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496A -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43496A KR20060043496A KR1020050018995A KR20050018995A KR20060043496A KR 20060043496 A KR20060043496 A KR 20060043496A KR 1020050018995 A KR1020050018995 A KR 1020050018995A KR 20050018995 A KR20050018995 A KR 20050018995A KR 20060043496 A KR20060043496 A KR 200600434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te material
- gear
- discharge
- push
- push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5—Containers having parallel or coaxial compartments, provided with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for discharging cont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2011/505—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with nailable or screwable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토출장치는 외부 토출이 가능하도록 1종 이상의 페이스트물질을 독립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저장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장수단에 저장된 페이스트물질을 밀어내기 위한 푸싱수단을 포함한다. 저장수단은 내부에 페이스트물질을 독립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독립된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저장공간의 앞뒤로 페이스트물질이 토출되는 토출구와 페이스트물질을 주입하는 주입구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치약 등의 페이스트물질을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다. 또한 토출장치의 페이스트물질이 배출되는 부분에 연결기를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페이스물질, 토출장치, 토출용기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A-A선을 따라 얻어진 도 1의 토출장치의 제1본체의 내부단면도;
도 3은 B-B선을 따라 얻어진 도 1의 토출장치의 제2본체의 내부단면도;
도 4는 도 1의 토출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B-B선을 따라 얻어진 도 5의 토출장치의 제2본체의 내부단면도;
도 7은 도 5의 토출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도 5의 토출장치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작동버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B-B선을 따라 얻어진 도 9의 토출장치의 제2본체의 내부단면도;
도 11은 도 9의 토출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13은 A-A선을 따라 얻어진 도 12의 토출장치의 제1본체의 내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토출장치의 제1본체와 제2본체의 결합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토출장치의 제1본체와 제2본체의 결합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토출장치의 푸시바의 다양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토출장치의 푸시바에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토출장치의 배면도;
도 20은 도 18의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1은 C-C선을 따라 얻어진 도 18의 토출장치의 단면도;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8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의 사시도; 및
도 23은 종래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700; 토출장치 110, 210, 310, 410, 710; 제1본체
120, 220, 320, 420, 720; 제2본체 111, 211, 311, 411; 머징부
112, 212, 312, 412, 712; 캡결합부 130, 230, 330, 430, 730; 캡
113, 213, 313, 413, 777; 제2배출구 131, 231, 331, 431; 제3배출구
114, 214, 314, 414; 제2결합돌기 123, 223, 323, 423; 제2결합홈
115, 775; 주입구 116, 416, 716; 저장공간
117, 717; 제1배출구 118, 418; 배출통로
121, 221, 321; 푸시바삽입홀 122; 회전바퀴장착홀
124; 회전축삽입홈 132, 232, 332, 432; 마개
140; 회전바퀴 140a; 미끄럼방지돌기
142, 342; 회전축 150, 250, 350, 750; 푸시바
160, 260, 360, 760; 피스톤 224; 제1회전축삽입홀
225; 제2회전축삽입홀 240; 작동버튼
242; 제1회전축 244; 제2회전축
246; 구동모터 247; 스프링
248a; 제1금속판 248b; 제2금속판
322; 푸시버튼장착홀 340, 741; 푸시버튼
344; 치걸림돌기
본 발명은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약 등의 페이스트물질을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이스트물질이란 치약이나 연고와 같이 비응고 상태로 존재하다가 외부로 특정시간 노출되는 경우 응고상태로 변화하는 물질을 말한다.
주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페이스트물질은 대게 말랑말랑한 연성재질의 튜브에 저장되어 있으며 튜브에 외력을 인가하여 압착함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페이스트물질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성재질의 튜브 내에 저장된 페이스트물질은 튜브를 완전하게 압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내부에 잔량의 페이스트물질이 있는 상태로 버려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02년10월23일자로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0264836호에 개시된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를 개발하였다.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 피스톤(50), 엑추에이터(20), 하부캡(90) 및 상부캡(80)을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50)은 하우징(10)에 저장된 페이스트물질(A)을 토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밀착 삽입되었다. 상기 피스톤(50)은 피스톤경사면(52)과 피스톤돌출부(54)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경사면(52)은 상기 하우징(10)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경사면(14) 에 대응하게 형성되었으며, 상기 피스톤돌출부(54)는 상기 하우징(10)의 넥(15)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50)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끝단까지 밀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엑추에이터(20)는 상기 피스톤(5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제1수나사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내주면에는 제3암나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엑추에이터(20)는 상기 제1수나사부(25)와 상기 제1암나사부(12)가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피스톤(50)까지 삽입된다.
상기 엑추에이터(20)가 상기 피스톤(50)까지 삽입된 후에는 상기 엑추에이터(20)의 피치수를 조절하며 원하는 양만큼의 페이스트물질(A)을 토출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토출용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하우징을 붙잡고 다른 손으로 엑추에이터를 회전시켜야 페이스트물질을 토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페이스트물질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토출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페이스트물질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한 손으로 1종 이상의 페이스트물질을 동시에 토출시킬 수 있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한 손으로 1종 이상의 페이스트물질을 혼합하여 동시 에 토출시킬 수 있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페이스트물질을 사용한 후에 페이스트물질이 저장된 저장용기를 용이하게 교체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한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토출장치의 페이스트물질이 배출되는 부분에 연결기를 결합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토출이 가능하도록 1종 이상의 페이스트물질을 독립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밀어내기 위한 푸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저장수단은 내부에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독립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독립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공간의 앞뒤로 상기 페이스트물질이 토출되는 제1토출구와 상기 페이스트물질이 주입되는 주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푸싱수단은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된 상기 저장수단의 내주벽 전체와 기밀을 유지하도록 접촉되는 푸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페이스트물질의 외부 토출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를 독립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 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토출용기 내의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밀어내기 위한 푸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저장수단은 내부에 상기 저장용기를 독립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독립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공간의 앞뒤로 상기 페이스트물질이 토출되는 제2토출구와 상기 저장용기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출장치는 독립적으로 토출되는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하나로 혼합하여 동시에 토출하기 위하여 하나의 제3토출구를 갖는 혼합토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출장치에서, 상기 저장수단과 상기 혼합토출수단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저장수단의 일단의 외주면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혼합토출수단의 내주면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하는 결합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혼합토출수단은 상기 제3토출구를 봉하기 위한 소정의 마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출장치에서, 상기 푸싱수단은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밀어내기 위한 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푸싱수단은 상기 독립된 저장공간과 대응하는 수의 푸시바를 구비하며 상기 푸시바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제1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푸시바에 형성된 상기 제1치는 사다리꼴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토출장치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을 관통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바퀴와, 상기 제1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바퀴의 양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푸시바에 형성된 상기 제1치와 대응하는 제2치가 형성되어 상기 푸시바와 맞물리는 다수의 제1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퀴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퀴는 상기 기어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그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토출장치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관통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제3치가 형성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제2기어의 양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푸시바에 형성된 상기 제1치와 대응하는 제4치가 형성되어 상기 푸시바와 맞물리는 다수의 제3기어와, 상기 제2회전축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3회전축과, 상기 제3회전축을 관통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제2기어에 형성된 상기 제3치와 대응하는 제5치가 형성되어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제4기어와, 그 외주면에 상기 제4기어에 형성된 상기 제5치와 대응하는 제6치가 형성되어 상기 제4기어와 맞물리는 제5기어와, 상기 제5기어의 중심에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모터축을 구비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와 상기 제5기어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수단의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작동버튼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작동버튼의 하부에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 본 토출장치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제4회전축과, 상기 제4회전축을 관통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제7치가 형성되는 제6기어와, 상기 제4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제6기어의 양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푸시바에 형성된 상기 제1치와 대응하는 제8치가 형성되어 상기 푸시바와 맞물리는 다수의 제7기어와, 일단에 상기 제6기어에 형성된 상기 제7치와 맞물리는 치걸림돌기를 구비하고 후반부에 외력이 인가되는 푸시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치걸림돌기와 인접한 부분을 축으로 시이소오운동을 하는 버튼본체와, 상기 버튼본체의 위치 회복을 위하여 상기 푸시버튼의 하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버튼은 외력이 인가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치걸림돌기는 삼각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토출용기는, 페이스트물질의 외부 토출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을 갖는 저장용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용기 내의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밀어내기 위한 푸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수단은 내부에 상기 저장용기를 독립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독립된 저장공간이 형성된 제1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케이스의 일단에는 상기 페이스트물질이 토출되는 제1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케이스의 타단에는 상기 저장용기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는 페이스트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공 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의 양단에는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용기의 수용공간의 주입구에서 제2배출구쪽으로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밀어내는 피스톤이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벽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푸싱수단은, 일측이 상기 제1케이스의 삽입구 쪽에 연결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제2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의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상기 주입구에서 제2배출구쪽으로 밀어내는 푸시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푸시바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에 밀착되는 푸시팁, 상기 푸시팁과 일체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부면에 형성된 제1치, 상기 상부면에 반대되는 하부면에 형성된 제2치 및 상기 푸시팁의 반대편에 형성된 푸시바 후퇴 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푸시바 후퇴 팁은 상기 푸시바의 하부면 방향으로 "ㄱ"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푸시바 후퇴 팁이 상기 푸시바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케이스의 하부면에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푸싱수단은 상기 제2케이스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슬롯과 동일선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케이스에 가까운쪽의 상기 슬롯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시바의 후퇴를 막는 푸시바 후퇴 방지 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푸싱수단은 제2케이스의 상부면에 형성된 설치구멍에 설치되는 푸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셔는, 상기 설치구멍에 설치되며, 일단은 고정힌지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케이스의 상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푸시버튼, 일단은 상기 푸시버튼의 하부의 중심 부분과 유동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타단은 상기 푸시바의 제1치에 맞물려 상기 푸시버튼의 작동에 의해 상기 푸시바를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에서 제2배출구쪽으로 이동시키는 치푸셔 및 상기 푸시버튼의 뒤쪽에 설치되어 상기 치푸셔를 상기 푸시바의 제1치로부터 분리시키는 푸셔 해제 버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치푸셔는 상기 푸시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치푸셔의 타단이 상기 제1치를 밀수 있도록, 상기 치푸셔의 타단과 상기 유동힌지 및 상기 고정힌지가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푸시버튼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치는 상기 치푸셔의 미는 동작에 의해 푸시바가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에서 제2배출구쪽의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는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측을 연결하는 힌지 및 상기 힌지가 설치된 쪽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개폐하는 개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페이스트물질의 외부 토출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을 갖는 저장용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용기 내의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밀어내기 위한 푸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저장 수단에서 상기 페이스물질이 토출되는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연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기는 빗으로서, 상기 저장수단의 페이스트물질이 토출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며 그 상부면에는 빗살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저장수단의 페이스트물질이 토출되는 부분과 연통되어 페이스트물질이 토출되는 연결기배출구가 형성된 빗살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기배출구는 상기 빗살몸체에 다수개가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연결기배출구로부터 페이스트 물질이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측의 빗살몸체 일단부로부터 상기 빗살몸체의 타단부로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페이스트물질이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기배출구의 높이는 상기 빗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A-A선을 따라 얻어진 도 1의 토출장치의 제1본체의 내부단면도이며, 도 3은 B-B선을 따라 얻어진 도 1의 토출장치의 제2본체의 내부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토출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100)는 페이스트물질을 저장하였다가 토출하는 제1본체(110)와 상기 제1본체(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밀어 내기 위한 제2본체(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110)는 그 내부에 2 종의 페이스트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116)을 형성한다. 상기 저장공간(116)은 병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그 형상 및 크기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제1본체(110)의 양단에는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15)와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117)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본체(110)에는 상기 제1배출구(117)와 연결되는 페이스트물질 배출통로(118)가 내부에 형성되는 머징부(merging portion)(111)가 구비된다.
상기 머징부(111)의 자유단에는 상기 배출통로(118)과 연결되며 상기 배출통로(118)를 통과한 상기 페이스트물질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113)가 형성되는 캡결합부(112)를 형성한다.
상기 캡결합부(112)에는 캡(13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캡(130)에는 상기 페이스트물질이 배출되는 제3배출구(13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캡(130)에는 상기 제3배출구(131)를 봉하기 위한 마개(132)를 설치한다.
상기 캡결합부(112)의 외주면에는 제1결합돌기(112a)를 형성하고 상기 캡(130)의 내부에는 제1결합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캡결합부(112)에 상기 캡(1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본체(110)는 상기 주입구(115)와 인접하게 원형단면을 갖는 다수의 제2결합돌기(114)를 형성한다.
상기 제1본체(110)에 형성된 상기 저장공간(116)에는 상기 저장공간(116)의 내주벽과 밀착되는 피스톤(160)을 삽입한다.
상기 피스톤(160)은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상기 저장공간(116)에 주입한 후 삽입하며, 외력 인가에 의해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상기 제1배출구(117) 쪽으로 밀어낸다.
상기 제2본체(120)는 그 일면에 상기 제1본체(110)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돌기(114)와 대응하는 제2결합홈(123)을 형성한다. 상기 제2본체(120)는 상기 제1본체(110)와 동일한 두께와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외부형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본체(120)는 상기 제2결합홈(123)이 형성된 동일면에 상기 제1본체(110)에 형성된 저장공간(116)과 대응하도록 푸시바삽입홀(121)을 형성하며, 그 상면에는 회전바퀴(140)가 노출되는 회전바퀴장착홀(12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본체(120)의 내부에는 상기 푸시바삽입홀(1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바퀴(140)의 회전축(142)이 삽입되는 회전축삽입홀(12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본체(120)에는 상기 푸시바삽입홀(121)에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160)을 밀어 내기 위한 푸시바(150)를 장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스톤(160)과 푸시바(150)를 분리하여 형성하였지만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푸시바(150)는 원형단면으로 형성하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바(150)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의 평탄면(151)을 형성하고 상기 평탄면(151)에는 소정 크기의 제1치(151a)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푸시바(150)는 상기 회전바퀴(140)의 양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142)에 결합되는 기어(141)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기어(141)의 외주면에는 상기 푸시바(150)에 형성된 상기 제1치(151a)와 대응하는 제2치(141a)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바퀴(140)는 상기 기어(141)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바퀴(14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140a)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회전바퀴(14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상기 토출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가 상기 토출장치(100)의 상기 제2본체(120)를 한 손으로 잡고,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으로 상기 회전바퀴(14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바퀴(140)에 동축으로 결합된 기어(141)가 상기 회전바퀴(140)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기어(141)가 회전하면 상기 기어(141)와 맞물려 있는 상기 푸시바(150)가 상기 기어(141)의 회전운동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면서 앞으로 전진한다.
또한, 상기 푸시바(150)가 전진하면서 상기 제1본체(110)의 상기 저장공간(116)에 삽입된 상기 피스톤(160)을 밀어 냄으로써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제1배출구 (117) 쪽으로 밀어 낸다.
상기 푸시바(150)의 전진운동이 더해지면 상기 페이스트물질은 배출통로(118), 상기 제2배출구(113) 및 상기 제3배출구(13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B-B선을 따라 얻어진 도 5의 토출장치의 제2본체의 내부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토출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토출장치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작동버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200)는 페이스트물질을 저장하였다가 토출하는 제1본체(210)와 상기 제1본체(2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밀어 내기 위한 제2본체(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21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상기 제1본체(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 전면에 머징부(211)를 구비하고 그 후면에 제2결합돌기(21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본체(210)의 저장공간(미도시)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내주벽과 밀착되게 삽입되는 피스톤(260)이 삽입된다.
상기 머징부(211)에는 제2배출구(213)가 형성된 캡결합부(222)를 형성하고 상기 캡결합부(222)의 외주면에는 제1결합돌기(222a)를 형성한다.
상기 캡결합부(222)에는 제3배출구(231)가 형성된 캡(230)을 결합한다. 상기 캡(230)의 내주벽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222a)와 대응하는 제1결합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캡(230)이 상기 캡결합부(2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2본체(220)는 그 일면에 상기 제1본체(210)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돌기(214)와 대응하는 제2결합홈(223)을 형성한다. 상기 제2본체(220)는 상기 제1본체(210)와 동일한 두께와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외부형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본체(220)는 상기 일면에 푸시바삽입홀(221)을 형성하며, 그 상면에는 작동버튼(240)이 노출되는 작동버튼장착홀(22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본체(220)의 내부에는 상기 푸시바삽입홀(2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회전축(242)이 삽입되는 제1회전축삽입홀(224)과 제2회전축(244)이 삽입되는 제2회전축삽입홀(225)을 형성한다.
상기 제2본체(220)에는 상기 푸시바삽입홀(221)에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260)을 밀어 내기 위한 푸시바(250)를 장착한다. 상기 푸시바(25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상기 푸시바(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회전축(242)에는 제1기어(241a)가 결합되며, 상기 제1기어(241a)의 양면에는 상기 제1기어(241a) 보다 직경이 작은 제2기어(241b)가 결합된다.
상기 제2기어(241b)는 상기 푸시바(250)와 맞물린다.
상기 제2회전축(244)은 상기 제1회전축(242)과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회전축(244)에는 상기 제1기어(241a)와 맞물리는 제3기어(243)을 결합한다.
상기 제3기어(243)는 구동모터(246)의 모터축(246a)과 결합되는 제4기어(245)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모터(246)는 전선(246b)에 의해 전원 및 작동버튼(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모터(246)의 상기 모터축(246b)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기어(241a)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 상기 제3기어(243)를 게재하였지만 상기 제1기어(241a)에 상기 모터축(246b)을 직접 맞물릴 수도 있다.
상기 작동버튼(240)은 상기 제2본체(22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작동버튼장착홀(22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작동버튼(240)의 하부면과 상기 작동버튼장착홀(222)의 바닥면에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금속판(248a)과 상기 구동모터(246)의 상기 전선(246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금속판(248b)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작동버튼(240)의 하부면과 상기 작동버튼장착홀(222)의 바닥면의 사이에는 스프링(247)을 게재한다.
이로 인해, 상기 작동버튼(240)에 외력이 인가될 때 상기 구동모터(246)가 작동되고, 상기 작동버튼(240)으로부터 외력이 비인가될 때 상기 구동모터(246)가 작동을 멈춘다. 또한, 이때 상기 작동버튼(240)은 상기 스프링(247)에 의해 원위치 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작동버튼(240)의 말단부에는 걸림돌기(249a)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버튼장착홀(222)의 내주면의 소정 위치에는 걸림턱(249b)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상기 작동버튼(240)이 상기 작동버튼장착홀(222)로부터 외부로 탈락되지 않는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상기 토출장치(2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가 상기 토출장치(200)의 상기 제2본체(220)를 한 손으로 잡고,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으로 상기 작동버튼(240)을 누른다.
이때, 상기 작동버튼(240) 및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구동모터(246)가 구동된다.
상기 구동모터(246)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모터(246)에 결합된 상기 제4기어(245)가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4기어(245)에 맞물려 있는 상기 제3기어(243) 및 상기 제3기어(243)에 맞물려 있는 상기 제1기어(241a)가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1기어(241a)와 상기 제1회전축(242)에 동시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기어(241b)가 회전한다.
상기 제2기어(241b)가 회전하면 상기 제2기어(241b)에 맞물려 있는 상기 푸시바(250)가 상기 제2기어(241b)의 회전운동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면서 앞으로 전진한다.
상기 푸시바(250)가 전진하면서 상기 제1본체(210)의 상기 저장공간(미도시)에 삽입된 상기 피스톤(260)을 밀어 냄으로써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외부로 토출시 킨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B-B선을 따라 얻어진 도 9의 토출장치의 제2본체의 내부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토출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구조물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300)는 페이스트물질을 저장하였다가 토출하는 제1본체(310)와 상기 제1본체(3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밀어 내기 위한 제2본체(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31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상기 제1본체(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 전면에 머징부(311)를 구비하고 그 후면에 제2결합돌기(31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본체(310)의 저장공간(미도시)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내주벽과 밀착되게 삽입되는 피스톤(360)이 삽입된다.
상기 머징부(311)에는 제2배출구(313)가 형성된 캡결합부(322)를 형성하고 상기 캡결합부(322)의 외주면에는 제1결합돌기(322a)를 형성한다.
상기 캡결합부(322)에는 제3배출구(331)가 형성된 캡(330)을 결합한다. 상기 캡(330)의 내주벽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322a)와 대응하는 제1결합홈(미도시)을 형 성하여 상기 캡(330)이 상기 캡결합부(3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2본체(320)는 그 일면에 상기 제1본체(310)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돌기(314)와 대응하는 제2결합홈(323)을 형성한다. 상기 제2본체(320)는 상기 제1본체(310)와 동일한 두께와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외부형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본체(320)는 상기 일면에 푸시바삽입홀(321)을 형성하며, 그 상면에는 푸시버튼(340)이 노출되는 푸시버튼장착홀(32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본체(320)의 내부에는 상기 푸시바삽입홀(3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축(342)이 삽입되는 회전축삽입홀(324)과 결합축(345)이 삽입되는 결합축삽입홀(325)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본체(320)에는 상기 푸시바삽입홀(321)에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360)을 밀어 내기 위한 푸시바(350)를 장착한다. 상기 푸시바(350)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상기 푸시바(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축(342)에는 제1기어(341)를 결합하며, 상기 제1기어(341)의 양면에는 상기 제1기어(341) 보다 직경이 작은 제2기어(343)를 결합한다.
상기 제2기어(343)는 상기 푸시바(350)와 맞물린다.
상기 제1기어(341)는 푸시버튼몸체(346)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푸시버튼몸체(346)의 일단에는 상기 제1기어(341)에 형성된 치(341a)를 걸어 올리기 위한 치걸림돌기(344)를 형성한다.
상기 치걸림돌기(344)의 크기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고른 힘전달을 위하여 상기 제1기어(341)에 형성된 상기 치(341a)와 대응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걸림돌기(344)는 위쪽이 평탄하고 아래쪽은 볼록한 곡면형태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치걸림돌기(344)가 위쪽으로 들릴 때에는 상기 제1기어(341)에 형성된 상기 치(341a)와 결합되어 상기 제1기어(341)를 회전시키며, 반대로 상기 치걸림돌기(344)가 아래쪽으로 내려갈 때에는 상기 제1기어(341)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로 인해, 상기 푸시버튼(340)을 누를 때 마다 상기 제1기어(341)가 한 치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회전하며, 이때 상기 회전축(342)에 상기 제1기어(341)와 함께 결합된 상기 제2기어(343)도 동시에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2기어(343)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기어(343)에 맞물린 상기 푸시바(350)가 점진적으로 전진한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몸체(346)에는 상기 치걸림돌기(344)와 인접한 위치에 결합축(345)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축(345)에 의해 상기 푸시버튼몸체(346)는 상기 제2본체(320)에 시이소오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몸체(346)에는 상기 치걸림돌기(344)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제2본체(3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푸시버튼(340)을 형성한다.
상기 푸시버튼(340)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기 편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표면에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몸체(346)의 하면에는 상기 푸시버튼(340)의 직하방에 스프링(347)을 설치한다. 이로 인해, 외력이 제거된 상기 푸시버튼(340)은 상기 스프링(347)에 의해 원위치에 복귀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상기 토출장치(3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가 상기 토출장치(300)의 상기 제2본체(320)를 한 손으로 잡고, 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으로 상기 푸시버튼(340)을 누른다.
상기 푸시버튼(340)이 눌리면 상기 버튼몸체(346)에 형성된 상기 치걸림돌기(344)가 상기 제1기어(341)에 형성된 상기 치(341a)를 들어 올리며, 이로 인해, 제1기어(341)가 회전한다.
상기 제1기어(341)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342)에 결합된 상기 제2기어(343)도 동시에 회전한다.
상기 제2기어(343)가 회전하면 상기 제2기어(343)에 맞물려 있는 상기 푸시바(350)가 상기 제2기어(343)의 회전운동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면서 앞으로 전진한다.
상기 푸시바(350)는 전진하면서 상기 제1본체(310)의 상기 저장공간(미도시)에 삽입된 상기 피스톤(360)을 밀어 냄으로써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외부로 토출시킨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도 12 및 도 13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A-A선을 따라 얻어진 도 12의 토출장치의 제1본체의 내부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400)는 페이스트물질 저장용기(470)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용기(470)에 저장된 페이스트물질을 토출하는 제1본체(410)와 상기 제1본체(4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페이스트물질 저장용기(470)에 구비되는 피스톤(미도시)을 밀어 내기 위한 제2본체(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410)는 그 내부에 두 개의 저장용기(470)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416)을 형성한다. 상기 저장공간(416)은 상기 저장용기(470)의 외형과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본체(410)의 양단에는 상기 저장용기(47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415)와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417)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본체(410)에는 상기 제1배출구(417)와 연결되는 페이스트물질 배출통로(418)가 내부에 형성되는 머징부(merging portion)(411)를 구비한다.
상기 머징부(411)의 자유단에는 상기 배출통로(418)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통로(418)를 통과한 상기 페이스트물질이 배출되는 제2배출구(413)가 형성되는 캡결합부(412)를 형성한다.
상기 캡결합부(412)에는 캡(43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캡(430)에는 상기 페이스트물질이 배출되는 제3배출구(43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캡(430) 에는 상기 제3배출구(431)를 봉하기 위한 마개(432)를 설치한다.
상기 캡결합부(412)의 외주면에는 제1결합돌기(412a)를 형성하고 상기 캡(431)의 내부에는 제1결합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캡결합부(412)에 상기 캡(431)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본체(410)는 상기 삽입구(415)와 인접하게 원형단면을 갖는 다수의 제2결합돌기(414)를 형성한다.
상기 제2본체(420)는 그 일면에 상기 제1본체(410)에 형성된 상기 제2결합돌기(414)와 대응하는 제2결합홈(423)을 형성한다. 상기 제2본체(420)는 상기 제1본체(410)와 동일한 두께와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외부형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본체(420)는 상기 제2결합홈(423)이 형성된 동일면에 상기 제1본체(410)에 형성된 상기 저장공간(416)과 대응하도록 푸시바삽입홀(421)을 형성하며, 그 상면에는 회전바퀴(440)가 노출되는 회전바퀴장착홀(422)을 형성한다.
기타 상기 제2본체(42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상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5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는 제1본체가 도 12 및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제4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제2본체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제2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6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는 제1본체가 도 12 및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제4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제2본체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로 설명한 제3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제1 내지 제6실시예들에서 언급한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결합구조는 여러가지형태가 가능하며 이를 도 14 및 도 15을 참조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토출장치의 제1본체와 제2본체의 결합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토출장치의 제1본체와 제2본체의 결합구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본체(510)의 일단에는 "ㄱ"자형 결합돌기(514)를 형성하고 제2본체(520)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돌기(514)와 대응하는 결합홈(523)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514)를 상기 결합홈(523)에 끼움으로써 상기 제1본체(510)와 상기 제2본체(520)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본체(610)의 일단에는 "ㄷ"자형 결합돌기(614)를 형성하고 제2본체(620)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돌기(614)와 대응하는 결합홈(623)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614)를 상기 결합홈(623)에 끼움으로써 상기 제1본체(610)와 상기 제2본체(620)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푸시바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가능한 형상의 단면예를 도 16에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바는 원형단면, 타원형단면, 오뚜기형단면 및 역오각형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각 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가능한 형상의 단면예를 도 17에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치는 사다리꼴형상, 사각형상 및 일측벽이 오목하고 타측벽이 수직한 형상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7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토출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20은 도 18의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C-C선을 따라 얻어진 도 18의 토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700)는 페이스트물질 저장용기(770)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용기(770)에 저장된 페이스트물질(771)을 토출하는 제1본체(710)와, 상기 제1본체(7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용기(770)에 구비되는 피스톤(760)을 밀어 내기 위한 푸셔(740)가 설치된 제2본체 (7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710)는 그 내부에 저장용기(770)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716)이 형성된 제1케이스(719)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공간(716)은 상기 저장용기(770)의 외형과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본체(720)가 결합되는 상기 제1케이스(719)의 일단에는 상기 저장용기(77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715)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구(715)와 연통된 제1케이스트(719)의 타단에는 상기 저장용기(770)에 수용된 페이스트물질(771)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7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케이스트(719)의 타단의 외측면에는 캡결합부(712)가 형성되어 있다. 캡결합부(712)에는 제1실시예와 같이 결합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캡(730)은 상기 캡결합부(712)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저장용기(770)는 페이스트물질(771)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공간(77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776)의 양단에는 상기 페이스트물질(771)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775)와, 상기 페이스트물질(771)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77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케이스의 저장공간(716)에 삽입된 상기 저장용기의 제2배출구(777)는 상기 저장공간의 제1배출구(717)의 끝단보다는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저장용기(770)에는 3 종의 페이스트물질(771)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공간(776)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3개의 상기 수용공간(776)에 저장된 상기 페이스트물질(771)이 각기 배 출될 수 있도록, 3개의 상기 수용공간(776)에 각기 독립적으로 연결되게 제2배출구(77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장용기의 수용공간(776)의 주입구(775)에서 제2배출구(777)쪽으로 상기 페이스트물질(771)을 밀어내는 피스톤(760)이 상기 수용공간(776)의 내주벽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있다.
물론 상기 피스톤(760)은 3개의 상기 수용공간(776)에 독립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770)은 상기 수용공간(776)에 주입된 상기 페이스트물질(771)을 상기 주입구(775)에서 상기 제2배출구(777)쪽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페이스트물질(771)을 상기 제2배출구(777)쪽으로 밀어낸다.
상기 제2본체(720)는 푸셔(740)와 푸시바(750)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722)이 형성된 제2케이스(729)를 포함한다. 상기 제2본체(720)는 상기 제1본체(710)와 동일한 두께와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외부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729)는 상기 제1케이스의 삽입구(715)와 마주보는 위치에 개방부(721)가 형성된 설치공간(722)을 포함한다.
상기 설치공간(722)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용기의 피스톤(760)을 각기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775)에서 상기 제2배출구(777)쪽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상기 푸시바(750)가 내설된다.
상기 푸시바(75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760)에 밀착되는 푸 시팁(753)과, 푸시팁(753)과 일체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부면에 형성된 제1치(751)와, 상부면에 반대되는 하부면에 형성된 제2치(752)와, 상기 푸시팁(753)의 반대편에 형성된 푸시바 후퇴 팁(754)을 포함한다.
상기 푸시바 후퇴 팁(754)은 푸시바(750)의 하부면 아래로 "ㄱ"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푸시바 후퇴 팁(754)이 상기 푸시바(750)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케이스(729)의 하부면에 슬롯(7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바 후퇴 팁(754)은 상기 슬롯(724)에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제2케이스(729)의 하부면에는 푸시바 후퇴 방지 팁(7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바 후퇴 방지 팁(725)은 상기 슬롯(724)과 동일선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케이스(719)에 가까운쪽의 상기 슬롯(724) 부분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푸시바 후퇴 방지 팁(725)은 상기 푸시바의 제2치(752)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775)에서 상기 제2배출구(777)쪽으로 이동하는 상기 푸시바(750)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케이스(729)의 상부면에는 상기 푸셔(740)가 설치되는 설치구멍(7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셔(740)는 상기 설치구멍(723)에 설치되는 푸시버튼(741), 치푸셔(742), 푸셔 해제 버튼(7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푸시버튼(741)은 상기 설치구멍(723)에 설치되며, 일단은 고정힌지(743)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케이스(729)의 상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경사지 게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케이스(729)의 상부면으로 돌출된 상기 푸시버튼(741)은 상기 고정힌지(743)를 축으로 상하로 회전하여 상기 설치구멍(723)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된다.
상기 치푸셔(742)는 상기 푸시버튼(741)과 연결되어 상기 푸시바(750)를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775)에서 상기 제2배출구(777)쪽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치푸셔(742)의 일단은 상기 푸시버튼(741) 하부의 중심 부분과 유동힌지(744)에 의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푸시바의 제1치(751)에 맞물린다.
상기 치푸셔(742)는 상기 푸시버튼(741)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치푸셔(742)의 타단이 상기 제1치(751)를 밀수 있도록, 상기 치푸셔(742)의 타단과 상기 유동힌지(744) 및 고정힌지(743)가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푸시버튼(741)에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치(751)는 상기 치푸셔(742)의 미는 동작에 의해 상기 푸시바(750)가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775)에서 상기 제2배출구(777)쪽의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치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버튼(741)을 누르게 되면, 상기 고정힌지(743)를 중심으로 상기 유동힌지(744)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상기 치푸셔(742)가 상기 제1치(751)를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775)에서 상기 제2배출구(777)쪽으로 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버튼(741)을 놓게 되면 상기 유동힌지(744) 부분이 상승하면서 상기 치푸셔(742)는 밀어낸 상기 제1치(751)의 위치에서 뒤쪽으로 이동하여 제1치(751)에 다시 맞물린다. 즉, 상기 치푸셔(742)가 뒤쪽으로 이동할 때는 상기 제1치(751)와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후퇴할 수 있다.
상기 푸시 해제 버튼(745)은 상기 푸시버튼(741)의 뒤쪽에 설치되어 상기 치푸셔(742)를 상기 푸시바의 제1치(751)로부터 분리시킬 때 사용된다.
상기 제1본체(710)와 상기 제2본체(7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측이 힌지(78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힌지(780)가 설치된 쪽의 반대편에 개폐기(79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기(78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본체(710)와 상기 제2본체(720)는 상기 힌지(780)를 축으로 양쪽으로 분리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힌지(780)를 축으로 분리된 상기 제1본체(710)와 상기 제2본체(720)를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회전시켜 접촉시키면 상기 개폐기(790)에 의해 상기 제1본체(710)와 상기 제2본체(720)가 서로 결합된다.
제7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기(790)로 버튼식 개폐기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제7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700)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본체(710)에 상기 페이스트물질(771)이 내장된 상기 저장용기(770)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힌지(780)를 축으로 분리된 상기 제1본체(710)의 저장공간(716)에 상기 저장용기(77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푸시바(750)는 상기 제2본체의 설치공간(722) 안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본체(710)와 상기 제2본체(720)가 서로 접할 수 있도록 접게 되면, 상기 개폐기(790)에 의해 상기 제1본체(710)와 상기 제2본체(720)가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770)가 내장된 토출장치(700)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제1본체(710)에 결합된 상기 캡(730)을 벗긴 상태에서 상기 푸셔의 푸시버튼(741)을 누르게 되면, 상기 푸시바(750)가 상기 피스톤(760)을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775)에서 상기 제2배출구(777)쪽으로 밀어서 상기 저장용기(770)에 수용된 상기 페이스트물질(771)이 상기 제2배출구(777)를 통하여 밖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사용하여 상기 제1본체(710)의 저장공간(716)에 삽입된 상기 저장용기(770)에 내장된 상기 페이스트물질(771)을 다사용하게 되면, 새로운 저장용기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상기 제1본체(710)에서 다사용한 저장용기(770)를 분리하고 새로운 저장용기(770)로 교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2본체(720)에서 상기 제1분체(710)를 분리해야 하는데, 상기 치푸셔(742)에 의해 이동한 상기 푸시바(750)가 상기 제2배출구(777)에 근접하게 상기 저장용기(770) 안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본체(720)에서 상기 제1본체(710)를 분리할 경우 상기 푸시바(750)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본체(720)에서 상기 제1본체(71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푸시바(750)를 상기 제2본체(720) 안으로 원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푸시바(750)를 상기 제2본체(720) 안으로 원위치시키기 위해서, 먼저 상기 푸시 해제 버튼(745)을 눌러 상기 푸시바의 제1치(751)에 맞물린 상기 치푸셔(742)를 상기 푸시바(750)에서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슬롯(724)을 따라서 뒤쪽으로 상기 푸시바 후퇴 팁(754)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푸시바(750)를 상기 제2본체(720) 안으로 후퇴시켜 원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기(790)를 열면, 상기 힌지(780)를 축으로 상기 제1본체(710)와 상기 제2본체(720)를 분리한 다음, 상기 제1본체(710)에서 다사용한 상기 저장용기(770)를 분리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본체(710)에 새로운 저장용기(770)를 삽입하고, 상기 제1본체(710)와 상기 제2본체(720)가 서로 접할 수 있도록 접게 되면, 상기 개폐기(790)에 의해 상기 제1본체(710)와 상기 제2본체(720)가 서로 결합된다.
제8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에서 페이스물질이 토출되는 부분에, 도 2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빗(890)을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즉 토출장치(800)에서 빗(890)으로 페이스물질을 바로 토출되게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페이스트물질은 염색약, 영양제 등 사용자의 머리에 사용하는 여러 가지 페이스트물질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8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800)는 제7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710)의 캡결합부(812)에 빗(890)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본체의 캡결합부(812)에 결합된 상기 빗(890)을 제외한 부분은 제7 실시예에 따른 토출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빗(890)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빗(890)은 상기 캡결합부(812)에 결합되는 결합부(891)와, 결합부(891)와 연결되며 상부면에 빗살(893)이 형성된 빗살 몸체(892)를 포함하며, 상기 빗살(89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용기(870)의 제2배출구(877)를 통하여 배출되는 페이스트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결기배출구(897)를 포함한다.
상기 빗(890)에는 상기 결합부(891)와 상기 빗살 몸체(892)의 내부에는 상기 제2배출구(877)와 연통된 주배출구(89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배출구(894)에 상기 연결기배출구(897)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기배출구(897)는 상기 제2배출구(877)와 연결되는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한 이유는, 주배출구(894) 내에서의 페이스트물질의 유동압력이 제2배출구(877)에서 멀어질수록 떨어지기 때문에, 연결기배출구(897)를 통하여 균일하게 페이스트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기배출구(897)의 높이는 빗살(893)보다는 아래쪽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페이스트물질이 염색약일 경우, 염색약이 직접 두피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결기배출구의 높이는 빗살 높이의 반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8실시예에서는 제1본체의 캡결합부(812)에 빗(890)이 결합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페이스트물질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연결기를 연결하는 구성을 갖는 다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8실시예에서는 제7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의 캡결합부(812)에 빗(890)이 결합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제1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의 캡결합부에 빗과 같은 연결기가 결합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결합기로 머리 빗을 이용한 경우만 기재하였으나, 그 이외에 용도에 맞게 다른 형태의 결합기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에 따르면, 토출장치는 제1본체에 저장된 페이스트물질을 밀어 내기 위한 구동수단을 제2본체에 구비하고 있어 페이스트물질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장치는 제1본체에 하나 이상의 페이스트물질이나 페이스트물질이 저장된 저장용기를 저장할 수 있어 이들 물질을 동시에 토출시킬 수 있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장치는 제1본체에 하나의 배출구를 갖는 캡을 구비함으로써 둘 이상의 페이스트물질을 혼합하여 동시에 토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별명의 토출장치에서는 페이스트물질이 소진되었을 때 제1본체의 저장공간에 직접적으로 페이스트물질을 재충진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저장용기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저장용기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존 페이스트물질과 신규 페이스트물질이 혼합되지 않으므로 최초 사용한 페이스트물질과 다른 종류의 페이스트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서로 다른 성분, 향과 맛이 가미된 다양한 종류의 페이스트물질을 기호에 따라 바꾸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와 같이 특히 저장용기가 강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부재가 분리될 수 있는 경우에는, 저장용기의 내부 세척이 용이하므로 기존의 저장용기에 새로운 물질을 충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기존 페이스트물질과 혼합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바, 반영구적이며 기호에 맞게 교체 가능한 페이스트물질 토출용기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와 같이, 푸시바의 후퇴를 막는 푸시바 후퇴 방지 팁을 더 포함함으로써, 캡이 개방되지 않은 경우 등과 같이 토출용기의 토출물질에 내압이 형성된 경우에도 푸시버튼 조작시 푸시바가 후퇴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일측을 힌지로 연결하고, 반대편에 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개폐하는 개폐기 및 푸시바 후퇴 팁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페이스트물질이 저장된 저장용기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출장치의 페이스트물질이 배출되는 부분에 연결기를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단순히 페이스트물질을 1종이상 토출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결합기의 형태에 따라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페이스트물질 토출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기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와 같이 머리 빗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에는 머리 빗으로부터 1종 이상의 염색약 등이 균일하게 혼합 토출되므로 별도의 염색약 혼합공정과, 염색약을 두피에 도포하는 공정 없이 머리를 빗음과 동시에 상기 과정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기배출구가 머리 빗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페이스트토출용기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페이스트물질의 압력이 연결구 배출구의 위치에 따라 다른 바, 결합부측의 빗살몸체 일단부로부터 상기 빗살몸체의 타단부로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크게 형성함으로서, 각각의 상기 연결기배출구로부터 페이스트 물질이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염색등을 하는 경우 사용자에 빗질을 하면서 균일하게 혼합된 염색약을 머리에 균일하게 도포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기배출구의 높이는 상기 빗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두피에 직접적으로 페이스트물질이 접촉되지 않게 되고 도포될 머리카락 위주로 염색약이 도포되므로 사용자의 두피 건강 등에도 바람직한 토출용기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30)
- 외부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페이스트물질을 독립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및상기 저장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밀어 내기 위한 푸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내부에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독립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독립된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일단에는 상기 페이스트물질이 토출되는 제1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의 타단에는 상기 페이스트물질이 주입되는 제1주입구가 형성되며,상기 푸싱수단은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된 상기 저장수단의 내주벽 전체와 기밀을 유지하도록 접촉되는 푸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페이스트물질의 외부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저장용기를 독립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독립된 저장공간으로서, 상기 저장공간 일단에는 상기 페이스트물질이 토출되는 제2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 타단에는 상기 저장용기가 삽입되는 제2삽입구가 형성된 저장공간을 포함하는 저장수단 ; 및상기 저장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용기 내의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밀어내기 위한 푸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장치는 독립적으로 토출되는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하나로 혼합하여 동시에 토출하기 위하여 하나의 제3토출구를 갖는 혼합토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과 상기 혼합토출수단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저장수단의 일단의 외주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혼합토출수단의 내주면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수단은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밀어내기 위한 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수단은 상기 독립된 저장공간과 대응하는 수의 푸시바를 구비하며 상기 푸시바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제1치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에 형성된 상기 제1치는 사다리꼴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제1회전축;상기 제1회전축을 관통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바퀴; 및상기 제1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바퀴의 양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푸시바에 형성된 상기 제1치와 대응하는 제2치가 형성되어 상기 푸시바와 맞물리는 다수의 제1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퀴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제2회전축;상기 제2회전축을 관통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제3치가 형성되 는 제2기어;상기 제2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제2기어의 양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푸시바에 형성된 상기 제1치와 대응하는 제4치가 형성되어 상기 푸시바와 맞물리는 다수의 제3기어;상기 제2회전축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3회전축;상기 제3회전축을 관통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제2기어에 형성된 상기 제3치와 대응하는 제5치가 형성되어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제4기어;그 외주면에 상기 제4기어에 형성된 상기 제5치와 대응하는 제6치가 형성되어 상기 제4기어와 맞물리는 제5기어; 및상기 제5기어의 중심에 축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모터축을 구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와 상기 제5기어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수단의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작동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작동버튼의 하부에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제4회전축;상기 제4회전축을 관통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제7치가 형성되는 제6기어;상기 제4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제6기어의 양면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푸시바에 형성된 상기 제1치와 대응하는 제8치가 형성되어 상기 푸시바와 맞물리는 다수의 제7기어;일단에 상기 제6기어에 형성된 상기 제7치와 맞물리는 치걸림돌기를 구비하고 후반부에 외력이 인가되는 푸시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치걸림돌기와 인접한 부분을 축으로 시이소오운동을 하는 버튼본체; 및상기 버튼본체의 위치 회복을 위하여 상기 푸시버튼의 하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은 외력이 인가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치걸림돌기는 삼각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페이스트물질의 외부 토출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을 갖는 저장용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및상기 저장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용기 내의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밀어내기 위한 푸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내부에 상기 저장용기를 독립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독립된 저장공간이 형성된 제1케이스를 포함하며,상기 제1케이스의 일단에는 상기 페이스트물질이 토출되는 제1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케이스의 타단에는 상기 저장용기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저장용기는 페이스트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의 양단에는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저장용기의 수용공간의 주입구에서 제2배출구쪽으로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밀어내는 피스톤이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벽에 밀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수단은,일측이 상기 제1케이스의 삽입구 쪽에 연결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제2케이스; 및상기 제2케이스의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상기 주입구에서 제2배출구쪽으로 밀어내는 푸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는,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에 밀착되는 푸시팁;상기 푸시팁과 일체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부면에 형성된 제1치;상기 상부면에 반대되는 하부면에 형성된 제2치; 및상기 푸시팁의 반대편에 형성된 푸시바 후퇴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 후퇴 팁은 상기 푸시바의 하부면 방향으로 "ㄱ"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푸시바 후퇴 팁이 상기 푸시바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케이스의 하부면에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수단은 상기 제2케이스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 기 슬롯과 동일선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케이스에 가까운쪽의 상기 슬롯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푸시바의 후퇴를 막는 푸시바 후퇴 방지 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수단은 제2케이스의 상부면에 형성된 설치구멍에 설치되는 푸셔를 더 포함하며,상기 푸셔는,상기 설치구멍에 설치되며, 일단은 고정힌지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케이스의 상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푸시버튼;일단은 상기 푸시버튼의 하부의 중심 부분과 유동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타단은 상기 푸시바의 제1치에 맞물려 상기 푸시버튼의 작동에 의해 상기 푸시바를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에서 제2배출구쪽으로 이동시키는 치푸셔; 및상기 푸시버튼의 뒤쪽에 설치되어 상기 치푸셔를 상기 푸시바의 제1치로부터 분리시키는 푸셔 해제 버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치푸셔는 상기 푸시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상기 치푸셔의 타단이 상기 제1치를 밀수 있도록, 상기 치푸셔의 타단과 상기 유동힌지 및 상기 고정힌지가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푸시버튼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치는 상기 치푸셔의 미는 동작에 의해 푸시바가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에서 제2 배출구쪽의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20항 내지 제2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측을 연결하는 힌지; 및상기 힌지가 설치된 쪽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개폐하는 개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에서 상기 페이스물질이 토출되는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페이스트물질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연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는 빗으로서, 상기 저장수단의 페이스트물질이 토출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결합부;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며 그 상부면에는 빗살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저장수단의 페이스트물질이 토출되는 부분과 연통되어 페이스트물질이 토출되는 연결기배출구가 형성된 빗살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배출구는 상기 빗살몸체에 다수개가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연결기배출구로부터 페이스트 물질이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측의 빗살몸체 일단부로부터 상기 빗살몸체의 타단부로 멀어질수록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물질이 사용자의 두피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기배출구의 높이는 상기 빗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40015817 | 2004-03-09 | ||
KR1020040015817 | 2004-03-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3496A true KR20060043496A (ko) | 2006-05-15 |
KR100699521B1 KR100699521B1 (ko) | 2007-03-23 |
Family
ID=3550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8995A KR100699521B1 (ko) | 2004-03-09 | 2005-03-08 |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090052970A1 (ko) |
EP (1) | EP1727748A1 (ko) |
JP (1) | JP2007528326A (ko) |
KR (1) | KR100699521B1 (ko) |
CN (1) | CN1997571A (ko) |
WO (1) | WO2005123544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2554B1 (ko) | 2007-03-07 | 2008-05-26 | 주식회사 예찬 | 펌프 디스펜서 |
KR200453458Y1 (ko) * | 2008-12-22 | 2011-05-09 | (주)민진 |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
KR101346000B1 (ko) * | 2011-12-26 | 2013-12-31 | (주)연우 | 디스펜서 용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434136B (en) * | 2006-01-12 | 2008-05-21 | Jia Hsing Entpr Co Ltd | Lotion Bottle Structure |
DE102007000502A1 (de) * | 2007-10-15 | 2009-04-16 | Hilti Aktiengesellschaft | Auspressvorrichtung |
US20100084429A1 (en) * | 2008-10-07 | 2010-04-08 | Karina Anne Krawzyzk | Sealant applying apparatus for print head |
EP2651275A1 (en) * | 2010-12-17 | 2013-10-23 | Colgate-Palmolive Company | Dispensing apparatus |
KR101235129B1 (ko) * | 2011-02-08 | 2013-02-20 | 임정선 | 양치 시스템 |
CN103625757B (zh) * | 2012-08-28 | 2016-04-27 | 深圳市德昌裕塑胶制品有限公司 | 拼接式双软管容器 |
US9597706B2 (en) * | 2013-03-15 | 2017-03-21 | Rooftop Research, Llc | Container and substance dispens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84033A (en) * | 1975-12-29 | 1976-10-05 | Wear-Ever Aluminum, Inc. | Electric gun for dispensing of comestibles |
US3993226A (en) * | 1976-01-02 | 1976-11-23 | Stanford Pavenick | Dispenser for extrudable materials |
US4277194A (en) * | 1979-09-20 | 1981-07-07 | Smith Donald R | Paste dispensing toothbrush |
US4288169A (en) * | 1980-04-15 | 1981-09-08 | Mcmenamin Iv Hugh | Fountain tooth brush with snap-on closure |
JP2516350Y2 (ja) | 1990-07-11 | 1996-11-06 |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 複数の内容物を同時に押出すことのできる容器 |
US5382106A (en) * | 1993-05-13 | 1995-01-17 | Voigt; Bernard | Toothbrush with a teeth cleansing substance dispensing system |
US5746357A (en) * | 1996-04-22 | 1998-05-05 | Essex Specialty Products, Inc. | Plunger and apparatus useful in extruding or dispensing viscous materials |
KR200182789Y1 (ko) | 1999-11-29 | 2000-05-15 | 주식회사연우 | 디스펜서 용기 |
US6397859B1 (en) * | 2001-08-31 | 2002-06-04 | Shelby Byrd | Toothbrush assembly |
US20030150472A1 (en) * | 2002-02-14 | 2003-08-14 | Johnson Elizabeth M. | Toothpaste dispensing toothbrush device |
US6685375B1 (en) * | 2002-09-04 | 2004-02-03 | John Crocker | Toothpaste-dispensing toothbrush |
US20040057773A1 (en) * | 2002-09-25 | 2004-03-25 | Gray Melvin Juuius | All in one toothbrush |
US7244073B2 (en) * | 2003-05-27 | 2007-07-17 | Trocino Richard B | Travel toothbrush assembly |
US20050065906A1 (en) * | 2003-08-19 | 2005-03-24 | Wizaz K.K.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eedback for email filtering |
-
2005
- 2005-03-08 KR KR1020050018995A patent/KR10069952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3-09 JP JP2007502713A patent/JP2007528326A/ja active Pending
- 2005-03-09 WO PCT/KR2005/000658 patent/WO200512354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3-09 CN CNA2005800129280A patent/CN1997571A/zh active Pending
- 2005-03-09 EP EP05789713A patent/EP1727748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5-03-09 US US10/592,009 patent/US20090052970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2554B1 (ko) | 2007-03-07 | 2008-05-26 | 주식회사 예찬 | 펌프 디스펜서 |
KR200453458Y1 (ko) * | 2008-12-22 | 2011-05-09 | (주)민진 |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
KR101346000B1 (ko) * | 2011-12-26 | 2013-12-31 | (주)연우 | 디스펜서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90052970A1 (en) | 2009-02-26 |
JP2007528326A (ja) | 2007-10-11 |
EP1727748A1 (en) | 2006-12-06 |
KR100699521B1 (ko) | 2007-03-23 |
CN1997571A (zh) | 2007-07-11 |
WO2005123544A1 (en) | 2005-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99521B1 (ko) |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 |
US3734118A (en) | Foldable toothbrush with paste supply:and dispenser and covering means | |
EP1506726A1 (de) | Zahnbürste mit Zahnbürstenkörper und Zahnpastabehälter | |
KR200230179Y1 (ko) | 겔상 립스틱 용기 | |
US2090144A (en) | Tooth brush | |
CA2508268A1 (en) | Discrete-amount fluid-dispensing system for a personal care device | |
JP4082492B2 (ja) | 定量吐出が可能な二液注出容器 | |
US7367737B2 (en) | Paste-N-Brush | |
WO2012050312A2 (ko) | 치약 토출 칫솔 | |
US5462377A (en) | Toothbrush | |
JPH08504716A (ja) | 補給可能な多空洞ディスペンサおよびその補給カートリッジ | |
US11019917B2 (en) | Oral/facial care brush with dispenser | |
JP5369243B1 (ja) | 歯磨きセット | |
JP2007222422A (ja) | 歯ブラシ | |
KR200489126Y1 (ko) | 주사기 | |
EP3169187B1 (en) | Oral care system and method | |
WO2005087047A1 (en) | Self-contained dental care device | |
KR200313997Y1 (ko) | 헤어젤 용기 | |
KR200276486Y1 (ko) |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 |
JP2002179118A (ja) | 毛髪梳き具付き二液混合注出容器 | |
US7021497B2 (en) | Device for compressing flexible tubes containing pastes, creams and the like provided with a receptacle for storing dental floss | |
US20230346114A1 (en) | Complete oral care toothbrush systems | |
JP2004331101A (ja) | 注出容器 | |
JPH0977150A (ja) | 2液混合化粧料 | |
KR200397882Y1 (ko) |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내장된 칫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