전장품(189)이 수용될 수 있다. 보조 하우징(193)은 진공 약 보관용기(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안착면(152) 위로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51)에 결합되는 복수의 진공 약 보관용기(110)와 보조 하우징(193)은 진공 펌프(180)의 둘레를 둘러싸는 도넛 모양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조 하우징(193)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하우징(193)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기 본체(111)의 저장실(112)에 약(M)을 저장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11)에 뚜껑(140)이 결합됨으로써 약(M)이 담긴 저장실(112)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밀폐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진공 약 보관용기(110)가 커플링부(163)에 결합되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커플링부(163)가 용기 체크밸브 유닛(130)의 용기 플런저(131)를 움직여 저장실(112)과 용기 배기 챔버(124)가 연결된다. 그리고 용기 본체(111)에 의해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170)의 베이스 플런저(171)가 움직여 허브 챔버(153)와 베이스 배기 챔버(155)가 연결된다. 따라서, 베이스(151)의 허브 챔버(153)와 진공 약 보관용기(110)의 저장실(112)이 공기 유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진공 펌프(180)가 작동하면 진공 펌프(180)에서 발생하는 진공압이 저장실(112)에 제공된다. 즉, 저장실(112)의 공기가 용기 연결유로(128)와, 용기 배기 챔버(124)와, 커플링부 유로(164)와, 베이스 배기 챔버(155)와 베이스 연결유로(159)와, 허브 챔버(153)를 거쳐 진공 펌프(180) 쪽으로 배출됨으로써, 저장실(112)이 진공 상태로 변하게 된다.
저장실(112)이 진공 상태가 된 후,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진공 약 보관용기(110)가 커플링부(163)에서 분리되면, 용기 체크밸브 유닛(130)의 용기 플런저(131)가 용기 탄성부재(137)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되어 용기 연결유로(128)를 막는다. 따라서, 배기 홀(119)을 통한 저장실(112)로의 공기 유입이 차단되어 저장실(112)이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약(M)이 담긴 진공 약 보관용기(110)를 진공압 공급기(150)에서 분리하여도 약(M)을 진공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진공 약 보관용기(110)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에 따라 진공 상태로 보관된 약(M)을 진공 약 보관용기(110)에서 꺼내 복용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약 보관용기(110)가 커플링부(163)에서 분리되면,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170)의 베이스 플런저(171)가 베이스 탄성부재(177)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되어 베이스 연결유로(159)를 막는다. 이때, 커플링부 유로(164)를 통한 허브 챔버(153)로의 공기 유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복수의 진공 약 보관용기(110) 중에서 일부 진공 약 보관용기(110)만 커플링부(163)에 결합된 상태로 진공 펌프(180)가 작동하더라도 허브 챔버(153)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커플링부(163)에 결합된 진공 약 보관용기(110)에 진공압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100)는 약(M)을 진공 약 보관용기(110)에 담아 진공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보관에도 약(M)을 수분이나 공기 중의 균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100)는 진공 약 보관용기(110)가 진공압을 발생하는 진공압 공급기(150)에 탈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약(M)이 담긴 진공 약 보관용기(110)를 진공압 공급기(150)에서 분리하여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진공 약 보관용기(110)나 베이스(151)의 형상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진공 펌프(180)의 설치 위치나, 진공 펌프(180)와 베이스(151) 간의 결합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진공 약 보관용기(110)에 구비되는 용기 체크밸브 유닛(130)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배기 홀(119)을 통한 저장실(112)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용기 체크밸브 유닛(130)의 용기 플런저(131)는 용기 본체(111)가 베이스(151)의 커플링부(163)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용기 플런저(131)의 이동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51)에 구비되는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170)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커플링부 유로(164)를 통한 허브 챔버(153)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170)의 베이스 플런저(171)는 용기 본체(111)가 베이스(151)의 커플링부(163)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베이스 플런저(171)의 이동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용기 본체(111)와 결합되는 커플링부(163)가 안착면(152)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커플링부는 안착면(152)으로부터 함몰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본체(111)의 하단부는 함몰형의 커플링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돌출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원통형 하우징(183)의 둘레에 일곱 개의 진공 약 보관용기(110)가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우징(183)의 형상이 진공 약 보관용기(110)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진공 약 보관장치 110 : 진공 약 보관용기
111 : 용기 본체 112 : 저장실
117 : 용기 홈 118 : 용기 가이드면
119 : 배기 홀 121 : 용기 실링재
123 : 내부 하우징 124 : 용기 배기 챔버
125 : 통공 126 : 용기 실링부
127 : 용기 삽입홀 128 : 용기 연결유로
130 : 용기 체크밸브 유닛 131 : 용기 플런저
132 : 용기 플런저 바디 133 : 용기 플런저 헤드
134 : 용기 플런저 홀 135 :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
137 : 용기 탄성부재 140 : 뚜껑
150 : 진공압 공급기 151 : 베이스
152 : 안착면 153 : 허브 챔버
154 : 배기로 155 : 베이스 배기 챔버
157 : 베이스 실링부 158 : 베이스 삽입 홀
159 : 베이스 연결유로 160 : 베이스 실링재
163 : 커플링부 164 : 커플링부 유로
170 :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 171 : 베이스 플런저
172 : 베이스 플런저 바디 173 : 베이스 플런저 헤드
174 : 베이스 플런저 돌기 175 : 베이스 플런저 가이드면
177 : 베이스 탄성부재 180 : 진공 펌프
183 : 하우징 185 : 디스플레이
187 : 조작부 191 : 제어부
193 : 보조 하우징

Claims (17)

  1. 약이 저장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 홀과, 상기 배기 홀과 연결되는 용기 배기 챔버와, 상기 용기 배기 챔버와 상기 저장실을 연결하는 용기 연결유로를 갖는 용기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 및
    상기 배기 홀을 통한 상기 저장실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설치되는 용기 체크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체크밸브 유닛은,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배기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플런저와,
    상기 용기 배기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용기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플런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공급기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진공압 발생기에 접하여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플런저는 상기 진공압 공급기가 접할 수 있는 용기 플런저 바디와, 상기 용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용기 플런저 바디의 끝단에 연결되는 용기 플런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연결유로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용기 플런저 헤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플런저 헤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플런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진공압 발생기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에는 상기 진공압 발생기의 일부분이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진공압 발생기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플런저에는 상기 진공압 발생기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용기 플런저 홀이 마련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은 상기 용기 플런저 홀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용기
  5. 약이 저장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저장실과 연결되는 배기 홀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과, 상기 배기 홀을 통한 상기 저장실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에 설치되는 용기 체크밸브 유닛을 구비하는 진공 약 보관용기;
    상기 진공 약 보관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과, 상기 진공 약 보관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면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홀과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커플링부 유로를 갖는 커플링부와, 상기 커플링부 유로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 연결유로를 갖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상기 진공 약 보관용기에 진공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배기 홀과 연결되는 용기 배기 챔버 및 상기 용기 배기 챔버와 상기 저장실을 연결하는 용기 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체크밸브 유닛은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배기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플런저와, 상기 용기 배기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용기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플런저가 상기 커플링부에 의해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저장실이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커플링부 유로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플런저는 상기 커플링부가 접할 수 있는 용기 플런저 바디와, 상기 용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용기 플런저 바디의 끝단에 연결되는 용기 플런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연결유로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용기 플런저 헤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플런저 헤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플런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에는 상기 커플링부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배기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에는 상기 커플링부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용기 플런저 홀이 마련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은 상기 용기 플런저 홀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 유로를 통한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와 상기 커플링부 유로를 연결하는 베이스 배기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은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배기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런저와, 상기 베이스 배기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런저에 대해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를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베이스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런저가 상기 용기 본체에 의해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가 상기 베이스 배기 챔버를 통해 상기 커플링부 유로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런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분이 접할 수 있는 베이스 플런저 바디와, 상기 베이스 플런저 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런저 바디의 끝단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런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연결유로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베이스 플런저 헤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런저 헤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런저는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런저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분이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본체가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베이스 플런저 가이드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커플링부는 복수 개가 상기 진공 펌프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진공 약 보관용기는 복수 개가 상기 복수의 커플링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약 보관용기의 좌우 양측으로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다른 진공 약 보관용기와 접할 수 있는 평평한 제 1 접촉 측면 및 제 2 접촉 측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장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진공 약 보관용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안착면에 돌출 구비되는 보조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진공 펌프를 감싸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KR1020200040566A 2020-04-02 2020-04-02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 KR102370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566A KR102370457B1 (ko) 2020-04-02 2020-04-02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566A KR102370457B1 (ko) 2020-04-02 2020-04-02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162A true KR20210123162A (ko) 2021-10-13
KR102370457B1 KR102370457B1 (ko) 2022-03-03

Family

ID=7811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566A KR102370457B1 (ko) 2020-04-02 2020-04-02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4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944A (ko) * 1999-06-05 2001-01-05 성낙점 복수개의 용기를 진공화 시키는 진공장치
KR20040012469A (ko) * 2003-06-25 2004-02-11 (주)아름다운동산 납골 보관함
KR20060130454A (ko) * 2005-06-14 2006-12-19 윤성중 진공저장 시스템
KR20080003605U (ko) * 2007-02-23 2008-08-27 주식회사 제로팩 서랍형 진공보관장치 및 진공개폐밸브
KR20090059777A (ko) * 2007-12-07 2009-06-11 윤성중 진공 저장용기
KR101840299B1 (ko) 2017-02-09 2018-03-20 주식회사 리앤원 휴대용 약 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944A (ko) * 1999-06-05 2001-01-05 성낙점 복수개의 용기를 진공화 시키는 진공장치
KR20040012469A (ko) * 2003-06-25 2004-02-11 (주)아름다운동산 납골 보관함
KR20060130454A (ko) * 2005-06-14 2006-12-19 윤성중 진공저장 시스템
KR20080003605U (ko) * 2007-02-23 2008-08-27 주식회사 제로팩 서랍형 진공보관장치 및 진공개폐밸브
KR20090059777A (ko) * 2007-12-07 2009-06-11 윤성중 진공 저장용기
KR101840299B1 (ko) 2017-02-09 2018-03-20 주식회사 리앤원 휴대용 약 보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457B1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2897B2 (ja) 自浄式チップ
US11180304B2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vessel
KR102453546B1 (ko) 휴대용 진공 약 보관장치
US20200346839A1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JP6499160B2 (ja) 物質送達モジュール用のカートリッジ
US11034503B1 (en) Container for mixing heterogeneous contents
KR102178156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WO2002049503A3 (en) Method and device for administering medication and/or placebo
KR102370457B1 (ko)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
JPH10263444A (ja) 液体噴射用のポンプ機構
KR20040078879A (ko) 비강용 투약기
KR102176512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2243386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190038885A (ko) 수소가스 흡인도구
CN108371740A (zh) 用于计量剂量吸入器的计量装置
KR102099308B1 (ko) 휴대용 진공 약 보관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진공 약 보관장치
KR20160087325A (ko) 스마트 카트리지 및 스마트 pca 펌프
WO2021107374A1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20210064894A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488634B1 (ko) 휴대용 진공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KR102098948B1 (ko) 휴대용 진공 약 보관장치
CN220046508U (zh) 液体分配装置
KR20220106375A (ko) 약액 디스펜서
KR102488631B1 (ko) 휴대용 진공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KR102417927B1 (ko)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