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129B1 - 양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129B1
KR101235129B1 KR1020110011027A KR20110011027A KR101235129B1 KR 101235129 B1 KR101235129 B1 KR 101235129B1 KR 1020110011027 A KR1020110011027 A KR 1020110011027A KR 20110011027 A KR20110011027 A KR 20110011027A KR 101235129 B1 KR101235129 B1 KR 101235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que
toothbrush
toothpaste
camera unit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545A (ko
Inventor
임정선
Original Assignee
임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정선 filed Critical 임정선
Priority to KR1020110011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129B1/ko
Priority to PCT/KR2012/000824 priority patent/WO2012108642A2/ko
Publication of KR2012009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2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light signa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42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mixing or discharging of two or mor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부가 마련된 칫솔 몸체와, 칫솔모가 식모되고 상기 칫솔 몸체에 탈부착되는 칫솔 헤드를 포함하는 칫솔과; 치태 염색제와 치약이 혼합된 페이스트가 내장된 페이스트 용기와; 상기 카메라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카메라부와 통신 가능하여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치태 염색제에 의해 염색된 치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양치시 사용자가 치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치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구강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양치 시스템 {BRUSHING SYSTEM}
본 발명은 양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치시 사용자가 치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치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양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와 치태(plaque)를 제거하여 충치와 치아병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이용된다. 올바른 양치는 구강 위생 효과 뿐만 아니라 치아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하는 경우, 어느 위치의 치아에 치태가 남아있는지 확인할 수 없으므로, 알약 또는 액상 형태로 제조된 치태 염색제를 사용하여 치태 염색제에 의해 염색된 치태를 확인한 다음, 칫솔로 치태가 남아있는 부분의 치아를 집중적으로 양치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치태 염색제와 치약이 별도로 판매되었기 때문에 치태 염색제와 치약을 따로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치시 사용자가 치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치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양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치태 염색제와 치약을 각각 사용하지 않고 한번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치태를 쉽게 확인하면서 양치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양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양치 시스템에 따라, 카메라부가 마련된 칫솔 몸체와, 칫솔모가 식모되고 상기 칫솔 몸체에 탈부착되는 칫솔 헤드를 포함하는 칫솔과; 치태 염색제와 치약이 혼합된 페이스트가 내장된 페이스트 용기와; 상기 카메라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카메라부와 통신 가능하여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상기 치태 염색제에 의해 염색된 치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스마트 폰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칫솔 몸체 또는 상기 스마트 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는 렌즈 및 플래시와; 상기 렌즈 및 상기 플래시와 기판 사이에 마련된 메모리와; 상기 기판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렌즈는 접사 기능 또는 김 서림 방지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페이스트 용기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치태 염색제와 치약을 구분하는 격벽이 형성된 용기 몸체와; 상기 개구부에 연결되며, 치태 염색제와 치약이 나선 모양으로 배출되도록 내부에 나선 성형체가 마련된 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노즐에는 치태 염색제가 주입되는 염색제 주입구와, 치약이 주입되는 치약 주입구가 분리되어 형성된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칫솔 몸체와 상기 칫솔 헤드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조립되기 위한 결합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양치시 사용자가 치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치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구강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치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치태 염색제와 치약을 각각 사용하지 않고 한번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치태를 쉽게 확인하면서 양치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양치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칫솔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페이스트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카메라부(20, 도 2 참조)가 마련된 칫솔(10)과, 치태 염색제(30a) 및 치약(30b)이 혼합된 페이스트가 내장된 페이스트 용기(30)와, 카메라부(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15, 45)와, 카메라부(20)에 의해 촬영된 치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디스플레이부(50)를 포함한다.
칫솔(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20)가 마련된 칫솔 몸체(11)와, 칫솔모(13)가 식모되며 칫솔 몸체(11)에 탈부착되는 칫솔 헤드(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칫솔 몸체(11)와 칫솔 헤드(1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칫솔모(13)가 닳은 경우 칫솔 헤드(12)를 칫솔 몸체(11)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칫솔 몸체(11)의 상부면에는 결합 돌기(11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칫솔 헤드(12)의 하부면에는 결합 돌기(11a)가 삽입되어 조립되기 위한 결합 홈(12a)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돌기(11a)가 칫솔 몸체(11)에 형성되고 결합 홈(12a)이 칫솔 헤드(12)에 형성되어 있으나, 결합 돌기가 칫솔 헤드에 형성되고 결합 홈이 칫솔 몸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결합 돌기 및 결합 홈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모양이라면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카메라부(20)는 치아 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칫솔 몸체(11)에 마련되어 있어 칫솔 헤드(12)를 교체할 때 카메라부(20)를 함께 교체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카메라부(20)는 크게 렌즈(21)와, 렌즈(21)의 주변에 마련된 플래시(flash, 22)와, 렌즈(21) 및 플래시(22)와 기판(23) 사이에 마련된 메모리(24)와, 기판(23)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5)로 구성된다.
렌즈(21)는 칫솔 몸체(11)에 노출된 상태로 장착되며, 이 때 칫솔 헤드(12)에는 렌즈(21)가 노출될 수 있도록 렌즈 노출공(미도시)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렌즈(21)는 치태를 보다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접사 기능이 포함된 것이 좋으며, 구강 내의 습기에 의해 김 서림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김 서림 방지 기능이 포함된 것이 좋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렌즈(21)는 칫솔 몸체(11)의 상부면에 마련되어 있으나 칫솔 몸체(11)의 하부면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플래시(22)는 촬영시 어두운 구강 내에 빛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21)의 주변에 노출된 상태로 장착되며, 이 때 칫솔 헤드(12)에는 플래시(22)가 노출될 수 있도록 플래시 노출공(미도시)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메모리(24)는 칫솔 몸체(11)의 내부에 마련되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판(23)에는 요즘 디지털 카메라에 흔히 탑재되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소자가 탑재되는 것이 좋으나, 치태를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소자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배터리(25)는 각 부품(21, 22, 23, 2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23)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칫솔 몸체(11)에는 카메라부(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는 양치시 조작부(15)를 이용하여 카메라부(20)를 온/오프시키거나, 촬영을 위한 다양한 조작(촬영 시작, 줌(zoom) 조작 등)을 함으로써 치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는 요즘 흔히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폰(40)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카메라부(20)에서 촬영된 치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잘 보이지 않는 어금니 및 그 주변 부위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어금니 및 그 주변 부위의 치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스마트 폰(40)과 카메라부(20)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기능이 있어 무선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카메라부(20)에 촬영된 영상이 스마트 폰(40)으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스마트 폰(40)의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치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폰(40)에는 카메라부(20)를 작동시키기 위해 칫솔(10)에 마련된 조작부(15)와는 별도의 조작부(45)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칫솔(10)의 조작부(15)를 조작하여 카메라부(20)를 작동하거나, 스마트 폰(40)의 조작부(45)를 조작하여 카메라부(20)를 작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 폰(40)과 카메라부(20)는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하여, 스마트 폰(40)의 조작부(45)로 카메라부(20)를 무선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부(20)에서 촬영된 영상은 스마트 폰(40)의 디스플레이부(50)로 무선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치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개발하여 스마트 폰(40)에 탑재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조작부(15 또는 45)를 조작하여 카메라부(20)를 작동시키면, 카메라부(20)에서 촬영된 치태를 디스플레이부(50)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페이스트 용기(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일측에 개구부(31a)가 형성된 용기 몸체(31)와, 개구부(31a)에 연결된 노즐(32)로 구성된다.
용기 몸체(31)는 치태 염색제(30a)와 치약(30b)로 구성된 페이스트(paste)가 저장되는 곳으로서, 내부에는 치태 염색제(30a)와 치약(30b)을 구분하는 격벽(31b)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 몸체(31)는 튜브 타입으로서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좋으며, 이 때 격벽(31b) 역시 플렉시블한 재질로 용기 몸체(31)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 좋다.
여기서, 치태 염색제(30a)는 사용자가 치태를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치태를 염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치태 염색제(30a)는 종래와 달리 치약과 함께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양치시 치태가 염색되기 때문에 치태 염색제(30a)와 치약(30b)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 편리한 이점이 있다.
노즐(32)은 용기 몸체(31)의 개구부(31a)와 연통되어 용기 몸체(31)에 저장된 치태 염색제(30a) 및 치약(30b)이 배출되는 곳이다. 이 때, 노즐(32)에는 치태 염색제(30a)가 주입되는 염색제 주입구(34)와, 치약(30b)이 주입되는 치약 주입구(35)가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 몸체(31)의 개구부(31a)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용기 몸체(31)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3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32)의 내부에는 치태 염색제(30a)와 치약(30b)이 나선 모양을 이루어 배출되도록 나선 성형체(33)가 마련된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 몸체(31)에 격벽(31b)이 형성되어 있어 치태 염색제(30a)와 치약(30b)이 구분된 상태에서 나선 성형체(33)에 의해 나선 모양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애초 치태 염색제와 치약이 섞인 상태로 용기 몸체에 내장함으로써 격벽 및 나선 성형체를 삭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의 나선 성형체를 삭제하여 치태 염색제와 치약이 나선 모양으로 섞여서 배출되지 않고, 치태 염색제와 치약이 섞이지 않은 상태로 각각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양치하는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페이스트 용기(30)로부터 배출된 페이스트를 칫솔모(13)에 묻혀 양치를 하면, 치태는 페이스트를 구성하는 치태 염색제(30a)에 의해 염색된 상태로 된다.
다음, 스마트 폰(40)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50) 및 조작부(45)를 활성화시킨 후 조작부(15 또는 45)를 조작하여 카메라부(20)를 온(on)시키면, 카메라부(20)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이 스마트 폰(40)의 디스플레이부(50)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치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양치함으로써, 치태가 남아있는 치아를 집중적으로 닦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양치시 사용자가 치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치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구강 위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치태 염색제(30a)와 치약(30b)을 각각 사용하지 않고 한번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치태를 쉽게 확인하면서 양치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조작부가 칫솔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에도 마련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칫솔 또는 스마트 폰 중 어느 하나에만 마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는 휴대 가능한 스마트 폰에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 모니터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 것이다.
10 : 칫솔 11 : 칫솔 몸체
12 : 칫솔 헤드 15, 45 : 조작부
20 : 카메라부 21 : 렌즈
22 : 플래시 23 : 기판
24 : 메모리 25 : 배터리
30 : 페이스트 용기 31 : 용기 몸체
32 : 노즐 33 : 나선 성형체
34 : 염색제 주입구 35 : 치약 주입구
40 : 스마트 폰 5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0)

  1. 카메라부가 마련된 칫솔 몸체와, 칫솔모가 식모되고 상기 칫솔 몸체에 탈부착되는 칫솔 헤드를 포함하는 칫솔과;
    상기 카메라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카메라부와 통신 가능하여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되는 치태 염색제에 의해 염색된 치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치태 염색제와 치약이 혼합된 페이스트가 내장된 페이스트 용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스마트 폰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칫솔 몸체 또는 상기 스마트 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렌즈 및 플래시와;
    상기 렌즈 및 상기 플래시와 기판 사이에 마련된 메모리와;
    상기 기판의 일측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접사 기능 또는 김 서림 방지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용기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치태 염색제와 치약을 구분하는 격벽이 형성된 용기 몸체와;
    상기 개구부에 연결되며, 치태 염색제와 치약이 나선 모양으로 배출되도록 내부에 나선 성형체가 마련된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는 치태 염색제가 주입되는 염색제 주입구와, 치약이 주입되는 치약 주입구가 분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칫솔 몸체와 상기 칫솔 헤드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조립되기 위한 결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치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10011027A 2011-02-08 2011-02-08 양치 시스템 KR101235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027A KR101235129B1 (ko) 2011-02-08 2011-02-08 양치 시스템
PCT/KR2012/000824 WO2012108642A2 (ko) 2011-02-08 2012-02-03 양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027A KR101235129B1 (ko) 2011-02-08 2011-02-08 양치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381A Division KR20120120922A (ko) 2012-10-15 2012-10-15 페이스트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545A KR20120090545A (ko) 2012-08-17
KR101235129B1 true KR101235129B1 (ko) 2013-02-20

Family

ID=4663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027A KR101235129B1 (ko) 2011-02-08 2011-02-08 양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35129B1 (ko)
WO (1) WO20121086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611Y1 (ko) * 2012-12-18 2014-07-17 황기태 플라그를 알려주는 칫솔
CN104872986A (zh) * 2015-05-29 2015-09-02 潘剑 牙刷
US9757065B1 (en) 2016-04-06 2017-09-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nected dental device
KR101890516B1 (ko) * 2017-02-01 2018-08-22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치아 관리용 칫솔
KR102128608B1 (ko) * 2018-11-26 2020-06-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치태 감지 칫솔
WO2021168658A1 (en) * 2020-02-25 2021-09-02 Shenzhen Willsea E-Commerce Co. Limited Video toothbrus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6700A (en) * 1982-01-22 1987-05-19 Howard Frysh Disclosing of plaque on teeth
JP2001218624A (ja) * 2000-02-09 2001-08-14 Nec Data Terminal Ltd 歯清掃具、歯ブラシ、画像モニタ装置
KR20090124865A (ko) * 2008-05-31 2009-12-03 김성은 분리 칫솔
KR101009617B1 (ko) 2008-06-02 2011-01-21 주식회사 루키스 촬상 기능을 구비한 전동 칫솔 및 그 촬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021A (ja) * 1993-04-21 1994-11-01 Lion Corp 歯ブラシ
KR100699521B1 (ko) * 2004-03-09 2007-03-23 정충현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KR200371123Y1 (ko) * 2004-10-12 2004-12-24 윤종천 구획된 내부를 갖는 튜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6700A (en) * 1982-01-22 1987-05-19 Howard Frysh Disclosing of plaque on teeth
JP2001218624A (ja) * 2000-02-09 2001-08-14 Nec Data Terminal Ltd 歯清掃具、歯ブラシ、画像モニタ装置
KR20090124865A (ko) * 2008-05-31 2009-12-03 김성은 분리 칫솔
KR101009617B1 (ko) 2008-06-02 2011-01-21 주식회사 루키스 촬상 기능을 구비한 전동 칫솔 및 그 촬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545A (ko) 2012-08-17
WO2012108642A3 (ko) 2012-11-29
WO2012108642A2 (ko)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129B1 (ko) 양치 시스템
US8938838B2 (en) Toothbrush with an imaging device being camera
JP4540015B1 (ja) カメラ付き歯ブラシ
CN108965653A (zh) 一种口腔内窥器
AU2013101537A4 (en) Intraoral camera for oral hygiene devices
CN110477594A (zh) 一种可视化刷牙方法及牙刷
US10980410B1 (en) Video toothbrush
KR101009617B1 (ko) 촬상 기능을 구비한 전동 칫솔 및 그 촬상 방법
WO2022033141A1 (zh) 一种智能口腔影像电动牙刷
KR101800670B1 (ko) 다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
CN209202262U (zh) 一种多功能电子牙刷
KR20120120922A (ko) 페이스트 용기
KR101241374B1 (ko) 치과 진료용 거울
CN208942448U (zh) 一种冲牙器及口腔装置
KR102261297B1 (ko) 전동 칫솔
KR101736010B1 (ko) 치아 모니터링용 칫솔
US20210085168A1 (en) Smart toothbrush utilizing fluorescence and intraoral camera
KR102154805B1 (ko)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KR200331100Y1 (ko) 양치질액이 수용된 칫솔
CN205493767U (zh) 一种带有摄像功能的洁牙机手柄
US20230225494A1 (en) Teeth clea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WO2006022485A1 (en) Interdental brush
CN108464616A (zh) 通过弹力复位的牙刷套
TWM450359U (zh) 具有攝像裝置之電動牙刷組件
CN213465420U (zh) 一种口腔护理用自动清洁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