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50312A2 - 치약 토출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 토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50312A2
WO2012050312A2 PCT/KR2011/007116 KR2011007116W WO2012050312A2 WO 2012050312 A2 WO2012050312 A2 WO 2012050312A2 KR 2011007116 W KR2011007116 W KR 2011007116W WO 2012050312 A2 WO2012050312 A2 WO 2012050312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discharge
toothbrush
discharged
nip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711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50312A3 (ko
Inventor
박승준
Original Assignee
Park Seung Jo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Park Seung Joon filed Critical Park Seung Joon
Publication of WO201205031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50312A2/ko
Publication of WO201205031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50312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58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metered dosa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72Details
    • A46B11/0093Arrangements for catching drips or overflow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Definitions

  • the toothpaste toothbrush that can be used to store the toothpaste and discharge the toothpaste when necessary has been applied for a patent with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Office and registered as Patent No. 10-676760. It is configured to store the toothpaste storage pack in which the toothpaste is stored inside the handle part and to discharge the toothpaste stored in the toothpaste storage pack to the brush head by the pumping action of the pumping part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handle part. Toothpaste can continue to be discharged by providing a separate pressure release button on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handle portion to allow the discharged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oothpaste discharg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with a new toothpaste while brushing teeth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pharmacological action and function of the toothpaste,
  • the toothbrush pole 200 is composed of a handle portion 210, an extension portion 220 and the planting portion 230, the storage unit 212 i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handle portion 210 is stored toothpaste, not shown
  •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ne / rear end is formed with a tab that can be screwed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form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toothpaste stored therein can be easily seen with the naked eye.
  • a tab is formed at a rear end thereof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a tab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andle part 210.
  • the storage compartment 212 of the handle part 210 is formed therein.
  • the nipple (50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232 of the flocking portion 230 by receiving the toothpaste discharged by the expansion action, when brushing the teeth when touching the teeth or gums externally It is to be discharged to, and when not in contact with the toothpaste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o prevent discharge, made of a flexible and soft silicone material to minimize the sense of heterogeneity when it comes in contact with teeth or gums, shown in Figures 4 and 5 As configured.
  • the piston 40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chamber 212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210 of the toothbrush 20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thereof, and the pumping member 300 is disposed at the rear end thereof.
  • the nipple 50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232 formed in the tuft part 230, and the storage chamber 212 formed in the handle part 210, the transfer path 222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220, and the tuft part (
  • the discharge port 232 formed in the 230 is coupled in a manner to seal.
  • the toothpaste 600 is filled in the above-described way towar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iston 400 inserted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212 formed in the handle 210.
  • the user repeatedly pumps the pumping ball 320 of the pumping member 300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handle part 210 to supply external air into the storage chamber 212.
  • the piston 400 loc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212 is slid toward the tip end portion by the air pressure, and the toothpaste 600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212 passes through the feed path 222 of the extension part 220.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32.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펌핑부재(300)의 펌핑 작동에 의해 저장실(212)에서 공급된 치약(600)을 니플(500)의 상판부재(520)가 무단 배출을 막게 되므로 몸체가 팽창 작용되면서 저장하였다가 양치질을 할 때 잇몸이나 치아에 닿게 되면 상판부재에 형성된 절개부(522)가 개방되어 배출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단속하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최초 공급된 공기가 유입,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재사용시에는 간단한 펌핑 작동에 의해 치약을 공급할 수 있어 더욱 그 사용이 편리하고, 이를 닦는 동안 새로운 치약이 공급되어 치약의 약리작용 및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치약 토출 칫솔(100)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치약 토출 칫솔
본 발명은 칫솔의 내부에 치약을 저장하여 양치질을 하면 일정량의 치약이 치아에 자동 도포되어지는 치약 토출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된 공기압에 의해 치약의 배출이 양치질을 할 때에만 가능하도록 하며, 그렇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단속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특히 재사용시에는 더욱 그 사용이 편리하여 효과적인 양치질이 가능하도록 한 치약 토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양치질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선단부에 식모부가 구비된 손잡이대 및 상기 식모부에 식재된 칫솔모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칫솔모의 상측에 소량의 치약을 묻힌 뒤 칫솔모 부분을 입속으로 넣어 좌우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양치질을 하게 된다. 이러한, 칫솔은 양치질을 하기 위해서 반드시 치약을 함께 구비해야 되므로, 각 가정도 마찬가지만 특히 여행 등의 이유로 외출하게 되면 칫솔과 함께 치약을 반드시 챙겨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고, 만약 치약을 미처 챙기지 못하게 되면 별도로 치약을 구매해야 되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치약을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시 치약을 토출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치약토출 칫솔이 대한민국특허청에 특허출원하여 특허 제10-676760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이는 치약이 저장된 치약저장팩을 손잡이부 내부에 저장시켜 놓고 손잡이부 후단부에 설치되는 펌핑부의 펌핑 작용에 의해 치약저장팩에 저장된 치약을 칫솔모로 토출시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데, 펌핑부의 펌핑 작용에 의해 치약이 계속 토출될 수 있으므로 손잡이부의 후단부 일측에는 별도의 압력해제버튼을 추가로 마련하여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결국, 종래는 치약 공급은 펌핑부의 펌핑 작용에 의해서 가능하고, 치약 공급 중지는 별도로 마련된 해제버튼에 의해서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함은 물론이고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해제버튼에 의해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된 상태이므로 재사용시에는 그 만큼 펌핑 작용 동작을 여러 번 수행해야 새로운 치약이 토출되는 문제 또한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해제버튼에 의해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치약 공급을 중지시키더라도 공기가 완벽하게 배출되지 않게 되면 소량의 치약은 해제버튼 동작중 혹은 멈춘 뒤에도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치약이 외부로 배출된 상태로 장시간 방치하게 되면 경화되어 비위생적이면서도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도 발생되었다.
한편, 칫솔로 이를 닦는 보편적인 방법은 치약을 칫솔에 먼저 묻혀서 이를 닦는 방법이다. 이런 방식의 양치질은 칫솔이 먼저 닿는 쪽에 먼저 치약이 도포되어지기 때문에
1. 우선, 치약이 치아에 고루 도포되지 않아 치약의 주성분인 세마제(abrasive)에 의한 치아의 편마모(one-side wear of the tooth by abrasives) 현상이 발생하며,
2. 이를 닦는 동안 새로운 치약을 공급 할 수 없으므로, 치약은 구강 내에서 각종 음식물 찌꺼기, 세균 등과 결합되어 이미 물성 변화를 일으켜 본래의 성질을 상실한 상태의 치약으로 양치질을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칫솔을 이용한 위와 같은 방식의 양치질은, 아무리 기능이 우수한 치약이라도 당연히 치약의 약리작용(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toothpaste) 및 기능이 현저히 약화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를 닦는 동안 새로운 치약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치약의 약리작용 및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치약 토출 칫솔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한 목적은 펌핑되는 공기압에 의해 공급된 치약의 배출이 양치질을 할 때에만 가능하도록 하며, 그렇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단속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잇솔질시 치약의 토출량이 균일하며 특히 재사용시에는 더욱 그 사용이 편리하여 효과적인 양치질이 가능하도록 한 치약 토출 칫솔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는 치약이 저장되는 저장실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저장실과 연통되어 치약을 이송하는 이송로가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면에는 칫솔모가 식재되고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어 치약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된 식모부로 이루어지는 칫솔대; 상기 손잡이부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저장실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펌핑부재; 상기 손잡이부의 저장실에 위치되어 상기 펌핑부재로부터 펌핑된 공기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저장실에 저장된 치약을 이송로 쪽으로 공급하게 되는 피스톤; 및 상기 식모부의 토출구에 결합되어 토출되는 치약을 팽창 작용에 의해 수용하여 양치질을 할 때 치아나 잇몸에 닿게 되면 소량씩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닿지 않게 되면 자동으로 치약 배출을 단속하여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니플(Nippl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니플은 치아나 잇몸에 닿게 될 때 이질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유연하고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하로 개방된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에 하단부가 결합되어져 토출되는 치약을 저장하는 원통형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배출공 상단부에 형성되고 치약이 배출될 수 있는 절개부를 가지되, 절개부의 밀착이 우수하도록 그 가운데 부분이 상기 몸체의 하단부 쪽으로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치약이 유입되더라도 절개부가 무단으로 개방되지 않아 몸체 내에 저장되도록 하고, 잇몸이나 치아에 닿게 되면 절개부가 어긋나면서 개방되어져 치약을 배출하며, 닿지 않게 되면 즉시 복원되어져 치약이 배출이 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상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상판부재는 상기 몸체의 벽체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압력에 의해 유입된 치약의 단속 작용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약 토출 칫솔은 이를 닦는 동안 새로운 치약이 공급되어 치약의 약리작용 및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펌핑부재의 펌핑 작동에 의해 저장실에서 공급된 치약을 니플의 상판부재가 무단 배출을 막게 되므로 몸체가 팽창 작용되면서 저장하였다가 양치질을 할 때 잇몸이나 치아에 닿게 되면 상판부재에 형성된 절개부가 개방되어 배출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단속하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특히 최초 공급된 공기가 유입,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재사용시에는 간단한 펌핑 작동에 의해 치약을 공급할 수 있어 더욱 그 사용이 편리하여 효과적인 양치질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판부재의 단속 작동에 의해 무단으로 치약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치약의 경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토출 칫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토출 칫솔의 a-a선 단면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토출 칫솔의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니플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니플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토출 칫솔의 작동관계를 보인 종단면도.
도 7 내지 10은 도 6의 A부분 확대에 의한 니플의 작동관계를 보인 일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치약 토출 칫솔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토출 칫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토출 칫솔의 a-a선 단면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토출 칫솔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니플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니플의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치약 토출 칫솔(100)은 크게 칫솔대(200), 펌핑부재(300), 피스톤(400) 및 니플(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칫솔대(200)는 손잡이부(210), 연장부(220) 및 식모부(23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손잡이부(210)의 내부에는 치약이 저장되는 저장실(212)이 형성되며, 미도시 되었으나 선/후단부의 외주연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는 탭이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되는 치약의 잔류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20)는 미도시 되었으나 후단부에 탭이 형성되어서 상기 손잡이부(210)의 선단부에 형성된 탭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210)의 저장실(212)과 연통되어 치약을 이송하는 이송로(222)가 형성되며, 결합 부분에는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패킹(p)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식모부(230)는 상기 연장부(220)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면에는 파선으로 도시된 칫솔모(234)가 식재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로(222)와 연통되어 치약을 토출하는 토출구(23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232)는 양치질을 할 때 치약이 골고루 토출될 수 있도록 식모부(230)의 중앙쯤에 위치되게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펌핑부재(300)는 상기 손잡이부(210)의 후단에 결합되어 펌핑 작용에 의해 저장실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210)의 후단부에 형성된 탭에 나사 결합되는 하우징(310) 및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 밸브(330)가 구비된 선단부가 구비되고 후단부는 외측으로 노출되며 공기유입공(322)이 형성된 펌핑볼(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펌핑부재(300)는 펌핑볼(320)의 펌핑 동작에 의해 외부 공기를 공기유입공(322)으로 유입시켜 그 선단부에 구비된 밸브(330)를 통해서 저장실(212) 내부로 공급하게 되고, 공급된 공기는 역으로 배출되지는 못하는 구조로서, 이 펌핑부재(300)는 종래에도 서술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피스톤(400)은 상기 손잡이부(210)의 저장실(212)에 위치되어 상기 펌핑부재(300)로부터 펌핑된 공기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저장실(212)에 저장된 치약을 이송로(222) 쪽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400)의 직경은 상기 저장실(212)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서 저장실(212) 내벽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여서 최대한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가장자리에는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연질의 실리콘 재질을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피스톤(400)이 손잡이부(210)의 저장실(212)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치약은 상기 피스톤(400)의 선단부에 위치되게끔 저장되어 후단부에 위치한 펌핑부재(300)의 펌핑 작용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치약을 토출시키는 것은 당연할 것인데, 이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니플(Nipple)(500)은 상기 식모부(230)의 토출구(232)에 결합되어 토출되는 치약을 팽창 작용에 의해 수용하여, 양치질을 할 때 치아나 잇몸에 닿게 되면 소량씩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닿지 않게 되면 자동으로 치약 배출을 단속하여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치아나 잇몸에 닿게 될 때 이질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유연하고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니플(500)은 몸체(510) 및 상판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단면상 대략 H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몸체(510)는 상하로 개방된 배출공(512)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232)에 하단부가 결합되어져 토출되는 치약을 저장하도록 원통형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재(520)는 상기 몸체(510)의 배출공(512)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512)을 막음하되 치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에는 절개된 절개부(5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판부재(520)는 절개부(522)에 의해서 형성된 양단부의 밀착이 우수하도록 그 가운데 부분이 상기 몸체(510)의 하단부 쪽으로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치약이 유입되더라도 절개부(522)가 무단으로 쉽게 개방되지 않아 몸체(510) 내에 저장되도록 하고, 잇몸이나 치아에 닿게 되면 절개부(522)의 양단부가 서로 어긋나면서 개방되어져 몸체(510)의 배출공(512) 내부로 공급된 치약을 배출하며, 닿지 않게 되면 즉시 복원되어져 치약 배출이 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단속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판부재(520)의 두께(t)는 상기 몸체(510)의 벽체 두께(t')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압력에 의해 유입된 치약의 단속 작용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대(200)의 손잡이부(210)에 형성된 저장실(212)에는 피스톤(400)이 삽입되어 그 내벽에 밀착되고, 그 후단부에는 펌핑부재(300)가 결합되고, 식모부(230)에 형성된 토출구(232)에는 니플(500)이 결합되어서 손잡이부(210)에 형성된 저장실(212), 연장부(220)에 형성된 이송로(222) 및 식모부(230)에 형성된 토출구(232)를 밀폐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치약 토출 칫솔(100)에 치약을 충전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손잡이부(210)와 연장부(220)를 서로 분리한 뒤 손잡이부(210)의 저장실(212) 선단부를 통해서 치약을 충전하게 된다. 그러면, 저장실(212)에 위치되어 있는 피스톤(400)이 충전되는 치약에 밀려 후단부로 위치하고 있는 펌핑부재(300)에 근접하게 되면 충전을 완료하고 분리된 연장부(220)를 다시 결합하여서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1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치약의 충전량 및 피스톤(400)의 슬라이딩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면서 충전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치약 토출 칫솔의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토출 칫솔의 작동관계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7 내지 10은 도 6의 A부분 확대에 의한 니플의 작동관계를 보인 일부 확대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로 하면, 손잡이부(210)에 형성된 저장실(212)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피스톤(400)의 선단부 쪽으로는 치약(600)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충전되어 있다. 이때, 양치질을 하기 위해 사용자는 손잡이부(210) 후단부에 결합된 펌핑부재(300)의 펌핑볼(320)을 반복적으로 펌핑 작동시켜서 외부 공기를 저장실(212)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이 공기압에 의해서 저장실(212)에 위치하고 있는 피스톤(400)이 선단부 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저장실(212)에 저장된 치약(600)을 연장부(220)의 이송로(222)를 거쳐 식모부(230)의 토출구(232)로 토출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토출구(232)로 토출된 치약(600)은 결합되어 있는 니플(500)의 몸체(510) 배출공(512)으로 유입되어 그 내부에 저장되는데, 이 니플(500)의 작동관계는 도 7 내지 10을 참조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토출구(232)에서 토출되는 치약(6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500) 내부 즉, 배출공(512)으로 유입된다. 그러나, 유입된 치약(600)은 니플(500)의 배출공(512)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판부재(520)에 막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출공(512) 내부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상판부재(520)에는 비록 절개부(522)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몸체(510)의 하단부 쪽으로 볼록해지도록 형성되므로 절개부(522)는 상판부재(520)가 가지는 형상에 의해 하향 밀접되어져 쉽게 벌어지지 않게 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반복되는 펌핑부재(300)의 펌핑 작동에 의해 더 많은 양의 치약이 토출구(232)로부터 토출되어 몸체(510)의 배출공(512)으로 유입되면 그 압력에 의해서 하향 만곡되어 있던 상판부재(520)는 상측으로 점차 밀려 올라가게 되나 이 밀려 올라가는 과정에서도 오히려 절개부(522)는 더욱 밀착되어 치약(600)이 배출되지 못하게 하므로 몸체(510)는 결국 도 8과 같이 팽창되면서 내부에 많은 양의 치약(600)을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판부재(520)가 몸체(510)의 벽체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 만약 과도한 압력에 의해 치약이 공급되더라도 상판부재(520)의 더 견고하기 때문에 절개부(522)가 벌어지기 전 몸체(510)가 더욱더 팽창되면서 압력에 의해 공급된 치약을 수용하게 되므로 치약의 배출 동작에 대한 단속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펌핑 작동에 의해 치약(600)이 니플(500) 내에 일정량 저장되면 사용자는 펌핑 작동을 멈추고 양치질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펌핑 작동을 멈추더라도 치약(600)은 니플(500) 내에 그대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치약이 계속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공급된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가 없음을 인지해야 된다. 사용자가 양치질을 시작하게 되면 이 니플(500)의 최상단부는 잇몸 혹은 치아에 직접 닿게 되고, 곧 양치질 동작에 따라 도 9 및 10과 같이 좌우 혹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그러면, 상판부재(520)에 형성된 절개부(522)의 단부가 서로 어긋나게 될 것이고, 곧 이 틈새로 소량의 치약(600)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는 양치질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 양치질이 끝나 니플(500)이 더 이상 잇몸이나 치아에 닿지 않게 되면 상판부재(520)의 절개부(522)는 그 구조상 내부 압력과 재질상 복원력을 가지므로 신속하게 복원되면서 도 7과 같이 밀접되어 치약(600)이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다시 양치질을 할 때에는 이미 손잡이부(210)의 저장실(212) 내에 외부 공기가 유입,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한두 번 정도의 펌핑 작동에 의해 치약(600)은 도 8과 같은 상태로 니플(500)의 몸체(510) 내에 다시 공급되므로 편리하면서도 효과적인 양치질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를 닦는 동안 새로운 치약이 공급되므로 치약의 약리작용 및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경우에는 치약을 공급한 뒤 압력으로 인해 치약이 필요 이상 배출될 수 있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치약 배출을 중지한 뒤 사용하게 되므로 재사용시에는 배출된 만큼의 공기를 다시 주입, 압축해야 치약이 공급되므로 재사용에 따른 사용방법 또한 큰 차이가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이 뿐만 아니라, 니플(500)에 형성된 상판부재(520)는 사용 후 치약이 무단으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므로 치약의 경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3)

  1. 내부에는 치약이 저장되는 저장실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저장실과 연통되어 치약을 이송하는 이송로가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상면에는 칫솔모가 식재되고 상기 이송로와 연통되어 치약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된 식모부로 이루어지는 칫솔대;
    상기 손잡이부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저장실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펌핑부재;
    상기 손잡이부의 저장실에 위치되어 상기 펌핑부재로부터 펌핑된 공기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저장실에 저장된 치약을 이송로 쪽으로 공급하게 되는 피스톤; 및
    상기 식모부의 토출구에 결합되어 토출되는 치약을 팽창 작용에 의해 수용하여 양치질을 할 때 치아나 잇몸에 닿게 되면 소량씩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닿지 않게 되면 자동으로 치약 배출을 단속하여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니플(Nipple)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토출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은 치아나 잇몸에 닿게 될 때 이질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유연하고 부드러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하로 개방된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에 하단부가 결합되어져 토출되는 치약을 저장하는 원통형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배출공 상단부에 형성되고 치약이 배출될 수 있는 절개부를 가지되, 절개부의 밀착이 우수하도록 그 가운데 부분이 상기 몸체의 하단부 쪽으로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치약이 유입되더라도 절개부가 무단으로 개방되지 않아 몸체 내에 저장되도록 하고, 잇몸이나 치아에 닿게 되면 절개부가 어긋나면서 개방되어져 치약을 배출하며, 닿지 않게 되면 즉시 복원되어져 치약 배출이 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상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토출 칫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재는 상기 몸체의 벽체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압력에 의해 유입된 치약의 단속 작용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토출 칫솔
PCT/KR2011/007116 2010-10-15 2011-09-28 치약 토출 칫솔 WO2012050312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0670A KR101196520B1 (ko) 2010-10-15 2010-10-15 치약 토출 칫솔
KR10-2010-0100670 2010-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0312A2 true WO2012050312A2 (ko) 2012-04-19
WO2012050312A3 WO2012050312A3 (ko) 2012-08-30

Family

ID=45938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7116 WO2012050312A2 (ko) 2010-10-15 2011-09-28 치약 토출 칫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6520B1 (ko)
WO (1) WO201205031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153B1 (ko) * 2016-07-08 2017-03-30 주식회사 엘로코 제과용 반죽 토출기
EP3131431B1 (en) * 2014-05-07 2020-03-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278B1 (ko) * 2013-04-19 2014-09-02 박승준 니플 및 이를 이용한 치약 토출 칫솔
KR101434099B1 (ko) * 2013-04-19 2014-08-26 박승준 치약 토출 칫솔
KR200486609Y1 (ko) * 2017-03-23 2018-06-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약 내장형 칫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0156A (ja) * 1993-05-25 1996-10-29 ベンジャミン ジョン ギルマー 定量供給機構
KR200354569Y1 (ko) * 2004-03-05 2004-06-25 재 근 박 치약 자동공급 칫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0156A (ja) * 1993-05-25 1996-10-29 ベンジャミン ジョン ギルマー 定量供給機構
KR200354569Y1 (ko) * 2004-03-05 2004-06-25 재 근 박 치약 자동공급 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1431B1 (en) * 2014-05-07 2020-03-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KR101721153B1 (ko) * 2016-07-08 2017-03-30 주식회사 엘로코 제과용 반죽 토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520B1 (ko) 2012-11-01
KR20120039140A (ko) 2012-04-25
WO2012050312A3 (ko)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22116T3 (es) Sistema para el cuidado bucal
TWI474795B (zh) 口腔保健系統、套組及方法(一)
RU2325830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ES2496985T3 (es) Sistema de higiene buco-dental
KR101454094B1 (ko) 구강관리유체 배출 시스템
US201301805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oothbrush with paste dispenser
EP3153130B1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WO2012050312A2 (ko) 치약 토출 칫솔
KR100676760B1 (ko) 치약 토출 칫솔
KR101434099B1 (ko) 치약 토출 칫솔
KR20100006495U (ko) 치약을 구비한 칫솔
KR200422444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200435544Y1 (ko) 치약공급장치가 구비된 휴대용칫솔
KR101216314B1 (ko) 일회용 칫솔
KR101437278B1 (ko) 니플 및 이를 이용한 치약 토출 칫솔
KR20210029590A (ko) 일회용 칫솔
KR20190019783A (ko) 치약을 충전가능한 레버식 일체형 칫솔
KR20080113777A (ko) 자동치약칫솔
KR20080113778A (ko) 자동치약칫솔
KR20200131611A (ko) 펌프식 일체형 칫솔
KR20070107290A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20080058941A (ko) 치약이 나오는 칫솔
KR20080113776A (ko) 자동치약칫솔
KR20160066991A (ko) 일체형 칫솔 치약
KR20110125691A (ko) 치약이 내장된 휴대용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326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326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