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297B1 - 전동 칫솔 - Google Patents

전동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297B1
KR102261297B1 KR1020190030948A KR20190030948A KR102261297B1 KR 102261297 B1 KR102261297 B1 KR 102261297B1 KR 1020190030948 A KR1020190030948 A KR 1020190030948A KR 20190030948 A KR20190030948 A KR 20190030948A KR 102261297 B1 KR102261297 B1 KR 10226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s
connection
housing
connection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447A (ko
Inventor
최석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온
Publication of KR20200049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lighting means, e.g. laser, bulb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 A61C17/2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0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 A61C17/3481Vibrating brush body, e.g. by using eccentric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with multiple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6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체, 중간체 및 상부체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체 내부에 설치되는 전동모터; 상기 하우징의 하부체 내부에 설치되고,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 상기 하우징의 하부체에 설치된 전동 모터에 연결되고 하부체에 설치된 제1 구동축; 상기 하우징의 하부체에 설치된 전동 모터에 연결되고 하부체에 설치된 제2 구동축; 제 1 칫솔모가 고정되고 상부체의 통공을 통해 제1 구동축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축; 제 2 칫솔모가 고정되고 상부체의 통공을 통해 제2 구동축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2 칫솔모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 칫솔{Electric toothbrush}
본 발명은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와 플라그를 제거하여 충치와 치아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칫솔은 구강 위생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하게 되며, 치아의 표면에서 오염된 피막을 제거함으로써 치아를 하얗게 하는 것을 도와준다.
상기 칫솔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칫솔질을 하는 수동형과, 모터의 구동에 따라 칫솔모가 회전하는 전동형으로 대별된다.
종래부터 널리 알려진 수동형 칫솔은 사용자가 칫솔대를 잡고 칫솔모를 입속으로 투입하여 상, 하, 좌, 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치아가 닦여지도록 되어 있어 빠른 시간 내에 치아를 닦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바쁘게 일상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에게는 빠른 시간 내에 치아를 깨끗하게 닦을 수 있는 전동칫솔의 보급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 있어서 전동칫솔은 대부분 1개의 헤드에 의해 치아를 닦게 되므로 신속한 양치질이 불가능하였음은 물론 그 타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고, 휘어지는 등의 변형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칫솔모의 회전반경이 커지면서 잇몸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개의 칫솔모를 이용하여 양치질이 가능한 새로운 타입의 전동칫솔이 개발되어 실용신안 제305,847호로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선등록 전동칫솔은 1개의 헤드에 의해 치아를 닦던 종래의 전동칫솔에 비하여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양치질을 하는 효과를 얻게 되지만 2개의 칫솔모가 치아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만을 선택적으로 닦을 수 있어 양치효과를 극대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2개의 제 1, 2 칫솔모가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치아의 외측면을 닦는데는 큰 불편이 없지만 치아의 내 측면을 닦을 때에는 입을 크게 벌려야만 칫솔모에 의한 잇몸의 상처 발생을 방지하게 되므로 그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되어 개선된 기술인 특허 제10-0683814호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원에 의해 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축에 고정된 제 1, 2 칫솔모(11')(12')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된 전동칫솔에 있어서, 제 1, 2 칫솔모(11')(12')가 고정되는 제 1, 2 회전축(13')(14')을 플랙시블한 재질로 하고, 제1, 2 칫솔모(11')(12')가 고정된 상, 하부의 제 1, 2 회전축(13')(14')에는 고정구(18')로부터 대칭되게 형성되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날개편(18a')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구(18')를 하우징(1')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 개선된 기술은 제 1, 2 칫솔모(11')(12')가 플랙시블한 재질의 회전축(13')(14')과 고정구(18')에 의해 상호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 되므로 동시에 치아의 외측면은 물론이고 내측면까지 닦을 수 있게 되므로 양치질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깨끗한 상태로 실시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잇몸이 상하지 않게 되며, 하우징(1')을 분해하지 않고도 하우징(1')의 외측에서 제 1, 2칫솔모(11')(12')를 교체할 수 있게 되므로 제 1, 2칫솔모(11')(12')의 교체작업이 편리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선출원 전동칫솔은 주로 제 1, 2 칫솔모(11')(12')의 전방 부분으로 치아를 닦게 되지만 치아를 닦는 데에 사용되지 않는 제 1, 2 칫솔모(11')(12')의 외측 부분도 노출되므로 사용과정에서 고속 회전하는 제1, 2 칫솔(11')(12')의 외측 부분을 통해 잇몸이나 입 속의 피부에 닿게 되어 부상을 입게 될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305847호 특허등록번호 제10-068381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수의 칫솔모를 사용하여 입속 피부의 부상 위험을 방지하고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와 플라그를 제거하여 충치와 치아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 칫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하부체, 중간체 및 상부체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체 내부에 설치되는 전동모터; 상기 하우징의 하부체 내부에 설치되고,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 상기 하우징의 하부체에 설치된 전동 모터에 연결되고 하부체에 설치된 제1 구동축; 상기 하우징의 하부체에 설치된 전동 모터에 연결되고 하부체에 설치된 제2 구동축; 제 1 칫솔모가 고정되고 상부체의 통공을 통해 제1 구동축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축; 제 2 칫솔모가 고정되고 상부체의 통공을 통해 제2 구동축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2 칫솔모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체의 상단에 고정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에 상기 고정구가 체결 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 수단은 접착제로서 상기 고정판에 상기 고정구가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고정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돌기가 끼움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고정판의 주위에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끼움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홈에 상기 끼움돌기가 끼움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의 하부체에 설치된 전동 모터에 연결되고 하부체 상부에 설치된 제3 구동축; 상기 하우징의 하부체에 설치된 전동 모터에 연결되고 하부체 상부에 설치된 제4 구동축;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중간체와 상부체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부체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제3 회전축; 상기 하우징의 상부체의 상단 일측에서 상기 제3 회전축과 접속되는 제 1 구동기어; 상단부가 하우징의 중간체와 상부체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부체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제4 회전축; 상기 하우징의 상부체의 상단 일측에서 상기 제4 회전축과 접속되는 제 2 구동기어; 상기 제 1 구동기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고정구에 의해 지지되는 제 3 칫솔모; 및 상기 제 2 구동기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고정구에 의해 지지되는 제 4 칫솔모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 1, 3 칫솔모는 반 시계방향, 그리고 우측에 위치된 제 2, 4 칫솔모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구는 후방에 하우징 상부체의 고정판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끼움부; 전방에 칫솔모 수용부; 및 상기 칫솔모 수용부의 양측에 차단벽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구의 제1 칫솔모와 제2 칫솔모 사이의 전면에 위치하는 LED 발광부가 구비된 보조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구의 후면에 위치하는 LED 발광부가 구비된 보조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구의 제1 칫솔모와 제2 칫솔모 사이에 위치하는 혀크리너부가 구비된 보조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칫솔모는 제1 칫솔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칫솔모는 제2 칫솔대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칫솔대와 제2 칫솔대는 항균 물질로 코팅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항균 물질은 유기 실란 4 차 아민 화합물 및 4 차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기 실란 4차 아민 화합물은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데실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3- 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옥타데실 암모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4 차 암모늄 화합물은 클로라이드 또는 사카 라이 네이트 카운터 이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칫솔모를 사용하여 입속 피부의 부상 위험을 방지하여 잇몸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와 플라그를 제거하여 충치와 치아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전동칫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전동칫솔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고정부와 고정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하부체의 상부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하우징 상부체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은 고정구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7a와 7b는 혀크리러부와 LED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구강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칫솔에 사용되는 칫솔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칫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칫솔의 구성요소 중 칫솔대에 칫솔모를 식모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고정부와 고정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하부체의 상부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a, 3b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부체(11)와 중간체(12), 그리고 상부체(13)로 이루어진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체(11) 내부 상부에 설치되는 전동모터(미도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체(11) 내부 하부에 설치되고,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미도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체(12) 내부에 설치된 전동 모터에 연결되고 하부체(12) 상부에 설치된 4개의 구동축(41~44); 제 1 칫솔모(71)가 고정되고 통공(61-1)을 통해 제1 구동축(41)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축(51); 제 2 칫솔모(72)가 고정되고 통공(62-1)을 통해 제2 구동축(40)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축(52); 상단부가 하우징(10)의 중간체(12)와 상부체(13)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부체(13)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제3 회전축(53);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체(13)의 상단 일측에서 상기 제3 회전축(53)과 접속되는 제 1 구동기어(61); 상단부가 하우징(10)의 중간체(12)와 상부체(13)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부체(13)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제4 회전축(54);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체(13)의 상단 일측에서 상기 제4 회전축(54)과 접속되는 제 2 구동기어(62); 상기 제 1 구동기어(61)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3 칫솔모(71-1); 상기 제 2 구동기어(6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4 칫솔모(72-1);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체(13)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 1, 2, 3, 4 칫솔모(71, 71-1, 72, 72-2)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고정구(8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80)는 상부체(13)의 상단에 있는 고정판(1)에 착탈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고정판(1)에 고정홈(2)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판(1)의 주위에는 끼움홈(3a~3d)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구(80)는 고정돌기(4)가 후면에 돌출되어 있고, 고정구(80) 주위에는 끼움돌기(5)가 형성되어 있어, 고정홈(2)에 고정돌기(4)가 끼움 결합하고, 끼움홈(3a~3d)에 끼움돌기(5)가 끼움 결합하여 고정된다.
고정력을 강화를 위하여 고정부(80)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판(1)에 부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구(80)를 고정판(1)에 부착하기 위해서 나사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하우징 상부체(13)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 상부체(13)는 후방 상부에 고정구 접속편(14)이 마련되고, 상단에 하부 받침체(111)와 상부 덮개체(112)로 이루어지는 기어함(110)의 하부 받침체(111)가 일체로 마련된다.
상기 기어함(110)의 내부 하단 일측에는 제3 회전축(53)의 상단부와 접속되는 제1 동력전달기어(53-1)가 설치되고, 제4 회전축(54)의 상단부와 접속되는 제2 동력전달기어(54-1)가 설치되며, 기어함(110)의 내부 하단 일측에 제1 동력전달기어(53-1)와 접속되는 제 1 구동기어(61)가 설치되고, 기어함(110)의 내부 하단 타측에 제2 동력전달기어(54-1)와 접속되는 제 2 구동기어(62)가 설치된다.
상기 기어함(110)의 상부 일측 전방과 상부 타측 전방에는 제 1 연결함(150)과 제 2 연결함(160)이 설치된다.
상기 제 1 연결함(150)과 제 2 연결함(160)은 각각 하부 접속체(151, 161)와 상부 덮개체(152, 162)로 이루어지고, 각 하부 접속체(151, 161)의 하단 후방에 구동기어축 접속구멍(153, 163)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함 상부 덮개체(112)의 상단 일측과 타측에는 제 1 접속관(113)과 제 2 접속관(114)이 마련되며, 제 1연결함(150)의 하부 접촉체(151)의 구동기어축 접속구멍(153)은 상기 제 1 접속관(113)에 삽입 결합되고, 제 2연결함(160)의 하부 접촉체(161)의 구동기어축 접속구멍(163)은 상기 제 2 접속관(114)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각 연결함(150, 160)의 내부 후방에는 구동풀리(154, 164)가 설치되고, 각 연결함(150, 160)의 내부 전방에는 상기 구동풀리(154, 164)와 벨트(155, 165)로 접속되는 종동풀리(156, 166)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연결함(150)에 내장되는 구동풀리(154)는 기어함(110)의 제 1 접속관(113) 및 제 1 연결함(150)의 구동기어축 접속구멍(153)을 거쳐 제 1 연결함(150) 내부로 진입되는 제 1 구동기어축(61a)에 접속되고, 제 2 연결함(160)에 내장되는 구동풀리(164)는 기어함(110)의 제 2 접속관(114) 및 제 2연결함(160)의 구동기어축 접속구멍(163)을 거쳐 제 2 연결함(160) 내부로 진입되는 제 2 구동기어축(62a)에 접속된다.
상기 각 연결함(150, 160)의 상부 덮개체(152, 162)의 상단 전방에는 칫솔모 접속구멍(157, 167)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연결함(150)에 내장되는 종동풀리(156)에는 제 1 연결함(150)의 칫솔모 접속구멍(157)을 거쳐 제 1연결함(150)의 내부로 진입되는 제 3 칫솔대(미도시)이 접속되고, 연결함(160)의 칫솔모 접속구멍(167)을 거쳐 제 2 연결함(160)의 내부로 진입되는 제 4 칫솔대(미도시)가 접속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하우징(10)에 충전식 배터리(도시는 생략함)가 내장되어 있어 하부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버튼(101)을 누름에 따라 4개의 구동축(41~44)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4개의 구동축에서 2개의 구동축에는 제 1, 2 칫솔모(71, 72)가 고정된 제 1, 2 회전축(51, 52)이 통공(61-1, 61-2)을 통해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른 2개의 구동축에는 제 3, 4 칫솔모(71-1, 72-1)가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 제 3, 4회전축(53, 54)이 중간체(12)의 밑면에 형성된 통공(미도시)을 통해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는, 제1, 2, 3, 4 구동축(41~44)의 상부에 사각형상의 삽입홈(도시는 생략함)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2, 3, 4 회전축(51~54)의 하부에는 삽입홈에 끼워져 함께 회전하도록 사각형상의 삽입부(도시는 생략함)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상기 제1, 2, 3, 4 구동축(41~44)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에는 제 1, 2, 3, 4 칫솔모(71, 71-1, 72, 72-1)가 고정되는 제 1, 2, 3, 4 회전축(51~54)은 치아를 닦는 과정에서 변형 가능하도록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로 되어 있는데, 상기 플랙시블한 재질로는 구동축의 회전 시 제 1, 2, 3, 4 회전축(51~54)이 함께 회전하고 치아를 닦을 때에는 변형이 가능한 실리콘(silico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고정구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동칫솔에 있어서 제 1, 2, 3, 4 칫솔모(71, 71-1, 72, 72-2)의 회전을 지지하는 고정구(80)는 후방에 하우징 상부체(13)의 고정판(14)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끼움부(81)(도 3a의 고정돌기나 끼움 돌기가 이에 포함된다)가 마련되고, 전방에 칫솔모 수용부(82)가 마련되며, 칫솔모 수용부(82)의 양측에 치아를 닦는 데에 사용되지 않는 제 1, 2, 3, 4 칫솔모(71, 71-1, 72, 72-1)의 양측 부위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벽(83)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2, 3, 4 회전축(51~54)의 회전방향을 한정할 필요는 없지만,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보다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되, 음식물 찌꺼기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도록 도면상 좌측에 위치된 제 1, 3 칫솔모(71, 71-1)는 반 시계방향, 그리고 우측에 위치된 제 2, 4 칫솔모(72, 72-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2, 3,4 칫솔모(71, 71-1, 72, 72-1)를 동시에 치아의 내, 외측에 밀착시키면 치과협회에서 권장하는 칫솔질과 일치되도록 제 1,2,3,4 칫솔모(71, 71-1, 72, 72-1)가 상측에 위치된 치아는 상부에서 하부로 칫솔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하부에 위치된 치아는 하부에서 상부로 칫솔질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치아를 닦기 위해 제 1, 2, 3, 4 칫솔모(71, 71-1, 72, 72-1)에 치약을 바르고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 구동버튼(101)을 누르면 제 1, 2, 3, 4 회전축(51~54)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2, 3, 4 칫솔모(71, 71-1, 72, 72-1)를 치아에 대면 2개의 제 1, 2, 3, 4 회전축(51~54)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치아 및 잇몸사이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 및 플라그 등이 신속하게 제거된다.
본 발명의 전동칫솔에 있어서는 도 3a와 같이 하우징 하부체(11)의 전면의 스위치버튼(101) 상부에 다색작동 표시램프(102)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동칫솔에 있어서는 스위치 버튼(101)을 한 번 터치하면 다색작동 표시램프(102)가 점등되면서 전동모터가 고회전수(예를 들면 7500rpm)로 작동하게 되고, 한번 더 터치하면 전동모터가 저회전수(예를 들면 4500rpm)로 작동하게 되며, 한번 더 터치하게 되면 다색작동 표시램프(103)가 소등되면서 전동모터가 정지된다.
도 7a와 도 7b는 혀크리너부와 LED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도이다.
상기 전동칫솔은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80)의 개구부와 고정판(1)의 개구부(1c)에 설치되며 치아의 교합면을 조사하는 LED 발광부(200)가 구비된 보조대(210)를 더 구비 할 수 있다. 보조대(210)에 설치된 LED 발광부(200)는 두 개의 3, 4 칫솔모(71-1, 72-1)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보조대(210)에 지지된 LED 발광부(200)의 배면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돌기(2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혀크리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 7a와 도 7b에서 다수개의 돌기(220)가 형성된 배면에 또 다른 LED 발광부(미도시)가 형성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미백 조성물이 과산화물인 경우에 450-480nm인 백색광에 여기될 때 색 분해능이 가장 좋게 나타나며, 광 촉매의 에너지가 미백제에 전달되는 에너지 전달 효율은 미백제가 흡수하는 광 에너지 량에 관계되므로 광 촉매의 파장은 미백제가 흡수하는 파장대역 중심으로 분포해야 되는데, 미백제의 공명흡수 파장은 400-500nm인 백색광으로 알려져 있어 상기 LED 발광부는 이와 같은 파장의 광을 출사하여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보조대(21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고정판(1)에는 주변과 연결하는 상부 연결부(1a)가 구비되고, 이 상부 연결부(1a)에는 상기 보조대(210)의 단부에 형성된 보조대저어널부(230)를 지지하는 보조축수부(1b)를 구비한다. 상기 LED 발광부(200)는 고정판(1)의 후면에 형성된 개구부(1c)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대(210)는 고정판(1)와 중간체(12)에 형성된 삽지지공(89)을 통하여 상기 하부체(11)에 설치된 접속부(240)과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접속부(240)는 보조대(210)의 LED 발광부(20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주지기술을 이용할 수 있어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구강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동 칫솔(300), 사용자 단말(400), 관리자 단말(500) 및 치아 관리 서버(600)를 포함한다.
전동 칫솔(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55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 관리자 단말(500) 및 치아 관리서버(600) 중 어느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전동 칫솔(300)은 제어 장치(1100-1)를 구비한다.
도 9는 도 8의 전동 칫솔(300)의 제어 장치(1100-1)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100-1)는 전면 카메라부(1130), 조명부(1140), 후면 카메라부(1130-1), 감지부(1150), 전원 배터리(1160), 저장부(1170), 통신부(1180), 제어부(1190) 및 미백 조성물 분사부(1195)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동 칫솔(300)은, 도 7의 보조대(210)의 전면에는 전면 카메라부(1130)와 조명부(1140)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측에 후면 카메라부(1130-1)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카메라부(1130)는 구강 내부의 잇몸, 치아 등의 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의 내시경 형태일 수 있고, 조명부(1140)는 촬영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장치로서, 조명용 LED와 같은 발광수단으로 촬영 방향을 향해 조사할 수 있다.
여기에서, 후면 카메라부(1130-1)는 전동 칫솔(300)이 치아의 외부에 있는지 아니면 내부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1190)는 후면 카메라부(1130-1)를 사용하여 촬영한 영상의 밝기를 측정하여 밝기가 일정 기준 이상이면 전동 칫솔(300)이 치아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판단하여 미백 조성물을 분사하고 LED 발광부를 작동 시킨다.
이와 달리 제어부(1190)는 후면 카메라부(1130-1)를 사용하여 촬영한 영상의 밝기를 측정하여 밝기가 일정 기준 이하이면 전동 칫솔(300)이 치아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판단하여 미백 조성물을 분사하지 않도록 하고 LED 발광부를 작동 시키지 않는다.
또한, 보조대(210)는 타 측에 감지부(1150)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150)는 보조대(210)를 기준으로, 전면 카메라부(1130)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전면 카메라부(1130)의 상하 촬영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50)는 중력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일 수 있다.
예컨대, 중력센서는 중력이 이동하는 방향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로, 상하위치 바뀜 현상이 발생할때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자이로센서는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또한, 압력센서는 작은 직육면체 또는 실린더 형상의 하부 또는 상부에 미세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작은 부피의 압력센서를 고정 설치하고, 압력센서의 상부에 일정 무게를 가진 볼또는 베어링이 위치할 경우에 압력센서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대(210)는 전면 카메라부(1130), 후면 카메라부(1130-1), 조명부(1140) 및 감지부(1150)를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대(1150)는 일측에 미백 조성물을 분사할 수 있는 미백 조성물 분사 홀(미도시)을 더 포함하며, 내부에 미백 조성물 유로관(미도시)을 포함하며, 미백 조성물 분사용 모터는 하부체(11)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사홀, 유로관 및 분사용 모터는 미백 조성물 분사부(1195)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미백 조성물은 치과용 미백제, 바인더 및 제1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치과용 미백제는 과산화물, 하이포아염소산염, 과탄산염, 과산화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은 과산화수소, 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륨,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 과붕산나트륨, 소듐 퍼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포아염소산염은 하이포아염소산 나트륨, 하이포아염소산 칼륨, 하이포아염소산 칼슘, 하이포아염소산바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탄산염은 과탄산나트륨, 과탄산칼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산화산은 과산화아세트산, 과산화일인산, 과산화이인산, 과산화일황산, 과산화이황산, 과산화질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500,000~4,0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인더는 이온성 고분자, 비이온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성 고분자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프로필 셀룰로오스(carboxypropyl cellulos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폴리아 크릴산(polyacrylic aci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매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백 조성물은 상기 치과용 미백제 100중량부, 상기 바인더 30~1,700중량부 및 상기 제1 용매 300~3,2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부체(11)의 내부에는 전원 배터리(1160), 저장부(1170), 통신부(1180), 제어부(1190)가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 배터리(1160)는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저장부(1170)는 촬영된 영상 및 감지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통신부(1180)는 사용자 단말(400)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고, 전면 카메라부(1130), 후면 카메라부(1130-1), 조명부(1140), 감지부(1150), 미백 조성물 분사부(1195)의 설명은 전술되어 생략한다.
또한, 통신부(1180)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Wi-Fi)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저장된 또는 촬영된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후술할 보정 값을 전송받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90)는, 사용자의 치아의 윗니와 아랫니에 대한 상태를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카메라부(1130)의 상하 촬영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1150)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따라, 전면 카메라부(1130)를 통해 획득한 영상들을 상기 상하 방향의 영상들로 분리시켜 저장부(1170)에 저장하고, 분리된 영상들을 통신부(1180)에 의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90)는 상기 전면 카메라부(1130)의 상하 촬영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1150)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따라, 치아의 아랫니 방향으로 촬영하는 전면 카메라부(1130)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제1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저장하고,
치아의 윗니 방향으로 촬영하는 전면 카메라부(1130)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제2 식별표시를 삽입하여 저장함으로써, 치아의 상하, 예컨대, 윗니와 아랫니 방향의 영상을 분리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전송받은 윗니와 아랫니로 분리된 영상들 및 관련 정보를 근거로, 치아 상태, 치솔질에 대한 횟수 카운트, 충치 여부, 양치질 시간정보, 잇몸상태, 치아 안쪽 면의 미백 상태 등을 보다 면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90)는 조명부(1140)의 광원을 기준으로, 촬영된 영상의 컨트라스트, 화이트밸런스, 노출, 채도, 선명도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의 보정 값을 전송받아, 보정 값에 따른 영상으로 보정하는 이미지 프로세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9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분리된 영상들에 대한 각각의 보정 값을 전송받아, 상기 보정 값에 상응하는 영상들로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정된 영상들을 근거로, 윗니와 아랫니 상태를 보다 명확히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전면 카메라부(1130)로부터 전송받은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미맥 상태를 파악하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제어부(1190)를 통하여 미백 조성물 분사부(1195)를 제어하여 미백 조성물을 분사하도록 하고, LED 발광부가 작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감지부(1150)의 가속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가속도를 기반으로 최대치를 지나는 지점에서 미백 분사부(1195)를 제어하여 미백 조성물을 분사하도록 하고, LED 발광부가 작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후면 카메라부(1130-1)로부터 전송받은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후면 카메라부(1130-1)를 사용하여 촬영한 영상의 밝기를 측정하여 밝기가 일정 기준 이상이면 전동 칫솔(300)이 치아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판단하여 미백 조성물을 분사하고 LED 발광부를 작동 시킨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190)가 전면 카메라부(1130)가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미백 상태를 파악하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 미백 조성물 분사부(1195)를 제어하여 미백 조성물을 분사하도록 하고 치료용 램프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90)는 감지부(1150)의 가속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가속도를 기반으로 최대치를 지나는 지점에서 미백 조성물 분사부(1195)를 제어하여 미백 조성물을 분사하도록 하고, LED 발광부가 작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90)은 후면 카메라부(1130-1)로부터 전송받은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후면 카메라부(1130-1)를 사용하여 촬영한 영상의 밝기를 측정하여 밝기가 일정 기준 이상이면 전동 칫솔(300)이 치아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판단하여 미백 조성물을 분사하고 LED 발광부가 작동하도록 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0)은 전동 칫솔(30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휴대한 단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400)은 전동 칫솔(300)과 통신하기 위하여, 치아 관리서버(600)로부터 네트워크(550)를 통해 제공받는 치아 관리서비스를 통해 전동 칫솔(300)에 저장된 또는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치아 관리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치아 관리 서버(600)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고, 치과의사 또는 관리자에게 치아 상태에 대해 점검을 의뢰할 수 있도록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형태로 제공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에 의해 치아 관리서비스 중 자동 전송모드 설정이 되면, 전동 칫솔(300)을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을 관리자 단말(500) 및 치아 관리서버(600) 중 어느 하나에 전송할 수 있도록 전동 칫솔(3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자 단말(500)은 치아 상태를 관리 및 치료하는 의사가 휴대한 단말이고, 치아 관리서버(600)는 각 단말들(400, 500)과 네트워크(550)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각 단말들(400, 500)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처리장치이다.
즉, 사용자가 전동 칫솔(300)을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을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치아 관리서버(600)에 전송함과 동시에 점검을 요청하면, 치아 관리서버(600)는 해당 영상을 관리자 단말(500)에 중계하여 치아 상태에 대한 점검결과를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전송받고, 해당 결과를 해당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동 칫솔(300)을 이용하여 자가 진단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병원에 직접 내원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전송받은 치아 상태에 대한 점검결과를 토대로, 치과 방문시기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아 관리 서버(600)는 인공 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치솔(10)로부터 전송받은 촬영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이 치아 상태를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치료 방법등을 사용자 단말(40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칫솔에 사용되는 칫솔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칫솔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칫솔의 구성요소 중 칫솔대에 칫솔모를 식모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이, 상기 칫솔(21)의 칫솔모(27)를 식모하지 않은 회전축(23)과 칫솔모(27)를 식모한 칫솔대(25)로 분할하여 형성한 후 조립하되, 상기 회전축(23)은 플렉시블한 플라스틱봉으로 형성하고, 상기 칫솔대(25)는 경질의 메탈와이어로 형성한 데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은 플렉스블한 플라스틱봉으로 형성함으로써, 모터의 회전력을 칫솔모까지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3)의 상단에는 관체(23a)를 형성하여 상기 칫솔대(25)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23)의 하단에는 각기둥(23b)을 형성하여, 상기 구동축과 결합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구동축 상단에는 상기 각기둥(23b)에 맞는 각홈을 형성한다.
상기 칫솔대(25)는 경질의 메탈와이어로 성형함으로써, 양치 중의 칫솔대의 칫솔부 식모 부분이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막아 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양치 효과를 높이고 칫솔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다. 상기 메탈와이어는, 스테인레스와이어, 아연합금와이어, 주석합금와이어, 동합금와이어 등 쉽게 부식되지 않는 메탈와이어들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칫솔대(25)를 2개의 메탈와이어를 인접시켜 나선형상으로 서로 꼰 이중메탈와이어로 성형한 데 있다. 이 때, 상기 칫솔모(27)는 상기 2개의 메탈와이어를 비틀기 전에 상기 2개의 메탈와이어(25)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2개의 메탈와이어를 비틀어 2개의 메탈와이어가 나선 형태로 꼬이게 되면, 그 내부에 배열된 칫솔모(27)도 나선 형상으로 배열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칫솔대(25)를 성형할 경우, 칫솔대(25)에 대한 나선형 칫솔모(27)의 단일 가닥 연속 식모가 가능하므로, 이를 통해 치간 세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뿐만 아니라, 칫솔모(27)의 회전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부 칫솔대(25)를 이중메탈와이어로 성형할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칫솔대(25)의 상하부에는 상부캡(31)과 하부캡(29)을 씌운 후 후술하는 브라켓 또는 회전축(23)에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 10 내지 도 12는 제1 칫솔과 제2 칫솔에 대응되며, 제3칫솔과 제4 칫솔은 칫솔대와 칫솔모로만 이루어져 있다.
칫솔대(25)는 항균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항균 물질은 유기 실란 4 차 아민 화합물 및 4 차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 실란 4차 아민 화합물은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데실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3- 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옥타데실 암모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4 차 암모늄 화합물은 클로라이드 또는 사카 라이 네이트 카운터 이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 할 수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하부체
12 : 중간체 13 : 상부체
41~44 : 구동축 51~54 : 회전축
71, 71-1, 72, 72-1 : 칫솔모 80 : 고정구
300 : 전동 칫솔 400 : 사용자 단말
500 : 관리자 단말 600 : 치아 관리 서버

Claims (15)

  1. 하부체와 중간체, 그리고 상부체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체 내부 상부에 설치되는 전동모터;
    상기 하우징의 하부체 내부 하부에 설치되고, 전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
    상기 하우징의 하부체 내부에 설치된 전동 모터에 연결되고 하부체 상부에 설치된 4개의 구동축;
    제 1 칫솔모가 고정되고 상부체의 통공을 통해 제1 구동축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축;
    제 2 칫솔모가 고정되고 상부체의 통공을 통해 제2 구동축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축;
    상단부가 하우징의 중간체와 상부체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부체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제3 회전축;
    상기 하우징의 상부체의 상단 일측에서 상기 제3 회전축과 접속되는 제 1 구동기어;
    상단부가 하우징의 중간체와 상부체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부체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제4 회전축;
    상기 하우징의 상부체의 상단 일측에서 상기 제4 회전축과 접속되는 제 2 구동기어; 상기 제 1 구동기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3 칫솔모;
    상기 제 2 구동기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 4 칫솔모;
    상기 하우징의 상부체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 1, 2, 3, 4 칫솔모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체의 상단에는 고정판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판의 주위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에는 고정돌기 후면에 돌출되어 있고, 고정구 주위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홈에 고정돌기를 끼움 결합하고, 끼움홈에 끼움돌기를 끼움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정구가 상부체의 상단에 있는 고정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상부체의 후방 상부에 고정구 접속편이 마련되고, 상단에 하부 받침체와 상부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기어함의 하부 받침체가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기어함의 내부 하단 일측에는 제3 회전축의 상단부와 접속되는 제1 동력전달기어가 설치되고, 제4 회전축의 상단부와 접속되는 제2 동력전달기어가 설치되며, 기어함의 내부 하단 일측에 제1 동력전달기어와 접속되는 제 1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기어함의 내부 하단 타측에 제2 동력전달기어와 접속되는 제 2 구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기어함의 상부 일측 전방과 상부 타측 전방에는 제 1 연결함과 제 2 연결함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연결함과 제 2 연결함은 각각 하부 접속체와 상부 덮개체로 이루어지고, 각 하부 접속체의 하단 후방에 구동기어축 접속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함 상부 덮개체의 상단 일측과 타측에는 제 1 접속관과 제 2 접속관이 마련되며, 제 1연결함의 하부 접촉체의 구동기어축 접속구멍은 상기 제 1 접속관에 삽입 결합되고, 제 2연결함의 하부 접촉체의 구동기어축 접속구멍 상기 제 2 접속관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연결함 각각의 내부 후방에는 구동풀리가 설치되고, 각 연결함의 내부 전방에는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로 접속되는 종동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연결함에 내장되는 구동풀리는 기어함의 제 1 접속관 및 제 1 연결함의 구동기어축 접속구멍을 거쳐 제 1 연결함 내부로 진입되는 제 1 구동기어축에 접속되고, 제 2 연결함에 내장되는 구동풀리는 기어함의 제 2 접속관 및 제 2연결함의 구동기어축 접속구멍을 거쳐 제 2 연결함 내부로 진입되는 제 2 구동기어축에 접속되고, 상기 각 연결함의 상부 덮개체의 상단 전방에는 칫솔모 접속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제 1 연결함에 내장되는 종동풀리에는 제 1 연결함의 칫솔모 접속구멍을 거쳐 제 1연결함의 내부로 진입되는 제 3 칫솔대기 접속되고, 연결함의 칫솔모 접속구멍을 거쳐 제 2 연결함의 내부로 진입되는 제 4 칫솔대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3 칫솔모는 반 시계방향, 그리고 우측에 위치된 제 2, 4 칫솔모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는 전동 칫솔.
  8.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후방에 하우징 상부체의 고정판(14)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끼움부;
    전방에 칫솔모 수용부; 및
    상기 칫솔모 수용부의 양측에 차단벽으로 구성된 전동 칫솔.
  9.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제1 칫솔모와 제2 칫솔모 사이의 전면에 위치하는 LED 발광부가 구비된 보조대를 더 포함하는 전동 칫솔.
  10.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후면에 위치하는 LED 발광부가 구비된 보조대를 더 포함하는 전동 칫솔.
  11.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제1 칫솔모와 제2 칫솔모 사이에 위치하는 혀크리너부가 구비된 보조대를 더 포함하는 전동 칫솔.
  1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칫솔모는 제1 칫솔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칫솔모는 제2 칫솔대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칫솔대와 제2 칫솔대는 항균 물질로 코팅되어 있는 전동 칫솔.
  13. 청구항 12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물질은 유기 실란 4 차 아민 화합물 및 4 차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동 칫솔.
  14.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실란 4차 아민 화합물은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 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디데실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3- 트리히드록시실릴프로필옥타데실 암모늄을 포함하는 전동 칫솔.
  15.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4 차 암모늄 화합물은 클로라이드 또는 사카 라이 네이트 카운터 이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전동 칫솔.
KR1020190030948A 2018-10-26 2019-03-19 전동 칫솔 KR102261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712 2018-10-26
KR20180128712 2018-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447A KR20200049447A (ko) 2020-05-08
KR102261297B1 true KR102261297B1 (ko) 2021-06-09

Family

ID=7067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948A KR102261297B1 (ko) 2018-10-26 2019-03-19 전동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674A2 (en) * 2022-01-20 2023-07-27 Hee Chan Cha Light irradiating toothbrush having multiple light sources arranged in altern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0084A (ja) * 1999-12-16 2001-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スコープ付き歯磨き装置
KR100602988B1 (ko) * 2005-02-07 2006-07-19 박근남 롤형 브러시를 구비한 전동칫솔
KR101056274B1 (ko) * 2009-03-31 2011-08-11 남용호 전동칫솔
US20150075560A1 (en) * 2013-09-18 2015-03-19 Alexander Kandemir Flat Belt Treadmill-like Rotation Toothbrush
CN106137434A (zh) * 2016-06-23 2016-11-23 郭进标 一种抗菌耐用电动牙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847Y1 (ko) 2002-11-22 2003-03-03 류장욱 이중칫솔모를 구비한 전동칫솔
KR100683814B1 (ko) 2005-07-20 2007-02-15 남용호 전동칫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0084A (ja) * 1999-12-16 2001-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スコープ付き歯磨き装置
KR100602988B1 (ko) * 2005-02-07 2006-07-19 박근남 롤형 브러시를 구비한 전동칫솔
KR101056274B1 (ko) * 2009-03-31 2011-08-11 남용호 전동칫솔
US20150075560A1 (en) * 2013-09-18 2015-03-19 Alexander Kandemir Flat Belt Treadmill-like Rotation Toothbrush
CN106137434A (zh) * 2016-06-23 2016-11-23 郭进标 一种抗菌耐用电动牙刷
CN106137434B (zh) * 2016-06-23 2017-12-12 赣州大良贸易有限公司 一种抗菌耐用电动牙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447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8838B2 (en) Toothbrush with an imaging device being camera
US8978189B1 (en) Omnibrush
US9861459B2 (en) Toothbrush and method for proper brushing of teeth and gums in the direction of gum growth optionally with an attached camera
CN105796201A (zh) 一种牙套式超声波牙刷
JP2009502214A (ja) 活性化加工面を有する口腔組織処置用装置
US20160095681A1 (en) Sonic toothbrush and whitening compound
US10980410B1 (en) Video toothbrush
JP2004208961A (ja) 内視鏡管路洗滌装置
JP4540015B1 (ja) カメラ付き歯ブラシ
KR102261297B1 (ko) 전동 칫솔
CN211094905U (zh) 一种可视电动牙刷
KR101235129B1 (ko) 양치 시스템
US20220015883A1 (en) Electric toothbrush
JP2008295994A (ja) 照明付きシステム歯ブラシ
US20160317007A1 (en) Video capable electric toothbrush for proper periodontium prophylaxis
JP2010213831A (ja) 歯ブラシ
KR101241374B1 (ko) 치과 진료용 거울
US20210085168A1 (en) Smart toothbrush utilizing fluorescence and intraoral camera
KR101736010B1 (ko) 치아 모니터링용 칫솔
US20210282632A1 (en) Video toothbrush
JP3227705U (ja) 歯ブラシ及び健康管理システム
CN211300447U (zh) 一种电动牙刷的刷头
CN112261917B (zh) 电动牙刷
CN205493767U (zh) 一种带有摄像功能的洁牙机手柄
KR100629839B1 (ko) 회전형 전동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