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805B1 -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 Google Patents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805B1
KR102154805B1 KR1020180095370A KR20180095370A KR102154805B1 KR 102154805 B1 KR102154805 B1 KR 102154805B1 KR 1020180095370 A KR1020180095370 A KR 1020180095370A KR 20180095370 A KR20180095370 A KR 20180095370A KR 102154805 B1 KR102154805 B1 KR 102154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head
electric toothbrush
monitoring
he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092A (ko
Inventor
민지현
백송이
정다정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8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lighting means, e.g. laser, bulb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0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 A61C17/3481Vibrating brush body, e.g. by using eccentric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하면에 칫솔모가 진동 가능하게 구비된 헤드유닛 및 상기 헤드유닛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니터링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부; 동력을 발생하는 몸체부; 및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몸체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헤드부에 전달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유닛은, 중심부에 중공형태의 카메라안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모니터링유닛은,상기 카메라안착공에 배치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중심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촬영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Electric toothbrush with monitoring}
본 발명은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칫솔모가 구비된 전동 칫솔 헤드부 일측에 구강내 치아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등을 장착하여 사용자의 치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진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충치와 같은 치아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올바른 양치는 구강 위생 효과 뿐만 아니라 치아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식생활 중 반드시 필요한 생활 규칙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칫솔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칫솔질을 하는 수동형과, 모터의 구동에 따라 칫솔모가 회전 운동 또는 진동을 수반하여 상하 직진 운동하는 전동형으로 구별된다.
일반적인 칫솔은 손잡이부와 양치모가 구비된 양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로 물리적 마찰방식에 의해 음식물 섭취 후 치아 및 잇몸 사이에 잔류된 음식물 찌꺼기와 충치의 원인이 되는 플라그 및 치태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구강 내에는 약 28종의 20,000여 마리의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물리적 마찰을 통한 이물질 제거만으로는 구강 내에 생존하는 각종 세균에 대해 대처하기가 어려우므로 보통 칫솔과 치약을 함께 이용하여 양치질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칫솔을 이용한 대표적인 양치방법으로 칫솔을 좌우로 움직여 닦는 횡마법과 칫솔의 강모단을 치아의 표면에서 회전시키며 닦는 회전법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쉽게 습득하여 사용하는 횡마법은 칫솔을 좌우 옆으로 세게 문지르면서 양치질을 하는 방법인데, 양치질을 이와 같이 하면 치아의 사이에 끼인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바깥쪽을 좌우로 오랫동안 양치질하게 되면 송곳니와 작은 어금니 등 양치질을 수행할 때 힘이 많이 가해지는 부분의 치아가 닳아 쐐기 모양으로 움푹 파이면서 치아와 잇몸의 경계부가 닳아 치아의 상아질 부분 등이 외부로 드러나는 치아경부마모증을 쉽게 유발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이 더 진행되면 잇몸이 아래로 주저앉는 치은퇴축을 야기하여 치주질환을 일으키게 되며, 치아경부마모증이나 치은퇴축 증상은 발생 초기에는 별 자극을 느끼지 못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으로 계속 진행되면 외부로 드러난 신경이 자극을 받게 되면서 찬물이나 찬 바람에 시리게 되며, 양치질을 할 때나 음식물을 먹을 때도 그 부위에 자극이 가므로 심한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횡마법에 비해, 칫솔의 강모단을 회전시키며 닦는 회전법은 치아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의 제거가 횡마법보다 용이하고, 칫솔에 힘이 덜 실리게 되어 양치질에 따른 치아의 마모가 현저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치아경부 마모증이나 치은 퇴축 등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된 수동형 칫솔은 사용자가 칫솔모를 상, 하, 좌, 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치아가 닦여지도록 되어 있어 빠른 시간 내에 치아를 닦는데 한계가 있어, 빠른 시간 내에 치아를 깨끗하고 편리하게 닦을 수 있는 전동 칫솔의 보급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 칫솔은 단지 신속하고 편리하게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구강 상태(예를 들어, 충치나 치석의 위치, 음식물 찌꺼기의 부착 위치, 상처 부위 등)를 확인하는 등의 다른 목적에는 활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하는 경우,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제대로 제거되었는지 욕실 등에 설치된 벽면 거울을 통해 확인하게 되는데, 안쪽 치아의 경우 육안으로 보기 어려워 치아의 세밀한 부분까지 확인할 수 없어 정확한 치아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양치시 잇몸이 아프거나 피가 나는 등의 증세가 있을 경우 거울 등을 통해서는 치아의 세밀한 부분까지 확인할 수 없어 정확한 치아 상태를 자기 진단할 수 없으며 또한, 치아의 충치나 치석과 같은 치아 질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치과를 내원해야 하는데, 치과에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경우 방치하게 되어 조기 치료의 시기를 놓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가 치아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치과를 방문하게 되는 경우 고가의 진료비와 검사비가 소모되어 주기적인 진료에 큰 부담을 느끼게 된다. 이로 인해 치아의 집중적인 관리가 부실하게 되어 심각한 치아 질병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동 칫솔에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치아의 상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확인 및 진단할 수 있고, 통신기기 및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 등의 보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헬스(health) 서비스가 가능한 전동 칫솔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KR 10-2018-0040060 (공개일자 2018.04.19) [특허문헌] KR 10-1785696 (등록일자 2017.09.2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칫솔모가 구비된 전동 칫솔 헤드부 일측에 구강내 치아상태를 촬영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방수카메라, 상기 방수카메라의 촬영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조명부 및 상기 방수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연동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트롤러유닛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양치시 정상 치아 및 관리가 필요한 치아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양치 수행동작을 감지하여 시각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어 양치시 사용자의 치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진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하면에 칫솔모가 진동 가능하게 구비된 헤드유닛 및 상기 헤드유닛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니터링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부와 동력을 발생하는 몸체부 및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몸체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헤드부에 전달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유닛은 중심부에 중공형태의 카메라안착공이 형성되며, 상기 모니터링유닛은 상기 카메라안착공에 배치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중심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촬영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상기 몸체부가 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재 및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모듈 및 조명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상기 제어부재가 스위치부재를 통해 온-오프 동작이 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 및 조명모듈이 온-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상기 몸체부가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상기 헤드부가 상기 헤드유닛 타측의 외측 테두리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걸림돌기 및상기 모니터링유닛 타측의 외측 테두리에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구비되는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게 구성되어 상기 모니터링유닛이 상기 헤드유닛에 끼움 결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상기 모니터링유닛이 상기 카메라모듈 및 조명모듈에 접하는 상기 모니터링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양치시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조명모듈을 보호하는 투명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상기 카메라모듈이 방수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은 상기 조명모듈이 LED 조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에 의하면, 칫솔질을 하는 사용자가 모니터링 기능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구강 내부 상태(예를 들어, 충치나 치석의 위치, 음식물 찌꺼기의 부착 위치, 상처 부위 등)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양치 수행동작을 감지하여 시각적으로 인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올바른 양치 습관이 형성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구강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충치의 발생, 치아의 손상(예를 들어, 깨짐, 변색 등) 등의 경우 적절한 시점에 병원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니터링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한 구강 내부 상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통신기기 및 스마트폰과 연동시킴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 등의 보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헬스(health) 서비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모니터링유닛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니터닝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링유닛을 상기 헤드유닛에 이탈시켜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상기 모니터링유닛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여 사용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동 칫솔에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치아의 상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확인 및 진단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가의 진료비 및 검사비가 소모되는 치과 진료의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의 헤드유닛의 탈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및 사용자 단말기가 연동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의 헤드유닛의 탈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상기 전동 칫솔(1)은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는 일반적인 칫솔의 길이로서 약 15cm 내지 25cm 사이가 될 수 있으며, 칫솔의 사용대상(예를들어, 유아, 성인)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 회전부(200) 및 몸체부(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100)는 하면에 칫솔모(111)가 진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상기 회전부(200) 및 몸체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00)는 상기 회전부(200) 및 몸체부(300)까지 연장되는 일체형으로서 사출 또는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회전부(200) 및 몸체부(300)가 서로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한 착탈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헤드부(100)는 헤드유닛(110) 및 모니터링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유닛(110)은 하면에 칫솔모(111)가 회전 및 진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재질은 투명 및 반투명인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남녀노소 등 사용자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유닛(110)은 카메라안착공(112) 및 걸림돌기(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안착공(112)은 상기 헤드유닛(110)의 중심부에 중공형태로 형성되는 홀 형상으로,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을 함입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안착공(112)은 상기 칫솔모(111)가 구비되는 상기 헤드부(100) 중심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100) 하면에서부터 상기 헤드부(100) 상면까지 관통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모니터링유닛(12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모양 및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카메라안착공(112)은 상기 헤드유닛(11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원통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내는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상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을 아니다.
상기 걸림돌기(113)는 상기 헤드유닛(110) 타측의 외측 테두리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할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의 외측 테두리에 구비된 걸림홈(123)에 걸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113)가 상기 걸림홈(123)에 걸리게 구성되어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이 상기 헤드유닛(110)에 끼움 결함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13)는 사용자의 소정의 힘으로 용이하게 상기 걸림홈(123)에 걸리게 되고, 또한, 사용자의 소정의 힘으로 용이하게 상기 걸림홈(123)으로 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113)는 약간이 탄성을 지닌 플랙서블한 소재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랙서블 소재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고무, 테프론, 실리콘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플랙서블 소재는 치아용을 위한 항균성 플랙서블 소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은 상기 헤드유닛(11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구강내 치아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100)에 삽입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은 상기 헤드유닛(110)에 구비된 카메라안착공(112)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안착공(112)과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은 상기 헤드유닛(11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원통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카메라안착공(112)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상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을 아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은 재질이 플랙서블한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랙서블 소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천연섬유 또는 합성수지 중에서 선택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고무, 테프론, 실리콘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플랙서블 소재는 치아용을 위한 항균성 플랙서블 소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은 내부에 카메라모듈(121), 조명모듈(122), 걸림홈(123) 및 투명창(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상기 카메라안착공(112)에 배치되는 것으로, 양치 중 사용자의 구강내 치아 상태를 촬영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칫솔모(111)가 구비된 상기 헤드유닛(110)의 하면 방향으로 렌즈가 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양치하는 방향으로 촬영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사용자가 양치할 때 양치하는 방향의 치아를 촬영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방향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양치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향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치아를 촬영하기 위하여 용이하게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동영상 촬영 및 정지 화면을 촬영할 수 있는 다양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카메라에 비하여 소형의 고화소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후술할 스위치부재(33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 온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재(34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사용자의 구강 내부의 치아를 촬영하고, 촬영한 치아 영상을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원격 진료 지원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사용자의 구강 내부의 상태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카메라모듈(121)은 수분이나 치약 등의 유입으로부터 상기 카메라모듈(121)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방수기능을 포함하는 방수카메라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모듈(122)은 상기 카메라모듈(121)을 중심으로 다수개 배치되는 것으로, 촬영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모듈(122)은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외주면 둘레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구강내부 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빛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122)은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주변부에 입설되는 LED와 같은 소형의 발광 소자(미도시) 구형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미도시)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각각의 발광 소자(미도시)의 조사 방향은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촬영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122)은 조사 범위가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촬영 방향의 중앙점에서 일부 중첩되도록 하여 조사 범위를 광범위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촬영 범위의 밝기가 촬영 범위의 외주면의 밝기 보다 밝게 마련되도록 하여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촬영 방향을 중점적으로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명모듈(122)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카메라모듈(121)의 촬영 방향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슬로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명모듈(122)은 상기 카메라모듈(121)의 동작 개시 시점에 연동하여 턴 온(turn on)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강 내부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턴 온(turn on)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122)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촬영 명령이 입력된 시점 즉, 구강 내 상태의 촬영 직전에 턴 온(turn on)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123)은 상기 모터러링유닛(120) 타측의 외측 테두리에 일정 깊이로 함몰 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의 외측 테두리에 구비된 상기 걸림돌기(113)가 걸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123)은 상기 걸림돌기(113)가 걸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이 상기 헤드유닛(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123)은 사용자의 소정의 힘으로 용이하게 상기 걸림돌기(113)가 걸리게 되고, 또한, 사용자의 소정의 힘으로 용이하게 상기 걸림돌기(113)가 이탈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유닛(120) 또는 상기 걸림홈(123)을 포함하는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의 일정 부분은 상기 걸림돌기(113)가 상기 걸리홈(123)에 유연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플랙서블한 소재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유닛(120) 및 헤드유닛(110)의 결합방식은 본 발명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걸림돌기(113) 및 걸림홈(123)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을 상기 헤드유닛(110)에 착탈할 수 있는 공지의 결합방식을 적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투명창(124)은 상기 카메라모듈(121) 및 조명모듈(122)에 접하는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양치시 상기 카메라모듈(121) 및 상기 조명모듈(122)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투명창(124)은 상기 카메라모듈(121)이 치아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유닛(120)의 플랫서블한 소재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종 소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다만, 투명한 소재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창(124)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카메라모듈(121) 및 조명모듈(122)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투명창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때 각각의 투명창은 기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200)는 상기 헤드부(100) 및 상기 몸체부(3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30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헤드부(1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200)는 공지의 동력 전달 방식을 적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몸체부(300)는 상기 헤드부(100) 하단에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동칫솔(1)의 동력이 발생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300)는 상기 전동 칫솔(1)의 하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300)는 구동부재(310), 전원공급부재(320), 스위치부재(330), 제어부재(340) 및 통신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340)는 상기 몸체부(3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동칫솔(1)에 동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재(31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동 칫솔의 말단부에 형성된 칫솔모(111)가 지정된 동작(예를 들어, 회전동작 또는 반복적 직선 왕복 동작 등)이 수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3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부재(310)의 동작에 의해 칫솔모(111)가 회전 또는 직선 왕복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100) 및 회전부(200) 내부에 기어 등이 구비되도록 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재(320)는 상기 몸체부(3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재(3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공급부재(32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30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모듈(121), 조명모듈(122), 구동부재(310), 제어부재(340) 및 통신부재(35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재(320)는 교체가 가능한 형태의 2차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축전지 및 커넥터를 더 구비하여 커넥터를 통해 접속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축전지를 충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재(330)는 상기 몸체부(300) 외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재(31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부재(330)는 상기 몸체부(30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재(310)에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재(330)는 키패드, 마이크로 돔 스위치 등의 버튼형 스위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부재(330)는 기계식 버튼 또는 전자식 버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버튼의 기계적인 적용 방식과 전자적인 작동 방식은 기존의 작동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재(340)는 상기 몸체부(3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모듈(121) 및 조명모듈(12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재(340)는 상기 스위치부재(330)를 통해 온-오프 동작이 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재(3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카메라모듈(121) 및 상기 조명모듈(122)이 온-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재(34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카메라모듈(121) 및 조명모듈(122)을 제어하기 위해 각 구성들 간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모듈(121) 및 조명모듈(122)을 제어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재(340)는 사용자 조작에 상응하여 전동 칫솔(1)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모듈(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촬영이 필요한 시점인지를 판단하여 현재의 외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재(340)는 촬영 동작 수행을 위해 상기 카메라모듈(121)을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를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로 생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및 사용자 단말기가 연동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신부재(3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모듈(121)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재(350)는 상기 카메라모듈(121)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에 상응하는 데이터 또는 이미지데이터를 연동된 사용자 단말기(2)로 전송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통신부재(350)는 상기 전동 칫솔(1)의 외부에 위치한 전자 장치 또는 서버와 무선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로,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 지그비, NFC,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 라디오 프리퀀시,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으로 반경 10∼100m안에서 각종 전자·정보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 제어하고, 245㎓ 주파수를 이용해 일정 범위 안에서 각종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한다.
또한, 지그비(Zigbee)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로서, 가정·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는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망으로 전파나 적외선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NFC는 전자태그(RFID)의 하나로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재(350)는 사용자 단말기(2)에서 실행되는 양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재(350)는 유, 무선으로 연동되는 상기 양치 어플리케이션의 앱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촬영 영상 및 정보를 서로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양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트리거링하기 위하여, 일 예로, 사용자가 전동 칫솔의 손잡이를 파지하거나, 구강내에 스마트 칫솔을 삽입하는 경우, 트리거링 신호가 전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카메라모듈(121)이 사용자가 양치를 위하여 입을 벌리거나 또는 양치를 하기 위한 제스처를 수행하는 것을 촬영하고,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양치를 시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판단 결과에 따라 발생된 트리거링 신호에 기초하여 양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양치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직접 실행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에 의하면, 칫솔질을 하는 사용자가 모니터링 기능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구강 내부 상태(예를 들어, 충치나 치석의 위치, 음식물 찌꺼기의 부착 위치, 상처 부위 등)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양치 수행동작을 감지하여 시각적으로 인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올바른 양치 습관이 형성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구강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충치의 발생, 치아의 손상(예를 들어, 깨짐, 변색 등) 등의 경우 적절한 시점에 병원 치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한 구강 내부 상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통신기기 및 스마트폰과 연동시킴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 등의 보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헬스(health) 서비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모니터링유닛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니터닝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링유닛을 상기 헤드유닛에 이탈시켜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상기 모니터링유닛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여 사용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동 칫솔에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치아의 상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확인 및 진단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가의 진료비 및 검사비가 소모되는 치과 진료의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이 줄어들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2 : 사용자 단말기
100 : 헤드부 110 : 헤드유닛
111 : 칫솔모 112 : 카메라안착공
113 : 걸림돌기 120 : 모니터링유닛
121 : 카메라모듈 122 : 조명모듈
123 : 걸림홈 124 : 투명창
200 : 회전부 300 : 몸체부
310 : 구동부재 320 : 전원공급부재
330 : 스위치부재 340 : 제어부재
350 : 통신부재

Claims (8)

  1. 하면에 칫솔모가 진동 가능하게 구비된 헤드유닛 및 상기 헤드유닛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모니터링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부;
    동력을 발생하는 몸체부; 및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몸체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상기 헤드부에 전달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유닛은,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중심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촬영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유닛은,
    중심부에 중공형태의 카메라안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안착공은,
    상기 모니터링유닛을 하방으로 함입시켜, 상기 카메라모듈이 구강내 양치방향의 치아 상태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는,
    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재;
    상기 구동부재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재; 및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모듈 및 조명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재는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양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몸체부를 파지하거나 구강내에 상기 헤드 유닛을 삽입하는 경우 트리거링 신호를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양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며,
    상기 모니터링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양치 수행동작을 감지하여 시각적으로 표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스위치부재를 통해 온-오프 동작이 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모듈 및 조명모듈이 온-오프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유닛 타측의 외측 테두리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모니터링유닛 타측의 외측 테두리에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구비되는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게 구성되어 상기 모니터링유닛이 상기 헤드유닛에 끼움 결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유닛은,
    상기 카메라모듈 및 조명모듈에 접하는 상기 모니터링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양치시 상기 카메라모듈 및 상기 조명모듈을 보호하는 투명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방수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LED 조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KR1020180095370A 2018-08-16 2018-08-16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KR102154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370A KR102154805B1 (ko) 2018-08-16 2018-08-16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370A KR102154805B1 (ko) 2018-08-16 2018-08-16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092A KR20200020092A (ko) 2020-02-26
KR102154805B1 true KR102154805B1 (ko) 2020-09-10

Family

ID=6963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370A KR102154805B1 (ko) 2018-08-16 2018-08-16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8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1462A2 (en) * 2011-06-28 2013-01-03 Chakka Nagesh Power operated electric toothbrush
KR101326377B1 (ko) * 2012-11-05 2013-11-11 김영준 초음파 전동칫솔
KR101736010B1 (ko) * 2016-07-06 2017-05-15 문호현 치아 모니터링용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696B1 (ko) 2016-06-27 2017-11-06 주식회사 지앤아이 올바른 양치습관을 유도하는 다기능 led 칫솔
KR20180040060A (ko) 2016-10-11 2018-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양치 구간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칫솔 및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1462A2 (en) * 2011-06-28 2013-01-03 Chakka Nagesh Power operated electric toothbrush
KR101326377B1 (ko) * 2012-11-05 2013-11-11 김영준 초음파 전동칫솔
KR101736010B1 (ko) * 2016-07-06 2017-05-15 문호현 치아 모니터링용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092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8838B2 (en) Toothbrush with an imaging device being camera
US10911646B2 (en) Oral endoscope
EP3062735B1 (de) Elektrisch betriebenes handgerät zur körperpflege
AU2013101537B4 (en) Intraoral camera for oral hygiene devices
US10980410B1 (en) Video toothbrush
JP2012125455A (ja) 口腔内撮像装置
KR101559661B1 (ko) 카메라 내장형 칫솔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검진 시스템
KR102116851B1 (ko) 교체형 스케일러 겸용 전동 칫솔
CN111480970B (zh) 牙刷、牙刷控制方法和牙刷控制系统
CN109952073B (zh) 用于使个人护理设备协作的网络
KR101009617B1 (ko) 촬상 기능을 구비한 전동 칫솔 및 그 촬상 방법
KR101800670B1 (ko) 다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
KR102154805B1 (ko) 모니터링 기능이 구비된 전동 칫솔
KR101853101B1 (ko) 구강검진·헬스케어클린을 갖는 스마트 oct 장치 및 방법
KR20120090545A (ko) 양치 시스템
KR102495925B1 (ko) 반려동물용 전동 칫솔
CN109567971A (zh) 牙刷、牙刷的实现方法以及口腔卫生护理系统
CN210301284U (zh) 一种带影像功能的电动牙刷系统
KR101785696B1 (ko) 올바른 양치습관을 유도하는 다기능 led 칫솔
KR102057149B1 (ko) 구강 세정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5335A (ko) 지능형 구강 관리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3227705U (ja) 歯ブラシ及び健康管理システム
KR101736010B1 (ko) 치아 모니터링용 칫솔
US20210282632A1 (en) Video toothbrush
KR102261297B1 (ko) 전동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