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381A -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 Google Patents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381A
KR20130084381A KR1020120005108A KR20120005108A KR20130084381A KR 20130084381 A KR20130084381 A KR 20130084381A KR 1020120005108 A KR1020120005108 A KR 1020120005108A KR 20120005108 A KR20120005108 A KR 20120005108A KR 20130084381 A KR20130084381 A KR 2013008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mixing
heterogeneous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아영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20005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4381A/ko
Publication of KR2013008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25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서로 다른 내용물이 저장되는 좌용기 및 우용기;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이 합쳐지는 혼합실; 상기 혼합실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에 의하면,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번의 펌핑으로 서로 다른 용기 내의 내용물이 섞이면서 토출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종내용물 혼합용기{A vessel mixing plural types of ingredients}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성질의 내용물이 별도로 저장되고, 한 번의 버튼조작에 의하여 상기 다른 성질의 내용물이 섞여서 토출되는 이종내용물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의 내용물 중에는 사용시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유발하는 내용물이 있지만 처음부터 혼합하여 동일한 용기에 함께 수용하는 경우, 물리,화학적 반응으로 인한 응고,침전으로 인하여 배출불량이 발생하거나 내용물의 변색 또는 변질의 우려가 있어 별도의 용기에 분리하여 수용하였다가 사용시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성분들이 있는 바, 예를 들어 소정의 액상 화장품과 미백효과와 피부재생 효과, 잔주름 제거 등에 효과가 좋은 비타민이나, 통상적인 졸(sol)상태의 치약과 침투력이나 향이 우수한 졸이나 겔(gel)상의 치약, 또는 샴푸와 린스의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그러나, 상기한 각각의 내용물들은 별도의 용기에 각각 수용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다수의 용기에 수용된 각각의 내용물을 일일이 토출하여 사용자가 직접 혼합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나의 용기본체내에 듀얼 용기를 구성하여 상부 버튼을 가압시에 듀얼용기의 상부에 각각 구비된 펌핑부재가 작동하여 듀얼용기에 각각 수용된 내용물이 각각 배출되는 구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상부 버튼 가압시에 버튼에 형성된 한 쌍의 배출홀을 통해 듀얼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각각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여전히 사용자가 내용물을 일일이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나의 배출홀을 통해 듀얼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혼합되어 배출되는 구조가 등록특허 제10-035948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상부 토출캡을 가압시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구조로서, 토출캡에 형성된 하나의 배출홀을 통해 내용물을 혼합하여 배출하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은 가능하나, 내용물을 혼합하여 배출하기 위한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제품의 단가 상승은 물론 제조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내용물이 들어있는 좌, 우 용기의 상부에 혼합실을 두고, 서로 다른 내용물을 섞는 혼합기를 통하게 하여, 한번의 펌핑시에 서로 다른 내용물이 하나의 통로로 섞여서 나오게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서로 다른 내용물이 저장되는 좌용기 및 우용기;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이 합쳐지는 혼합실; 상기 혼합실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실 상부에는 상기 합쳐진 내용물을 섞는 혼합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기는 펌프내 위치하며, 외부에 돌출턱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봉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실은 하부에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내용물을 흡입시키는 흡입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용기 및 우용기의 하단에는 상기 펌프에 의하여 생성된 압력이 전해지는 피스톤;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에 연결되고, 토출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노즐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 내부에는 외부에 돌출턱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혼합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좌용기 및 우용기는 투명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번의 펌핑으로 서로 다른 용기 내의 내용물이 섞이면서 토출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혼합기의 위치변경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좌용기(100), 우용기(150), 혼합실(200), 펌프(300), 버튼(400)이 포함되며, 혼합기(500), 흡입관(600), 피스톤(700), 노즐부(800), 하우징(9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좌용기(100) 및 우용기(150)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서로 다른 이종(異種)의 내용물을 다루는 것이 발명의 목적상 바람직하다.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는 서로 다른 용기를 구별하여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표현수단일 뿐, 본 발명은 2개의 용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2개 이상의 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비롯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하우징(900)의 재질이 투명재질인 경우,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도 함께 투명재질로 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혼합실(200)은 상기 좌용기(100) 및 우용기(150)로부터 토출된 이종의 내용물이 만나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혼합실의 하부에는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가 위치하고, 상기 혼합실의 상부로는 펌프가 위치하게 된다. 이종의 내용물은 상기 혼합실에서 합쳐지고(1차적으로 섞이고), 펌프를 지나면서 후술할 노즐부(800)를 통하여 밖으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 혼합실의 하부측, 즉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와 연결되는 곳에는, 체크밸브(230)가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는 내용물의 토출시에는 열리고, 토출 후에는 닫히어 내용물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공지기술이다.
상기 펌프(300)는 사용자가 후술할 버튼(400)을 가압하면, 상기 압력을 용기에 제공하여 내용물을 토출하게 하고,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버튼을 복원시킨다. 이때 내용물을 토출하게 하는 방법은 피스톤(700)을 이용하거나, 흡입관(600)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을 이용한 예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펌프는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버튼(400)은 사용자가 손 등으로 압력을 줄때 손 등이 닿는 부위이다. 버튼의 끝에는 통상 후술할 노즐부(800)가 형성되며, 노즐부를 통하여 내용물이 밖으로 토출된다. 상기 노즐부는, 사용 후 잔류량이 용기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는 등 필요시에 상당부분 돌출되기도 한다. 상기 버튼 및 노즐부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혼합기(500)는 상기 혼합실에 합쳐져 있던 내용물들이 다시 한번 섞는 역할을 한다. 정확하게는 내용물을 섞을 뿐만이 아니라 내용물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혼합기의 형상은 다양하겠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의 돌출턱(501)를 가진 봉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형의 돌출턱을 따라 상기 혼합실에 합쳐져 있던 내용물이 이동되면서 다시(2차로) 섞이게 된다. 상기 혼합기의 또 다른 형상으로는 나선형 그 자체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혼합기(500)는 노즐부가 돌출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800)내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잡한 펌프 내에 위치하는 것보다 제조상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사용자가 버튼(400)를 가압하면 피스톤(700)이 상승하고, 상기 피스톤의 상승에 따라 좌용기(100) 및 우용기(15)의 내용물이 혼합실(200)을 거쳐서 펌프(300)내로 유입되고, 펌프 내의 혼합기(500)의 돌출턱(501)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노즐부(800)를 통하여 밖으로 토출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좌용기 150 우용기
200: 혼합실 300: 펌프
400: 버튼
500: 혼합기 501: 돌출턱
600: 혼합관 700: 피스톤
800: 노즐부 900: 하우징

Claims (10)

  1. 서로 다른 내용물이 저장되는 좌용기 및 우용기;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이 합쳐지는 혼합실;
    상기 혼합실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하나의 펌프;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실 상부에는 상기 합쳐진 내용물을 섞는 혼합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는 펌프내 위치하며, 외부에 돌출턱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봉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실은 하부에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내용물을 흡입시키는 흡입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좌용기 및 우용기의 하단에는 상기 펌프에 의하여 생성된 압력이 전해지는 피스톤;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연결되고, 토출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노즐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9. 청구항 8에 있서서,
    노즐부 내부에는 외부에 돌출턱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봉형상의 혼합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용기 및 우용기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좌용기 및 우용기는 투명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0120005108A 2012-01-17 2012-01-17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KR20130084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108A KR20130084381A (ko) 2012-01-17 2012-01-17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108A KR20130084381A (ko) 2012-01-17 2012-01-17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381A true KR20130084381A (ko) 2013-07-25

Family

ID=4899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108A KR20130084381A (ko) 2012-01-17 2012-01-17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43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526A1 (ko) * 2014-03-25 2015-10-01 (주)연우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200115997A (ko) * 2019-03-28 2020-10-08 펌텍코리아 (주)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210132899A (ko) * 2020-04-28 2021-11-05 펌텍코리아 (주) 이종내용물의 혼합 토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526A1 (ko) * 2014-03-25 2015-10-01 (주)연우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200115997A (ko) * 2019-03-28 2020-10-08 펌텍코리아 (주)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210132899A (ko) * 2020-04-28 2021-11-05 펌텍코리아 (주) 이종내용물의 혼합 토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352Y1 (ko)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200475351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US20180079584A1 (en)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
US20100006606A1 (en) Pumping device with collapsible nozzle
KR10143098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879205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US10675647B2 (en) Discharge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s
KR101573430B1 (ko) 두 가지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101234514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주사기형 용기
KR200469855Y1 (ko) 스포이드 결합형 분말 혼합 화장용기
KR20130084381A (ko) 이종내용물 혼합용기
KR200477732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US10086391B2 (en) Pump dispenser
KR101346796B1 (ko) 액상 용기의 배출 장치
KR10168861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30092175A (ko) 듀얼 주사기형 용기
US10144022B2 (en) Pump dispenser and container for a pump dispenser
AU2016430866B2 (en) Dispenser
KR20200029872A (ko) 이중 용기
KR101232681B1 (ko) 리필이 가능한 펌프식 이중 용기
KR20130068710A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0294986B1 (ko) 다종 액체 공급용 용기
KR101512431B1 (ko) 펌핑용기
KR102124339B1 (ko) 내용물 혼합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230167835A (ko) 듀얼 펌프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