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591A - 진공 약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약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591A
KR20220131591A KR1020210036384A KR20210036384A KR20220131591A KR 20220131591 A KR20220131591 A KR 20220131591A KR 1020210036384 A KR1020210036384 A KR 1020210036384A KR 20210036384 A KR20210036384 A KR 20210036384A KR 20220131591 A KR20220131591 A KR 20220131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ase
base
pressur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혜
Original Assignee
최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혜 filed Critical 최지혜
Priority to KR1020210036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1591A/ko
Publication of KR2022013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2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 B22F3/225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by injection m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진공 약 보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진공 약 보관장치는, 일측에 내부공간이 외부에 개방되도록 제1 개방구가 마련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상기 제1 개방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시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의 유지 압력을 해제하기 위한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가 마련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진공약통;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진공약통이 거치 가능하도록 거치면을 가지며,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의 내부공간으로 진공압을 제공 가능하도록 진공압 제공유로가 마련되는 베이스; 상기 진공압 제공유로를 통해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의 내부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는 진공펌프; 및 상기 거치면에 대해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이 자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는 탈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시간 보관에도 수분이나 공기 중의 균에 의해 약이 오염되지 않도록 약을 진공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베이스로부터 휴대용 진공약통을 분리하여 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약 보관장치{vacuum medicine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약을 진공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필요시 일부구성을 분리한 후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진공 약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문명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각종 성인병의 증가로 약을 장기간 복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웰빙 트렌드의 확산으로 비타민이나 영양제 등의 건강 보조약품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인구도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병의 치유와 건강 증진을 위한 약들은 지속적이고 꾸준한 복용으로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지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매일 시간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하므로, 복용해야 하는 약을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약을 휴대하는 방법으로는 일정량의 약을 수용할 수 있는 휴대용 보관용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장기간 약을 복용하여야 하는 환자들이 약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휴대 시 약제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 약제의 오염으로 인한 부작용을 줄여줄 수 있다.
휴대용 약 보관용기로는 일정량의 약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와, 용기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을 갖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하나의 저장 공간을 갖는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저장 공간은 상대적으로 크지만 여러 종류의 약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여러 종류의 약을 복용해야 하는 사용자에게는 사용이 불편하다.
이러한 종래 휴대용 약 보관용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저장 공간을 격판을 이용하여 복수의 격실로 구획한 휴대용 약 보관용기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분리 형성된 격실에 약이 종류별로 수납 보관되거나 1회 복용분의 약들이 수납 보관될 수 있어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약이 수용되는 저장 공간을 간단한 구조의 뚜껑으로 덮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저장 공간에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막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용 약 보관용기는 저장 공간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함에 따라 약이 오염되거나 약 성분이 변질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특히, 무균 상태로 보관되어야 하는 약의 경우, 보관 중에 공기 중에서 오염됨에 따라 이를 복용하는 환자에게 위해를 줄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0299호 (2018. 03. 20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시간 보관에도 약이 수분이나 공기 중의 균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약을 진공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진공 약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내부공간이 외부에 개방되도록 제1 개방구가 마련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상기 제1 개방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시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의 유지 압력을 해제하기 위한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가 마련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진공약통;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진공약통이 거치 가능하도록 거치면을 가지며,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의 내부공간으로 진공압을 제공 가능하도록 진공압 제공유로가 마련되는 베이스; 상기 진공압 제공유로를 통해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의 내부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는 진공펌프; 및 상기 거치면에 대해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이 자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는 탈부착부를 포함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력 탈부착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자력 탈부착부재와 자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한 제2 자력 탈부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력 탈부착부재는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의 하부에 마련되는 자석이고, 상기 제2 자력 탈부착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거치면에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마련되는 자석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력 탈부착부재는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의 하부에 마련되는 자석이고, 상기 제2 자력 탈부착부재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인서트 사출공정을 통해 베이스와 일체로 마련되되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자력 탈부착부재는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의 하부에 마련되는 자석이고, 상기 제2 자력 탈부착부재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인서트 사출공정을 통해 베이스와 일체로 마련되되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이루어지는 복수의 금속판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진공 약 보관장치에 의하면, 장시간 보관에도 수분이나 공기 중의 균에 의해 약이 오염되지 않도록 약을 진공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베이스로부터 휴대용 진공약통을 분리하여 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진공약통과 베이스에 탈부착부가 마련됨으로써, 베이스에 대해 휴대용 진공약통을 자력에 의해 손쉽게 거치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분리한 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에 대한 제2 케이스의 결합 및 분리 동작에 따라 제2 케이스의 제1 걸림돌기와 제2 걸림돌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이동 밀착부와 제2 이동 밀착부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 및 조립성이 우수하고 제1 케이스의 내부 압력을 유지하고 필요시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케이스를 제1 케이스로부터 조금만 이격시키도록 이동하면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가 제2 돌기 삽입홀과의 밀착 상태가 해제되면서 제1 케이스 내부 공간의 진공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이후 사용자가 좀 더 손쉽게 제2 케이스를 제1 케이스로부터 완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결합시, 제1 걸림돌기가 제1 이동 밀착부와 제2 이동 밀착부를 제1 케이스 측으로 가압하여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을 밀착시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가 제2 이동 밀착부의 중앙 영역을 가압하여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밀착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가 테이퍼지게 마련되고, 이동 밀착체가 제1 케이스에 대한 제2 케이스의 결합, 분리 동작에 따라 제2 케이스 내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제1 케이스 내부의 설정압력 유지와 필요시 압력 해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노출방지커버부를 통해 제2 이동 밀착부와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의 휴대용 진공약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영역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의 휴대용 진공약통의 진공 밸브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의 휴대용 진공약통의 진공 밸브체에서 진공형성부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해 진공압이 작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3의 Ⅷ영역 확대도,
도 9 및 도 10은 도 8 기준 제2 케이스가 제1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저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의 휴대용 진공약통의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의 노출방지커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의 베이스 내부의 분기 진공압 제공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의 탈부착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의 탈부착부에서 제2 자력 탈부착부재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변형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는 약(알약 포함) 등을 진공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장시간 보관에도 약이 수분이나 공기 중의 균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약을 진공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약 보관장치는 휴대용 진공약통(1000), 베이스(3000) 및 진공펌프(5000)를 포함한다.
먼저, 휴대용 진공약통(1000)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진공약통(1000)은 제1 케이스(1100), 제2 케이스(1200), 진공 밸브체(1300) 및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1500)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1100)는 일측 및 타측에 내부공간이 외부에 개방되도록 각각 제1 개방구(1110)와 제2 개방구(1120)가 마련되고, 제2 케이스(1200)는 제1 케이스(1100)의 내부공간을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제1 개방구(1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진공 밸브체(1300)는 제1 케이스(1100)의 하부에 마련되고,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1500)는 제2 케이스(1200)에 마련된다. 여기서, 제2 개방구(1120)는 일정 이상의 바닥면 두께를 갖는 제1 케이스(1100)에 의해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개방홀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케이스(1100) 내부에는 진공 보관의 필요성이 있는 알약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1100)와 제2 케이스(1200)가 상호 결합되어 내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진공펌프(5000) 구동에 의해 밀폐된 내부공간에 진공압이 제공되면, 제1 케이스(1100)와 제2 케이스(1200)의 내부 공간은 진공 밸브체(1300)와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1500)에 의해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사용자가 제2 케이스(1200)를 제1 케이스(1100)로부터 분리하려는 동작을 통해 진공상태가 해제 가능하다. 여기서, 진공 밸브체(1300)는 특히 제1 케이스(1100) 내부로 진공압을 제공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술한 진공 해제와는 무관하며 진공 해제는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1500)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 밸브체(1300)는 제2 개방구(1120) 내에 마련되며, 진공압 공급수단으로부터 진공압을 제공받아 제1 케이스(1100)의 내부공간에 진공을 형성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진공 밸브체(1300)는 밸브 고정체(1310), 밸브 탄성체(1320) 및 밸브 지지체(1340)를 포함한다.
밸브 고정체(1310)는 제2 개방구(1120) 내에 삽입 고정되며 제1 케이스(110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복수의 연통공(1312)이 마련된다. 덧붙이자면, 제1 케이스(1100)의 제2 개방구(1120)를 형성하는 내벽에는 걸림턱(1130)이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턱(1130)은 제1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가장 인접한 위치의 상기 내벽에 마련된다. 밸브 고정체(13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개방구(1120) 내측으로 삽입된 후 걸림턱(1130)에 걸려 더 이상의 삽입이 제한된 상태로 제2 개방구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걸림턱(1130)은 제2 개방구(1120)를 형성하는 내벽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고정체(1310)는 복수의 연통공(1312)이 마련되는 밸브 고정플레이트(1311)와, 밸브 고정플레이트(131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3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밸브 고정플레이트(1311)는 그 가장자리가 걸림턱(1130)에 걸림되며 제2 개방구(1120) 내에 삽입되는 밸브 탄성체(1320) 및 밸브 지지체(1340)에 의한 가압에 의해 제2 개방구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313)는 그 돌출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테이퍼 형상에 의해 후술하는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와의 사이에 진공유로(1321) 폐쇄를 위한 밀착 또는 진공유로(1321) 형성을 위한 이격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다음, 밸브 탄성체(1320)는 제2 개방구 내에서 밸브 고정체(1310)와 결합되며, 진공압 공급수단에 의한 진공압 제공 여부에 따라 탄성 변형 또는 복원되어 제1 케이스(1100)와 제2 케이스(120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을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밸브 탄성체(1320)는 진공압 제공 여부에 따라 탄성 변형 또는 복원되어 연통공(211)을 외부에 대해 개방 또는 폐쇄할 수도 있다. 부연하자면, 제1 케이스(1100)와 제2 케이스(120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케이스(1100)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밸브 탄성체(1320)는 탄성 변형하여 돌출부(1313)와의 사이에 제1 케이스(1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진공유로(1321)가 형성되고, 제1 케이스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된 후 진공압을 유지하고자 할 경우 밸브 탄성체(1320)는 탄성 복원하여 진공유로(1321)를 폐쇄한다.
제1 케이스(1100)의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 밸브 탄성체(1320)는 기본적으로 연통공(1312)을 개방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반대로, 제1 케이스(1100)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진공압을 유지하고자 할 경우 밸브 탄성체(1320)는 연통공(1312)을 폐쇄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가 돌출부(1313) 외면에 밀착되어 진공유로(1321)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가 돌출부(1313) 외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연통공(1312)은 제1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과 밸브 탄성체(1320), 구체적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의 내측 빈 공간이 연통하도록 개방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가 돌출부(1313) 외면에 밀착됨에 따라 제1 케이스(1100)의 내부 진공압은 유지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탄성체(1320)는 밸브 탄성플레이트(1322),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 및 돌출단부(1324)를 포함하며, 일상 이상의 탄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밸브 탄성플레이트(1322)는 연통공(1312)을 폐쇄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밸브 고정플레이트(1311)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는 진공압 제공시 돌출부(1313)와의 사이에 연통공(1312)과 연통되는 진공유로(1321)를 형성하도록 돌출부(1313)가 관통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밸브 탄성플레이트(132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된다. 여기서,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는 돌출부(1313)를 둘레방향으로 감싸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측이 관통되게 이루어진다.
돌출단부(1324)는 밸브 탄성플레이트(13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후술하는 밸브 지지체(1340) 및 제2 개방구(1120)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의 내벽과의 접촉구조에 의해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의 형상 변형을 안정적으로 유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밸브 지지체(1340)와의 접촉 구조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을 유도하도록 돌출단부(1324)가 밸브 지지체(1340)를 향하도록 돌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밸브 고정체(1310)와의 접촉 구조를 통해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도록 지지 가능하다면, 돌출단부(1324)는 밸브 고정체(1310) 측으로 돌출되어 밸브 고정체(1310)와의 사이에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하기 위한 접촉 지지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지지체(1340)는 제2 개방구(1120) 내에 삽입 고정되며, 연통공(1312)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밸브 탄성체(1320)의 탄성 변형 또는 복원이 가능하도록 밸브 탄성체(1320)의 일측을 지지한다. 밸브 지지체(1340)는 밸브 고정체(1310)와 밸브 탄성체(1320)를 고정하도록 제2 개방구(1120) 내에 강제 압입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 지지체(1340)에는 제2 개방구(1120)의 내벽과의 사이에 돌출단부(1324)가 개재되도록 돌출단부(1324)의 내면을 접촉 지지하는 접촉 지지단부(1341)가 마련된다.
즉, 밸브 지지체(1340)가 제2 개방구(112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촉 지지단부(1341)의 외면은 돌출단부(1324)의 내면과 접촉됨과 더불어 돌출단부(1324)가 제2 개방구를 형성하는 내벽과의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미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밸브 탄성체(1320)의 돌출단부(1324)가 밸브 지지체(1340), 구체적으로 접촉 지지단부(134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진공압 제공시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가 탄성변형하여 돌출부(1313)와의 사이에 진공유로(1321)를 형성하고 연통공(1312)을 외부에 대해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밸브 지지체(1340)에는 밸브 탄성체(1320)로 진공압이 제공되도록 통공(1342)이 마련되며, 진공압 공급수단은 통공(1342)을 통해 밸브 지지체(1340)와 밸브 탄성체(1320)의 사이 공간으로 진공압을 제공하여 밸브 탄성체(1320)의 탄성 변형을 유도한다.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가 돌출부(1313)로부터 이격되는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단면 확장) 진공유로(1321)를 형성하고, 이때 진공유로(1321)와 연통되는 연통공(1312)을 통해 제1 케이스(1100) 내로 진공압이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압 공급수단에 의한 진공압 제공이 해제되는 경우,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는 돌출부(131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하며 이에 따라 돌출부(1313)와의 사이의 진공유로(1321)를 폐쇄하여 제1 케이스(1100) 내의 진공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러한 진공유로 개방과 진공유로 폐쇄가 한층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추가적인 구조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313)는 그 돌출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이루어지고,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는 돌출부(1313)와 대응하도록 테이퍼지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각 구성들이 자체적으로 탄성 변형 및 복원이 한층 용이하도록 테이퍼지게 이루어짐에 따라 진공압 제공시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의 돌출 단부가 더욱 용이하게 돌출부(131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확장되어 진공유로(1321)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반대로 진공압 해제시에는 신속하게 탄성 복원되어 돌출부(1313)의 외면에 확실히 밀착함으로써 진공유로(1321)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돌출부(1313)의 외면과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의 내면이 서로 밀착되어 진공유로의 발생을 억제하고,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의 내면이 돌출부(1313)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탄성 변형함으로써 진공유로가 발생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관련 구성들이 모두 테이퍼짐에 따라 이러한 탄성 변형, 복원이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부연하자면, 밸브 탄성체(1320)가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진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진공유로의 형성과 폐쇄를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의 탄성 변형 및 복원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도 4,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는 밸브 탄성플레이트(1322)로부터 이격되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진공압 공급수단의 진공압이 일정 이상 작게 제공되더라도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하여 진공유로(1321)를 형성할 수 있고, 진공압 제거시에는 신속하게 탄성 복원되어 진공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은 밸브 고정체(1310)와 밸브 탄성체(1320) 간의 상호 접촉 부위를 최소화하여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와 돌출부(1313) 사이에 진공유로(1321)가 형성되면 제1 케이스(1100) 내의 공기가 연통공(1312), 진공유로(1321)를 통해 신속하게 외부(후술하는 베이스의 진공압 제공유로)로 배출되도록 하는 추가적인 구조를 제시한다. 즉, 제1 케이스(1100) 내부를 신속하게 진공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탄성플레이트(1322)와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가 진공압 제공여부에 관계없이 밸브 고정플레이트(1311)와 돌출부(1313)의 상호 연결부위(연결 모서리 영역)에 대해 항시 비접촉하도록 밸브 탄성플레이트(1322)와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의 연결부위는 라운드지게 마련된다.
여기서, 진공압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밸브 탄성플레이트(1322)는 연통공(1312)을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1 케이스(110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된 후 연통공(1312) 폐쇄, 돌출부(1313)와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의 상호 밀착에 의한 진공유로 폐쇄의 2중 밀폐 구조를 통해 기밀성을 향상시켜 진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진공압이 제공되어 돌출부(1313)와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 사이에 진공유로(1321)가 형성되는 경우 밸브 탄성플레이트(1322)는 형상 변형되어 연통공(1312)를 개방하게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탄성플레이트(1322)와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의 연결부위가 라운드지게 마련됨으로써 신속한 배기를 통한 진공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진공 밸브체(1300)의 동작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진공압 공급수단을 통해 진공압이 제공되기 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는 돌출부(1313)에 밀착되고 밸브 탄성플레이트(1322)는 연통공(1312)을 폐쇄하여 진공유로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다음, 진공압 공급수단을 통해 진공압이 제공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는 진공압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확장되고 이에 따라 돌출부(1313)와의 사이에 진공유로(1321)가 형성됨과 더불어 연통공(1312)의 폐쇄 상태가 해제되어 결국 제1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은 연통공(1312), 진공유로(1321)를 통해 후술하는 베이스(3000)의 진공압 제공유로(3200)와 연통되게 개방된다.
이와 같이 제1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이 베이스(3000)의 진공압 제공유로(3200)와 연통됨에 따라, 진공압 공급수단 구동에 의해 제1 케이스 내부의 공기는 연통공(1312), 진공유로(1321)를 순차적으로 거쳐 진공압 공급수단 측으로 공급되어 제1 케이스 내부의 진공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진공압 공급수단을 통한 진공압 제공이 해제되면, 다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는 탄성적으로 형상 복원되어 돌출부(1313)의 외면에 완전히 밀착되어 돌출부(1313)와의 사이에 진공유로 발생을 제한하고 마찬가지로 밸브 탄성플레이트(1322)는 연통공(1312)을 폐쇄한다. 이에 따라, 제1 케이스(1100) 내부는 돌출부(1313)와 진공유로형성 탄성부(1323) 사이의 밀착, 연통공(1312) 폐쇄에 의해 안정적으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15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1500)는 제1 케이스(1100)와 제2 케이스(120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그 내부 수용공간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유지중인 압력을 용이하게 변경,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부품수가 적어 생산 및 조립성이 우수하다.
도 2, 도 3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1500)는 내부 수용공간(1160)을 갖는 제1 케이스(110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케이스(1200)에 마련된다. 즉,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1500)가 결합된 제2 케이스(1200)를 제1 케이스(1100)에 결합함으로써 제1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1160)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제2 케이스(1200)를 제1 케이스(11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유지중인 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00)의 내부 수용공간은 진공압 공급수단과 진공 밸브체(1300)에 의해 진공압이 형성되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1500)는 이러한 진공압을 유지시킬 수 있고, 제2 케이스가 제1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동작을 통해 진공압이 해제 가능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을 진공으로 형성하고 진공해제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1500)는 이동 밀착체(1510)를 포함한다.
이동 밀착체(1510)는 제2 케이스(1200)의 내측면에 걸림된 상태로 제1 케이스(1100)에 대한 제2 케이스의 결합 및 분리방향에 대응하는 방향(도면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2 케이스(1200)에 결합된다.
즉, 이동 밀착체(1510)는 제1 케이스(1100)와 제2 케이스(1200)의 결합시에는 제1 케이스(1100)의 개구된 단부에 밀착 접촉하여 제1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을 외부에 대해 안정적으로 밀폐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밀착체(1510)는 제2 케이스(1200)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이동 밀착부(1511), 제1 이동 밀착부(1511)와 일체로 결합되는 제2 이동 밀착부(1530)를 포함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00) 및 제2 케이스(1200)가 실질적으로 일직선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1 이동 밀착부(1511)는 제1 케이스(1100)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200)의 내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제1 걸림돌기(1210)가 단차진 상태로 마련되며, 제2 걸림돌기(1220)는 제1 걸림돌기(1210)와 이격되게 제2 케이스(1200)의 내측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되고, 제3 걸림돌기(1230)는 마찬가지로 제2 걸림돌기(1220)와 이격되게 제2 케이스의 내측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된다. 제1 케이스(1100)의 외면에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결합시 제2 걸림돌기(1220)와 제3 걸림돌기(1230) 사이에 개재되도록 또 다른 제4 걸림돌기(1140)가 마련되고, 제4 걸림돌기(1140)는 제1 케이스(11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된다.
제1 이동 밀착부(1511)는 제1 이동판(1512)과 제1 이동판(1512)의 단부에 절곡되게 마련되는 절곡부(1513)를 포함하며, 절곡부(1513)는 제1 걸림돌기(1210)와 제2 걸림돌기(1220)의 사이 영역에 배치됨과 더불어 외부 이탈이 방지되도록 제1 걸림돌기와 제2 걸림돌기에 의해 걸림된 상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1 이동 밀착부(1511)는 외력 작용시 제1 걸림돌기(1210)와 제2 걸림돌기(1220)의 사이영역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제1 이동판(1512)에는 후술하는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의 단부가 관통삽입되도록 제1 돌기 삽입홀(1514)이 마련된다.
제2 이동 밀착부(1530)는 제1 이동 밀착부(1511)와 일체로 결합되어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2 이동 밀착부(1530)는 제2 이동판(1531), 제2 이동판(1531)의 일면에 돌출되는 돌출부(1532), 제2 이동판(1531)의 타면에 돌출되며 제1 케이스(1100)의 개구된 단부를 밀폐 가능한 밀폐돌기(1533)를 포함한다. 제2 이동판(1531)과 돌출부(1532)에는 후술하는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제2 돌기 삽입홀(1534)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이동 밀착부(1530)는 일정이상의 연성을 갖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돌출부(1532)는 제1 이동 밀착부(1511)의 제1 돌기 삽입홀(1514)에 강제 압입을 통해 고정되고, 제2 이동판(1531)은 제1 이동판(1512)과 절곡부(1513)의 사이공간으로 강제 압입되어 고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00)의 개구된 단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제1 경사면(1150)이 마련되고, 제2 이동 밀착부(1530)의 가장자리, 구체적으로 상기 밀폐돌기(1533)의 외면에는 제1 경사면(1150)에 밀착 접촉 가능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제2 경사면(1535)이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케이스(1200)를 제1 케이스(1100) 측으로 가압하여 결합 완료한 상태에서, 제1 경사면(1150)과 제2 경사면(1535)이 밀착 접촉하여 해당 부위를 통해 내부 수용공간(1160) 내의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케이스(1200)의 내면에는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가 마련된다.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는 제1 케이스(1100) 및 제2 케이스(1200)의 결합시, 제2 이동 밀착부(1530)의 중앙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제2 이동 밀착부(1530)의 밀폐돌기(1533)의 제2 경사면(1535)이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에 의해 제1 케이스(1100) 측으로 가압되어 제1 케이스(1100)의 개구된 단부, 즉 제1 경사면(1150)에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는 제1 케이스에 대해 제2 케이스를 분리하여 제1 케이스의 내부 진공압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제1 케이스의 내부 진공압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는 제1 이동 밀착부(1511), 제2 이동 밀착부(1530)와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압력 해제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제1 케이스(1100) 및 제2 케이스(1200)의 결합시,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는 제1 이동 밀착부(1511)의 제1 돌기 삽입홀(1514)을 관통하고 제2 이동 밀착부(1530)의 제2 돌기 삽입홀(1534)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데 제1 케이스(1100) 내의 압력유지를 위해서는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와 접촉되는 부분의 기밀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기밀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와 근접한 구성간의 사이틈, 제1 이동 밀착부(1511)와 제1 걸림돌기(1210) 간의 사이틈을 통해 제1 케이스(1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생성되며, 이에 따라 압력 손실이 발생한다.
전술한 해당 부위의 기밀성 확보를 위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는 그 돌출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지게 마련되고, 제2 돌기 삽입홀(1534)을 형성하는 내벽 또한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와 대응하게 테이퍼지게 마련되어 상호 간에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이동 밀착부(1530)가 일정이상의 연성을 갖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기밀성 확보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의 외면과 제2 돌기 삽입홀(1534)의 내벽이 서로 대응하게 테이퍼지게 마련됨으로써, 제1 케이스(1100)를 향해 제2 케이스(1200)를 가압하여 결합할 때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의 외면이 제2 돌기 삽입홀(1534)의 내벽에 밀착됨과 동시에 제2 이동 밀착부(1530)의 중앙부를 결합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경사면(1150)과 제2 경사면(1535)의 밀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와 제2 돌기 삽입홀(1534) 내벽간의 밀착으로 인해 제1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의 압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현재 제1 케이스(1100)와 제2 케이스(1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은 진공압을 형성하고 있는데 반해 제2 케이스(1200)의 내부 공간은 대기압 상태를 형성하고 있다. 만약, 제1 케이스(1100)와 제2 케이스(1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와 제2 돌기 삽입홀(1534) 내벽간에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진공압 공급수단을 통해 제1 케이스 내부에 진공압을 제공하더라도 제2 케이스(1200) 내부의 공기가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와 제2 돌기 삽입홀(1534) 내벽 사이의 틈을 통해 제1 케이스(1100) 내부로 유입되어 설정된 진공압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여기서, 제2 이동 밀착부(1530)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바 이러한 밀착을 통한 기밀성 유지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에는 제2 이동 밀착부(1530)의 상부면과 접촉하도록 그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단턱(1241)이 마련되며, 이러한 단턱(1241)을 통해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와 제2 이동 밀착부(1530) 간의 상호 접촉면적을 증가하여 상호간의 접촉면적 증가에 따른 기밀성 향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턱(1241)을 통해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가 제2 이동 밀착부(1530)를 더욱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효과도 발생한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1500)는 제1 이동 밀착부(1511), 제2 이동 밀착부(1530)와 결합되는 노출방지커버부(155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노출방지커버부(1550)는 제1 케이스(1100)에 대해 제2 케이스(1200)의 분리시 제2 이동 밀착부(1530)의 저면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 노출방지커버부(1550)의 저면에는 상호, 문양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노출방지커버부(1550)는 커버 본체(1551), 커버 본체(1551)의 일측에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봉(1552)을 포함하고, 제2 이동 밀착부(1530)에는 복수의 돌출봉(1552)이 강제 압입되도록 돌출봉 삽입홀(1536)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돌출봉(1552)의 강제 압입을 통해 노출방지커버부(1550)는 제2 이동 밀착부(1530)에 견고히 결합되어 제1 이동 밀착부(1511), 제2 이동 밀착부(1530)와 동시에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제2 이동 밀착부(1530)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돌출봉(1552)이 강제 압입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돌출봉이 강제 압입되는 부분을 통해 압력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 밀착부(1511)에 또 다른 돌출봉 삽입홀(1515)이 마련될 수 있고, 돌출봉(1552)은 제1 이동 밀착부(1511)의 돌출봉 삽입홀(1515)에 강제 압입됨으로써 전술한 결합력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본체(1551)와 제2 이동 밀착부(1530) 사이에는 일정 이상의 간극을 포함하는 유로가 마련된다.
이하,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1500)의 결합 및 분리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00)와 제2 케이스(1200)가 상호 결합 완료된 상태에서, 이동 밀착체(1510)의 가장자리는 제2 케이스(1200)의 제1 걸림돌기(1210)에 의해 가압되며 이에 따라 제1 경사면(1150)과 제2 경사면(1535)의 밀착 접촉이 이루어진다.
또한, 테이퍼진 외면을 갖는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가 제2 돌기 삽입홀(1534)에 삽입되어 제2 이동 밀착부(1530)의 중앙 영역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때 제2 이동 밀착부(1530)의 가장자리는 제1 케이스(1100)의 개구된 단부 측으로 가압되어 제1 경사면(1150)과 제2 경사면(1535) 사이의 밀착 접촉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제2 이동 밀착부(1530)의 가장자리가 제1 케이스(1100)의 개구된 단부 측으로 가압되는 것은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가 테이퍼지게 마련되고 제2 돌기 삽입홀(1534)을 형성하는 내벽이 마찬가지로 테이퍼지게 이루어짐에 따라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경사면(1150)과 제2 경사면(1535)의 밀착,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와 제2 돌기 삽입홀(1534)을 형성하는 내벽간의 밀착을 통해 제1 케이스(1100)의 내부 수용공간(1160)은 압력손실 없이 진공압 공급수단에 의해 제공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케이스(1100)의 내부 수용공간(1160)은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2 케이스(1200)의 내측 공간은 대기압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다음, 사용자가 제1 케이스(1100) 내부에 수용된 알약 등을 사용하고자 제1 케이스(1100)에 대해 제2 케이스(120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제2 케이스(1200)를 외측(도면상 상측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200)를 잡아당기는 초기에는 제1 경사면(1150)과 제2 경사면(1535)이 상호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다만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는 제2 돌기 삽입홀(1534)과의 밀착 상태가 해제되고,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와 제1 돌기 삽입홀(1514)을 형성하는 내벽 간에도 일정 이상의 간극이 발생한다.
즉, 제2 케이스(1200)를 잡아당기는 초기에, 제1 이동 밀착부(1511)와 제2 이동 밀착부(1530)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상호 결합된 때의 결합 위치를 유지하고 있고,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만 상측으로 이동한다.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와 이동 밀착체(1510)는 상호간에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전술한 독립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2 케이스(1200)의 내부 공간과 제1 케이스(1100)의 내부 수용공간(1160)은,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와 제1 돌기 삽입홀(1514)을 형성하는 내벽 간의 간극, 제2 돌기 삽입홀(1534), 제2 이동 밀착부(1530)와 노출방지커버부(1550) 간의 사이 영역, 틈을 통해 서로 연통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은 진공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제2 케이스의 내부 공간은 대기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바, 전술한 연통 구조를 통해 제2 케이스(1200) 내부의 공기가 제1 케이스(1100) 내부로 유동하여 제1 케이스(1100)의 내부 공간의 진공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덧붙이자면, 본 발명은 제2 케이스(1200)을 일차적으로 상측으로 들어올려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와 제1 돌기 삽입홀(1514)을 형성하는 내벽 간의 밀착상태를 해제하여 일차적으로 제1 케이스(1100) 내부 공간의 진공을 해제함으로써, 추후 사용자가 제2 케이스(1200)를 제1 케이스로부터 한층 적은 힘으로 손쉽게 들어올려 제1 케이스와 완전 분리할 수 있다.
즉,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는 제1 케이스 내부의 진공압 유지를 위한 기능을 일차적으로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2 케이스(1200)를 제1 케이스(110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일반적으로 제1 케이스 내부의 진공압 때문에 제2 케이스를 손쉽게 들어올리기 힘들지만,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1240)는 제2 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제1 케이스 내부로 유동하도록 진공압 해제를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바, 사용자가 한층 적은 힘으로 제2 케이스를 들어올려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이차적으로 수행한다.
이후, 사용자가 제2 케이스(1200)를 좀 더 잡아당기면 제2 걸림돌기(1220)가 제1 이동 밀착부(1511)의 단부를 제1 케이스(1100)와 이격되는 방향(제2 케이스의 분리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1 경사면(1150)과 제2 경사면(1535) 사이의 밀착접촉 상태가 해제되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완전 분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케이스(120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을 수행할 때, 제3 걸림돌기(1230)가 제1 케이스의 제4 걸림돌기(1140)를 넘어가면서 제2 케이스의 하부가 외측으로 순간적으로 벌어지면서 확장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2 케이스의 확장이 한층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즉 사용자가 손쉽게 제1 케이스로부터 제2 케이스를 분리하도록 제2 걸림돌기(1220)와 제3 걸림돌기(1230)는 제2 케이스(12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마련된다.
다음, 베이스(3000)를 설명한다.
도 2,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3000)는 휴대용 진공약통(1000)을 거치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진공약통(1000)이 탈착 가능하고 거치 가능하도록 거치면(3100)을 가지며, 진공 밸브체(1300)와 연결되도록 진공압 제공유로(3200)가 내부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3000)는 하부 베이스(3400)와 하부 베이스(3400)의 중앙 영역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중앙 베이스(3500)를 포함한다. 복수의 휴대용 진공약통(1000)은 중앙 베이스(35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하부 베이스(3400)의 상부에 거치, 안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진공약통(1000)이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용 진공약통의 후방부는 중앙 베이스(3500)의 외면에 접촉되고 그 하부는 하부 베이스(3400)의 상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거치면(3100)은 중앙 베이스(3500)의 외면에 마련되는 후방부 거치면(3110)과 하부 베이스(3400)의 상면에 마련되는 하부 거치면(3120)을 포함한다.
한편, 하부 거치면(3120)이 하부 베이스(34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고 휴대용 진공약통(1000)의 저면 또한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됨에 따라, 휴대용 진공약통(1000)이 거치된 상태에서 미끄러져 제대로 거치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부 베이스(3400)에 휴대용 진공약통(1000)이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별도의 탈부착부(6000)가 마련되며, 탈부착부(6000)는 베이스(3000)의 하부 거치면(3120)에 대해 휴대용 진공약통(1000)이 자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2,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베이스(3500) 내부에는 후술하는 진공펌프(5000)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됨과 더불어 진공펌프(5000)의 흡입압력을 휴대용 진공약통(1000)의 진공 밸브체(1300)로 전달하기 위한 진공압 제공유로(3200)가 마련된다.
진공압 제공유로(3200)는 진공펌프(5000)와 연결되며 수직 형성되는 하나의 수직 진공압 제공유로(3210)와, 하나의 수직 진공압 제공유로(3210)에 방사상으로 연통되는 분기 진공압 제공유로(3220)를 포함한다. 다수의 분기 진공압 제공유로(3220)는 다수의 휴대용 진공약통(1000)의 진공 밸브체(1300)와 각각 연결 가능하다.
도 2,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밸브 지지체(1340)와 접촉 가능하여 진공압 손실을 방지하도록 베이스(3000)에 마련되는 진공압 손실방지부(3600)를 더 포함한다.
부연하자면, 베이스(3000)와 진공 밸브체(1300)의 밸브 지지체(1340)는 각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플라스틱 재질의 양 구성이 서로 접촉하게 되면 그 사이에 미세 간극이 발생하여 진공펌프의 진공압이 진공 밸브체(1300)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 베이스(3400)에는 다수의 분기 진공압 제공유로(3220)와 연통하도록 진공압 손실방지부 삽입홈(3410)이 마련되며, 진공압 손실방지부 삽입홈(3410)에 진공압 손실 방지를 위한 진공압 손실방지부(3600)가 압입될 수 있다.
진공압 손실방지부(3600)는 밸브 지지체(1340)와 대응하는 횡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예로 각각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진공압 손실방지부(3600)는 진공압 제공유로(3200) 및, 밸브 탄성체(1320)와 밸브 지지체(1340)의 사이 공간과 각각 연통하도록 관통홀(3610)이 마련된다. 진공압 손실방지부(3600)는 플라스틱 재질인 밸브 지지체(1340)와의 사이에 미세 간극 발생을 방지하도록 고무, 실리콘, 에폭시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압 손실방지부(3600)가 진공압 손실방지부 삽입홈(34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진공압 손실방지부(3600)의 상면은 베이스(3000)의 하부 거치면(3120)과 연속하도록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휴대용 진공약통(1000)이 베이스(30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 진공펌프(5000)는 진공압 제공유로(3200) 및 진공 밸브체(1300)를 통해 휴대용 진공약통(1000)의 내부 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공급수단으로서, 중앙 베이스(35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베이스(3500)의 상부면에는 진공펌프(5000)의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 작동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이디 램프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하부 베이스(3400)에는 진공펌프(50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이 연결되고 전원선은 진공펌프의 정격전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고 USB 충전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이스(3000)의 거치면(3100), 구체적으로 하부 거치면(3120)에 대해 휴대용 진공약통(1000)이 자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휴대용 진공약통(1000) 및 베이스(3000)에는 탈부착부(6000)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베이스(3000)에 대해 휴대용 진공약통(1000)을 자력을 통해 손쉽게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리라 휴대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쉽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부착부(6000)는 휴대용 진공약통(1000)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력 탈부착부재(6100)와, 베이스(3000)에 마련되며 제1 자력 탈부착부재(6100)와 자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한 제2 자력 탈부착부재(6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 예로, 도 2,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자력 탈부착부재(6100)는 휴대용 진공약통(100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적어도 일부의 외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삽입되는 자석으로 적용 가능하고, 제2 자력 탈부착부재(6200)는 베이스(3000)의 하부 거치면(3120)에 형성된 또 다른 삽입홀에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마련되는 자석으로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자석 간의 결합을 통해 휴대용 진공약통(1000)은 베이스(3000)의 거치면에 손쉽게 탈부착 가능하다.
제1 자력 탈부착부재(6100)와 제2 자력 탈부착부재(6200)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서로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된다.
한편,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자력 탈부착부재(6100)는 금속봉으로 적용될 수 있고, 제2 자력 탈부착부재(6200)는 금속봉과 자력 결합 가능한 자석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 이와 달리 제1 자력 탈부착부재(6100)는 자석으로 적용될 수 있고, 제2 자력 탈부착부재(6200)는 상기 자석과 자력 결합 가능한 금속봉으로 변형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16,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자력 탈부착부재(6100)는 휴대용 진공약통(10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자석으로 적용되고, 제2 자력 탈부착부재(6210)는 베이스(3000) 내부에 인서트 사출공정을 통해 베이스와 일체로 마련되고 베이스(30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으로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베이스(30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베이스의 제조를 위한 사출시 제2 자력 탈부착부재(6210)는 사출금형 내부로 인서트되어 베이스의 사출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자력 탈부착부재(6210)는 제1 자력 탈부착부재(6100)와의 사이에 충분하게 자력 결합 가능하도록 베이스의 하부 거치면(3120)으로부터 일정 이하의 높이차를 갖고 내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 도 16,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자력 탈부착부재(6100)는 휴대용 진공약통(10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자석으로 적용되고, 제2 자력 탈부착부재(6220)는 베이스(3000) 내부에 인서트 사출공정을 통해 베이스와 일체로 마련되고 베이스(30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이루어지는 복수의 금속판으로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베이스(30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베이스의 제조를 위한 사출시 제2 자력 탈부착부재(6220)는 사출금형 내부로 인서트되어 베이스의 사출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자력 탈부착부재(6220)는 제1 자력 탈부착부재(6100)와의 사이에 충분하게 자력 결합 가능하도록 베이스의 하부 거치면(3120)으로부터 일정 이하의 높이차를 갖고 내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자력 탈부착부재(6220)가 서로 이격된 복수의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전술한 링 형상의 일체구조에 비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휴대용 진공약통 1100: 제1 케이스
1120: 제2 개방구 1130: 걸림턱
1140: 제4 걸림돌기 1150: 제1 경사면
1200: 제2 케이스 1210: 제1 걸림돌기
1220: 제2 걸림돌기 1230: 제3 걸림돌기
1240: 압력유지 및 해제돌기 1241: 단턱
1300: 진공 밸브체 1310: 밸브 고정체
1311: 밸브 고정플레이트 1312: 연통공
1313: 돌출부 1320: 밸브 탄성체
1321: 진공유로 1322: 밸브 탄성플레이트
1323: 진공유로형성 탄성부 1324: 돌출단부
1340: 밸브 지지체 1341: 접촉 지지단부
1342: 통공
1500: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 1510: 이동 밀착체
1511: 제1 이동 밀착부 1512: 제1 이동판
1513: 절곡부 1514: 제1 돌기 삽입홀
1515: 돌출봉 삽입홀 1530: 제2 이동 밀착부
1531: 제2 이동판 1533: 밀폐돌기
1534: 제2 돌기 삽입홀 1535: 제2 경사면
1550: 노출방지커버부 1552: 돌출봉
3000: 베이스 3100: 거치면
3120: 하부 거치면 3200: 진공압 제공유로
3210: 수직 진공압 제공유로 3220: 분기 진공압 제공유로
3400: 하부 베이스 3410: 진공압 손실방지부 삽입홈
3500: 중앙 베이스 3600: 진공압 손실방지부
3610: 관통홀 5000: 진공펌프
6000: 탈부착부 6100: 제1 자력 탈부착부재
6200,6210,6220: 제2 자력 탈부착부재

Claims (5)

  1. 일측에 내부공간이 외부에 개방되도록 제1 개방구가 마련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상기 제1 개방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시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의 유지 압력을 해제하기 위한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가 마련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진공약통;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진공약통이 거치 가능하도록 거치면을 가지며,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의 내부공간으로 진공압을 제공 가능하도록 진공압 제공유로가 마련되는 베이스;
    상기 진공압 제공유로를 통해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의 내부공간에 진공압을 제공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는 진공펌프; 및
    상기 거치면에 대해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이 자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는 탈부착부를 포함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자력 탈부착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자력 탈부착부재와 자력에 의해 탈부착 가능한 제2 자력 탈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 탈부착부재는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의 하부에 마련되는 자석이고,
    상기 제2 자력 탈부착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거치면에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게 마련되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 탈부착부재는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의 하부에 마련되는 자석이고,
    상기 제2 자력 탈부착부재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인서트 사출공정을 통해 베이스와 일체로 마련되되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 탈부착부재는 상기 휴대용 진공약통의 하부에 마련되는 자석이고,
    상기 제2 자력 탈부착부재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인서트 사출공정을 통해 베이스와 일체로 마련되되 상기 베이스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이루어지는 복수의 금속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KR1020210036384A 2021-03-22 2021-03-22 진공 약 보관장치 KR20220131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384A KR20220131591A (ko) 2021-03-22 2021-03-22 진공 약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384A KR20220131591A (ko) 2021-03-22 2021-03-22 진공 약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591A true KR20220131591A (ko) 2022-09-29

Family

ID=8346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384A KR20220131591A (ko) 2021-03-22 2021-03-22 진공 약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159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299B1 (ko) 2017-02-09 2018-03-20 주식회사 리앤원 휴대용 약 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299B1 (ko) 2017-02-09 2018-03-20 주식회사 리앤원 휴대용 약 보관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52010T3 (es) Dispositivo de distribución de un producto cosmético y/o de cuidado
US4828126A (en) Baby bottle having an air inlet valve
TWI269400B (en) Wafer enclosure sealing arrangement for wafer containers
JP2013071753A (ja) 吐出容器
WO2011118886A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JP2008081135A (ja) 水薬供給装置
KR20220131591A (ko) 진공 약 보관장치
KR20220102368A (ko) 휴대용 진공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WO2016182310A1 (ko) 오토 오픈 콤팩트 용기
KR20220102367A (ko) 휴대용 진공약통과 이를 포함하는 진공 약 보관장치
EP1454648A1 (en) Medicine administering device for nasal cavities
WO2022075532A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CN210259479U (zh) 流体吐出容器
US3888251A (en) Opthalmic dispensing device
KR102470013B1 (ko) 진공펌프를 구비한 유골함
US11577020B1 (en) Protective case for insulin infusion set
US11336982B1 (en) Hearing device seal modules, modular hearing devices including the same and associated methods
KR102370457B1 (ko)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
AU2017350950A1 (en) Patient interface device for ophthalmic surgical laser system
KR102632741B1 (ko) 기판수납용기
KR102063699B1 (ko) 치과용 집진기의 조립형 그라인딩 박스
AU2016231465A1 (en) Improved Portable Nebulizer Device for Medical Fluids
JP5778274B2 (ja) 接着剤による接着によって少なくとも2つの薬剤カプセルを連結するためのデバイスならびに設備
KR20170067010A (ko) 뚜껑 거치가 용이한 감염성 폐기물용 밀폐용기
KR101721403B1 (ko) 피스톤 및 실린더를 구비한 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