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106Y1 - 인슐린 보관 케이스 - Google Patents

인슐린 보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106Y1
KR200448106Y1 KR2020080006451U KR20080006451U KR200448106Y1 KR 200448106 Y1 KR200448106 Y1 KR 200448106Y1 KR 2020080006451 U KR2020080006451 U KR 2020080006451U KR 20080006451 U KR20080006451 U KR 20080006451U KR 200448106 Y1 KR200448106 Y1 KR 200448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sulin
lid
cool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720U (ko
Inventor
장병성
Original Assignee
장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성 filed Critical 장병성
Priority to KR2020080006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106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7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7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1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61J1/165Cooled holders, e.g. for medications, insulin, blood, 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40Heating or cooling means; Combinations thereof
    • A61J2200/44Cool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냉각케이스에 수용되는 투약기구가 냉각케이스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인슐린을 최적의 상태로 냉장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인슐린 보관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두껑으로 덮혀지도록 구성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두껑 저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 형성되며 인슐린이 저장되어 있는 투약기구의 외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투약기구를 두껑 저면에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탄성리브들과, 상기 케이스 본체의 공간부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냉각제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상기 투약기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함몰 형성된 냉각케이스로 구성하며, 상기 냉각케이스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투약기구는 상기 탄성리브들을 통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두껑 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케이스의 수용부 바닥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인슐린 보관 케이스, 투약기구, 냉각케이스, 이격거리

Description

인슐린 보관 케이스{Insulin keeping case}
본 고안은 인슐린 보관 케이스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케이스에 수용되는 투약기구가 냉각케이스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인슐린을 최적의 상태로 냉장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인슐린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이란 체내의 인슐린 부족으로 혈액중의 포도당(혈당)이 정상인 보다 그 농도가 높아져서 발생되는 만성질환성 질병으로, 환자의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이 혈당강하제인 인슐린을 정기적으로 투약하여 치료를 받게 된다.
상기 인슐린을 투약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주사기의 실린더내로 인슐린을 주입한 후,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환자의 피부속으로 찔러넣어 인슐린을 투입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인슐린을 정기적으로 투약받는 환자들은 혈당이 언제 급격히 떨어질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외출시에는 항상 인슐린이 주입되어 있는 주사기를 휴대하게 된다.
하지만 인슐린은 대략 4℃∼10℃ 사이의 온도에서 보관하여야만 변질됨 없이 최상의 약효를 발휘할 수 있는 데, 종래와 같이 외출시에 단순히 주사기를 휴대한 상태로 외출하게 되면 상온에서의 온도에 의해 인슐린이 변질되어 약효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인슐린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형태의 캡슐과 주사기를 한 곳에 보관할 수 없어 휴대에 많은 번거로움을 야기시키게 된다.
한편, 근래 들어서는 투약기구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 내부에 냉각제를 충진시켜 투약기구에 보관중에 있는 인슐린을 냉장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인슐린 보관 케이스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인슐린 보관 케이스는 투약기구가 케이스 본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냉장 보관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자칫 냉각제의 온도에 의해 액체상태의 인슐린이 얼어(냉각)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인슐린이 얼어버릴 경우에는 정작 급하게 인슐린을 투약받아야 할 때, 냉각상태의 인슐린이 투약기구에서 배출되지 않게 됨으로서 극히 위험한 상황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냉각케이스에 수용되는 투약기구가 냉각케이스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인슐린이 얼어 버리는 현상 없이 인슐린을 최적의 상태로 냉장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인슐린 보관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냉각제의 부피팽창에 따른 냉각케이스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인슐린 보관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관케이스를 별도의 보냉케이스내에 삽입시켜 냉장시간을 보다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한 인슐린 보관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슐린 보관 케이스에 있어서, 내부에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두껑으로 덮혀지도록 구성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두껑 저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 형성되며 인슐린이 저장되어 있는 투약기구의 외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투약기구를 두껑 저면에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탄성리브들과, 상기 케이스 본체의 공간부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냉각제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상기 투약기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함몰 형성된 냉각케이스로 구성하며, 상기 냉각케이스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투약기구는 상기 탄성리브들을 통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두껑 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냉각케이스의 수용부 바닥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케이스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홈들이 형성되고, 그 바닥 중앙에는 수축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 본체는 단열재로 구획 형성된 보냉케이스의 공간에 삽입시켜 보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인슐린 보관 케이스는 냉각케이스에 수용되는 투약기구가 냉각케이스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냉각케이스의 냉온을 투약기구로 간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냉온에 의해 인슐린이 얼어 버리는 현상 없이 인슐린을 최적의 상태로 냉장 보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고안은 냉각케이스의 둘레면과 바닥면에 다수개의 홈들 및 수축홈을 형성하여 냉각제의 부피팽창에 따른 냉각케이스의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보냉케이스내에 케이스 본체를 삽입시켜 보관하도록 함으로서 냉장시간을 보다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슐린 보관 케이스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인슐린 보관 케이스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인슐린 보관 케이스의 단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슐린 보관 케이스는 직사각의 형태로 내부에는 공간부(12)가 구비되며, 상면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두껑(14)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한 케이스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두껑(14)의 저 면에는 다수개의 탄성리브(16)들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탄성리브(16)들은 후술하는 투약기구(20)의 외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투약기구(20)를 두껑(14)의 저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리브(16)들은 투약기구(10)의 형상을 고려하여 두껑(14)의 저면상에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공간부(12)에는 냉각케이스(22)가 삽입된다. 상기 냉각케이스(22)는 투약기구(20)에 저장되어 있는 인슐린이 변질되지 않도록 냉온을 발생시키는 케이스로서, 상기 냉각케이스(22)의 내부에는 냉각제가 충진되어 지는 공간(24)이 형성되고, 선단에는 상기 공간(24)으로 냉각제(25)를 주입시키기 위한 주입구(26)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26)는 캡(28)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진다.
상기 냉각케이스(22)의 전면에는 수용부(30)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30)에는 전술한 케이스 본체(10)의 두껑(14) 저면에 탄성리브(16)들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는 투약기구(20)가 수용되어 진다. 이때 상기 투약기구(20)는 냉각케이스(22)의 수용부(30)에 수용되더라도 냉각케이스(22)의 수용부(30)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일정거리(D)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냉각케이스(22)의 냉온이 투약기구(20)로 직접 전해지는 것을 차단토록 한다.
한편, 상기 냉각케이스(22)의 중앙부에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수축홈(32)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수축홈(32)은 냉각케이스(22)의 내부 공간(24)으로 주입된 액상의 냉각제(25)를 고체상태로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냉각제(25)의 부피가 팽창할 때,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오무려지며 부피 팽창에 따른 압력을 상 쇄시키도록 하여 냉각케이스(22)의 형상이 냉각제(25)의 압력에 의해 부풀려지거나 혹은 파손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냉각케이스(22)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홈(34)들이 형성되며, 상기 홈(34)들은 냉각제(25)의 부피 팽창에 따른 압력 발생시, 외부로 밀려나오며 냉각제(25)가 충진되어 있는 냉각케이스(22)의 내부 공간(24)을 넓혀주도록 함으로서 압력을 흡수하여 냉각케이스(22)의 형상변형 및 파손됨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각케이스(22)의 수용부(30)에 수용되는 투약기구(20)는 일정량의 인슐린을 저장하고,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인슐린을 환자에게 투약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투약기구(20)는 전술한 케이스 본체(10)의 두껑(14) 저면에 형성된 탄성리브(16)들을 통해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두껑(14) 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두껑(14)을 닫는 동작에 따라 상기 냉각케이스(22)의 수용부(30)로 수용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투약기구(20)는 냉각케이스(22)의 수용부(30)에 수용되더라도 냉각케이스(22)의 수용부(30)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일정거리(D)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데, 이는 냉각케이스(22)의 냉온이 투약기구(20)에 저장되어 있는 인슐린으로 직접 전해지지 않도록 하여 인슐린을 최적의 상태로 냉장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냉각케이스(22)의 수용부(30) 바닥면에 투약기구(20)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면 냉각케이스(22)의 냉온이 투약기구(20)로 직접 전해지게 됨으로서 액상의 인슐린이 얼어버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바, 본 고안은 투약기구(20)를 냉각케이스(22)에서 일정거리(22) 이격된 상태에서 수용되도록 구성하여 냉각케이스(22)의 냉온을 간접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슐린을 최적의 상태로 냉장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냉각케이스(22)의 수용부(30) 바닥면에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고무패드(36)를 더 부착시켜 투약기구(20)로 전해지는 냉온을 보다 효율적으로 줄여 인슐린이 얼어버리는 등의 변질됨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냉각케이스(22) 및 투약기구(20)가 삽입되어 있는 케이스 본체(10)는 별도의 보냉케이스(40)에 수용시켜 보관하도록 한다. 상기 보냉케이스(40)는 단열재(42)로 벽체를 구성하여 상기 단열재(42)내로 케이스 본체(1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44)을 구획 형성하도록 하며, 상단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두껑(46)으로 덮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냉케이스(40)는 휴대과정에서 외부의 기온이 케이스 본체로 전해지지 않도록 하여 인슐린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냉케이스(40)의 내부 양측에는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안내홈(48)을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10)의 외부 양측에는 상기 안내홈(48)에 끼워지는 슬라이더(49)를 설치하여 보냉케이스(40)의 공간(44)으로 케이스 본체(10)의 삽입동작을 가이드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지하다.
한편, 첨부된 도 6은 본 고안의 인슐린 보관 케이스에 조립되는 투약기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투약기구(120)는 필기구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투약기구(120) 역시 케이스 본체(10)의 두껑(14) 저면에 돌출되어 있는 탄성리브(16)에 의해 가압되며 두껑(14)의 저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리브(16)들의 배치구조는 언급한 바와 같 이 투약기구의 다양한 형태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두껑(14)의 저면에는 별도의 밴드(50)를 더 설치하여 탄성리브(16)에 의해 가압 고정된 투약기구(120)를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슐린 보관 케이스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인슐린 보관 케이스의 구성을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인슐린 보관 케이스의 단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냉각케이스를 발췌하여 그 단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케이스 본체와 보냉케이스간의 결합상태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인슐린 보관 케이스에서 다른 형태로 제작된 투약기구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본체 14: 두껑
16: 탄성리브 20: 투약기구
22: 냉각케이스 24: 공간부
25: 냉각제 30: 수용부
32: 수축홈 34: 홈
40: 보냉케이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인슐린 보관 케이스에 있어서,
    내부에는 공간부(12)가 구비되고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두껑(14)으로 덮혀지도록 구성한 케이스 본체(10)와;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두껑(14) 저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 형성되며 인슐린이 저장되어 있는 투약기구(20)의 외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투약기구(20)를 두껑(14) 저면에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탄성리브(16)들과;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공간부(12)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냉각제(25)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24)이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상기 투약기구(2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30)가 함몰 형성된 냉각케이스(22)로 구성하며;
    상기 냉각케이스(22)의 수용부(30)에 수용되는 투약기구(20)는 상기 탄성리브(16)들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두껑(14)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냉각케이스(22)의 수용부(30) 바닥면에서 일정거리(D) 이격되며 냉각케이스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냉각케이스(22)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홈(34)들이 형성되고, 그 바닥 중앙에는 수축홈(32)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 본체(10)는 보냉케이스(40)의 내부에 단열재(42)로 구획 형성된 공간(44)에 삽입시켜 보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보관 케이스.
KR2020080006451U 2008-05-14 2008-05-14 인슐린 보관 케이스 KR200448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451U KR200448106Y1 (ko) 2008-05-14 2008-05-14 인슐린 보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451U KR200448106Y1 (ko) 2008-05-14 2008-05-14 인슐린 보관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720U KR20090011720U (ko) 2009-11-18
KR200448106Y1 true KR200448106Y1 (ko) 2010-03-15

Family

ID=4421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451U KR200448106Y1 (ko) 2008-05-14 2008-05-14 인슐린 보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10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2039A (zh) * 2014-05-06 2014-07-16 武汉大学 一种便携式胰岛素储藏箱
KR101840299B1 (ko) * 2017-02-09 2018-03-20 주식회사 리앤원 휴대용 약 보관용기
KR20210015060A (ko) 2019-07-31 2021-02-10 염서현 투약 관리를 위한 휴대용 저온 보관 약통
KR20210100488A (ko) * 2020-02-06 2021-08-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의약품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33290A (ko) 2020-09-09 2022-03-16 오경진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003B1 (ko) * 2015-11-05 2016-07-07 오순옥 휴대용 냉장 약품 보관기
KR102194269B1 (ko) * 2018-12-31 2020-12-22 권기만 투여량 측정 및 관리가 가능한 펜형 주사장치의 휴대용 냉장 보관 케이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7607A1 (en) * 1989-04-03 1990-11-14 Qts S.R.L. Insulated and refrigerated container for transporting medicine vials together with related materi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7607A1 (en) * 1989-04-03 1990-11-14 Qts S.R.L. Insulated and refrigerated container for transporting medicine vials together with related materia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2039A (zh) * 2014-05-06 2014-07-16 武汉大学 一种便携式胰岛素储藏箱
KR101840299B1 (ko) * 2017-02-09 2018-03-20 주식회사 리앤원 휴대용 약 보관용기
KR20210015060A (ko) 2019-07-31 2021-02-10 염서현 투약 관리를 위한 휴대용 저온 보관 약통
KR20210100488A (ko) * 2020-02-06 2021-08-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의약품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97215B1 (ko) 2020-02-06 2021-09-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의약품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33290A (ko) 2020-09-09 2022-03-16 오경진 단백질 의약품 보관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720U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106Y1 (ko) 인슐린 보관 케이스
US5236419A (en) Pain-alleviating device for injecting hypodermic needles
US20090062783A1 (en) Ice tip hypodermic needle
US9662457B2 (en) Injection device
ES2927511T3 (es) Dispositivo de enfriamiento tópico
KR102473110B1 (ko) 인슐린 주입기용 보냉팩
KR101667216B1 (ko) 약물 주입 장치
KR101757158B1 (ko) 약물 주입 장치
JP5392877B1 (ja) ペン型注射薬液の室温維持方法
KR101733012B1 (ko) 마이크로 니들기구
WO2014061349A1 (ja) ペン型注射薬液の室温維持方法
CN212038442U (zh) 一种便携式糖尿病注射药物存放盒
CN210503701U (zh) 一种糖尿病患者用多功能药盒
KR20160008379A (ko) 약물 주입장치
CN214357874U (zh) 一种便携式胰岛素储存装置
JPH11188094A (ja) 噴射式注射器用薬液容器収納ホルダー
CN218792467U (zh) 医疗液氮杯
KR200476348Y1 (ko) 국소마취기
KR100903740B1 (ko) 수액팩용 밀봉캡
KR200419758Y1 (ko) 휴대용 의약품 저장장치
CN217695939U (zh) 一种胰岛素注射液冷藏杯
CN210020604U (zh) 一种内分泌科糖尿病人护理治疗盒
CN219022297U (zh) 储存用注射装置
RU2735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нанес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препарата
KR200232943Y1 (ko) 빙과류 보냉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213

Effective date: 201002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