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581A -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581A
KR20180012581A KR1020160095608A KR20160095608A KR20180012581A KR 20180012581 A KR20180012581 A KR 20180012581A KR 1020160095608 A KR1020160095608 A KR 1020160095608A KR 20160095608 A KR20160095608 A KR 20160095608A KR 20180012581 A KR20180012581 A KR 20180012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coupled
coupl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찬
김상형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60095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2581A/ko
Priority to PCT/KR2017/007223 priority patent/WO2018021718A1/ko
Publication of KR20180012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83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5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4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 B05B11/3002
    • B05B11/30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or movable bottom being pulled upwards to dispense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2내용물이 각각 저장된 제1,2용기의 상부에 제1,2내용물을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펌프어셈블리가 결합관을 매개로 나사결합을 통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리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A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제1,2내용물이 각각 저장된 제1,2용기의 상부에 제1,2내용물을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펌프어셈블리가 결합관을 매개로 나사결합을 통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리필이 가능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의 내용물 중에는 사용시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유발하는 내용물이 있지만 처음부터 혼합하여 동일한 용기에 함께 수용하는 경우, 물리,화학적 반응으로 인한 응고,침전으로 인하여 배출불량이 발생하거나 내용물의 변색 또는 변질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용기에 혼합하고자 하는 두 가지의 내용물을 분리하여 수용하였다가 사용시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종의 내용물을 각각 보관하다가 사용자가 이들을 각각 토출시킨 후, 혼합하게 될 경우, 혼합과정이 번거로워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나의 용기케이스에 듀얼 용기를 수용하여 듀얼 용기에 저장된 각각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가 등록특허 제10-035948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이종 용액을 각각 수용하는 두 개의 수용부와, 이 수용부로부터 각 용액을 펌핑하는 펌프와, 이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두 용액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수단과,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용액을 혼합상태로 토출시키는 토출캡을 구비한 이종 용액 수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이, 상기 펌프(6,6')와 상기 토출캡(7)의 사이에 개재되는 메인장착부재(10); 상기 토출캡(7)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경사면(9a)이 형성된 콘트롤휠(9); 상기 콘트롤휠(9)의 경사면(9a)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장착부재(10)를 관통하며, 상기 콘트롤휠(9)의 회전에 연동하는 한쌍의 링크부재(12,12'); 상기 링크부재(12,12')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경사홈(13,13')과 상기 펌프(6,6')가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13b,13b')가 형성되어 있는 링크수용부재(13); 상기 콘트롤휠(9)의 회전에 따른 상기 링크부재(12,12')의 이동에 의해 상기 펌프(6,6')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며, 상기토출캡(7)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펌프(6,6')로 전달하는 한쌍의 푸쉬레버(11,11');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은 내용물을 혼합하여 배출하기 위한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제품의 단가 상승 및 제조시간의 증가를 초래할뿐만 아니라, 수용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경우, 용기를 그대로 폐기해야 하므로, 내용물의 리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835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2내용물이 각각 저장된 제1,2용기의 상부에 제1,2내용물을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펌프어셈블리가 결합관을 매개로 나사결합을 통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리필이 가능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는, 좌,우로 나란히 한 쌍이 위치하되, 제1,2내용물이 각각 저장되며, 그 상부에는 저장된 제1,2내용물이 각각 배출되도록 제1,2배출부가 구비되는 제1,2용기; 상기 제1,2배출부를 감싸며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관; 및 상기 결합관에 나사결합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펌핑작용에 의해 제1,2용기에 저장된 제1,2내용을 토출시키는 제1,2펌핑부재와, 상기 제1,2펌핑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제1,2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며 상기 제1,2내용물이 혼합되어 토출되도록 혼합토출구가 구비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펌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배출부 및 제2배출부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관의 결합시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며, 상기 결합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결합관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에 결합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배출부 및 제2배출부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관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결합관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상기 버튼부를 감싸며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의 승하강시 간섭을 방지하고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관에 상기 펌프어셈블리를 탈착시키는 회전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용기 및 제2용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용기 및 제2용기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내용물이 각각 저장된 제1,2용기의 상부에 제1,2내용물을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펌프어셈블리가 결합관을 매개로 나사결합을 통해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리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조립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내용물 리필과정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는 제1,2용기(100,100'), 결합관(200), 펌프어셈블리(300)가 포함된다.
상기 제1,2용기(100,100')는 좌,우로 나란히 한 쌍이 위치하며, 제1,2내용물이 각각 저장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제1,2흡입관(311,311')이 관통설치되도록 제1,2관통홀(113,113')이 형성된 제1,2배출부(110,110')가 구비되는데, 제1,2배출부(110,110')의 상단에는 제1,2용기(100,100')에 저장된 제1,2내용물이 제1,2관통홀(113,113')을 통해 누액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1,2배출부(110,110')의 상단에 밀착되는 씰링부재(S)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배출부(110,110')의 외측에는 결합관(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관(20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111)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회전방지돌기(111)는 결합관(200)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회전결합부(340)와의 나사결합을 통해 펌프어셈블리(300)가 결합관(200)에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돌기(111)는 결합관(200)의 결합시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배출부(110) 및 제2배출부(110')의 외측에는 결합관(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관(200)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112)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고정돌기(112)는 결합관(200)의 고정홈(220)에 결합되어 결합관(200)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용기(100) 및 제2용기(100')의 하부에는 제1용기(100) 및 제2용기(100')를 지지하는 받침대(4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400)의 상부에 제1용기(100) 및 제2용기(11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제1용기(100) 및 제2용기(110')의 상부에 제1배출부(110) 및 제2배출부(110')를 감싸는 결합관(200)을 결합하여 용기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결합관(200)은 상기 제1,2용기(100,100')의 제1,2배출부(110,110')를 감싸며 결합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펌프어셈블리(300)가 나사결합을 통해 탈착 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20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111)에 결합되는 회전방지홈(21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회전방지홈(210)이 상기 회전방지돌기(111)에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펌프어셈블리(300)를 결합관(200)에 나사결합시 결합관(200)의 회전을 방지하여 펌프어셈블리(300)의 나사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관(20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돌기(112)에 결합되는 고정홈(22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고정홈(220)이 상기 고정돌기(112)에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결합관(200)이 제1배출부(110) 및 제2배출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펌프어셈블리(300)는 상기 결합관(200)에 나사결합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펌핑작용에 의해 제1,2용기(100,100')에 저장된 제1,2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것으로서, 제1,2펌핑부재(310,310'), 버튼부(320), 가이드부재(330), 회전결합부(340)가 포함된다.
상기 제1,2펌핑부재(310,310')는 버튼부(320)의 가압 여부에 따라 펌핑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하부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에 저장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1,2흡입관(311,311')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펌핑작용을 위한 제1,2펌핑부재(310,310')의 상세 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버튼부(320)는 상기 제1,2펌핑부재(310,3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제1,2펌핑부재(310,310')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펌핑부재(310,31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제1,2내용물을 혼합토출구(322)로 이동시키는 연통관(321)이 구비되며, 상기 연통관(321)과 연통되어 연통관(321)을 통해 이동하는 제1,2내용물을 혼합하여 토출시키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혼합토출구(32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30)는 상기 버튼부(320)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버튼부(320)의 승하강시 상기 혼합토출구(322)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버튼부(320)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홈(3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330)의 외측 하부에는 회전결합부(340)의 내측 상부를 지지하여 회전결합부(340)가 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턱(332) 및 상기 회전결합부(340)의 상단을 지지하여 회전결합부(340)가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333)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안착턱(332) 및 걸림턱(333)을 통해 회전결합부(340)가 가이드부재(33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300)의 하단 중앙부에는 상기 제1,2펌핑부재(310,31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34)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결합부(340)는 상기 가이드부재(330)의 안착턱(332)과 걸림턱(333) 사이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관(200)과의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관(200)에 상기 펌프어셈블리(300)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결합관(200)과의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내용물 리필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2용기(100,100')에 저장된 제1,2내용물의 사용이 완료되면, 결합관(200)으로부터 펌프어셈블리(300)를 탈리시킨 후, 새로운 제1,2내용물이 충진된 제1,2용기(100,100')에 펌프어셈블리(30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제1,2내용물이 충진된 제1,2용기(100,100')의 상부에 결합된 마감캡(500)을 결합관(200)으로부터 제거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관(220)에 펌프어셈블리(300)를 나사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펌프어셈블리(300)의 고정은 제1,2펌핑부재(310,310')를 제1,2관통홀(113,113')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회전결합부(340)를 회전하여 결합관(200)과의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펌프어셈블리(300)는 그대로 사용하면서 새로운 제1,2내용물이 충진된 제1,2용기(100,100')를 교체함으로써, 제1,2내용물의 리필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 제1,2용기 110,110': 제1,2배출부
111: 회전방지돌기 112: 고정돌기
113,113': 관통홀 200: 결합관
210: 회전방지홈 220: 고정홈
300: 펌프어셈블리 310,310': 제1,2펌핑부재
311,311': 제1,2흡입관 320: 버튼부
321: 연통관 322: 혼합토출구
330: 가이드부재 331: 가이드홈
332: 안착턱 333: 걸림턱
334: 고정부재 340: 회전결합부
400: 받침대 500: 마감캡

Claims (5)

  1. 좌,우로 나란히 한 쌍이 위치하되, 제1,2내용물이 각각 저장되며, 그 상부에는 저장된 제1,2내용물이 각각 배출되도록 제1,2배출부가 구비되는 제1,2용기;
    상기 제1,2배출부를 감싸며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관; 및
    상기 결합관에 나사결합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펌핑작용에 의해 제1,2용기에 저장된 제1,2내용을 토출시키는 제1,2펌핑부재와, 상기 제1,2펌핑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제1,2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유도하며 상기 제1,2내용물이 혼합되어 토출되도록 혼합토출구가 구비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펌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부 및 제2배출부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관의 결합시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며, 상기 결합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결합관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에 결합되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부 및 제2배출부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관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결합관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상기 버튼부를 감싸며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의 승하강시 간섭을 방지하고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관에 상기 펌프어셈블리를 탈착시키는 회전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 및 제2용기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용기 및 제2용기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20160095608A 2016-07-27 2016-07-27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180012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08A KR20180012581A (ko) 2016-07-27 2016-07-27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PCT/KR2017/007223 WO2018021718A1 (ko) 2016-07-27 2017-07-06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08A KR20180012581A (ko) 2016-07-27 2016-07-27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581A true KR20180012581A (ko) 2018-02-06

Family

ID=6101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608A KR20180012581A (ko) 2016-07-27 2016-07-27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12581A (ko)
WO (1) WO20180217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997A (ko) * 2019-03-28 2020-10-08 펌텍코리아 (주)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7858S1 (en) * 2019-04-22 2020-10-06 Shenzhen Sanda Cosmetics Co., Ltd. Cosmetic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7027B2 (ja) * 1993-03-19 1997-05-07 プレス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型液体分与容器
JP4454327B2 (ja) * 2004-01-29 2010-04-21 三菱鉛筆株式会社 二液吐出容器
KR101346000B1 (ko) * 2011-12-26 2013-12-31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101571851B1 (ko) * 2014-05-22 2015-11-25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이종 내용물 용기
KR101635810B1 (ko) * 2015-04-10 2016-07-04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997A (ko) * 2019-03-28 2020-10-08 펌텍코리아 (주)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1718A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97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CA2702708C (en) Household liquid dispenser with keyed spout fitment and refill
US6786356B2 (en) Drinks machine
KR101879205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43098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635810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910428B1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JP4559540B2 (ja) 流体容器ユニット
JP2005514203A (ja) フォーム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ためのハウジングならびにそれらのための貯蔵ホルダ
JP4613169B2 (ja) 分与器
KR20180012581A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481959B1 (ko)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619957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30024293A (ko) 펜슬형 화장품용기
US10723537B2 (en) Cartridge pump
KR20190072788A (ko) 회전 토출식 용기
KR20170012917A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JP7055594B2 (ja) 炭酸飲料サーバ
KR20200101331A (ko) 액체 분배를 위한 조립체
KR101346000B1 (ko) 디스펜서 용기
JP6493600B1 (ja) 混合用容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スプレー容器
JP2009057084A (ja) 液体噴出器
KR101676027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5246792B2 (ja) 二室容器の混合装置
CN217078099U (zh) 一种洗涤剂容纳装置、洗涤剂投放结构及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08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514

Effective date: 2019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