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894A -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894A
KR20210064894A KR1020190153623A KR20190153623A KR20210064894A KR 20210064894 A KR20210064894 A KR 20210064894A KR 1020190153623 A KR1020190153623 A KR 1020190153623A KR 20190153623 A KR20190153623 A KR 20190153623A KR 20210064894 A KR20210064894 A KR 20210064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ap
discharging
contain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19015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4894A/ko
Publication of KR20210064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4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 B05B11/1085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the pumps being coaxial
    • B05B11/308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3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83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 B65D81/3288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composed of two or more separate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부에 이종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 2 용기와, 상기 제1, 2 용기에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을 각각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1, 2 토출수단 및 상기 제1, 2 토출수단을 동시에 가압하며 버튼외캡과 버튼내캡으로 이루어진 누름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버튼의 버튼외캡에는 저중심가압돌기가 형성되고, 버튼내캡에는 상기 저중심가압돌기가 삽입되는 저중심가압홈이 형성되어, 버튼외캡의 가압 시 상기 저중심가압돌기와 저중심가압홈에 의해 버튼내캡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Discharge container of different contents}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버튼의 가압 시 상기 누름버튼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다수의 토출수단을 동시에 누르게 되어 상기 다수의 토출수단이 안정적이면서 원활하게 작동되고, 이종의 내용물이 외부로 균일하게 토출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이나 의약품 중에 효능이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혼합 사용되는 내용물을 처음부터 혼합하여 하나의 용기에 함께 수용한 후, 유통 또는 보관하게 되면 용기 내부에서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 내용물이 응고 또는 침전되면서 배출 불량이 발생하거나, 내용물이 변색 또는 변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각각 다른 용기에 보관한 후 사용 시에 사용자가 내용물을 각각 배출시켜 직접 혼합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각각 분리된 다른 용기에 보관하였다가 사용 시 두 용기의 입구를 각각 개방하고 별도의 용기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는데, 이러한 방법은 별도의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자가 직접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분실의 위험성 및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나의 용기에 이종 내용물을 격리 저장하여 보관한 후, 필요 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시에 토출시켜 혼합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이액물질 혼합용기가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23306호의 이종물질 혼합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외용기 내에 내용기를 삽입 장착하고, 이 내용기에 각각 펌프세트 중 하나를 장착하여 놓고, 이 외용기와 내용기에 서로 다른 화장품 내용물을 저장하여 놓되, 한 번의 펌핑으로 다른 종류의 화장품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하여 혼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버튼부재의 가압을 통해 제1 펌프세트와 제2 펌프세트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버튼부재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면서 눌려질 경우 제1 펌프세트와 제2 펌프세트가 균일하게 가압되지 않아 서로 다른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량이 달라지게 되고, 제1 펌프세트와 제2 펌프세트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게 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듀얼 펌프와 상기 듀얼 펌프를 동시에 누르면서 작동시키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버튼의 중앙 이외의 부분을 가압하더라도 누름버튼이 쉽게 기울어지지 않면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듀얼 펌프의 작동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화장품 용기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 실용신안 제20-0390095호(2005. 07. 18. 공고),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용기" 대한민국등록 특허 제10-1923306호(2018. 11. 28. 공고.), “이종물질혼합용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누름버튼을 버튼외캡과 버튼내캡으로 구성하고, 상기 버튼외캡과 버튼내캡의 중앙에 각각 저중심가압돌기 및 저중심가압홈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버튼외캡과 접하는 버튼내캡의 가압 지점을 버튼내캡의 상단이 아닌 중앙 하측으로 위치시켜 누름버튼의 가압 시 상기 누름버튼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면서 제1, 2 토출수단을 동시에 눌러 작동시키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이종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 2 용기와, 상기 제1, 2 용기에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을 각각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1, 2 토출수단 및 상기 제1, 2 토출수단을 동시에 가압하며 버튼외캡과 버튼내캡으로 이루어진 누름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버튼의 버튼외캡에는 저중심가압돌기가 형성되고, 버튼내캡에는 상기 저중심가압돌기가 삽입되는 저중심가압홈이 형성되어, 버튼외캡의 가압 시 상기 저중심가압돌기와 저중심가압홈에 의해 버튼내캡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2 토출수단과 누름버튼의 외측에는 캡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외캡의 저중심가압돌기 단부와 버튼내캡의 저중심가압홈의 바닥은 밀착되고, 상기 버튼외캡의 내측 상부면과 버튼내캡의 상부면은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중심가압돌기는 버튼외캡의 내부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중심가압홈은 버튼내캡의 상단 중앙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외캡과 접하는 버튼내캡의 가압 지점이 버튼내캡의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중앙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외캡과 버튼내캡에는 각각 외캡토출구와 내캡토출구가 형성되고, 중앙에 토출로가 형성된 토출노즐이 상기 외캡토출구를 관통하여 내캡토출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내캡의 저중심가압홈 외측으로 제1, 2 토출수단과 결합되는 제1, 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 토출수단은 내용물을 펌핑하여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버튼의 버튼외캡과 접하는 버튼내캡의 가압점을 버튼내캡의 상단이 아닌 중앙 하측으로 위치시킴으로써, 누름버튼의 가압 시 상기 누름버튼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되면서 제1, 2 토출수단을 동시에 누르게 되어 상기 제1, 2 토출수단이 안정적으로 작동되고, 이종의 내용물이 균일하게 외부로 토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누름버튼의 정중앙을 가압하지 않더라도 상기 누름버튼에 의해 제1, 2 토출수단이 원활하게 작동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누름버튼의 상단 중 어느 한 부분이 가압되는 모습을 예시한 부분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2 토출수단이 동시에 펌핑 작동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프형 화장품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는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와, 제1 토출수단(30)과, 제2 토출수단(40) 및 누름버튼(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기(10)의 내부에는 액상 또는 겔상의 제1 내용물(C1)이 수용되며, 경질의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 용기(10)가 경질의 원통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의 편의성 또는 구매자의 기호 또는 유행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용기(10)의 내부에는 제1 내용물(C1)과 제1 토출수단(30)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내용물 저장공간(12)이 형성되고, 제2 용기(20)가 결합되는 동시에 제2 토출수단(40)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용기 결합공간(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공간(14)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용기(10)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벽(15)에 의해 내용물 저장공간(12)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결합공간(14)의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용기(2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용기(10)의 개방된 상부에는 밀폐캡(16)이 결합되고, 상기 밀폐캡(16)의 상부에는 탄성 재질로 된 밀폐판(18)이 형성되어 제1 용기(10)의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밀폐캡(16)으로 제1 용기(10)의 개방된 부분을 막고, 상기 밀폐판(18)을 밀폐캡(16)과 후술할 캡부재(60) 사이에 끼움으로써, 제1 용기(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제1 내용물(C1)이 외부로 새어나오거나 외부 이물질이 제1 용기(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밀폐캡(16)에는 제1 토출수단(30)이 관통되는 토출수단 관통홀(16a)과 제1 용기(10)의 구획벽(15)이 삽입되는 구획벽 삽입홀(16b)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판(18)에는 제1 토출수단(30)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18a)과 제2 토출수단(40)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18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수단 관통홀(16a)과 제1 관통홀(18a), 그리고 구획벽 삽입홀(16b)과 제2 관통홀(18b)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한편, 상기 밀폐판(18)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되,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NBR(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silico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밀폐판(18)은 상술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정한 탄성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용기(20)는 제1 용기(10)의 하부에 스크류 결합되며, 용기 외관의 연속성을 위해 제1 용기(10)와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용기(20)의 내부에는 제2 내용물(C2)이 저장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내용물(C2)은 제1 내용물(C1)와 서로 다른 내용물로써, 제1 내용물(C1)과 혼합 사용되었을 때 효능이나 효과를 배가시키게 되는 내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용기(20)의 일측에는 입구부(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입구부(22)로 제2 내용물(C2)이 충전되고, 제2 토출수단(40)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입구부(22)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용기(10)의 용기 결합공간(14) 내벽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22)의 내측에는 연결부(24)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24)의 하부에는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흡입관(43)이 결합되어 제2 용기(20)의 내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입구부(22)와 연결부(24)는 제1 용기(10)의 용기 결합공간(14)과 마찬가지로 제2 용기(20)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용기(10)의 상부에는 캡부재(6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60)의 내측에는 지지판(6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판(62)에는 밀폐판(18)의 제1 관통홀(18a)과 연결되는 제1 설치홀(62a)이 형성되어 제1 토출수단(30)이 설치되고, 밀폐판(18)의 제2 관통홀(18b)과 연결되는 제2 설치홀(62b)이 형성되어 제2 토출수단(40)이 설치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62)의 상측으로 상부내벽(64)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내벽(64)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외벽(66)이 형성되며, 하측으로 하부벽(68)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내벽(64)과 상부외벽(66) 사이에는 누름버튼(50)의 하부가 삽입되며, 상기 하부벽(68)은 제1 용기(10)의 개방된 부분을 감싸면서 결합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외벽(66)의 일측에는 토출노즐 삽입홈(66a)이 형성되어 토출노즐(70)이 삽입, 이동되는데, 상기 토출노즐 삽입홈(66a)은 누름버튼(50)의 작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상부외벽(66)의 타측에는 누름홈(66b)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름버튼(50)을 손쉽게 누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누름홈(66b)은 하부로 오목한 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용기(10)와 캡부재(60)를 언더컷 결합 방식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나사 결합 또는 돌기와 홈의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수단(30)은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용기(10)의 내용물 저장공간(12)에 삽입된 상태로 캡부재(60)의 제1 설치홀(62a)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용기(10)에 저장된 제1 내용물(C1)을 외부로 토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토출수단(30)은 펌핑 작용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토출수단(30)은 일측에 제1 내용물흡입구(31a)가 형성된 제1 하우징(31)과, 상기 제1 하우징(31)의 제1 내용물흡입구(31a)를 개폐하는 제1 흡입밸브(32)와, 상기 제1 하우징(31)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 내용물(C1)을 제1 하우징(31)으로 흡입하는 제1 흡입관(33)과, 상기 제1 하우징(31)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하우징캡(34)과, 상기 제1 하우징(31) 내측에 형성되어 펌프의 작동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피스톤받침(35)과, 상기 제1 피스톤받침(35)의 외측에 끼워져 제1 하우징(3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1 피스톤(36)과, 상기 제1 피스톤받침(35)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스템(37) 및 상기 제1 스템(37)을 탄력 지지하는 제1 스프링(38)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토출수단(40)은 제1 용기(10)의 용기 결합공간(14)을 관통한 상태로 캡부재(60)의 제2 설치홀(62b)에 설치되며, 하부가 제2 용기(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2 용기(20)에 저장된 제2 내용물(C2)을 외부로 토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 토출수단(40)은 펌핑 작용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토출수단(40)은 일측에 제2 내용물흡입구(41a)가 형성된 제2 하우징(41)과, 상기 제2 하우징(41)의 제2 내용물흡입구(41a)를 개폐하는 제2 흡입밸브(42)와, 상기 제2 용기(20)에 저장된 제2 내용물(C2)을 제2 하우징(41)으로 흡입하는 제2 흡입관(43)과, 상기 제2 하우징(4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 하우징(41)을 제2 용기(20)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제2 하우징캡(44)과, 상기 제2 하우징(41) 내측에 형성되어 펌프의 작동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피스톤받침(45)과, 상기 제2 피스톤받침(45)의 외측에 끼워져 제2 하우징(4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피스톤(46)과, 상기 제2 피스톤받침(45)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스템(47)과, 상기 제2 스템(47)을 탄력 지지하는 제2 스프링(4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하우징(41)과 제2 흡입밸브(42)와 제2 하우징캡(44)과 제2 피스톤받침(45)과 제2 피스톤(46)과 제2 스템(47) 및 제2 스프링(48)은 캡부재(60)에 의해 제1 용기(10)의 용기 결합공간(14)에 설치되는 반면, 상기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흡입관(43)은 연결부(24)를 통해 제2 용기(20)의 내부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하우징(41)은 제1 용기(10)에 설치되고,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흡입관(43)은 연결부(24)에 설치되어 제2 용기(20)의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의 결합 시 상기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하우징(41)과 제2 흡입관(43)이 연결부(24)에 의해 자동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누름버튼의 상단 중 어느 한 부분이 가압되는 모습을 예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상기 누름버튼(50)은 제1, 2 토출수단(30, 40)을 동시에 가압하여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누름버튼(50)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직접 가압하는 버튼외캡(52)과 상기 버튼외캡(5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버튼외캡(52)에 의해 눌려지는 버튼내캡(54)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외캡(52)의 하부는 캡부재(60)의 상부내벽(64)과 상부외벽(66)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2 토출수단(30, 40)의 작동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된다. 상기 버튼내캡(54)은 버튼외캡(52)의 안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버튼외캡(52)에 의해 가압되며, 제1, 2 토출수단(30, 40)의 단부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50)의 버튼외캡(52)에는 저중심가압돌기(53)가 형성되고, 버튼내캡(54)에는 저중심가압홈(55)이 형성되어 상기 저중심가압돌기(53)가 저중심가압홈(55)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버튼외캡(52)과 접하는 버튼내캡(54)의 가압 지점은 내캡버튼(54)의 상단이 아닌, 내캡버튼(54)의 중앙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누름버튼(50)을 버튼외캡(52)과 버튼내캡(54)의 이중으로 구성하되, 상기 버튼외캡(52)의 내부 중앙에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저중심가압돌기(5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버튼내캡(54)의 상단 중앙에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저중심가압홈(55)을 함몰 형성하여, 상기 저중심가압돌기(53)를 저중심가압홈(55)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버튼외캡(52)의 가압 시 상기 저중심가압돌기(53)와 저중심가압홈(55)에 의해 버튼내캡(54)이 눌려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저중심가압돌기(53)의 단부와 저중심가압홈(55)의 바닥면 사이의 밀착된 부분이 버튼내캡(54)의 가압 지점이 되는데, 상기 가압 지점이 버튼내캡(54)의 상단 또는 버튼내캡(54)과 제1, 2 토출수단(30, 40)의 결합 부분보다 낮은 위치의 정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내캡(54)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직선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버튼(50)의 가압에 의해 제1, 2 토출수단(30, 40)이 동시에 안정적으로 작동되고, 이종의 내용물이 균일하게 외부로 토출됨은 물론, 상기 누름버튼(50)의 정중앙을 가압하지 않더라도 제1, 2 토출수단(30, 40)이 동시에 원활하게 작동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버튼내캡(54)이 수평을 이루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버튼외캡(52)의 저중심가압돌기(53) 단부와 버튼내캡(54)의 저중심가압홈(55) 바닥면은 밀착되고, 상기 버튼외캡(52)의 내측 상부면과 버튼내캡의 상부면은 도 3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세하게 일정 간격(d) 이격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저중심가압돌기(53)의 중앙에는 돌기삽입홈(53a)이 형성되고, 상기 저중심가압홈(55)의 바닥에는 삽입돌기(55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55a)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돌기삽입홈(53a)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버튼외캡(52)의 가압 시 상기 버튼내캡(54)이 흔들리지 않으면서 버튼외캡(52)에 의해 효과적으로 눌려지게 된다.
한편, 상기 버튼내캡(54)의 저중심가압홈(55)의 외측으로 제1, 2 결합부(54a-1, 54a-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2 토출수단(30, 40)과 결합되고, 상기 버튼내캡(54)의 내측으로 제1, 2 토출유로(54b-1, 54b-2)가 형성되어 제1, 2 토출수단(30, 4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외캡(52)과 버튼내캡(54)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외캡토출구(52c)와 내캡토출구(54c)가 형성되고, 중앙에 토출로(70c)가 형성된 토출노즐(70)이 상기 외캡토출구(52c)를 관통하여 내캡토출구(54c)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노즐(70)은 이종의 내용물이 함께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 역할을 하는 동시에, 버튼외캡(52)을 관통한 상태로 버튼내캡(54)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외캡(52)이 버튼내캡(5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내캡(54)의 상부에는 상캡(57)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캡(57)은 얇은 원판 형상으로써, 버튼내캡(54)에 형성된 제1, 2 토출유로(54b-1, 54b-2)의 상부를 덮게 되며, 상기 버튼내캡(54)의 상부에 씌워지면서 버튼외캡(52)의 내측 하부면에 직접 닿게 된다. 상기 상캡(57)의 중앙에는 가압돌기 관통홀(57a)이 형성되어 버튼외캡(52)의 저중심가압돌기(53)가 관통된다. 물론, 상기 상캡(57)은 버튼내캡(54)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2 토출수단이 동시에 펌핑 작동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의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누름버튼(50)을 눌러 제1 토출수단(30)과 제2 토출수단(40)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제1 용기(10)에 저장된 제1 내용물(C1)과 제2 용기(20)에 저장된 제2 내용물(C2)을 함께 토출시키고, 이와 같이 토출된 서로 다른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버튼(50)의 버튼외캡(52)을 가압하게 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외캡(52)의 저중심가압돌기(53)가 버튼내캡(54)의 저중심가압홈(55)의 바닥을 눌러 상기 버튼내캡(54)을 제1, 2 토출수단(30, 40)의 작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상기 버튼내캡(54)의 가압 지점 즉, 저중심가압돌기(53)와 저중심가압홈(55)의 접촉 지점이 버튼내캡(54)의 상단이나, 버튼내캡(54)과 제1, 2 토출수단(30, 40)의 결합 부분보다 낮은 정중앙에 위치되어 있어 상기 버튼내캡(54)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과정을 거쳐 누름버튼(50)의 버튼내캡(54)이 제1, 2 토출수단(30, 40)을 동시에 가압하게 되면 제1, 2 스템(37, 47)과 상기 제1, 2 스템(37, 47)의 하부에 결합된 제1, 2 피스톤받침(35, 45)이 하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제1, 2 토출수단(30, 40)의 제1, 2 피스톤(36, 46)은 제1, 2 하우징(31, 41)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2 피스톤받침(35, 45)만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제1, 2 피스톤(36, 46)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제1, 2 내용물(C1, C2)의 토출통로가 생긴다.
이후, 하측으로 이동하던 제1, 2 스템(37, 47)의 하단이 제1, 2 피스톤(36, 46)을 눌러 상기 제1, 2 피스톤(36, 46)이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2 하우징(31, 41) 내부의 체적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2 하우징(31, 41) 내의 토출 압력에 의해 제1, 2 흡입밸브(32, 42)가 제1, 2 내용물흡입구(31a, 41a)를 폐쇄시키는 동시에, 제1, 2 하우징(31, 41) 내에 수용되어 있던 제1, 2 내용물(C1, C2)이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제1, 2 피스톤(36, 46) 사이로 나와 제1, 2 피스톤받침(35, 45)의 내부 및 제1, 2 토출유로(52a, 52b)를 통과하여 제1, 2 토출구(54a, 54b)로 토출된다.
이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50)의 가압을 해제하면 제1, 2 스템(37, 47)을 탄력 지지하는 제1, 2 스프링(38, 48)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2 스템(37, 47)과 상기 제1, 2 스템(37, 47)의 하측에 결합된 제1, 2 피스톤받침(35, 45)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2 피스톤받침(35, 45)의 하부가 제1, 2 피스톤(36, 46)을 위로 끌어올려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제1, 2 피스톤(36, 46) 사이의 틈새가 막히면서 상기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제1, 2 피스톤(36, 46)이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2 하우징(31, 41) 내부의 체적이 커져 진공압이 발생되고, 이러한 진공압에 의해 제1, 2 흡입밸브(32, 42)가 들리면서 제1, 2 내용물흡입구(31a, 41a)가 개방되어 제1, 2 용기(10, 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1, 2 내용물(C1, C2)이 제1, 2 흡입관(33, 43)을 통해 제1, 2 하우징(31, 41)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함께 토출된 서로 다른 제1, 2 내용물(C1, C2)을 섞어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제1 용기 16: 밀폐캡
18: 밀폐판 20: 제2 용기
22: 입구부 24: 연결부
30: 제1 토출수단 40: 제2 토출수단
50: 누름버튼 52: 버튼외캡
53: 저중심가압돌기 54: 버튼내캡
55: 저중심가압홈 57: 상캡
60: 캡부재 70: 토출노즐

Claims (8)

  1. 내부에 이종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 2 용기;
    상기 제1, 2 용기에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을 각각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1, 2 토출수단 및
    상기 제1, 2 토출수단을 동시에 가압하며 버튼외캡과 버튼내캡으로 이루어진 누름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누름버튼의 버튼외캡에는 저중심가압돌기가 형성되고, 버튼내캡에는 상기 저중심가압돌기가 삽입되는 저중심가압홈이 형성되어, 버튼외캡의 가압 시 상기 저중심가압돌기와 저중심가압홈에 의해 버튼내캡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토출수단과 누름버튼의 외측에는 캡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외캡의 저중심가압돌기 단부와 버튼내캡의 저중심가압홈의 바닥은 밀착되고, 상기 버튼외캡의 내측 상부면과 버튼내캡의 상부면은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중심가압돌기는 버튼외캡의 내부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중심가압홈은 버튼내캡의 상단 중앙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외캡과 접하는 버튼내캡의 가압 지점이 버튼내캡의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중앙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외캡과 버튼내캡에는 각각 외캡토출구와 내캡토출구가 형성되고, 중앙에 토출로가 형성된 토출노즐이 상기 외캡토출구를 관통하여 내캡토출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내캡의 저중심가압홈 외측으로 제1, 2 토출수단과 결합되는 제1, 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토출수단은 내용물을 펌핑하여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0190153623A 2019-11-26 2019-11-26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20210064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623A KR20210064894A (ko) 2019-11-26 2019-11-26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623A KR20210064894A (ko) 2019-11-26 2019-11-26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94A true KR20210064894A (ko) 2021-06-03

Family

ID=7639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623A KR20210064894A (ko) 2019-11-26 2019-11-26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48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209A1 (ko) * 2022-07-06 2024-01-1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스포이드 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095Y1 (ko) 2005-05-06 2005-07-18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용기
KR101923306B1 (ko) 2017-03-24 2018-11-28 강성일 이종물질혼합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095Y1 (ko) 2005-05-06 2005-07-18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용기
KR101923306B1 (ko) 2017-03-24 2018-11-28 강성일 이종물질혼합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209A1 (ko) * 2022-07-06 2024-01-1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스포이드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5625B2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sealing ability
US11498744B2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US9649650B2 (en) Mixing and dispensing device
KR102178156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US11180304B2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vessel
KR101900419B1 (ko) 이중 용기
AU2006233203B2 (en) Bellows pump mechanism
US11034503B1 (en) Container for mixing heterogeneous contents
US20150260179A1 (en) Fluent Product Dispensing Package and Diaphragm Pump For Use Therein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KR20180108070A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102176512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210064894A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243386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210064892A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20210064893A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US9949599B2 (en) Vent valves and refill units with vent valves for use with inverted non-collapsing containers
EP3967410A1 (en)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KR20200001048A (ko) 펌프 용기
KR102403988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237203B1 (ko) 펌프 용기의 내용물 펌핑장치
KR102643135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KR20220112079A (ko) 화장품용 미스트 디스펜서
KR102205461B1 (ko) 디스펜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