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740B1 - 수액팩용 밀봉캡 - Google Patents

수액팩용 밀봉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740B1
KR100903740B1 KR1020070118639A KR20070118639A KR100903740B1 KR 100903740 B1 KR100903740 B1 KR 100903740B1 KR 1020070118639 A KR1020070118639 A KR 1020070118639A KR 20070118639 A KR20070118639 A KR 20070118639A KR 100903740 B1 KR100903740 B1 KR 100903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chemical liquid
sealing cap
blocking boss
s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2098A (ko
Inventor
용 기 강
Original Assignee
용 기 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기 강 filed Critical 용 기 강
Priority to KR102007011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7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2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61J1/1481Inlet or outlet ports with connection retaining means, e.g. thread or snap-f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Piercing means having one piercing e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과 고무전의 접촉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약액을 투여받는 환자들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수액팩의 보존 기간을 가일층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수액팩용 밀봉캡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몸체 상단 중앙에 고무전을 안착 구비하고, 몸체 상단 둘레 일부와 고무전 상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부캡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에 튜브를 삽입하여 수액팩과 연결시킨 수액팩용 밀봉캡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도록 몸체 내부에 약액차단보스를 형성하고, 상기 약액차단보스 상단에는 박막부를 형성하며, 상기 약액차단보스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절개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약액차단보스를 통해 평상시 약액과 고무전의 접촉을 차단하므로, 약액에 고무전의 유해물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약액의 성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액팩의 보관 기간을 가일층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수액팩, 밀봉캡, 고무전, 약액, 약액차단보스, 박막부, 절개홈.

Description

수액팩용 밀봉캡{Cap for sealing up infusion in the pack}
본 발명은 수액팩용 밀봉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액팩의 약액과 고무전의 접촉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약액을 투여받는 환자들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수액팩의 보존 기간을 가일층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수액팩용 밀봉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액팩은 식염수, 영양제, 포도당 등의 수액을 넣어 외부와 차단된 채로 보관하는 비닐팩을 일컫는 것으로, 주로 병, 의원에서 사용이 된다.
이러한, 수액팩 하단 일부에는 밀봉캡을 장착하고, 상기 밀봉캡 중앙에 장착된 고무전에 주사바늘 등을 꽂아 사용함으로써, 상기 수액팩 내부의 내용물을 인체에 투약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수액팩 내용물의 밀봉상태를 유지하며 약액을 인체에 투약하기 위해서는 주사바늘 등을 꽂기 위한 밀봉캡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첨부 도면 도 1과 도 2는 상기한 수액팩에 사용되는 종래의 밀봉캡 중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08933호로 공지된 "수액팩용 밀봉캡"을 도시한 것으로, 크게 본체(1)와 밀폐부재(2)와 덮개부재(3)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액팩의 주입구에 본체(1)가 삽입 연결되고, 상기 수액팩 내로 외기가 유입되거나 상기 수액팩으로부터 수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1) 내에 고무로 제작된 밀폐부재(2)가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2)가 상기 본체(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1)의 일측 단부에 사출성형을 통해 덮개부재(3) 에워싸게 된다.
즉, 본체(1) 중앙에 밀폐부재(2)가 삽입되고, 밀폐부재(2)와 본체(1) 일부를 커버하도록 덮개부재(3)를 성형하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1)를 수액팩의 주입구에 밀봉 상태로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수액팩용 밀봉캡을 포함한 통상의 밀봉캡들은 수액팩에 끼워지는 경우 본체 하단부에 연질의 튜브를 이용하여 연결이 되는데, 상기한 종래의 수액팩용 밀봉캡은 본체 하단 둘레가 매우 작은 라운드 형태로 성형됨으로써, 본체 하단부가 튜브 둘레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튜브의 파손 및 변형 등을 야기시켜, 다수의 불량품을 양산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한 종래의 수액팩용 밀봉캡은 본체 중간 부분이 매우 두텁게 성형됨으로써, 본체 사출 성형 이후에 과도한 냉각시간의 소요로 인해 제품의 대량 생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냉각 중 지나친 수축 작용을 야기하여 본체의 치수 제어가 어려운 폐단도 있었고, 또한 상기와 같이 본체의 두터운 형상으로 인해 재료비가 과다 소요되어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고, 이는 기업의 채산성 악화로 이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게다가, 상기한 종래의 수액팩용 밀봉캡을 포함하는 보통의 밀봉캡들이 본체 를 폴리카보네이트(PC)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는데, 상기한 폴리카보네이트는 투명하고 경질이라는 장점은 갖고 있으나, 사출시 사출조건이 까다롭고 수지의 흐름이 좋지 않아 제품 불량 발생률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한 폴리카보네이트는 대략 4300원/kg정도의 고가 재질로써, 원료비가 과다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고, 원료 특성상 약액과 접촉시 유해성분을 발생시키는 우려가 있어 밀봉캡의 원료로 사용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폐단도 있었다.
또한, 상기한 폴리카보네이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질이므로 수지물성 및 용융온도가 매우 높게 된다. 따라서, 본체를 사출하기 위한 금형의 구조를 매우 견고하게 제조해야 함으로써, 과다한 금형개발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형 수명은 매우 짧은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수액팩용 밀봉캡에 사용되는 밀폐부재로는 의료용 고무재가 사용이 되는데, 상기한 고무재의 특성상 그 고무재 원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제품 단가의 40%이상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밀폐부재의 직경을 불필요하게 넓게 제조하여 제품의 단가를 높여 가격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문제도 있었다.
도 3과 도 4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특허 등록받은 특허 제0725653호 "수액팩용 밀봉캡"에 대한 것으로, 이하 설명하면 고무전(120)을 몸체(110) 상단 둘레에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부(111) 내측에 삽입 구비하고, 상기 고무전(120)이 안착된 몸체(110) 중앙의 안착부(113)와 상기 이탈방지부(111) 사이 둘레에 공간부(112)를 중공 상태로 조성하며, 상기 몸체(110) 하단의 삽입부(115) 외측 둘레를 모따기 형성한다.
즉, 이탈방지부와 안착부 사이에 공간부를 조성하므로, 사출된 몸체의 냉각시간을 크게 줄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냉각 중 발생되는 몸체 수축 작용을 최소화시켜 제품의 치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몸체 생성에 필요한 재료를 줄일 수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몸체 하단의 삽입부 단부를 모따기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삽입부와 튜브의 조립시 튜브의 입구를 손상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액팩과 밀봉캡을 상호 긴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수액팩용 밀봉캡들 모두는 수액팩에 밀봉캡을 조립하는 경우 수액팩에 충진된 약액이 밀봉캡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약액이 밀봉캡 내부의 고무전에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약액을 투여받는 환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수액팩을 장기간 보유시 고무전으로부터 인체에 해로운 유해성 물질이 배출되어 약액에 혼합되고, 이로 인해 상기 약액과 유해성 물질이 함께 투여될 수 있어 환자들의 안전성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액팩의 보관 중 약액과 고무전의 접촉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약액을 투여받는 환자들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수액팩의 보존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수액팩용 밀봉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몸체 상단 중앙에 고무전을 안착 구비하고, 몸체 상단 둘레 일부와 고무전 상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부캡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에 튜브를 삽입하여 수액팩과 연결시킨 수액팩용 밀봉캡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도록 몸체 내부에 약액차단보스를 형성하고, 상기 약액차단보스 상단에는 박막부를 형성하며, 상기 약액차단보스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절개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막부는 0.05~0.3㎜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박막부는 약액차단보스 상면 둘레보다 일정 간격만큼 하부 위치에 함몰 형성한다.
상기 약액차단보스의 내측면과 절개홈 사이는 0.05~0.3㎜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은 약액차단보스의 중앙을 중심으로 사방에 각각 배열 형성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약액의 투약이 필요한 경우 스파이 크를 통해 약액차단보스의 박막부를 관통하여 사용함으로써, 평상시 수액팩 내의 약액과 고무전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무전의 유해 물질이 약액 내부에 혼합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약액을 투여받는 환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전반적인 유해 요인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약액과 고무전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약액의 성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액팩의 보관 기간을 가일층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제품의 경쟁력을 높여 기업의 신뢰성 및 채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몸체 제조 원료로 재료비의 가격경쟁력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단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또 폴리프로필렌의 특성상 수지물성이 연질이고 낮은 용융온도를 통해 사출 성형이 가능하여, 금형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금형의 수명을 늘릴 수 있으며, 수액과 접촉시 유해 성분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수액팩용 밀봉캡(10)을 도시한 것으로, 크게 몸체(20)와 고무전(30)과 상부캡(40)으로 구성된다.
이하 설명하면, 몸체(20)는 내부를 중공 형성한 것으로, 상기 몸체(20) 상단 외측 둘레에 이탈방지부(21)를 상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부(21) 외주면 상단 둘레에는 박리방지턱(24)을 돌출 성형하여 후술되는 상부캡(40)이 끼워질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21) 내부에 위치한 몸체(20) 중앙 둘레에는 상부를 향하여 안착부(23)를 돌출 형성하고, 그 위에 고무전(30)을 안착 구성하며, 상기 안착부(23)와 이탈방지부(21) 사이의 몸체(20) 일부분 둘레에는 공간을 조성한다.
또한, 상기 몸체(20) 하부는 수액팩(11)과 연결된 튜브(12)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게 삽입부(22)를 일체 성형하고, 상기 삽입부(22)는 튜브(12)와 조립되는 구조 특성상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그 직경을 얇게 성형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22) 하단 둘레는 모따기 형태로 성형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라운드 형태로 성형하여, 상기 튜브(12)와 몸체(20)의 조립시 삽입부(22) 하단 둘레 부분이 튜브(12)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한다.
특히, 상기 몸체(20) 내부에 위치한 삽입부(22) 내측 상단에는 약액차단보스(25)를 상부로 향하여 길게 연통 형성하고, 상기 약액차단보스(25) 상단에는 상기 삽입부(22)를 통해 유입되는 약액이 고무전(30)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박막부(26)를 차단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박막부(26)는 대략 0.05~0.3㎜의 얇은 두께(t1)로 형성하여 링겔 주사용 스파이크(50)가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박막부(26)는 약액차단보스(25) 최상단의 상면 둘레보다 소정 간격만큼 하부 위치에 함몰 형성하여 스파이크(50)가 박막부(26) 상면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약액차단보스(25) 외주면에는 상, 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V자형 또는
Figure 112009019066847-pat00001
형의 절개홈(27)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27)의 골과 약액차단보스 내측면 사이에는 절개부(28)를 성형하여, 스파이크(50)의 박막부(26) 관통시 약액차단보스(25)가 상기 절개부(28)를 따라 절개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약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한다.
즉, 보통의 스파이크(50) 직경은 약액차단보스(25)의 직경보다 두꺼우므로, 스파이크(50)가 박막부(26)만을 관통하게 되는 경우, 스파이크(50)의 단부가 약액차단보스(25) 단부를 차단하여 약액의 흐름을 차단할 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박막부(26)의 관통과 함께 절개부(28)가 절개되어 약액차단보스(25)를 펼쳐지게 함으로써, 약액을 스파이크(50) 선단의 유입홀(51)을 통해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절개홈(27)은 약액차단보스(25)가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도록 약액차단보스(25)의 중앙을 중심으로 전, 후, 좌, 우 사방에 4개를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약액차단보스(25)의 내측면과 절개홈(27) 사이에 성형된 절개부(28)의 두께는 약 0.05~0.3㎜의 얇은 두께(t2)로 형성하여 절개부(28)가 보다 용이하게 절개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이탈방지부(21), 삽입부(22), 약액차단보스(25)로 일체 구성되는 몸체(20)는 식약청 규격에 승인을 받은 투명한 폴리프로필렌(PP)의 재질로 제조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사용한 폴리프로필렌은 수액과 접촉시 유해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고, 수지물성이 연질이며, 용융온도가 낮은 특성이 있다. 특히, 연질의 폴리프로필렌을 몸체(20)의 재질로 사용함으로써, 약액차단보스(25)의 박막부(26)와 절개부(28)를 손쉽게 관통 및 절개할 수 있게 된다.
고무전(30)은 수액팩(11)이 상부캡(40) 외부로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20) 상단 중앙에 형성된 이탈방지부(21) 내부에 견고하게 삽입 장착되고, 상기 고무전(30) 하단은 안착부(23) 상면에 끼워지게 되면서 고무전(30)과 몸체(20)를 서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전(30) 상면 중앙에는 링겔의 주사바늘인 스파이크(50)가 꽂혀져 관통될 수 있게 상부관통부(31)를 오목지게 형성하고, 상기 고무전(30) 하면 중앙에는 하부관통부(32)를 오목지게 성형한다.
상부캡(40)은 상기 몸체(20) 상단 둘레와 고무전(30) 상면 일부를 커버하여 고무전(3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20) 상부에 장착한다. 이러한, 상기 상부캡(40) 둘레 외측은 박리방지턱(24)을 포함하는 몸체(20) 상단 외측 부분을 커버하게 됨으로써, 상부캡(40)과 몸체(20)를 서로 견고하게 조립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캡(40) 상면 둘레에는 템퍼실(41)이 부착되어, 상기 템퍼실(41)과 고무전(30) 상면 사이의 공간에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액팩용 밀봉캡을 통해 수액팩(11) 내부의 약액을 인체에 투약하 기 위해서는 먼저 밀봉캡(10) 상면에 부착된 템퍼실(41)을 제거한 후, 고무전(30) 상면을 깨끗하게 소독하게 된다. 이 후, 도 5b와 같이 링겔의 주사바늘에 구비된 스파이크(50)를 고무전(30) 상면의 상부관통부(31)에 관통시켜, 상기 스파이크(50)를 밀봉캡(10)의 몸체(20) 내부로 투침한다.
그리고, 밀봉캡(10)의 몸체(20)에 투침된 스파이크(50)를 수액팩(11)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스파이크(50)는 약액차단보스(25) 상면의 박막부(26)에 접촉 및 가압되면서, 박막부(26)를 관통시키게 되고, 박막부(26)의 관통과 함께 약액차단보스(25) 측면의 절개부(28)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절개되면서 상기 스파이크(50)가 몸체(20)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이 된다.
이처럼, 상기 스파이크(50)를 통해 박막부(26)와 절개부(28)를 관통 및 절개시키게 되면, 밀봉캡(10)의 몸체(20)와 수액팩(11)이 서로 연통되면서 수액팩(11) 내부의 약액이 삽입부(22) 내부를 통과하여 밀봉캡(10)의 몸체(20) 내부로 유입되고, 몸체(20) 내부로 유입된 약액은 스파이크(50) 선단에 형성된 유입홀(51)과 링겔용 호스를 통해 환자의 몸 속으로 투약이 된다.
즉, 본 발명의 수액팩용 밀봉캡은 약액의 투약이 필요한 경우 스파이크(50)를 통해 몸체(20) 내부의 박막부(26)를 관통하여 사용함으로써, 미사용한 수액팩(11)을 보관하는 경우 수액팩(11) 내의 약액과 고무전(30)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약액과 고무전(30)의 접촉에 의해 고무전(30)의 유해 물질이 약액 내부에 혼합될 수 있는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약액을 투여받는 환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고, 유해 요인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수액팩용 밀봉캡은 상기와 같이 약액과 고무전(30)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약액의 성분이 변형되는 것을 예방하여 수액팩(11)의 보관 기간을 가일층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제품의 경쟁력을 높여 기업의 신뢰성 및 채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액팩용 밀봉캡은 몸체(20)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가 종래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보다 약 40% 이상 원료비가 저렴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재료비를 줄여 제품의 단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 폴리프로필렌의 특성상 수지물성이 연질이고 낮은 용융온도를 통해 사출 성형이 가능함으로써, 사출을 위한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금형의 수명을 늘릴 수 있게 되며, 폴리프로필렌의 특성을 통해 수액과 접촉되더라도 유해 성분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액팩용 밀봉캡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액팩용 밀봉캡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하여 특허된 수액팩용 밀봉캡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밀봉캡을 조립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a, 5b는 본 발명에 의한 수액팩용 밀봉캡의 내부 구조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약액차단보스의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밀봉캡 11 : 수액팩
12 : 튜브 20 : 몸체
22 : 삽입부 25 : 약액차단보스
26 : 박막부 27 : 절개홈
28 : 절개부 30 : 고무전
31 : 상부관통부 40 : 상부캡
41 : 탬퍼실 50 : 스파이크
51 : 유입홀

Claims (5)

  1. 몸체 상단 중앙에 고무전을 안착 구비하고, 몸체 상단 둘레 일부와 고무전 상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부캡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에 튜브를 삽입하여 수액팩과 연결시킨 수액팩용 밀봉캡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2)와 연통되도록 몸체(20) 내부에 약액차단보스(25)를 형성하고, 상기 약액차단보스(25) 상단에는 박막부(26)를 형성하며, 상기 약액차단보스(25)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절개홈(2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팩용 밀봉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부(26)는 0.05~0.3㎜의 두께(t1)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팩용 밀봉캡.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부(26)는 약액차단보스(25) 최상단 위치에서 함몰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팩용 밀봉캡.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차단보스(25)의 내측면과 절개홈(27) 사이에 성형된 절개부(28)의 두께(t2)는 0.05~0.3㎜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팩용 밀봉캡.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27)은 약액차단보스(25)의 중앙을 중심으로 사방에 대칭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팩용 밀봉캡.
KR1020070118639A 2007-11-20 2007-11-20 수액팩용 밀봉캡 KR100903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639A KR100903740B1 (ko) 2007-11-20 2007-11-20 수액팩용 밀봉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639A KR100903740B1 (ko) 2007-11-20 2007-11-20 수액팩용 밀봉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098A KR20090052098A (ko) 2009-05-25
KR100903740B1 true KR100903740B1 (ko) 2009-06-19

Family

ID=4085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639A KR100903740B1 (ko) 2007-11-20 2007-11-20 수액팩용 밀봉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93B1 (ko) 2009-08-17 2010-03-12 주식회사 메디파마플랜 인퓨젼 포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4091A1 (ko) * 2015-08-27 2017-03-02 이상운 수액백용 배액포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446A (ja) * 1996-05-10 1997-11-25 Material Eng Tech Lab Inc 薬剤容器及びそれを具備した輸液容器
KR200312416Y1 (ko) 2002-11-11 2003-05-13 이용학 수액용 비닐팩의 주입구에 설치되는 밀봉장치
KR200347050Y1 (ko) 2003-10-31 2004-04-09 이용학 수액팩용 밀봉캡
KR200377653Y1 (ko) 2004-10-18 2005-03-11 이종규 튜브없는수액팩용밀봉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446A (ja) * 1996-05-10 1997-11-25 Material Eng Tech Lab Inc 薬剤容器及びそれを具備した輸液容器
KR200312416Y1 (ko) 2002-11-11 2003-05-13 이용학 수액용 비닐팩의 주입구에 설치되는 밀봉장치
KR200347050Y1 (ko) 2003-10-31 2004-04-09 이용학 수액팩용 밀봉캡
KR200377653Y1 (ko) 2004-10-18 2005-03-11 이종규 튜브없는수액팩용밀봉팁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93B1 (ko) 2009-08-17 2010-03-12 주식회사 메디파마플랜 인퓨젼 포트
WO2011021742A1 (ko) * 2009-08-17 2011-02-24 주식회사 메디파마플랜 인퓨젼 포트
CN102143732A (zh) * 2009-08-17 2011-08-03 株式会社麦蒂派玛魄链 输注口
US8608711B2 (en) 2009-08-17 2013-12-17 Medipharma Plan Co., Ltd. Infusion port
CN102143732B (zh) * 2009-08-17 2014-06-25 株式会社麦蒂派玛魄链 输注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098A (ko) 200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91760A1 (en) Stopcock for Medical Treatment
AU2005322136B2 (en) Port closure system for intravenous fluid container
US20090209934A1 (en) Port closure system for intravenous fluid container
US10596320B2 (en) Filtering injection needle assembly for syringe
ES2784853T3 (es) Cartucho para contener y dispensar un medicamento
EP2266646B1 (en) Tight-sealing cap for liquid drug-expelling part
KR100903740B1 (ko) 수액팩용 밀봉캡
US20200330698A1 (en) Outer cap of liquid medicine-injecting device
US20130174937A1 (en) Puncture Free Bottle Cork and the Application Thereof
KR101675989B1 (ko) 점안액 용기 및 이의 조립방법
KR100725653B1 (ko) 수액팩용 밀봉캡
KR200444254Y1 (ko) 피막을 구비한 수액팩용 밀봉캡
JP4372363B2 (ja) 注射器兼容器用密封ゴム栓
KR100969062B1 (ko) 수액팩용 밀봉캡
JP4299509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注射器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KR200425542Y1 (ko) 수액팩용 밀봉캡
KR102136745B1 (ko) 안전필터유닛을 갖는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101419838B1 (ko) 주사기용 바늘 캡핑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KR100947445B1 (ko) 수액팩용 밀봉캡
JP2000210384A (ja) 医療用栓体
JP7016315B2 (ja) キャップ
KR102271658B1 (ko) 수액백용 포트
KR100615944B1 (ko) 수액팩의 밀봉캡
JP4152250B2 (ja) 汚染防止キャップ
US8608711B2 (en) Infusion 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