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156B1 -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156B1
KR102178156B1 KR1020190072258A KR20190072258A KR102178156B1 KR 102178156 B1 KR102178156 B1 KR 102178156B1 KR 1020190072258 A KR1020190072258 A KR 1020190072258A KR 20190072258 A KR20190072258 A KR 20190072258A KR 102178156 B1 KR102178156 B1 KR 102178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discharge means
discharge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5997A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주)
(주) 카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주), (주) 카버코리아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주)
Priority to CN202010180440.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746944A/zh
Priority to US16/821,851 priority patent/US11180304B2/en
Priority to FR2003086A priority patent/FR3094354A1/fr
Priority to JP2020057611A priority patent/JP6903189B2/ja
Publication of KR20200115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5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8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4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 B05B11/1085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the pumps being co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30Di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83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 저장공간과 토출수단 수용공간이 분리되어 형성된 제1 용기; 상기 제1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용기; 상기 제1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과 제2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제1, 2 토출수단 및 상기 제1, 2 토출수단을 함께 작동시키며, 제1, 2 토출수단과 각각 연결되는 제1, 2 토출유로와 제1, 2 토출구가 형성된 누름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용기와 제2 용기에 각각 연결홈과 입구부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동시에, 분리되어 있던 제2 토출수단이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vessel}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내용물이 저장된 제1, 2 용기가 위, 아래로 결합되고, 상기 제1, 2 용기의 결합과 동시에 분리되어 있던 토출수단이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제1, 2 용기의 결합이 간편함은 물론, 결합과정에서 내용물이 외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이나 의약품 중에 효능이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혼합 사용되는 내용물을 처음부터 혼합하여 하나의 용기에 함께 수용한 후, 유통 또는 보관하게 되면 용기 내부에서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 내용물이 응고 또는 침전되면서 배출 불량이 발생하거나, 내용물이 변색 또는 변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각각 다른 용기에 보관한 후 사용 시에 사용자가 내용물을 각각 배출시켜 직접 혼합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각각 분리된 다른 용기에 보관하였다가 사용 시 두 용기의 입구를 각각 개방하고 별도의 용기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는데, 이러한 방법은 별도의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자가 직접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분실의 위험성 및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나의 용기에 이종 내용물을 격리 저장하여 보관한 후, 필요 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이액물질 혼합용기가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23306호의 이종물질 혼합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외용기 내에 내용기를 삽입 장착하고, 이 내용기에 각각 펌프세트 중 하나를 장착하여 놓고, 이 외용기와 내용기에 서로 다른 화장품 내용물을 저장하여 놓되, 한 번의 펌핑으로 다른 종류의 화장품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하여 혼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내용기가 외용기에 저장된 화장품 내용물과 함께 수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용기에 내용기를 조립 또는 교체하는 과정에서 상기 내용기의 외주연에 묻어 있는 외부 이물질이 외용기 내부로 들어가 외용기 내에 저장된 화장품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서로 다른 내용물이 저장된 외용기와 내용기가 별도로 포장되었다가 구매자에 의해 조립 사용될 경우, 개방된 외용기의 입구부로 내용기 전체가 삽입되면서 상기 내용기의 부피 또는 갑작스러운 삽입으로 인해 외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밖으로 넘쳐 흘러 주변이 오염되고, 조립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 실용신안 제20-0390095호(2005. 07. 18. 공고),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용기" 대한민국등록 특허 제10-1923306호(2018. 11. 28. 공고.), “이종물질혼합용기"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내용물이 저장되는 제1, 2 용기를 각각 제1, 2 토출수단과 연결하여 누름버튼의 누름 작동에 의해 이종 내용물을 한 번에 외부로 토출시키되, 상기 제1, 2 용기가 위, 아래로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제1, 2 용기의 결합과 동시에 분리되어 있던 제2 토출수단이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제1, 2 용기의 결합이 간편하고, 결합과정에서 내용물이 외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내용물이 외부로 넘쳐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 저장공간과 토출수단 수용공간이 분리되어 형성된 제1 용기; 상기 제1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용기; 상기 제1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과 제2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제1, 2 토출수단 및 상기 제1, 2 토출수단을 함께 작동시키며, 제1, 2 토출수단과 각각 연결되는 제1, 2 토출유로와 제1, 2 토출구가 형성된 누름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용기와 제2 용기에 각각 연결홈과 입구부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동시에, 분리되어 있던 제2 토출수단이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용기는 제1 상부용기와 제1 하부용기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부용기에는 지지판이 형성되어 제1 토출수단 및 제2 토출수단의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부용기와 제1 하부용기 사이에는 밀폐부재가 형성되어 제1 하부용기의 개방된 부분을 막고, 상기 밀폐부재를 제1 토출수단과 제2 토출수단이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용기와 제2 용기는 서로 스크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2 용기의 연결홈과 입구부는 제1, 2 용기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제2 용기의 입구부에 형성되되, 입구부의 개방된 부분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제1, 2 용기의 결합 시 제2 토출수단의 제2 하우징과 연결되는 상부연결부와, 제2 용기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제2 토출수단의 제2 흡입관과 연결되는 하부연결부 및 입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토출수단과 제2 토출수단은 펌핑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토출수단의 제2 하우징은 제1 용기에 설치되고, 제2 토출수단의 제2 흡입관은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제2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며, 제1 용기와 제2 용기의 결합 시 상기 제2 토출수단의 제2 하우징과 제2 흡입관이 연결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내용물이 저장되는 제1, 2 용기를 각각 제1, 2 토출수단과 연결하여 누름버튼의 누름 작동에 의해 이종 내용물을 한 번에 외부로 토출시키되, 상기 제1, 2 용기가 위, 아래로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제1, 2 용기의 결합과 동시에 분리되어 있던 제2 토출수단이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제1, 2 용기의 결합이 간편하고, 결합과정에서 내용물이 외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내용물이 외부로 넘쳐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용기에 제2 용기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용기와 제2 용기가 결합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제1 용기로부터 용기커버가 분리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누름버튼이 눌려져 이종의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누름버튼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제1, 2 토출수단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는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와, 제1 토출수단(30)과, 제2 토출수단(40) 및 누름버튼(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기(10)의 내부에는 액상 또는 겔상의 제1 내용물(C1)이 수용되며, 경질의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 용기(10)는 경질의 원통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기(10)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상부용기(12)와 제1 하부용기(14)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하부용기(14)가 제1 상부용기(12)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상부용기(12)와 제1 하부용기(14)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더컷 결합 또는 돌기와 홈의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부용기(12)와 제1 하부용기(14)의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제1 밀폐링(17a)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상부용기(12)와 제1 하부용기(14) 사이의 밀폐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용기(12)의 내측에는 지지판(1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판(13)에는 제1 토출수단 설치홀(13a)이 형성되어 제1 토출수단(30)이 설치되고, 제2 토출수단 설치홀(13b)가 형성되어 제2 토출수단(40)의 전체 구성 중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3)의 상부면에는 제1 내지 제3 수직가이드바(15a, 15b, 15c)가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누름버튼(50)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직가이드바(15a)는 위에서 보았을 때 십자 형태인 기둥으로 형성되고, 제2, 3 수직가이드바(15b, 15c)는 위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꺾여져 안쪽에 삽입공간(15d)을 갖는 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부용기(14)의 내부에는 제2 토출수단(40)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토출수단 수용공간(14a)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수단 수용공간(14a)의 외측에는 제1 내용물(C1)이 저장되는 동시에, 제1 토출수단(30)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내용물 저장공간(14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수단 수용공간(14a)과 내용물 저장공간(14b)은 구획벽(14c)에 의해 구획되어 분리될 수 있는데, 상기 구획벽(14c)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하부용기(14)의 하부에는 제1 용기(10)의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홈(1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의 결합 시 상기 연결홈(16)이 제2 용기(20)의 입구부(22) 외주연을 감싸는 동시에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하우징(41)과 제2 흡입관(43)이 연결부재(70)에 의해 자동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토출수단(40)의 구성이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에 각각 나뉘어 설치되었다가,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의 결합 시 분리되어 있던 제2 토출수단(40)의 전체 구성이 연결부재(7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용기(10)의 연결홈(16)은 제1 용기(10)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되며, 제2 용기(20)의 입구부(22)를 덮으면서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용기(10)의 연결홈(16)과 제2 용기(20)의 입구부(22)는 스크류 결합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상부용기(12)와 제1 하부용기(14) 사이에는 밀폐부재(1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18)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1 하부용기(14)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하부용기(14)의 상부를 막고, 상기 밀폐부재(18)에는 제1 토출수단(30)과 제2 토출수단(40)이 관통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18)와 제1 상부용기(12)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밀폐판(19)이 더 형성되고, 이를 통해 토출수단 수용공간(14a)과 내용물 저장공간(14b) 의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판(19)에는 밀폐부재(18)와 마찬가지로 제1 토출수단(30)과 제2 토출수단(40)이 관통된다.
상기 연결부재(7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제2 용기(20)의 입구부(2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70)는 입구부(22)의 개방된 부분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제1, 2 용기(10, 20)의 결합 시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하우징(41)과 연결되는 상부연결부(72)와, 제2 용기(2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흡입관(43)과 연결되는 하부연결부(74) 및 입구부(22)에 결합되는 결합부(7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70)의 결합부(76) 상단에는 빠짐방지턱(76a)이 형성되어 입구부(22)의 상단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70)가 제2 용기(20)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70)의 상부연결부(72)와 하부연결부(74)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통홀(7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통홀(78)은 제2 용기(20) 내부에 제2 내용물(C2)을 충전하고, 일측에 제2 흡입관(43)이 결합된 연결부재(70)를 상기 제2 용기(20)에 삽입할 때 제2 용기(20) 내부에 있는 공기를 외부로 내보내는 통로가 됨은 물론, 사용 시 제2 내용물(C2)이 소진된 만큼 외부 공기를 제2 용기(20) 내로 유입시키는 통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70)의 상단과 제1 하부용기(14)의 구획벽(14c) 사이에는 탄성 재질의 제2 밀폐링(17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밀폐링(17a, 17b)과 밀폐판(19)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되,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NBR(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silico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1, 2 밀폐링(17a, 17b)과 밀폐판(19)은 상술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정한 탄성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용기(20)는 제1 용기(10)의 하부에 결합되며, 혼합 용기 외관의 연속성을 위해 제1 용기(10)와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용기(20)의 내부에는 제2 내용물(C2)이 저장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내용물(C2)은 제1 내용물(C1)와 서로 다른 내용물로써, 제1 내용물(C1)과 혼합 사용되었을 때 효능이나 효과를 배가시키게 되는 내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용기(20)의 일측에는 입구부(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입구부(22)는 제2 내용물(C2)이 충전되는 충전 입구 역할을 하는 동시에, 제1 용기(10)와 결합된다. 상기 입구부(22)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 용기(10)의 연결홈(16)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용기(20)가 제1 용기(10)에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제2 용기(20)가 제1 용기(10)와 별도로 개별 포장되어 유통, 판매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제2 용기(20)의 입구부(22)에 임시커버(23)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구부(22)의 내측에는 연결부재(70)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70)의 하부에는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흡입관(43)이 결합되어 제2 용기(20)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가 별도로 포장되어 유통 판매되다가, 사용 시 상기 제1 용기(10)의 연결홈(16)에 제2 용기(20)의 입구부(22)를 삽입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2 용기(20)에 결합된 연결부재(70)의 상부연결부(72)가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하우징(41) 하부로 삽입되면서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에 나뉘어 설치되어 있던 제2 토출수단(40)이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용기(10)의 연결홈(16)이 제2 용기(20)의 입구부(22) 외주연을 감싸면서 스크류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의 결합이 보다 간편해지고, 제2 용기(20)의 결합 과정에서 제1 내용물(C1)이 외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제1 용기와 제2 용기(20)의 결합 전과 후에도 제2 용기(20)의 밀폐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도면에서는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더컷 결합 또는 돌기와 홈의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수단(30)은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용기(10)의 내용물 저장공간(14b)에 삽입된 상태로 제1 용기(10)의 제1 토출수단 설치홀(13a)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용기(10)에 저장된 제1 내용물(C1)을 외부로 토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토출수단(30)은 펌핑 작용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토출수단(3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제1 내용물흡입구(31a)가 형성된 제1 하우징(31)과, 상기 제1 하우징(31)의 제1 내용물흡입구(31a)를 개폐하는 제1 흡입밸브(32)와, 상기 제1 하우징(31)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 내용물(C1)을 제1 하우징(31)으로 흡입하는 제1 흡입관(33)과, 상기 제1 하우징(31)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하우징캡(34)과, 상기 제1 하우징(31)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하우징(31) 내측에서 수직 이동되는 제1 피스톤받침(35)과, 상기 제1 피스톤받침(35)의 외측에 끼워져 제1 하우징(3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1 피스톤(36)과, 상기 제1 피스톤받침(35)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스템(37) 및 상기 제1 스템(37)을 탄력 지지하는 제1 스프링(3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토출수단(40)은 전체 구성 중 일부 구성이 제1 용기(10)의 토출수단 수용공간(14a)에 삽입된 상태로 제1 용기(10)의 제2 토출수단 설치홀(13b)에 설치되고, 나머지 구성이 제2 용기(20)의 내측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토출수단(40)의 구성이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에 각각 나뉘어 설치되어 있다가,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가 결합되는 순간, 상기 제2 토출수단(40)의 전체 구성이 연결부재(70)에 의해 연결되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제2 토출수단(40)은 제2 용기(20)에 저장된 제2 내용물(C2)을 외부로 토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 토출수단(40)은 펌핑 작용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토출수단(4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제2 내용물흡입구(41a)가 형성된 제2 하우징(41)과, 상기 제2 하우징(41)의 제2 내용물흡입구(41a)를 개폐하는 제2 흡입밸브(42)와, 상기 제2 용기(20)에 저장된 제2 내용물(C2)을 제2 하우징(41)으로 흡입하는 제2 흡입관(43)과, 상기 제2 하우징(4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 하우징(41)을 제2 용기(20)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제2 하우징캡(44)과, 상기 제2 하우징(41)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하우징(41) 내측에서 수직 이동되는 제2 피스톤받침(45)과, 상기 제2 피스톤받침(45)의 외측에 끼워져 제2 하우징(4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피스톤(46)과, 상기 제2 피스톤받침(45)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스템(47)과, 상기 제2 스템(47)을 탄력 지지하는 제2 스프링(4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하우징(41)과 제2 흡입밸브(42)와 제2 하우징캡(44)과 제2 피스톤받침(45)과 제2 피스톤(46)과 제2 스템(47) 및 제2 스프링(48)은 제1 용기(10)의 지지판(13)에 설치되는 반면, 상기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흡입관(43)은 연결부재(70)를 통해 제2 용기(20) 내부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하우징(41)은 제1 용기(10)에 설치되고,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흡입관(43)은 연결부재(70)에 설치되어 제2 용기(20)의 내부로 삽입되며,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의 결합 시 상기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하우징(41)과 제2 흡입관(43)이 연결부재(70)에 의해 자동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토출수단(30)과 제2 토출수단(40)은 각각 펌핑하는 제1, 2 내용물(C1, C2)의 사용 비율에 따라 서로 크기 및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토출수단(30)에 의해 토출되는 제1 내용물(C1)을 제2 토출수단(40)에 의해 토출되는 제2 내용물(C1)보다 많이 토출시켜 혼합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1 토출수단(30)의 피스톤 행정거리 및 실린더 내경을 제2 토출수단(40)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50)은 제1 용기(10)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눌려지면서 제1, 2 토출수단(30, 40)을 함께 작동시킨다.
상기 누름버튼(50)의 내측에는 상술한 제1, 2 토출수단(30, 40)과 각각 연결되는 제1, 2 토출유로(52a, 52b)가 형성되고, 상기 제1, 2 토출유로(52a, 52b)의 외부로 노출된 일측 단부에는 각각 제1, 2 토출구(54a, 54b)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버튼(50)의 제1 토출유로(52a)는 제1 토출수단(30)의 제1 스템(37)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토출수단(30)에 의해 펌핑되는 제1 내용물(C1)을 제1 토출구(54a)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제2 토출유로(52b)는 제2 토출수단(30)의 제2 스템(47)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토출수단(40)에 의해 펌핑되는 제2 내용물(C2)을 제2 토출구(52b)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 2 토출구(54a, 54b)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50)의 외측에 좌, 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토출구(54a)와 제2 토출구(54b)가 인접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제1 토출구(54a)로부터 토출되는 제1 내용물(C1)과 제2 토출구(54b)로부터 토출되는 제2 내용물(C2)을 용이하게 섞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1 토출구(54a)와 제2 토출구(54b)의 형성 위치는 사용성, 심미감 및 소비자의 취향 등을 고려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50)의 내측에는 제1 내지 제3 수직가이드부(55a, 55b, 55c)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용기(10)의 제1 내지 제3 수직가이드바(15a, 15b, 15c)와 함께 누름버튼(50)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가이드부(55a)에는 아래에서 보았을 때 십자 형태인 삽입홈(55d)이 형성되어 제1 수직가이드바(15a)가 삽입되고, 상기 제2, 3 수직가이드부(55b, 55c)는 제2, 3 수직가이드바(15b, 15c)의 삽입공간(15d)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용기(10)에는 휴대 또는 보관 시 누름버튼(50)을 감싸면서 보호하는 용기커버(6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조립 및 사용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조립 및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용기에 제2 용기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과 결합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용기와 제2 용기가 결합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제1 용기로부터 용기커버가 분리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누름버튼이 눌려져 이종의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누름버튼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제1, 2 토출수단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용기(12)의 제1 토출수단 설치홀(13a)에 제1 하우징(31)과, 제1 흡입밸브(32)와, 제1 흡입관(33)과, 제1 하우징캡(34)과, 제1 피스톤받침(35)과, 제1 피스톤(36)과, 제1 스템(37) 및 제1 스프링(38)으로 구성된 제1 토출수단(30)을 설치하고, 제2 토출수단 설치홀(13b)에 제2 토출수단(40)의 전체 구성 중 제2 하우징(41)과, 제2 흡입밸브(42)와, 제2 하우징캡(44)과, 제2 피스톤받침(45)과, 제2 피스톤(46)과, 제2 스템(47) 및 제2 스프링(48)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상부용기(12)에 누름버튼(50)을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상기 누름버튼(50)의 제1, 2 토출유로(52a, 52b)가 제1 토출수단(30)의 제1 스템(37)과 제2 토출수단(40)의 제2 스템(47)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누름버튼(50)의 제2, 3 수직가이드부(55b, 55c)가 제1 용기(10)에 형성된 제2, 3 수직가이드바(15b, 15c)의 삽입공간(15d)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용기(10)의 제1 수직가이드바(15a)가 누름버튼(50)의 제1 수직가이드부(55a)에 형성된 삽입홈(55d)에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1 하부용기(14)의 내용물 저장공간(14b)에 액상 또는 겔상의 제1 내용물(C1)을 충전하고, 상기 제1 하부용기(14)의 개방된 상부에 밀폐부재(18)를 삽입한 후, 상기 제1 하부용기(14)의 상부를 감싸면서 제1 상부용기(12)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 하부용기(14)와 밀폐부재(18) 사이에는 제1 밀폐링(17a)이 끼워지고, 상기 밀폐부재(18)와 제1 상부용기(12) 사이에는 밀폐판(19)이 끼워지며, 그리고 제1 하부용기(14)의 연결홈(16) 내측 상단에는 제2 밀폐링(17b)이 부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용기(20)의 내측에 액상 또는 겔상의 제2 내용물(C2)를 충전한 후, 상기 제2 용기(20)의 입구부(22) 안쪽에 연결부재(70)를 삽입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70)의 하부연결부(74)에는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흡입관(43)이 결합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를 각각 별도로 포장한다. 이때, 상기 제1 용기(10)의 연결홈(16)은 밀봉(sealing)되고, 제2 용기(20)의 입구부(22)에는 임시커버(23)가 결합되어 유통 또는 보관 시 상기 제1, 2 용기(10, 20)의 내측으로 외부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혼합 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용기(20)의 입구부(22)를 제1 용기(1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홈(16)으로 삽입한 후 회전시키면서 스크류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제1 용기(10)의 연결홈(16)이 제2 용기(20)의 입구부(22) 외주연을 감싸면서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용기(20)에 결합된 연결부재(70)의 상부연결부(72)가 제2 토출수단(40)의 제2 하우징(41)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에 각각 나뉘어 설치된 제2 토출수단(40)의 구성들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용기(10)에 저장된 제1 내용물(C1)과 제2 용기(20)에 저장된 제2 내용물(C2)이 제1, 2 토출수단(30, 40)을 통해 함께 토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용기(10)로부터 용기커버(60)를 분리하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50)을 눌러 제1 토출수단(30)과 제2 토출수단(40)을 동시에 작동시키면서 제1 용기(10)에 저장된 제1 내용물(C1)과 제2 용기(20)에 저장된 제2 내용물(C2)을 함께 토출시키고, 이와 같이 토출된 서로 다른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더 자세하게는, 제1, 2 토출수단(30, 40)이 함께 가압되면 제1, 2 스템(37, 47)과 상기 제1, 2 스템(37, 47)의 하부에 결합된 제1, 2 피스톤받침(35, 45)이 하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제1, 2 토출수단(30, 40)의 제1, 2 피스톤(36, 46)은 제1, 2 하우징(31, 41)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2 피스톤받침(35, 45)만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제1, 2 피스톤(36, 46)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제1, 2 내용물(C1, C2)의 토출통로가 생긴다.
이후, 하측으로 이동하던 제1, 2 스템(37, 47)의 하단이 제1, 2 피스톤(36, 46)을 눌러 상기 제1, 2 피스톤(36, 46)이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2 하우징(31, 41) 내부의 체적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2 하우징(31, 41) 내의 토출 압력에 의해 제1, 2 흡입밸브(32, 42)가 제1, 2 내용물흡입구(31a, 41a)를 폐쇄시키는 동시에, 제1, 2 하우징(31, 41) 내에 수용되어 있던 제1, 2 내용물(C1, C2)이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제1, 2 피스톤(36, 46) 사이로 나와 제1, 2 피스톤받침(35, 45)의 내부 및 제1, 2 토출유로(52a, 52b)를 통과하여 제1, 2 토출구(54a, 54b)로 토출된다.
이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50)의 가압을 해제하면 제1, 2 스템(37, 47)을 탄력 지지하는 제1, 2 스프링(38, 48)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2 스템(37, 47)과 상기 제1, 2 스템(37, 47)의 하측에 결합된 제1, 2 피스톤받침(35, 45)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2 피스톤받침(35, 45)의 하부가 제1, 2 피스톤(36, 46)을 위로 끌어올려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제1, 2 피스톤(36, 46) 사이의 틈새가 막히면서 상기 제1, 2 피스톤받침(35, 45)과 제1, 2 피스톤(36, 46)이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2 하우징(31, 41) 내부의 체적이 커져 진공압이 발생되고, 이러한 진공압에 의해 제1, 2 흡입밸브(32, 42)가 들리면서 제1, 2 내용물흡입구(31a, 41a)가 개방되어 제1, 2 용기(10, 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1, 2 내용물(C1, C2)이 제1, 2 하우징(31, 41)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함께 토출된 이종의 제1, 2 내용물(C1, C2)을 섞어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제1 용기 12: 제1 상부용기
13: 지지판 14: 제1 하부용기
16: 연결홈 20: 제2 용기
22: 입구부 30: 제1 토출수단
40: 제2 토출수단 50: 누름버튼
52a: 제1 토출유로 52b: 제2 토출유로
54a: 제1 토출구 54b: 제2 토출구
60: 용기커버 70: 연결부재
C1: 제1 내용물 C2: 제2 내용물

Claims (10)

  1. 내부에 내용물 저장공간과 토출수단 수용공간이 분리되어 형성된 제1 용기;
    상기 제1 용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 용기;
    상기 제1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과 제2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제1, 2 토출수단 및
    상기 제1, 2 토출수단을 함께 작동시키며, 제1, 2 토출수단과 각각 연결되는 제1, 2 토출유로와 제1, 2 토출구가 형성된 누름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용기와 제2 용기에 각각 연결홈과 입구부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동시에, 분리되어 있던 제2 토출수단이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는 제1 상부용기와 제1 하부용기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용기에는 지지판이 형성되어 제1 토출수단 및 제2 토출수단의 일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용기와 제1 하부용기 사이에는 밀폐부재가 형성되어 제1 하부용기의 개방된 부분을 막고, 상기 밀폐부재를 제1 토출수단과 제2 토출수단이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와 제2 용기는 서로 스크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용기의 연결홈과 입구부는 제1, 2 용기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제2 용기의 입구부에 형성되되, 입구부의 개방된 부분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제1, 2 용기의 결합 시 제2 토출수단의 제2 하우징과 연결되는 상부연결부와, 제2 용기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제2 토출수단의 제2 흡입관과 연결되는 하부연결부 및 입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연결부와 하부연결부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수단과 제2 토출수단은 펌핑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출수단의 제2 하우징은 제1 용기에 설치되고, 제2 토출수단의 제2 흡입관은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제2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며, 제1 용기와 제2 용기의 결합 시 상기 제2 토출수단의 제2 하우징과 제2 흡입관이 연결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20190072258A 2019-03-28 2019-06-18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2178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180440.5A CN111746944A (zh) 2019-03-28 2020-03-16 非均质内容物混合容器
US16/821,851 US11180304B2 (en) 2019-03-28 2020-03-17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vessel
FR2003086A FR3094354A1 (fr) 2019-03-28 2020-03-27 Récipient de mélange de contenus hétérogènes
JP2020057611A JP6903189B2 (ja) 2019-03-28 2020-03-27 異種内容物混合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5981 2019-03-28
KR1020190035981 2019-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997A KR20200115997A (ko) 2020-10-08
KR102178156B1 true KR102178156B1 (ko) 2020-11-18

Family

ID=7289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258A KR102178156B1 (ko) 2019-03-28 2019-06-18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711B1 (ko) * 2022-04-15 2024-02-14 펌텍코리아(주) 가압 토출 용기
KR102650077B1 (ko) * 2022-06-15 2024-03-22 박문식 상압유로를 구비한 음료제조용 펌핑 텀블러
WO2023244060A1 (ko) * 2022-06-15 2023-12-21 박문식 음료제조용 펌핑 텀블러 및 이를 위한 첨가물 캡슐
KR102655837B1 (ko) * 2022-06-15 2024-04-09 박문식 음료제조용 펌핑 텀블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095Y1 (ko) 2005-05-06 2005-07-18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더 혼합 에센스 화장품용기
KR20130084381A (ko) * 2012-01-17 2013-07-25 (주)연우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KR101817065B1 (ko) * 2016-06-01 2018-01-11 펌텍코리아 (주) 생산성과 밀폐력이 향상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180012581A (ko) * 2016-07-27 2018-02-06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910428B1 (ko) * 2017-01-23 2018-10-22 (주)연우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101923306B1 (ko) 2017-03-24 2018-11-28 강성일 이종물질혼합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5997A (ko) 202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8156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2132301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US11180304B2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vessel
US10195625B2 (en)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sealing ability
KR100436308B1 (ko) 진공보존용 병마개
JP2607350B2 (ja) 可変容量圧縮チャンバーおよびダイアフラムを有する分与アセンブリ
US11034503B1 (en) Container for mixing heterogeneous contents
KR20180124514A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101907778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101817077B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KR102176512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2243386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US20040256413A1 (en) Leak preventing closure in a dispenser pump
KR20180049539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KR20210064894A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20210064892A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RU2387485C2 (ru) Насос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вручную текучего вещества, содержащегося в контейнере
KR200472346Y1 (ko) 화장품 용기의 토출장치
EP3967410A1 (en)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KR102237203B1 (ko) 펌프 용기의 내용물 펌핑장치
KR101082427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20210117114A (ko) 이종물질 혼합용기의 리필 장치 및 누름 버튼
KR20210064893A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20050093743A (ko) 공기 펌프식 토출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