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882Y1 -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내장된 칫솔 - Google Patents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내장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882Y1
KR200397882Y1 KR20-2005-0019466U KR20050019466U KR200397882Y1 KR 200397882 Y1 KR200397882 Y1 KR 200397882Y1 KR 20050019466 U KR20050019466 U KR 20050019466U KR 200397882 Y1 KR200397882 Y1 KR 200397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lid
toothbrush
pressure plat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근
Original Assignee
정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근 filed Critical 정운근
Priority to KR20-2005-0019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8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8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46B11/0037A piston or plunger advanced by direct pushing along the side of brus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62Brushes where the reservoir is specifically intended for being refilled when empt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79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leakage or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약이 내장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치약을 배출공을 통하여 브러쉬 쪽으로 배출할 때 뿐 아니라 치약을 다시 수용실에 재충전할 경우에도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브러쉬를 구비한 상부체를 덮는 뚜껑에 의하여 피스톤 가압판이 가압되는 형태로 되어 있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은 브러쉬, 상기 브러쉬가 배열되어 있고 배출공을 갖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배출공과 연결된 도관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 결합부를 갖는 본체로 이루어진 상부체; 상기 상부체의 본체 결합부와 결합되는 대응 결합부를 갖는 하부체; 상기 상부체를 덮는 뚜껑; 및 상기 하부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하면이 상기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호 결합된 상기 상부체, 상기 하부체, 그리고 상기 피스톤 가압판에 의하여 치약 수용실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TOOTHBRUSH WITH BUILT-IN TOOTHPASTE EQUIPPED WITH PISTON PRESS PLATE PRESSED BY CAP}
본 고안은 치약이 내장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치약을 배출공을 통하여 브러쉬 쪽으로 배출할 때 뿐 아니라 치약을 다시 수용실에 재충전할 경우에도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브러쉬를 구비한 상부체를 덮는 뚜껑에 의하여 피스톤 가압판이 가압되는 형태로 되어 있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치약이 내장된 칫솔과 관련된 기술로는
먼저, 치약 튜브 자체를 칫솔에 내장한 실용신안등록 제0026140호(1984.05.03) 『치약을 내장한 칫솔』이 있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판매되는 치약 튜브는 너무 커서 칫솔에 내장하여 사용하기에는 불편하고, 특수 제작된 소형 튜브를 별도로 제작할 경우에는 제품경쟁력에 필수조건인 단가경쟁력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 나사산을 타고 이동되는 이동압구를 통하여 통체 내부의 치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실용신안 공고 제1986-0002842호(1986.10.20) 『치약이 구비된 칫솔』의 경우,
사용시에는 이동압구가 조금씩 이동되나 치약의 재충전시에는 수십번을 회전시켜 이동압구를 하방으로 이송시켜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칫솔과 같이 치약 배출 방식이 유사한 것으로
치약이 내장된 소위 자바라(蛇腹,じゃばら)로 불리는 주름용기를 수용하고,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압지판을 통하여 치약이 배출되도록 한 실용신안등록 제0062664호(1992.01.30) 『치솔』, 그리고
통상의 학용품 커터에서와 같이 탄편을 가진 접동압구와 관련된 실용신안공고 제1985-0002215호(1985.10.10) 『치약을 가진 칫솔』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는 치약의 재충전시 튜브에서 분출되는 치약의 압력을 이용하여 피스톤 단부의 가압판이 차츰 후퇴하면서 치약이 수용실을 충실하게 꽉 채우는 방식의 치약 충전방식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갖는다.
아울러 텔레스코픽 타입의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것으로,
플런저를 다단 절첩 가능한 신축로드의 단부에 구비된 패킹으로 구성하고, 상기 패킹이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어 칫솔대의 치약유입로와 섕크의 치약유출로가 칫솔대의 조절로 상호 연통될 경우, 상기 플런저의 패킹에 의하여 가압된 치약실의 치약이 칫솔모의 유출공으로 배출되도록 한 실용신안등록 제0224272호(2001.03.07) 『치약 내장형 칫솔』와,
나사산을 타고 승하강되는 피스톤을 지지하는 다단 피스톤축 및 안내축과 관련된 것으로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한 실용신안등록 제0369941호(2004.12.01) 『치약이 내장된 칫솔』과 실용신안등록 제0369942호(2004.12.01) 『치약이 내장된 칫솔』이 있으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224272호는 치약 재충전시 스프링의 탄성력 이상으로 치약을 밀어 넣어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치약 재충전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갖고,
실용신안등록 제0369941호 및 제0369942호는 역시 치약을 재충전할 경우 피스톤축과 안내축을 십여회 이상의 반복된 회전에 의하여 완전히 하부로 내려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종래 치약 내장형 칫솔에서 치약의 재충전시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치약의 배출을 위하여 피스톤 가압판을 가압하는 것이 브러쉬를 구비한 상부체를 덮는 뚜껑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칫솔을 간단하게 구성하고, 치약을 수용실에 재충전할 경우 튜브에서 분출되는 치약의 압력만으로도 피스톤 가압판이 후퇴할 수 있어 있는 치약 내장형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치약의 재충전시 튜브에서 배출되는 치약의 압력이 가압판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체 주입구의 내경이 튜브의 주둥이를 밀착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칫솔에 충진된 치약의 건조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은 브러쉬, 상기 브러쉬가 배열되어 있고 배출공을 갖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배출공과 연결된 도관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 결합부를 갖는 본체로 이루어진 상부체; 상기 상부체의 본체 결합부와 결합되는 대응 결합부를 갖는 하부체; 상기 상부체를 덮는 뚜껑; 및 상기 하부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하면이 상기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호 결합된 상기 상부체, 상기 하부체, 그리고 상기 피스톤 가압판에 의하여 치약 수용실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치약이 내장된 칫솔을 설명함에 있어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상부체(10)의 브러쉬(15)가 구비된 쪽을 상부로 하고 그 반대쪽을 하부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칫솔(B)에서 상부체(10)는 본체(11)의 상단부에 브러쉬(15)가 배열되어 있는 고정부(13)를 갖고, 상기 본체(11)의 도관(11A)은 상기 고정부(13)의 브러쉬(15) 쪽으로 형성된 치약 배출공(13a)으로 이어져 있다.
상기 상부체(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암나사부(11a)와 결합되는 수나사부(21a)가 상단부 주입구(21A)에 형성된 하부체(20)는 측면에 안내장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부(11a)와 수나사부(21a)로 이루어진 결합부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상부체(10)의 결합부가 수나사부이고 상기 하부체(20)의 결합부가 암나사부일 경우에는 치약이 하부체의 암나사부의 나사산에 끼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치약(P)의 재충전 등으로 상부체(10)와 하부체(20)의 분리하고 재결합 하는 동작이 반복될 경우 상기 암나사부의 나사산이 메워져 상부체와 하부체의 결합이 어렵거나 불가능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하부체(20)는 관상의 형태로 내부에는 상기 하부체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피스톤 가압판(33)이 밀착 수용되고, 상기 하부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압판(33)이 하방으로 빠져 나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23)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시 상기 하부체(20)의 하단부 결합부는 수나사부(21b)이고, 상기 이탈방지부재(23)의 결합부는 암나사부(23b)로 되어 있어 치약이 상기 수나사부(21b)에 묻을 경우 발생되는 문제가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23)의 하방에 형성된 걸림턱(23a)은 상기 가압판(33)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져야 하고, 그 중심에는 삽입공(23c)이 형성되어 있어, 본 고안의 핵심인 상기 상부체(10)를 덮는 뚜껑(30)이 상기 삽입공(23c)에 끼워져 상기 가압판(33)을 밀어 치약(P)의 분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압판(33)은 고무 또는 천연고무 등의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기밀성과 형상유지력을 동시에 보장하기 위하여 연질의 외피에 감싸인 골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상부체(10)의 도관(11A) 및 배출공(13a)까지 연통되어 있는 치약(P) 수용실(C)은 상호 결합된 상기 상부체(10), 상기 하부체(20), 그리고 상기 피스톤 가압판(33)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수용실(C)의 밀폐성 보장를 위하여 가압판이 너무 연질이거나 두께가 얇아 뒤집힐 위험이 없어야 한다.
상기 상부체(10)를 덮는 뚜껑(30) 하단부의 내주면은 상기 하부체(20)의 수나사부(21a) 하부의 단턱(21c)의 외주면과 억지끼움의 형태로 결합된다. 억지끼움을 위하여 상기 뚜껑(30)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통상의 만년필 등에서와 같이 미세 돌기가 형설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부체(10)를 덮는 상기 뚜껑(30)의 고정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일례로 상기 뚜껑은 상기 상부체(10)의 본체(11) 하단부에 결합되는 형태로도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뚜껑(30)은 본 고안에서 상기 하부체(20)에 내장된 피스톤 가압판(33)을 가압하여 치약(P)을 상기 상부체(10)의 배출공(13a)으로 나오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사실상 피스톤의 로드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피스톤 가압판(33)의 외형 및 크기와 거의 같은 외형 및 크기를 가져서 상기 가압판 하면과의 접촉면적을 가능한 넓혀 안정되게 가압판(33)을 밀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적어도 상기 뚜껑(30)의 상면은 상기 가압판(33)의 크기 및 외형과 같은 것이어야 하고, 통상적으로 제조의 간편성과 미관의 일관성을 위하여 뚜껑 전체에 걸쳐 횡단면의 형상 및 면적이 동일한 것이 좋을 것이다.
또 당연히 상기 뚜껑(30)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체(20)의 내부 횡단면적보다 작아야 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23)가 구비된 칫솔에서는 상기 삽입공(23c)의 횡단면적 보다 작아야 한다.
나아가 상기 뚜껑(30)의 외주면에는 공기배출수단으로써 길이방향의 돌기(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뚜껑(30)의 상승시 뚜껑의 상단부와 상기 가압판(33) 사이에 공기가 압축되는 현상으로 상기 뚜껑(30)의 상승이 방해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에는 공기배출수단의 변형예로 뚜껑(13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의 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치약(P)을 상부체(10)의 배출공(13a)으로 배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뚜껑(30)을 상기 상부체(10)에서 분리하여 상기 이탈방지부재(23)의 삽입공(23c)으로 투입하여 상기 피스톤 가압판(33)의 하면과 접촉한 상태로 밀면, 상기 가압판(35)에 의하여 치약(P)이 가압되면서 도관(11A)을 거쳐 배출공(13a)으로 배출되어 브러쉬(15)에 치약이 묻게 된다.
상기 수용실(C)의 치약이 모두 배출된 후의 상태는 도 3의 상태가 된다.
상기 하부체(20)의 내부 횡단면 형상과 상기 가압판(33)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이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 반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있다.
도 1에서 하부체(20)에서 수나사부(21a)가 형성된 주입구(21A)의 단면적은 다른 하부체(20)의 상단부 단면적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하부체의 상단부가 90도의 각도로 꺾인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피스톤(30)에 의하여 수용실(C) 내부의 치약이 모두 배출되지 않고 상기 수나사부(20a) 구간만큼의 용량은 남아있게 되는데, 가능한 배출되지 않고 남아 있는 치약의 양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피스톤 가압판(33)에 의하여 배출되지 못하는 치약은 도 4에서와 같이 치약의 재충전시 다시 하방으로 밀려들어가고, 치약의 재충전 이후 배출시 밀려 나오게 된다.
도 4와 같이, 치약 수용실(C) 내부의 치약(P)이 모두 소진되면, 상부체(10)와 하부체(20)를 분리하고, 통상적으로 판매되는 튜브(T)형 치약을 구입하여 상기 하부체(20)의 주입구(21A)를 통하여 재충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체(20)의 주입구(21A) 내경은 치약 튜브(T) 주둥이(T1)의 외경을 어느 정도 꽉 끼는 느낌으로 밀착 수용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하여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튜브(T)의 치약을 짜더라도 상기 하부체 외부에 치약이 묻거나 의도치 않은 방향으로 치약이 급격하게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상기 뚜껑(30)이 분리되고 튜브(T)의 주둥이(T1)와 주입구(21A)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T)를 짜면 분출되는 치약(P)의 가압력만으로 상기 가압판(33)이 후진하면서 수용실(C)에 치약이 충전된다.
만약 상기 가압판(33)이 후방으로 미리 이동해 있는 상태에서 튜브(T)를 가압하면 수용실(C) 내부의 공기가 빠져 나갈 곳이 없어 결국 상기 주입구(21A)로부터 상기 튜브(T)의 주둥이(T1)가 갑자기 빠져 나오게 되고 튜브(T)의 치약이 사방으로 튈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튜브(T)의 주둥이(T1)의 외경 보다 하부체(20) 주입구(21A)의 내경이 더 클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5에는 도 1의 칫솔에 소위 자바라(蛇腹,じゃばら)로 불리는 주름용기(50)를 통하여 치약을 공급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주름용기(50)는 수용실(C)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조부호 51은 용기(50)의 배출구를 지칭한다.
또 도 6에는 상부체(10) 고정부(13)의 배출공(13a)에 구비되어 공기와 치약의 접촉으로 치약이 건조되어 상기 배출공(13a)이 막히는 문제, 또는 건조되어 덩어리 진 치약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칫솔질 시 이물감을 느끼거나 치약 덩어리로 인하여 잇몸을 다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폐막(4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개폐막은 천연 또는 인조 고무, 실리콘, 각종 합성수지 등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피스톤의 가압력에 의한 치약 배출시 벌어지고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오므라드는 절개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막(40)의 고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시된 고정수단은 상기 배출공(13a) 측벽에 상기 개폐막(40)을 밀착 고정하는 고정링(43)이다.
상기 개폐막(40)으로 인하여 칫솔질 후 브러쉬(15)를 물로 세척할 경우 배출공(13a)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어 치약이 씻겨나가고 배출공(13a)을 통하여 물이 수용실(C)로 유입되어 치약이 묽어지고 오염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실제 칫솔의 사용에서 세척은 칫솔질 시에도 열려 있을 수 있는 상기 개폐막(40)의 절개부(41)가 물과의 마찰로 닫힐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은 피스톤 가압판을 가압하는 것이 브러쉬를 구비한 상부체를 덮는 뚜껑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칫솔, 특히 피스톤 부분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치약을 수용실에 재충전할 경우 튜브에서 분출되는 치약의 압력만으로도 피스톤 가압판이 후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치약을 수용실에 재충전할 경우 튜브에서 분출되는 치약의 압력만으로도 가압판만을 후퇴시키면 되므로 충전이 용이하고, 또 본 고안은 치약의 재충전시 튜브에서 배출되는 치약의 압력이 가압판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체 주입구의 내경이 튜브의 주둥이를 밀착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아울러 본 고안은 상부체 배출공에 구비된 개폐막을 통하여 치약의 건조를 방지하고 치약 수용실 내부의 치약이 묽어지고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칫솔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과 관련된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칫솔에 치약을 재충전하는 상태와 관련된 단면도,
도 5는 주름용기 형태의 치약튜브를 장착한 것과 관련된 단면도,
도 6은 상부체의 치약 배출공에 구비되는 개폐막과 관련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1과는 다른 형태의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칫솔 C: 치약 수용실
10: 상부체 11: 본체
11A: 도관 13: 고정부
15: 브러쉬 20: 하부체
21A: 주입구 23: 이탈방지부재
23a: 걸림턱 30,130: 뚜껑
31,131: 공기배출수단 33: 피스톤 가압판
40:개폐막 43: 고정링
50: 주름용기 P: 치약

Claims (7)

  1. 브러쉬, 상기 브러쉬가 배열되어 있고 배출공을 갖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배출공과 연결된 도관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 결합부를 갖는 본체로 이루어진 상부체;
    상기 상부체의 본체 결합부와 결합되는 대응 결합부를 갖는 하부체;
    상기 상부체를 덮는 뚜껑; 및
    상기 하부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하면이 상기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호 결합된 상기 상부체, 상기 하부체, 그리고 상기 피스톤 가압판에 의하여 치약 수용실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의 주입구는 치약의 재충전을 위한 튜브의 주둥이를 밀착 수용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의 배출공에는 치약의 배출시 벌어지는 절개부를 갖는 탄성소재의 개폐막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막은 고정링에 의하여 상기 배출공 측벽에 밀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피스톤 가압판의 이탈를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수용실에는 치약이 내장된 주름용기(자바라(蛇腹,じゃばら))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외주면에는 공기배출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20-2005-0019466U 2005-07-05 2005-07-05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내장된 칫솔 KR200397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466U KR200397882Y1 (ko) 2005-07-05 2005-07-05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내장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466U KR200397882Y1 (ko) 2005-07-05 2005-07-05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내장된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882Y1 true KR200397882Y1 (ko) 2005-10-10

Family

ID=4369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466U KR200397882Y1 (ko) 2005-07-05 2005-07-05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내장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8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386B1 (ko) 화장용 브러시의 토출구조
US4001910A (en) Retractable brushes
KR100522309B1 (ko) 화장용브러시
KR100758217B1 (ko) 화장용브러시의 토출구조
KR101192211B1 (ko) 회전개폐형 브러시 튜브형 화장품용기
EP1832197B1 (en) Make-up case for discharging powder
US20070151571A1 (en) Cosmetics case
JP2008080086A (ja) チューブ形液状化粧品容器
KR20050064102A (ko) 화장용 브러시
KR100789295B1 (ko)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JP2011518598A (ja) チューブ型化粧品容器
CN108991706A (zh) 多色按压化妆笔
KR20080005628A (ko) 매니큐어
KR102209696B1 (ko) 선택적 토출이 가능한 두피 관리용 화장품용기
KR100757508B1 (ko) 화장용브러시
KR101325922B1 (ko) 액상화장품 용기
KR200456316Y1 (ko) 가압 유동식 개폐구조를 갖는 립글로스 용기
KR200397882Y1 (ko) 뚜껑에 의하여 가압되는 피스톤 가압판을 갖는 치약이내장된 칫솔
KR200397881Y1 (ko) 분리된 가압판과 피스톤 로드를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
KR100571507B1 (ko)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KR200416406Y1 (ko) 치약 내장형 칫솔
CN212125858U (zh) 一种化妆品容器
KR20060060532A (ko) 매니큐어
CN113148418A (zh) 出液容器
KR100757513B1 (ko) 화장용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