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000B1 - 디스펜서 용기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000B1
KR101346000B1 KR1020110142337A KR20110142337A KR101346000B1 KR 101346000 B1 KR101346000 B1 KR 101346000B1 KR 1020110142337 A KR1020110142337 A KR 1020110142337A KR 20110142337 A KR20110142337 A KR 20110142337A KR 101346000 B1 KR101346000 B1 KR 101346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s
coupled
gear
piston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4323A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10142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0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5Piston pumps with means for adjusting or modifying pump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는,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고,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각각 수용하며, 내부에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상승하는 제1,2피스톤(110,110')이 구비되는 제1,2용기(100,100'); 상기 제1,2용기(100,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핑작용을 수행하는 제1,2펌핑부재(200,200'); 상기 제1,2용기(100,100') 및 제1,2펌핑부재(200,200')를 수용하되, 후면부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슬라이드홈(322,322')이 형성되는 용기본체(300,300'); 상기 용기본체(300,300')의 상부에서 상기 제1,2펌핑부재(200,200')를 감싸며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에 의해 제1,2펌핑부재(200,200')를 작동시키는 버튼부(400); 상기 용기본체(300,300')의 내측에서 상기 제1,2피스톤(110,11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드홈(322,322')을 따라 이동하며 제1,2피스톤(110,110')을 동일하게 상승시키는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 상기 용기본체(300,3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를 지지하는 받침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에 의하면,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의 하부에 결합되는 피스톤상승 제어부재에 의해 제1용기와 제2용기의 내부에 구비된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의 상승을 동일하게 제어하여 제1용기와 제2용기에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이 동일하게 소진되도록 함으로써, 마지막까지 일정비율로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펜서 용기{A Dispenser Vessel}
본 발명은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의 하부에 결합되는 피스톤상승 제어부재에 의해 제1용기와 제2용기의 내부에 구비된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의 상승을 동일하게 제어하여 제1용기와 제2용기에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이 동일하게 소진되도록 함으로써, 마지막까지 일정비율로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 용기는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버튼을 가압시에 펌핑부재의 펌핑작용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으로서,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용기본체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피스톤이 상승되도록 구성된다.
최근 들어, 내용물의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두 가지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제품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하나의 용기 내에 이중 펌프구조를 가지는 디스펜서 용기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중 펌프구조를 가지는 디스펜서 용기는 하나의 용기본체내에 구비되는 제1용기와 제2용기에 이종의 내용물이 각각 수용되며, 버튼의 가압시에 제1용기와 제2용기의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펌프가 동시에 작동하며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데, 제1용기와 제2용기의 내부에 각각 구비된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이 내용물의 배출에 의해 개별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구조이므로, 내용물의 배출량에 따라 피스톤의 높이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어느 일측 용기의 내용물이 먼저 소진됨으로써, 마지막까지 일정비율로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튼은 하나이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펌프가 두 개인 구조이므로, 버튼을 가압하여 누르는 과정에서 버튼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에 의해 펌핑 정도에 차이가 생기게 되어 제1,2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량이 상이하게 됨으로써, 내용물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1용기 및 제2용기의 잔류량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의 하부에 결합되는 피스톤상승 제어부재에 의해 제1용기와 제2용기의 내부에 구비된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의 상승을 동일하게 제어하여 제1용기와 제2용기에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이 동일하게 소진되도록 함으로써, 마지막까지 일정비율로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펜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버튼의 승하강을 가이드하여 버튼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제1,2펌핑부재에 동일하게 압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제1,2용기에 수용된 각각의 내용물의 동일한 배출이 가능하여 이종의 내용물을 항상 일정비율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펜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는,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고,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각각 수용하며, 내부에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상승하는 제1,2피스톤(110,110')이 구비되는 제1,2용기(100,100'); 상기 제1,2용기(100,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핑작용을 수행하는 제1,2펌핑부재(200,200'); 상기 제1,2용기(100,100') 및 제1,2펌핑부재(200,200')를 수용하되, 후면부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슬라이드홈(322,322')이 형성되는 용기본체(300,300'); 상기 용기본체(300,300')의 상부에서 상기 제1,2펌핑부재(200,200')를 감싸며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에 의해 제1,2펌핑부재(200,200')를 작동시키는 버튼부(400); 상기 용기본체(300,300')의 내측에서 상기 제1,2피스톤(110,11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드홈(322,322')을 따라 이동하며 제1,2피스톤(110,110')을 동일하게 상승시키는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 상기 용기본체(300,3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를 지지하는 받침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32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홈(322)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제1,2피스톤(110,110')에 결합되도록 끝단에 결합체(511,511')가 구비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512,512')가 형성되는 제1,2벨트부재(510,510')와, 상기 받침대(6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와 맞물리도록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며, 제1,2피스톤(110,110')의 상승에 따라 발생하는 제1,2벨트부재(510,510')의 장력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520)와, 상기 기어부(520)가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기어부(520)와 맞물리는 제1,2벨트부재(510,510')의 일단이 휘어지며 상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531)와, 상기 가이드부재(531)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기어부(520)를 고정시키는 고정편(532)으로 이루어지는 기어지지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편(532)에는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기어부(520)가 결합되는 고정홈(533)이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520)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홈(533)에 결합되는 고정돌기(5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600)의 하단에는 상기 기어지지부(530)가 안착되는 안착부(6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600)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지지부(610)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부(610)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6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피스톤(110,110')의 하단 중앙부에는 상기 결합체(511,511')가 결합되도록 결합부(111,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300,300')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버튼부(40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40,340')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400)에는 상기 가이드홈(340,340')와 맞닿는 부분에 상기 가이드홈(340,340')에 삽입되어 가이드홈(340,34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4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400)의 상단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압시에 버튼부(40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420)의 양측은 하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300)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내용물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전면커버(310)와, 전면부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32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후면부에는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가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322)이 형성되는 후면커버(320)와, 상기 전면커버(310) 및 후면커버(320)를 감싸는 투명재질의 마감커버(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300')는, 상기 제1,2용기의 내용물이 빛으로부터 차단되도록 불투명재질로 구성되는 전면커버(310')와, 전면부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32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후면부에는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가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322')이 형성되는 후면커버(320')와, 상기 전면커버(310') 및 후면커버(320')를 감싸는 투명재질의 마감커버(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320')는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드홈(322')의 후면부가 절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는 이종의 내용물의 사용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상호 색상이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는,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고,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각각 수용하며, 내부에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상승하는 제1,2피스톤(110,110')이 구비되는 제1,2용기(100,100'); 상기 제1,2용기(100,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핑작용을 수행하는 제1,2펌핑부재(200,200'); 상기 제1,2용기(100,100') 및 제1,2펌핑부재(200,200')를 수용하는 용기본체(300''); 상기 용기본체(300'')의 상부에서 상기 제1,2펌핑부재(200,200')를 감싸며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에 의해 제1,2펌핑부재(200,200')를 작동시키는 버튼부(400); 상기 용기본체(300)의 내측에서 상기 제1,2피스톤(110,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2피스톤(110,110')을 동일하게 상승시키되, 상기 제1,2피스톤(110,110')에 결합되도록 끝단에 결합체(544,544')가 구비되는 제1,2벨트부재(543,543')가 구비된 기어부(540)를 포함하는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 상기 용기본체(3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를 지지하는 받침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는, 상기 기어부(540)가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벨트부재(543,543')가 통과되도록 상단 일부가 개방형성되되, 하단부에는 받침대(600')의 내측에 결합되는 고정돌기(551)가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1,2피스톤(110,110')의 결합부(111,111')를 감싸는 연장부(552,552')가 구비되는 기어고정체(5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540)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1,2기어(541,541')와, 상기 제1,2기어(541,541')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2기어(541,541')를 연결하는 연결대(5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벨트부재(543,543')는 상기 연결대(542)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제1,2기어(541,541')의 일측 또는 타측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대(542)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600')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지지부(610')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부(610')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611') 및 상기 기어고정체(550)의 고정돌기(551)와 결합되어 기어고정체(550)를 고정시키는 돌출부(6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고정체(550)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기어부(540)의 제1,2기어(541,541')와 맞물려 제1,2기어(541,541')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돌기(55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의 하부에 결합되는 피스톤상승 제어부재에 의해 제1용기와 제2용기의 내부에 구비된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의 상승을 동일하게 제어하여 제1용기와 제2용기에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이 동일하게 소진되도록 함으로써, 마지막까지 일정비율로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버튼의 승하강을 가이드하여 버튼이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제1,2펌핑부재에 동일하게 압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제1,2용기에 수용된 각각의 내용물의 동일한 배출이 가능하여 이종의 내용물을 항상 일정비율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는 제1,2용기(100,100'), 제1,2펌핑부재(200,200'), 용기본체(300), 버튼부(400),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 받침대(600)가 포함된다.
상기 제1,2용기(100,100')는 용기본체(300) 내에서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며,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각각 수용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상승하는 제1,2피스톤(110,110')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피스톤(110,110')의 하단 중앙부에는 후술할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의 결합체(511,511')가 결합되도록 결합부(111,111')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결합부(111,111')에는 제1,2벨트부재(510,510')의 양끝단에 구비된 결합체(511,511')가 결합되어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사용시에 제1,2벨트부재(510,510')의 장력에 따른 기어부(520)의 회전에 의해 제1,2피스톤(110,110')이 함께 상승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2펌핑부재(200,200')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핑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버튼부(400) 가압에 따른 버튼부(400)의 승하강에 의해 펌핑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2펌핑부재(200,200')의 상세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용기본체(300)는 상기 제1,2용기(100,100') 및 제1,2펌핑부재(200,20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전면커버(310), 후면커버(320), 마감커버(3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커버(310)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전면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용기(100,100')의 내용물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후면커버(320)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후면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320)의 전면부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32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후면부에는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슬라이드홈(322)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322)에는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가 각각 삽입되는데, 내용물의 사용에 따른 제1,2피스톤(110,110')의 상승시에 슬라이드홈(322)내에서 제1,2벨트부재(510,510')가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마감커버(330)는 상기 전면커버(310) 및 후면커버(320)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사용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300)의 상부 내측에는 버튼부(40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4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가이드홈(340)은 버튼부(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430)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버튼부(400)의 승하강시에 버튼부가(40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300)의 상부에는 버튼부(400)를 감싸며 결합되어 버튼부(400)를 보호하는 오버캡(700)이 결합된다.
상기 버튼부(400)는 상기 용기본체(300)의 상부에서 상기 제1,2펌핑부재(200,200')를 감싸며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에 의해 제1,2펌핑부재(200,20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전면부에 상기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배출홀(4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40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압시에 버튼부(40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가압부(42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가압부(420)를 통해 사용자가 버튼부(400)의 중앙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제1,2펌핑부재(200,200')에 최대한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일정하게 배출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버튼부(400)는 가압부(420)의 양측이 하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가압부(420)를 제외한 다른 부분을 가압시에 손이 미끄러져 가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부(4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340)과 맞닿는 부분에 가이드홈(340)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돌기(43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가이드돌기(430)는 상기 가이드홈(340)을 따라 승하강 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부(400)를 손가락으로 가압시에 버튼부(40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승하강 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1,2펌핑부재(200,200')에 최대한 동일한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일정하게 배출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는 상기 용기본체(300)의 내측에서 상기 제1,2피스톤(110,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2피스톤(110,110')을 동일하게 상승시키는 것으로서, 제1,2벨트부재(510,510'), 기어부(520), 기어지지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는 소정 길이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32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홈(322)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피스톤(110,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부(111)에 결합되도록 끝단에 결합체(511,511')가 구비되며,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512,5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는 상기 톱니(512,512')에 의해 기어부(520)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데, 제1,2피스톤(110,110')의 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기어부(5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기어부(520)는 상기 받침대(6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제1,2피스톤(110,110')의 상승에 따른 제1,2벨트부재(510,510')의 장력에 의해 회전하며 제1,2피스톤(110,110')이 동일하게 상승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와 맞물리도록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어부(520)의 양측에는 기어지지부(530)의 고정홈(533)에 결합되는 고정돌기(521)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돌기(521)는 상기 고정홈(533)에 결합되어 제1,2벨트부재(510,510')의 이동에 따른 기어부(520)의 회전시에 기어부(520)를 지지하여 기어부(520)가 기어지지부(530)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기어지지부(530)는 내측에 상기 기어부(520)가 결합되어 기어부(52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어지지부(530)는 상기 기어부(520)와 맞물려 기어부(520)를 회전시키는 제1,2벨트부재(510,510')의 일단이 휘어지며 상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531)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가이드부재(531)는 결합체(511,511')가 위치한 제1,2벨트부재(510,510')의 끝단부가 상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만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2피스톤(110,110')의 상승시에 제1,2벨트부재(510,510')의 상승을 가이드하게 되며, 이와 함께 기어부(52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기어지지부(53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531)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기어부(520)를 고정시키는 고정편(532)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편(532)에는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기어부(520)의 고정돌기(521)가 결합되는 고정홈(533)이 형성되어 기어부(52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받침대(600)는 상기 용기본체(3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600)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가 안착되는 안착부(6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600)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지지부(610)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610)는 제1,2용기(100,100')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양측에서 감싸며 형성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610)의 내측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611)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는, 사용자가 버튼부(400)를 가압시에 제1,2펌핑부재(200,200')의 펌핑작용에 의해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1,2용기(100,100')의 내부에 구비된 제1,2피스톤(110,110')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제1,2피스톤(110,110')의 하단에 결합된 제1,2벨트부재(510,510')가 상승하며 장력이 발생하여 기어부(5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기어부(520)는 제1,2벨트부재(510,510')에 형성된 톱니(512,512')와 맞물리며 한 칸씩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어부(520)는 제1,2벨트부재(510,510') 모두에 일정 장력 이상이 발생할 경우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버튼부(400)가 일측 방향으로 소폭 기울어져 가압되어 제1펌핑부재(200)에 압력이 더 가해져 제1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더 많이 배출된다 하더라도 제1피스톤(110)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어부(520)는 제1,2벨트부재(510,510') 중 일측 벨트부재(510)의 장력이 더 셀 경우, 일측 피스톤의 상승을 제한하였다가 타측 벨트부재(510')의 장력이 일정 장력 이상으로 발생할 경우,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2용기(100,100') 내부의 압력 조절에 따른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마지막까지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는 제1,2용기(100,100'), 제1,2펌핑부재(200,200'), 용기본체(300'), 버튼부(400),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 받침대(600)가 포함된다.
상기 제1,2용기(100,100'), 제1,2펌핑부재(200,200'), 버튼부(400),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 및 받침대(600)는 제1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용기본체(300')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용기본체(300')는 상기 제1,2용기(100,100') 및 제1,2펌핑부재(200,20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전면커버(310'), 후면커버(320'), 마감커버(3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커버(310')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전면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빛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빛의 투과가 불가능한 불투명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후면커버(320')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후면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320')의 전면부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32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후면부에는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슬라이드홈(322')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322')에는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가 각각 삽입되는데, 내용물의 사용에 따른 제1,2피스톤(110,110')의 상승시에 슬라이드홈(322)내에서 제1,2벨트부재(510,510')가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면커버(320')는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드홈(322')의 후면부가 절개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절개된 부분을 통해 제1,2벨트부재(510,5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데, 제1,2벨트부재(510,510')의 이동에 의해 내용물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는 이종의 내용물의 사용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상호 색상이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커버(330')는 상기 전면커버(310') 및 후면커버(320')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사용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300')의 상부 내측에는 버튼부(40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4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가이드홈(340')은 버튼부(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430)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버튼부(400)의 승하강시에 버튼부가(40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300')의 상부에는 버튼부(400)를 감싸며 결합되어 버튼부(400)를 보호하는 오버캡(700)이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9 내지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는 1,2용기(100,100'), 제1,2펌핑부재(200,200'), 용기본체(300''), 버튼부(400),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 받침대(600')가 포함된다.
상기 제1,2용기(100,100'), 제1,2펌핑부재(200,200') 및 버튼부(400)는 제1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용기본체(300''),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 및 받침대(600')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용기본체(300'')는 상기 제1,2용기(100,100') 및 제1,2펌핑부재(200,20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의 사용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300'')의 상부 내측에는 버튼부(40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2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가이드홈(320'')은 버튼부(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430)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버튼부(400)의 승하강시에 버튼부가(40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는 상기 용기본체(300)의 내측에서 상기 제1,2피스톤(110,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2피스톤(110,110')을 동일하게 상승시키는 것으로서, 기어부(540), 기어고정체(550)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부(540)는 상기 제1,2피스톤(110,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2피스톤(110,110')의 상승에 의해 회전하며 제1,2피스톤(110,110')의 상승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1,2기어(541,541')와, 상기 제1,2기어(541,541')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2기어(541,541')를 연결하는 연결대(542)와, 상기 연결대(542)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제1,2기어(541,541')의 일측 또는 타측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대(542)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구성되는 제1,2벨트부재(543,5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2벨트부재(543,543')에는 상기 제1,2피스톤(110,110')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끝단에 결합체(544,544')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540)는 제1,2기어(541,541')를 일측으로 회전할 경우, 제1,2벨트부재(543,543')가 연결대(542)에 감겨지게 되며, 제1,2기어(541,541')를 타측으로 회전할 경우, 연결대(542)에 감겨졌던 제1,2벨트부재(543,543')가 풀리도록 구성되는데, 제1,2벨트부재(543,543')가 연결대(542)에 완전하게 감겨진 상태에서 제1,2벨트부재(543,543')의 끝단에 구비된 결합체(544,544')를 제1,2피스톤(110,110')의 결합부(111,111')에 결합함으로써, 제1,2피스톤(110,110')의 상승시에 제1,2벨트부재(543,543')의 풀림 현상에 따라 연결대(542)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제1,2피스톤(110,110')의 상승을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어고정체(550)는 상기 기어부(540)가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2벨트부재(543,543')가 통과되도록 상단 일부가 개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어고정체(550)의 하단부에는 받침대(600')의 돌출부(612')에 결합되어 기어고정체(550)를 받침대(600')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551)가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1,2피스톤(110,110')의 결합부(111,111')를 감싸는 연장부(552,552')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551)는 받침대(600')의 돌출부(612')에 끼움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며, 기어고정체(550)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기어고정체(550)의 하단에서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연장부(552,552')는 기어부(540)를 기어고정체(550)에 삽입시에 제1,2벨트부재(543,543')가 통과되도록 측면이 절개형성되며, 기어부(540)가 기어고정체(550)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어부(540)의 회전에 의해 제1,2벨트부재(543,543')가 연결대(542)에 감겨질때 결합체(544,544')의 하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어고정체(550)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제1,2기어(541,541')와 맞닿는 부분에 상기 제1,2기어(541,541')의 톱니와 맞물려 기어부(54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돌기(553)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돌기(553)는 기어부(540)의 회전시에 기어부(540)의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와 맞물리며 한 칸씩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대(600')는 상기 용기본체(3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대(600')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지지부(610')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610')는 제1,2용기(100,100')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양측에서 감싸며 형성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610')의 내측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611') 및 상기 기어고정체(550)의 고정돌기(551)와 결합되어 기어고정체(550)를 고정시키는 돌출부(612')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용기는 상기 기어부(540) 및 기어고정체(550)를 일체로 모듈화시킨 상태로 받침대(600')에 조립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 제1,2용기 110,110': 제1,2피스톤
111,111': 결합부
200,200': 제1,2펌핑부재
300,300': 용기본체 310,310': 전면커버
320,320': 후면커버 321,321': 지지돌기
322,322': 슬라이드홈 330,330': 마감커버
340: 가이드홈
400: 버튼부 410: 배출홀
420: 가압부 430: 가이드돌기
500: 피스톤상승 제어부재 510,510': 제1,2벨트부재
511,511': 결합체 512,512': 톱니
520: 기어부 521: 고정돌기
530: 기어지지부 531: 가이드부재
532: 고정편 533: 고정홈
500': 피스톤상승 제어부재 540: 기어부
541,541': 제1,2기어 542: 연결대
543,543': 제1,2벨트부재 544,544': 결합체
550: 기어고정체 551: 고정돌기
552,552': 연장부 553: 제어돌기
600,600': 받침대 610,610': 지지부
611,611': 지지돌기 612': 돌출부
620: 안착부
700: 오버캡

Claims (18)

  1.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고,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각각 수용하며, 내부에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상승하는 제1,2피스톤(110,110')이 구비되는 제1,2용기(100,100');
    상기 제1,2용기(100,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핑작용을 수행하는 제1,2펌핑부재(200,200');
    상기 제1,2용기(100,100') 및 제1,2펌핑부재(200,200')를 수용하되, 후면부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슬라이드홈(322,322')이 형성되는 용기본체(300,300');
    상기 용기본체(300,300')의 상부에서 상기 제1,2펌핑부재(200,200')를 감싸며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에 의해 제1,2펌핑부재(200,200')를 작동시키는 버튼부(400);
    상기 용기본체(300,300')의 내측에서 상기 제1,2피스톤(110,110')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버튼부(400)의 조작에 따른 상기 제1,2펌핑부재(200,200')의 작동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홈(322,322')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2피스톤(110,110')을 동일하게 상승시키는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
    상기 용기본체(300,3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를 지지하는 받침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홈(32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홈(322)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제1,2피스톤(110,110')에 결합되도록 끝단에 결합체(511,511')가 구비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512,512')가 형성되는 제1,2벨트부재(510,510')와,
    상기 받침대(6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와 맞물리도록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며, 제1,2피스톤(110,110')의 상승에 따라 발생하는 제1,2벨트부재(510,510')의 장력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부(520)와,
    상기 기어부(520)가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기어부(520)와 맞물리는 제1,2벨트부재(510,510')의 일단이 휘어지며 상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531)와, 상기 가이드부재(531)의 양측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기어부(520)를 고정시키는 고정편(532)으로 이루어지는 기어지지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532)에는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기어부(520)가 결합되는 고정홈(533)이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520)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홈(533)에 결합되는 고정돌기(5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600)의 하단에는 상기 기어지지부(530)가 안착되는 안착부(6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600)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지지부(610)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부(610)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6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피스톤(110,110')의 하단 중앙부에는 상기 결합체(511,511')가 결합되도록 결합부(111,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300,300')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버튼부(40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40,340')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400)에는 상기 가이드홈(340,340')와 맞닿는 부분에 상기 가이드홈(340,340')에 삽입되어 가이드홈(340,34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4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400)의 상단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압시에 버튼부(40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420)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420)의 양측은 하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300)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내용물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되는 전면커버(310)와,
    전면부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32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후면부에는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가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322)이 형성되는 후면커버(320)와,
    상기 전면커버(310) 및 후면커버(320)를 감싸는 투명재질의 마감커버(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300')는,
    상기 제1,2용기의 내용물이 빛으로부터 차단되도록 불투명재질로 구성되는 전면커버(310')와,
    전면부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32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후면부에는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가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홈(322')이 형성되는 후면커버(320')와,
    상기 전면커버(310') 및 후면커버(320')를 감싸는 투명재질의 마감커버(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320')는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드홈(322')의 후면부가 절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2벨트부재(510,510')는 이종의 내용물의 사용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상호 색상이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13.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고,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각각 수용하며, 내부에 내용물의 사용에 따라 상승하는 제1,2피스톤(110,110')이 구비되는 제1,2용기(100,100');
    상기 제1,2용기(100,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2용기(100,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핑작용을 수행하는 제1,2펌핑부재(200,200');
    상기 제1,2용기(100,100') 및 제1,2펌핑부재(200,200')를 수용하는 용기본체(300'');
    상기 용기본체(300'')의 상부에서 상기 제1,2펌핑부재(200,200')를 감싸며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에 의해 제1,2펌핑부재(200,200')를 작동시키는 버튼부(400);
    상기 용기본체(300)의 내측에서 상기 제1,2피스톤(110,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400)의 조작에 따른 상기 제1,2펌핑부재(200,200')의 작동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상기 제1,2피스톤(110,110')을 동일하게 상승시키되,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제1,2기어(541,541')와, 상기 제1,2기어(541,541')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2기어(541,541')를 연결하는 연결대(542)와, 상기 제1,2피스톤(110,110')에 결합되도록 끝단에 결합체(544,544')가 구비되는 제1,2벨트부재(543,543')가 구비된 기어부(540)를 포함하는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 및
    상기 용기본체(3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를 지지하는 받침대(6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2벨트부재(543,543')는 상기 연결대(542)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제1,2기어(541,541')의 일측 또는 타측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대(542)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상승 제어부재(500')는,
    상기 기어부(540)가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벨트부재(543,543')가 통과되도록 상단 일부가 개방형성되되, 하단부에는 받침대(600')의 내측에 결합되는 고정돌기(551)가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1,2피스톤(110,110')의 결합부(111,111')를 감싸는 연장부(552,552')가 구비되는 기어고정체(5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600')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지지부(610')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부(610')에는 상기 제1,2용기(100,1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돌기(611') 및 상기 기어고정체(550)의 고정돌기(551)와 결합되어 기어고정체(550)를 고정시키는 돌출부(6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기어고정체(550)의 내측 상단에는 상기 기어부(540)의 제1,2기어(541,541')와 맞물려 제1,2기어(541,541')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돌기(55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KR1020110142337A 2011-12-26 2011-12-26 디스펜서 용기 KR101346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337A KR101346000B1 (ko) 2011-12-26 2011-12-26 디스펜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337A KR101346000B1 (ko) 2011-12-26 2011-12-26 디스펜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323A KR20130074323A (ko) 2013-07-04
KR101346000B1 true KR101346000B1 (ko) 2013-12-31

Family

ID=4898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337A KR101346000B1 (ko) 2011-12-26 2011-12-26 디스펜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0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340A (ko) * 2014-07-14 2016-01-22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WO2018021718A1 (ko) * 2016-07-27 2018-02-01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99Y1 (ko) * 2013-07-12 2015-03-16 (주)아모레퍼시픽 이액 화장액 토출용 화장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350Y1 (ko) 2006-02-20 2006-05-02 (주)연우 디스펜서용기의 잔류량 표시수단
KR20060043496A (ko) * 2004-03-09 2006-05-15 정충현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KR20080002044U (ko) * 2006-12-18 2008-06-23 강성일 에어리스 펌프를 가진 화장품용기
KR20110006123U (ko) * 2009-12-11 2011-06-1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3496A (ko) * 2004-03-09 2006-05-15 정충현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KR200415350Y1 (ko) 2006-02-20 2006-05-02 (주)연우 디스펜서용기의 잔류량 표시수단
KR20080002044U (ko) * 2006-12-18 2008-06-23 강성일 에어리스 펌프를 가진 화장품용기
KR20110006123U (ko) * 2009-12-11 2011-06-1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340A (ko) * 2014-07-14 2016-01-22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101597091B1 (ko) 2014-07-14 2016-02-24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WO2018021718A1 (ko) * 2016-07-27 2018-02-01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323A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210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101346000B1 (ko) 디스펜서 용기
KR101259624B1 (ko) 회전식 펌핑용기
ES2460667T3 (es) Capuchón de accionamiento para dispensador de fluidos
JP6245276B2 (ja) 異種内容物混合容器
JP2018512978A (ja) 真空ポンプを具備したクリームタイプ化粧品容器
JP6044859B2 (ja) 安全ボタン構造を備える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101247124B1 (ko) 펜슬형 화장품용기
KR101280530B1 (ko) 이종 액상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EP3241459A1 (en) Rotary discharge type dye container
KR101311209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EP3081111A1 (en) Tube-type cosmetics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contents in drop form
KR101488340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2016505285A (ja) 異種内容物混合式化粧品容器
US20180079584A1 (en)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
KR102210005B1 (ko) 음료제조용 텀블러
KR101722531B1 (ko) 버튼 출몰형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42012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270689B1 (ko) 리필이 가능한 스틱형 화장품 용기
EP3228211A1 (en) Button-type pencil cosmetic dispenser
JP2018510821A (ja) 異種内容物混合容器
KR20140022134A (ko) 회전 펌핑식 화장품용기
KR20130072564A (ko) 디스펜서 용기
KR101705030B1 (ko)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KR20120113347A (ko) 연질의 내용기가 구비된 진공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