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299B1 - 휴대용 약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약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299B1
KR101840299B1 KR1020170017941A KR20170017941A KR101840299B1 KR 101840299 B1 KR101840299 B1 KR 101840299B1 KR 1020170017941 A KR1020170017941 A KR 1020170017941A KR 20170017941 A KR20170017941 A KR 20170017941A KR 101840299 B1 KR101840299 B1 KR 101840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cov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순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앤원
Priority to KR102017001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2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40Heating or cooling means; Combinations thereof
    • A61J2200/44Coo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외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보관대상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가 마련되도록 제2 벽체로 이루어지는 내부용기;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약 보관용기{PORTABLE STORAGE CONTAINER FOR MEDICINE}
본 발명은 약 등과 같은 보관대상을 저온 상태로 보관하는 휴대용 약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냉장 상태에서 보관해야 하는 의약품들이 있다. 냉장을 요하는 의약품들은 장시간 외출 시 또는 여행 시 보관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당뇨병 환자들이 사용하는 인슐린 주사의 경우 냉장 보관해야 하는 의약품 중 대표적인 의약품이라 할 수 있다. 인슐린 주사는 냉장 보관 의약품 중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현재 인슐린 주사를 냉장 보관할 수 있는 인슐린 냉장 주머니가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 1형 당뇨 환자들은 외출 시 인슐린 냉장 주머니를 사용한다. 그런데 인슐린 냉장 주머니는 제품 수명기간이 대략 2년 정도이며, 물에 넣었다가 2개의 주머니를 겹쳐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제품 특성상 외부와 차단된 곳에 보관하지 못하고 사용 후 완전히 건조해서 보관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외출 시 저온 보관이 필요한 각종 약품들을 간편하게 휴대 보관할 수 있는 용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39910호는 "밀봉덮개를 구비한 약품용기"를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부용기의 벽체 내부에 채워지는 냉매를 통해 보관대상을 장시간 저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약 보관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외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보관대상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가 마련되도록 제2 벽체로 이루어지는 내부용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용기는 내부에 제1 수용부가 마련되도록 제1 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용부에 내부용기가 수용되고, 상기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용부는 내부용기의 상부를 제외한 측면과 바닥을 감싸는 구조이며, 상기 외부용기의 제1 벽체 내부는 단열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용부는 보관대상의 상부를 제외한 측면과 바닥을 감싸는 구조이며, 상기 내부용기의 제2 벽체 내부는 수용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에는 냉매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는 겔 또는 상변화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은 측면공간의 가로 폭보다 하부공간의 세로 폭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 저면은 상향으로 볼록한 형태이며, 상기 덮개 저면에는 커버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덮개 저면에 부합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측 상부에는 보관대상의 상단을 누를 수 있도록 보관대상 상단을 향하여 돌출되는 반원형 가압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용부의 가로 폭은 수용되는 보관대상의 일측 가로 폭에 부합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하단 부위가 상기 외부용기 상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내부 바닥은 상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 측면에는 측면 리브가 방사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의 저면에는 하단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내부용기의 저면과 상기 하단커버 사이에는 개구된 내부용기 저면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 보관용기에 의하면, 내부용기의 벽체 내부에 채워지는 냉매를 통해 보관대상을 장시간 저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작은 가방에도 넣을 수 있는 크기로 휴대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약품은 물론 저온 보관이 필요한 화장품 또는 저온 상태로 보관하지 않으면 변질 우려가 있는 물질을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 보관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 보관용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 보관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용기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용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 보관용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외부용기(10), 외부용기(10)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용기(20) 및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3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용기(10)는 제1 벽체(11)에 의해 구성된다. 제1 벽체(11)의 형성에 따라 외부용기(10)의 내부 중앙에는 자연스럽게 제1 수용부(12)가 마련된다. 제1 수용부(12)에는 내부용기(20)가 결합된다. 외부용기(10)는 스테인리스(stainless)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벽체(11) 내부는 속이 빈 단열공간(111)으로 구성된다. 단열공간(111)은 내부용기(20)의 상부를 제외하고 측면과 하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1 수용부(12)에 내부용기(20)가 완전히 삽입된다. 제1 수용부(12)는 내부용기(20)의 상부를 제외한 측면과 하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1 수용부(12)의 가로 폭은, 내부용기(20)가 수용된 상태에서 내부용기(20)가 움직이지 않도록 내부용기(20)의 가로 폭에 부합하는 폭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제1 수용부(12)의 깊이는 내부용기(20)가 수용된 상태에서 내부용기(20)의 상단부가 제1 수용부(12)의 상면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는 깊이로 깊게 설계하여야 한다.
내부용기(20)는 외부용기(10)의 제1 수용부(12)에 대응 결합될 수 있는 외형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예컨대, 제1 수용부(12)가 원형일 경우 이에 맞추어 내부용기(20)도 이에 부합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내부용기(20)는 제2 벽체(21)에 의해 구성된다. 제2 벽체(21)의 형성에 따라 내부용기(20)의 내부 중앙에는 자연스럽게 제2 수용부(22)가 마련된다. 제2 수용부(22)에는 보관대상(40)이 수용된다.
제2 수용부(22)는 보관대상(40)의 상부를 제외한 측면과 하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내부용기(20)의 제2 벽체(21) 내부는 속이 빈 수용공간(211)으로 구성된다. 수용공간(211)에는 냉매(50)가 채워질 수 있다. 예컨대, 냉매(50)는 겔(Gel) 또는 상변화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s)일 수 있다. 내부용기(211)는 냉동보관하기 때문에 수용공간(211)에 냉매(50)를 포화 상태로 채울 경우 냉매(50)가 냉각되면서 부피가 늘어날 수 있으므로 냉매(50)의 냉각 시 부피가 늘어나는 것을 고려하여 수용공간(211)에 여유공간을 두고 냉매(50)를 채워야 한다.
내부용기(20)는 냉동 보관 시 내부에 채워진 냉매(50)가 냉각되면서 부피가 늘어날 수 있으므로 금속이 아닌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내부용기(20)를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외부용기(10)는 금속계열로 제작하고 내부용기(20)는 합성수지로 제작할 경우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의 열전도 속도가 달라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수용공간(211)은 측면공간의 가로 폭(W1)보다 하부공간의 세로 폭(W2)을 더 크게 설계한다. 하부공간의 세로 폭(W2)을 더 크게 하는 것은 휴대용 약 보관용기의 무게 중심이 하단에 위치되게 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휴대용 약 보관용기를 떨어뜨렸을 때 하단 쪽으로 떨어지게 함으로써 보관대상(4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휴대용 약 보관용기의 구조상 제2 수용부(22)에 수용되는 보관대상(40)의 위치가 외부용기(10)의 측면 쪽보다는 하단 쪽이 더 멀게 위치되어 휴대용 약 보관용기가 하단 쪽으로 떨어질 경우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단 쪽에 냉매(50)가 더 많이 채워져 있기 때문에 휴대용 약 보관용기가 바닥으로 떨어질 때 충격을 냉매(50)가 흡수하여 보관대상(40)을 보호할 수 있다.
제2 수용부의 가로 폭(W3)은 제2 수용부(22)에 수용되는 보관대상(40)이 움직이지 않도록 보관대상(40)의 길이가 더 긴 쪽 가로 폭에 부합하는 폭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보관대상(40)은 약품이 내장되는 용기로서, 사이즈가 규격화되어 있다. 보관대상(40)은 일측 가로 폭이 더 긴 구조이다.
내부용기(20)의 측면에는 측면 리브(23)가 구비된다. 측면 리브(23)는 내부용기(20) 외주면을 따라 방사형태로 형성된다.
내부용기(20)의 저면에는 하단커버(25)가 결합된다. 하단커버(25)의 외면에는 요철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면으로 인해 내부용기(20) 저면에 하단커버(25)를 결합 시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용기(20)의 저면과 하단커버(25) 사이에는 밀봉부재(24)가 결합될 수 있다. 밀봉부재(24)는 개구되어 있는 내부용기(20) 저면을 밀봉하여 냉매(50)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밀봉부재(24)는 내부용기(20) 하단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밀봉부재(24)는 내부용기(20)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밀봉부재(24)는 밀봉이 용이하도록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밀봉부재(24)는 오링 또는 패킹 등과 같은 기능을 한다. 내부용기(20) 하단에 밀봉부재(24)를 결합한 다음 하단커버(25)를 결합한다. 내부용기(20)의 저면과 하단커버(25)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하단커버(25)는 내부용기(20)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보관대상(40)은 약품은 물론 저온 보관이 필요한 화장품 또는 저온 상태로 보관하지 않으면 변질 우려가 있는 물질일 수 있다.
도 3,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의 저면에는 커버부재(60)가 결합된다. 커버부재(60)는 덮개(30) 저면에 부합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커버부재(60)의 외면을 따라 방사형태로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60)의 내측 상부에는 반원형 가압 돌출부(61)가 구비된다. 반원형 가압 돌출부(61)는 보관대상(40)이 제2 수용부(22)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보관대상(40)의 상단을 누르는 역할을 한다. 반원형 가압 돌출부(61)는 보관대상(40)의 상단을 향하여 돌출된다. 보관대상(40)의 상부는 반원형 가압 돌출부(61)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에도 움직이지 않는다. 커버부재(60)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는 외부용기(10) 및 내부용기(20)의 상부를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덮개(30) 저면은 상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덮개(30)와 외부용기(10)는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덮개(30)의 하단은 외부용기(10)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덮개(30)는 본체(31), 본체(31)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31)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커버(32)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32)는 본체(31)의 상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커버(32)는 본체(31) 상부에 부합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 커버(32)와 본체(31)의 연결부위에 개폐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개폐장치는 상부 커버(32)의 측면에 구비되는 돌기와 본체(31)의 상면에 구비되는 홈일 수 있다. 상부 커버(32)의 돌기는 본체(31)의 홈에 대응 결합될 수 있다. 덮개(30) 내부 바닥은 상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30) 내부 바닥이 상향으로 볼록하기 때문에 덮개(30) 내부로 투입된 약은 볼록한 곡면을 미끄러져 바닥 가장자리 쪽으로 모이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 보관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보관대상(40)이 제2 수용부(22)에 수용된 상태의 내부용기(20)를 냉장고에 냉동하였다가 외출 시 냉장고에서 꺼내어 외부용기(10)의 제1 수용부(12)에 넣고 덮개(30)를 닫은 다음 보관대상(40)이 수용된 휴대용 약 보관용기를 백이나 가방에 넣고 외출한다. 덮개(30)의 내부에는 알약 등과 같은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가방에 넣기에 충분한 작은 사이즈로 제작되어 휴대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내부용기(20)를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단열공간(111), 수용공간(211)에 채워지는 냉매(50) 등으로 인해 보관대상(40)을 최대한 장시간 저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인슐린 주사제 및 앰플제, 항생제 시럽, 산제(정장제), 경구복용약(항악성종양제, 혈관확장제), 흡입기 치료제(천식,골다골증), 피부과 외용약(여드름), 안약(녹내장, 고안압, 각막염) 등과 같은 다양한 냉장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단순 개폐기능으로만 사용하던 덮개(30) 내부를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활용도를 더욱 높인 기능성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 보관용기를 가방에 넣고 하루 동안 사용한 결과 대략 2도 내지 8도 온도가 5 내지 6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저온 보관이 필요한 약품의 휴대용 보관 용기로서 기능상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내부용기의 벽체 내부에 채워지는 냉매를 통해 보관대상을 장시간 저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작은 가방에도 넣을 수 있는 크기로 휴대가 매우 간편하다. 또한, 약품은 물론 저온 보관이 필요한 화장품 또는 저온 상태로 보관하지 않으면 변질 우려가 있는 물질을 보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외부용기
11:제1 벽체
12:제1 수용부
20:내부용기
21:제2 벽체
22:제2 수용부
23:측면 리브
24:밀봉부재
25:하단커버
30:덮개
31:본체
32:상부 커버
40:보관대상
50:냉매
60:커버부재
61:반원형 가압 돌출부
111:단열공간
211:수용공간
W1:측면공간의 가로 폭
W2:하부공간의 세로 폭
W3:제2 수용부의 가로 폭

Claims (12)

  1. 외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보관대상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가 마련되도록 제2 벽체로 이루어지는 내부용기;
    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용기의 제2 벽체 내부는 수용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은,
    측면공간의 가로 폭보다 하부공간의 세로 폭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 보관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내부에 제1 수용부가 마련되도록 제1 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용부에 내부용기가 수용되고,
    상기 외부용기 및 내부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약 보관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내부용기의 상부를 제외한 측면과 바닥을 감싸는 구조이며, 상기 외부용기의 제1 벽체 내부는 단열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 보관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보관대상의 상부를 제외한 측면과 바닥을 감싸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 보관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는,
    냉매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 보관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겔 또는 상변화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 보관용기.
  7. 삭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 저면은 상향으로 볼록한 형태이며, 상기 덮개 저면에는 커버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덮개 저면에 부합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측 상부에는 보관대상의 상단을 누를 수 있도록 보관대상 상단을 향하여 돌출되는 반원형 가압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 보관용기.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의 가로 폭은,
    수용되는 보관대상의 일측 가로 폭에 부합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 보관용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하단 부위가 상기 외부용기 상부 내측으로 결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내부 바닥은 상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 보관용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 측면에는,
    측면 리브가 방사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 보관용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저면에는 하단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내부용기의 저면과 상기 하단커버 사이에는 개구된 내부용기 저면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 보관용기.
KR1020170017941A 2017-02-09 2017-02-09 휴대용 약 보관용기 KR101840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941A KR101840299B1 (ko) 2017-02-09 2017-02-09 휴대용 약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941A KR101840299B1 (ko) 2017-02-09 2017-02-09 휴대용 약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299B1 true KR101840299B1 (ko) 2018-03-20

Family

ID=6191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941A KR101840299B1 (ko) 2017-02-09 2017-02-09 휴대용 약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29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8989A (zh) * 2018-10-29 2019-03-01 天津富斯特压力容器有限公司 海绵铁除氧器填料储存罐
KR102098948B1 (ko) 2019-05-30 2020-04-08 최해권 휴대용 진공 약 보관장치
KR102099308B1 (ko) 2019-05-30 2020-04-09 최해권 휴대용 진공 약 보관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진공 약 보관장치
KR102162200B1 (ko) * 2020-02-03 2020-10-08 김나영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KR20200137964A (ko) 2019-05-30 2020-12-09 최해권 휴대용 진공 약 보관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진공 약 보관장치
KR20210015060A (ko) 2019-07-31 2021-02-10 염서현 투약 관리를 위한 휴대용 저온 보관 약통
KR20210123162A (ko) 2020-04-02 2021-10-13 최지혜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
KR20220102367A (ko) 2021-01-13 2022-07-20 최지혜 휴대용 진공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KR20220102368A (ko) 2021-01-13 2022-07-20 최지혜 휴대용 진공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KR20220131591A (ko) 2021-03-22 2022-09-29 최지혜 진공 약 보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797A (ja) * 2001-12-14 2003-07-02 Odashima Kibutsu Seisakusho:Kk 薬剤用保冷温容器
JP2008260568A (ja) * 2007-04-13 2008-10-30 Costem:Kk 断熱容器およびその断熱容器を用いた商品の予冷低温保管流通方法
KR200448106Y1 (ko) * 2008-05-14 2010-03-15 장병성 인슐린 보관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797A (ja) * 2001-12-14 2003-07-02 Odashima Kibutsu Seisakusho:Kk 薬剤用保冷温容器
JP2008260568A (ja) * 2007-04-13 2008-10-30 Costem:Kk 断熱容器およびその断熱容器を用いた商品の予冷低温保管流通方法
KR200448106Y1 (ko) * 2008-05-14 2010-03-15 장병성 인슐린 보관 케이스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8989A (zh) * 2018-10-29 2019-03-01 天津富斯特压力容器有限公司 海绵铁除氧器填料储存罐
KR102098948B1 (ko) 2019-05-30 2020-04-08 최해권 휴대용 진공 약 보관장치
KR102099308B1 (ko) 2019-05-30 2020-04-09 최해권 휴대용 진공 약 보관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진공 약 보관장치
KR20200137964A (ko) 2019-05-30 2020-12-09 최해권 휴대용 진공 약 보관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진공 약 보관장치
KR20210015060A (ko) 2019-07-31 2021-02-10 염서현 투약 관리를 위한 휴대용 저온 보관 약통
KR102162200B1 (ko) * 2020-02-03 2020-10-08 김나영 약품 온도를 조절하는 휴대용 약품 보관 장치
KR20210123162A (ko) 2020-04-02 2021-10-13 최지혜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
KR20220102367A (ko) 2021-01-13 2022-07-20 최지혜 휴대용 진공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KR20220102368A (ko) 2021-01-13 2022-07-20 최지혜 휴대용 진공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KR20220131591A (ko) 2021-03-22 2022-09-29 최지혜 진공 약 보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299B1 (ko) 휴대용 약 보관용기
US6253570B1 (en) Traveling bag with exterior display of interior temperature
US5421172A (en) Soft-sided cooler
US8225616B2 (en) Portable medicine cooler having an electronic cooling controller and medicine efficacy indication circuitr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0506446B1 (ko) 의약 함유 바이알용 콜드 팩
US20100282762A1 (en) Mobile Insulin Storage Cooler (MISC)
US20070144205A1 (en) Cooling container assembly
US20040093891A1 (en) Temperature control case for medicines
US20080141700A1 (en) Portable cold pack case for carrying medicine and medical accessories
US20090071968A1 (en) Container
JP2010202259A (ja) 携帯断熱容器
EP3564602A1 (en) Temperature controlled container
CN107284857A (zh) 保温容器
US20190285329A1 (en) Cooler with a Secondary Compartment
US20070175238A1 (en) Portable system for preserving labile materials
US11400016B2 (en) Medication storage and transport container
WO2017051050A1 (es) Recipiente portátil para productos termosensibles
KR101637003B1 (ko) 휴대용 냉장 약품 보관기
KR200419758Y1 (ko) 휴대용 의약품 저장장치
US20200198871A1 (en) Temperature controlled container
CN213713653U (zh) 蓄冷瓶
KR200401581Y1 (ko) 스폰지 보냉용기
CN219155233U (zh) 储药瓶
KR200493844Y1 (ko) 휴대용 아이스컵
KR20100043485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