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486Y1 -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 Google Patents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6486Y1 KR200276486Y1 KR2020020004411U KR20020004411U KR200276486Y1 KR 200276486 Y1 KR200276486 Y1 KR 200276486Y1 KR 2020020004411 U KR2020020004411 U KR 2020020004411U KR 20020004411 U KR20020004411 U KR 20020004411U KR 200276486 Y1 KR200276486 Y1 KR 20027648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brush
- toothpaste
- container
- plunger
- outle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약을 내장하는 치솔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상 치약을 담을 수 있는 용기와 치솔부를 연결부로 연결하고, 용기, 연결부 및 치솔부에 걸쳐 수송수단이 내장됨으로써, 치약을 펌핑하여 치솔부의 치솔모가 고정된 부위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소망하는 양만큼의 치약을 배출시켜 편리하게 양치질을 시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치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젤형 치약을 내장하는 용기를 가지며, 상기 용기에 노즐로 펌프가 연결되어 일정량의 치약을 치솔에 형성된 배출구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치솔에는 착탈이 가능한 마개가 구비되고, 마개의 안측에는 치솔의 배출구의 입구를 막아 밖으로 치약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로드가 형성되어 있는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내를 청결하게 하기 위한 도구로서 치솔을 주로 사용하는데, 보다 편리하게 양치질을 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치솔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치솔의 구조는 통상적으로 치솔모가 다수열로 배치되어 양치질시 구강 내에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치솔부와, 상기 치솔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주로 손으로 쥐기 편하도록 각진 형태를 갖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치솔의 구조에서 더 나아가 장기간의 여행이나 출장시 치솔과 치약을 동시에 지참해야 하는 불편함에서 벗어나고자 상기 손잡이부에 일정량의 치약이 내장되는 치솔 구조가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이 때 치솔의 치솔부와 손잡이부, 즉 치약의 용기는 서로 체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상기 치솔부는 축방향을 따라 안측에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치솔부의 상단 즉 치솔모가 배열된 부분으로 절곡 연장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치솔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5)는 치솔모(3a)가 구비된 치솔부(3)와, 치약이 내장되며 상기 치솔부(3)가 일단에 체결되어 서로 연통하는 용기(1)로 구성된다.
상기 치솔부(3)는 일측 상부에 복수열의 치솔모(3a)가 고정되고, 상기 치솔부(3)의 안측에는 축선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다가 상기 치솔모(3a)가 고정된 부위로 절곡되어 외부까지 이어지는 배출구(3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는 치약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축방향을 따라 길게 안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가압에 따라 탄력적으로 형상이 변형 및 복원되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용기(1)의 안측 공간은 상기 치솔부(3)가 상기 용기(1)의 일단부위에 체결되면, 상기 치솔부(3)의 배출구(3b)의 타측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가 눌려지면 안측에 내장된 치약이 가압되어 상기 배출구(3b)를 따라 이동되다가 결국 외부로 유출되며, 이 때 유출되는 치약의 양은 상기 용기(1)를 누르는 힘의 강약을 조절하여 달리하게 된다.
그런데 이 때 상기 용기(1)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치약의 종류는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크림 타입이기 때문에, 일정시간이 지나면 굳게 되어 아무리 용기(1)를 눌러도 치약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상기 용기(1) 내부의 치약이 굳지 않았더라도 치솔부(3)의 배출구(3b)내에 위치하는 치약이 굳게 되면, 역시 사용에 제약을 받게 되며 결국 잦은 청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편리함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지만 그 소기의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오히려 사용의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일정한 양씩 수회에 걸쳐 분할하여 분출되는 치약으로 용이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는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내장되는 치약을 일정양씩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안측에 펌핑수단이 내설되어 있는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장기간의 사용에도 치약이 고형화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치약을 보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액상 타입의 치약이 내장되는 용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일정량의 치약이 내부에 담겨있는 용기;
일측 상부에 치솔모가 복수열로 고정되고, 상기 용기의 치약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타측에서부터 상기 치솔모가 고정된 일측 상부에까지 관통 형성되는 치솔부;
상기 용기와 상기 치솔부가 연통하도록 일측은 상기 치솔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중공의 연결부;
상기 용기의 치약이 펌핑되어 상기 연결부를 거쳐 상기 치솔부의 배출구에 진입되도록 상기 용기, 연결부 및 치솔부에 걸쳐 내설되는 수송수단; 및
일측은 상기 연결부의 외주연에 돌출되고 타측 저면은 가압부재로 상기 수송수단에 연결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는 버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송수단은 상기 용기의 일측을 통해 안측으로 삽입되고 타측 내면에는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축이 포함되며, 상기 중공축에는 탄성스프링이 내재되는 중공의 실린더와,
상기 중공축에 상기 용기의 치약이 이동되도록 타측은 상기 용기 내에 위치하고 일측은 상기 중공축에 삽입되어 주위로 상기 탄성스프링이 위치하는 스트로우와,
내측으로 소정깊이의 홈부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부가 상기 중공축의 일측부위에 축선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실린더의 내주연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중공의 제 1플런저와,
상기 제 1플런저의 일측에 축선방향으로 연속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주연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제 1플런저와 상통하는 중공의 제 2플런저 및
상기 제 2플런저의 중앙에 상통하는 소정길이의 노즐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의 일측은 상기 치솔부의 배출구와 상통되도록 상기 배출구의 타측에 연장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며,
상기 노즐 형성 부위에 대해 소정거리를 두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노즐의 축선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져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제 2플런저의 일측에 연속 설치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축선방향으로 진입하여 상기 치솔부를 포함하고, 개봉된 타측은 상기 연결부에 형상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마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마개는 상기 헤드부의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위치로 내주연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로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일측으로 상기 헤드부의 타측에 대한 밀착부위 및 상기 용기의 일측으로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대한 밀착부위에는 수밀유지를 위한 고무링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치약은 유동성을 갖는 액상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치솔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상기 치솔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치솔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 용기 3: 치솔부
3a: 치솔모 3b: 배출구
5: 치솔장치 10: 치솔부
11: 배출구 12: 장공
13: 치솔모 20: 연결부
30: 수송수단 31: 헤드부
31a: 노즐 32: 제 1플런저
32a: 홈부 33: 제 2플런저
33a: 돌출공 34: 실린더
34a: 중공축 35: 탄성스프링
36: 스트로우 40: 용기
50: 버튼부 51: 가압부재
60: 고무링 70: 마개
71: 로드 100: 치솔장치
다음으로는 본 고안에 따른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치솔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치솔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치솔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솔장치(100)는 유동성이 있어 굳지 않는 액상 타입의 치약을 수회 사용할 수 있을 분량 만큼 내장할 수 있으며, 내장된 치약의 배출을 치약의 수송수단(30)에 연결된 버튼부(50)의 조작으로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액상 타입의 치약은 용기(40)에 보관되며, 상기 용기(40)에는 펌핑을 통해 용기(40)의 치약을 강제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수송수단(30)이 내장되어 상기 수송수단(30)의 노즐(31a)을 통해 치약의 배출은 물론 보충도 가능하다.
상기 용기(40)의 길이는 약 10cm 정도이고, 손으로 잡기가 용이하도록 원통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서 폴리스티렌에 약 15%∼20% 정도의 고무를 융합시켜 제조된 힙스(High Impact Polyethylene,HIPS)를 소재로 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용기(40)의 일측에는 중공의 연결부(20)가 축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용기(40)의 일측 테두리에는 단턱부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20)의 타측 테두리는 상기 용기(40)의 일측에 대한 끼움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단턱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이 때 상기 연결부(20)의 타측 테두리와 용기(40)의 일측 테두리 사이에는 수밀을 위한 고무링(6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40)에 상기 연결부(20)를 끼우게 되면 상기 용기(40)의 일측과 연결부(20)의 타측이 상기 고무링(60)의 양측 테두리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20)는 전체적으로 ABS 수지를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측으로 갈수록 편심되게 직경이 축소되는 형상을 취하고 있는데, 편심된 부위에 축선방향으로 치솔부(10)가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20)를 손에 쥐고 치솔부(10)를 각축방향으로 움직이기에 편리하다.
이 때 상기 치솔부(10)의 일측부위는 치솔모(13)가 구비되어 양치질의 수단으로 기능하며, 상기 연결부(20)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끼움 결합을 위해 상기 연결부(20)의 일측 테두리에는 단턱 부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턱부위에 상기 치솔부(10)의 타측 테두리가 형상적으로 대응하여 끼워지는데, 끼워지는 각 부위 사이에는 수밀을 위해 고무링(60)이 구비된다.
상기 치솔부(10)는 길이가 약 5cm 정도이고, 상기 용기(40)와 마찬가지로 힙스(HIPS)를 소재로 이루어져 양치질시 구강의 형태에 맞게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치솔부(10)의 일측 상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치솔모(13)가 복수열로 배치되어 있고, 축방향을 따라 안측에는 배출구(11)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배출구(11)의 일측이 상기 치솔모(13)가 만곡되어 상기 치솔모(13)가 노출되어 치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기능하며, 타단은 치솔부(10)의 타단에서부터 형성되는 장공(12)에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치솔부(10)에는 치솔모(13)의 위생적인 관리 및 양치질시 물컵 대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마개(70)가 구비된다. 상기 마개(70)는 길쭉한 원통형상으로 미국 필립스사(Philips Corp.)에서 개발된 반투명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인 케이-레진(K-Resin)을 소재로 이루어져 육안으로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마개(70)에서 개봉된 부위가 상기 치솔부(10) 방향으로 이동되면 치솔부(10)를 포함하고 결국 상기 연결부(20)의 외주연에 결합되면서 닫히게 된다.
이 때 상기 마개(70)의 개봉부위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마개(70)가 밀착되는 부위와 마개(70)가 밀착된 상기 연결부(20)의 외주연 부위는 단면상에서 볼 때 서로 수평을 이룬다.
그런데 상기 배출구(11)에는 상기 용기(40)로부터 배출된 치약이 상시 묻혀 있다. 따라서 상기 치솔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치약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마개(70)가 상기 치솔부(10)를 포함하여 연결부(2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배출구(11)를 막을 수 있는 로드(71)가 상기 마개(70)의 내주연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용기(40)의 치약이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40)와 연결부(20) 및 치솔부(10)에 걸쳐 수송수단(30)이 내설되어 있다.
상기 수송수단(30)은 상기 용기(40)의 안측에 위치하는 스트로우(36)를 통해 치약을 흡입하여 상기 연결부(20) 및 치솔부(10)의 장공(12)을 거쳐 배출구(11)까지 펌핑한다.
이를 위해 중공의 실린더(34)가 상기 용기(40)의 일측을 통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34)는 타측에 상기 스트로우(36)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 내벽에는 중공축(34a)이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탄성스프링(35)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축(34a)의 일측에는 중공의 제 1플런저(32) 및 중공의 제 2플런저(33a)가 축선방향으로 연속 설치되어 있으며 치약이 통과되도록 상통되어 있다.
상기 제 1플런저(32)는 내측으로 원형의 홈부(32a)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홈부(32a)에는 상기 중공축(34a)이 형상적으로 삽입되기 위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1플런저(32)가 상기 실린더(34)의 내주연을 따라 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면 상기 홈부(32a)에 대해 상기 중공축(34a)이 삽입과 이탈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플런저(33a)는 상기 제 1플런저(32)와 함께 상기 실린더(34)의 내주연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 2플런저(33a)의 일측에는 헤드부(31)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31)는 상기 제 2플런저(33a)의 일측 중앙의 중공부위에 연장 형성된 돌출공(33a)이 타측 중앙에 끼워지며, 상기 돌출공(33a)이 끼워진 부위에서부터 일측부위에 연장형성된 노즐(31a)의 일단에까지 관통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관통된 부위는 상기 돌출공(33a)의 입구에 연결된 부위에서부터 시작되어 상기 연결부(20)의 편심부위의 경사에 대응하여 하향으로 경사지다가 편심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는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노즐(31a)의 일단까지 연장된다.
상기 헤드부(31)는 상기 실린더(34)의 일측 내주연에 외주연이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31a)은 연결부(20)를 지나 상기 치솔부(10)의 장공(12)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31)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31a)이 연장 형성되기 시작되는 부위에서 소정거리를 두고 가압부재(51)의 타단이 노즐(31a)의 축선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51)는 상기 헤드부(31)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연결부(20)의 벽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버튼부(50)의 저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재(51) 및 헤드부(31)가 용기(40)의 타측방향으로 밀리면서 제 2플런저(33a) 및 제 1플런저(32)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플런저(32)의 홈부(32a)에 상기 중공축(34a)의 일측이 삽입되면서 상기 스트로우(36)의 일측이 상기 제 1플런저(32)의 중공부위에 삽입되는 일련의 과정이 일어난다.
여기서 탄성스프링(35)은 상기 제 1플런저(32)의 홈부(32a)가 종공축에 삽입되면서 가압되된다.
이 때 상기 버튼부(50)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헤드부(31), 제 2플런저(33a) 및 제 1플런저(32)가 상기 탄성스프링(35)에 의해 탄지되어 다시 용기(40)의 일측부위로 복귀되면서 일정한 흡입력으로 상기 용기(40)의 치약이 스트로우(36)를 거쳐 수송수단(30)을 지나 치솔부(10)의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상기 버튼부(50)의 가압이 반복되면서 상기 용기(40)의 치약이 외부로 배출되며, 이 때 상기 버튼부(50)가 편심되어 경사진 연결부(20)의 외주연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으로 가압하기에 편리하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치솔장치(100)에서, 상기 마개(70)는 반투명의 재질은 물론 불투명한 수지재를 재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치솔부(10)와 연결부(20)의 결합과 연결부(20)와 용기(40)의 결합은 끼움 결합방식 이외에, 체결하는 방식, 끼운 후 회전시켜 결합하는 방식 중에서 임의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에 따르면,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용기 내의 치약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여행이나 출장 등에 굳이 치약용기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양치질을 시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별도의 마개가 구비됨은 물론 배출구로부터 치약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배출구의 입구를 막을 수 있는 로드가 마개 내에 형성되어 비사용시 치약 배출에 따른 불편함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상 타입의 치약을 사용하기 때문에, 치약의 고형화에 대한 염려가 사라지게 되고, 구비되는 두개의 플런저의 내부로 치약이 이동되게 하여 치약이 탄성스프링에 닿아 위생상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6)
- 일정량의 치약이 내부에 담겨있는 용기(40);일측 상부에 치솔모(13)가 복수열로 고정되고, 상기 용기(40)의 치약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11)가 타측에서부터 상기 치솔모(13)가 고정된 일측 상부에까지 관통 형성되는 치솔부(10);상기 용기(40)와 상기 치솔부(10)가 연통하도록 일측은 상기 치솔부(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용기(40)에 연결되는 중공의 연결부(20);상기 용기(40)의 치약이 펌핑되어 상기 연결부(20)를 거쳐 상기 치솔부(10)의 배출구(11)에 진입되도록 상기 용기(40), 연결부(20) 및 치솔부(10)에 걸쳐 내설되는 수송수단(30); 및일측은 상기 연결부(20)의 외주연에 돌출되고 타측 저면은 상기 수송수단(30)에 가압부재(51)로 연결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는 버튼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수송수단(30)은 상기 용기(40)의 일측을 통해 안측으로 삽입되고 타측 내면에는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축(34a)이 포함되며, 상기 중공축(34a)에는 탄성스프링(35)이 내재되는 중공의 실린더(34)와,상기 중공축(34a)에 상기 용기(40)의 치약이 이동되도록 타측은 상기용기(40) 내에 위치하고 일측은 상기 중공축(34a)에 삽입되어 주위로 상기 탄성스프링(35)이 위치하는 스트로우(36)와,내측으로 소정깊이의 홈부(32a)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부(32a)가 상기 중공축(34a)의 일측부위에 축선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실린더(34)의 내주연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중공의 제 1플런저(32)와,상기 제 1플런저(32)의 일측에 축선방향으로 연속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34)의 내주연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제 1플런저(32)와 상통하는 중공의 제 2플런저(33a) 및상기 제 2플런저(33a)의 중앙에 상통하는 소정길이의 노즐(31a)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31a)의 일측은 상기 치솔부(10)의 배출구(11)와 상통되도록 상기 배출구(11)의 타측에 연장 형성된 장공(12)에 삽입되며,상기 노즐(31a) 형성 부위에 대해 소정거리를 두고 상기 가압부재(51)가 상기 노즐(31a)의 축선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져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제 2플런저(33a)의 일측에 연속 설치되는 헤드부(3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100)는 축선방향으로 진입하여 상기 치솔부(10)를 포함하고, 개봉된 타측은 상기 연결부(20)의 외주연에 형상적으로 대응 결합되는 마개(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마개(70)는 외부로 노출된 상기 치솔부(10)의 배출구(11)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11)에 대응하는 위치로 내주연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로드(7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20)의 일측으로 상기 헤드부(31)의 타측에 대한 밀착부위 및 상기 용기(40)의 일측으로 상기 연결부(20)의 타측에 대한 밀착부위에는 수밀유지를 위한 고무링(60)이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치약은 유동성을 갖는 액상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4411U KR200276486Y1 (ko) | 2002-02-14 | 2002-02-14 |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4411U KR200276486Y1 (ko) | 2002-02-14 | 2002-02-14 |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07894A Division KR100465918B1 (ko) | 2002-02-14 | 2002-02-14 |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6486Y1 true KR200276486Y1 (ko) | 2002-05-24 |
Family
ID=7311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4411U KR200276486Y1 (ko) | 2002-02-14 | 2002-02-14 |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648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8221A (ko) * | 2002-03-28 | 2003-10-08 | 박설 | 치약을 내장한 칫솔 |
WO2023002073A1 (es) * | 2021-07-23 | 2023-01-26 | Cocina Y Nutrición Sl | Limpiador bucodental autónomo |
-
2002
- 2002-02-14 KR KR2020020004411U patent/KR20027648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8221A (ko) * | 2002-03-28 | 2003-10-08 | 박설 | 치약을 내장한 칫솔 |
WO2023002073A1 (es) * | 2021-07-23 | 2023-01-26 | Cocina Y Nutrición Sl | Limpiador bucodental autónomo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06600B1 (en) | Combination toothbrush and toothpaste dispenser | |
US11653751B2 (en) | Liquid dispensing hair brush | |
US7993067B2 (en) | Structural arrangement for a fluid-dispensing power toothbrush | |
US3728035A (en) | Plastic fountain toothbrush | |
US6932604B2 (en) | Interproximal squirt brush | |
US7478960B2 (en) | Dispensing brush | |
US6241412B1 (en) | Cartridge toothbrush | |
US7232310B2 (en) | Interproximal squirt brush | |
US4787765A (en) | Dentifrice dispensing toothbrush | |
US4116570A (en) | Toothbrush with cartridge chamber | |
US4695177A (en) | Dentifrice dispensing toothbrush | |
US20040240928A1 (en) | Travel toothbrush assembly | |
US20110070016A1 (en) | Water pump toothbrush | |
US8864402B2 (en) | Refillable toothbrush and base assembly | |
KR200276486Y1 (ko) |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 |
US5096321A (en) | Fountain toothbrush | |
KR100465918B1 (ko) | 치약 내장용 치솔장치 | |
US5462377A (en) | Toothbrush | |
US6609848B1 (en) | Combination toothbrush and toothpaste dispenser | |
KR101434099B1 (ko) | 치약 토출 칫솔 | |
US20080219751A1 (en) | Toothbrush with toothpaste in handle | |
EP0308549A1 (en) | Dentifrice dispensing toothbrush | |
KR200456256Y1 (ko) | 치약 일체형 칫솔 | |
KR200400878Y1 (ko) | 통이 결합된 치솔 | |
US7021497B2 (en) | Device for compressing flexible tubes containing pastes, creams and the like provided with a receptacle for storing dental flo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506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