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927B1 -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 Google Patents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927B1
KR102417927B1 KR1020210144283A KR20210144283A KR102417927B1 KR 102417927 B1 KR102417927 B1 KR 102417927B1 KR 1020210144283 A KR1020210144283 A KR 1020210144283A KR 20210144283 A KR20210144283 A KR 20210144283A KR 102417927 B1 KR102417927 B1 KR 102417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lunger
vessel
vacuum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1974A (ko
Inventor
최지혜
Original Assignee
최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혜 filed Critical 최지혜
Priority to KR102021014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92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장치의 연결유닛은, 내부에 배기로가 마련되고 외부에 안착면이 구비된 베이스 및 베이스에 결합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 진공압 공급기와, 저장실 및 저장실과 연결되는 배기 홀을 구비하고 안착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진공 용기를 상호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진공장치의 연결유닛으로서, 진공 용기에 구비되는 용기 연결부와, 용기 연결부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베이스에 구비되는 베이스 연결부를 포함한다. 용기 연결부는, 저장실 속에 배치되고, 배기 홀과 연결되는 용기 배기 챔버 및 용기 배기 챔버와 저장실을 연결하는 용기 연결유로가 형성된 내부 하우징과, 용기 연결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용기 배기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플런저와, 용기 배기 챔버에 설치되어 용기 플런저에 대해 용기 연결유로를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용기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베이스 연결부는, 진공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안착면에 배치되고 배기로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플링부 유로를 갖는 커플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장치의 연결유닛{CONNECTING UNIT FOR VACUUM APPARATUS}
본 발명은 진공장치의 연결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압을 발생하는 진공압 공급기와, 진공압 공급기로부터 진공압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진공압 공급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진공 용기를 포함하는 진공장치에 구비되어 진공압 공급기와 진공 용기를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진공장치의 연결유닛에 관한 것이다.
진공장치는 각종 산업현장이나, 실험실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진공압을 이용하는 다양한 생활용품이 개발되고 있다.
각종 식품이나, 약품류 등 공기 중에서 변질되거나 변색될 수 있는 제품을 진공 상태로 보관하면 변질이나 변색을 막을 수 있고, 공기 중의 균에 의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최근, 진공압을 발생하는 다양한 크기의 진공 펌프가 판매되고 있고, 식품이나 약품류를 진공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진공 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진공 용기는 진공 펌프와 연결될 때 진공 용기의 내부 공간과 진공 펌프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가 되고, 진공 펌프에서 분리되면 진공 용기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진공 펌프와 진공 용기를 포함하는 진공장치에 있어서 진공 펌프와 진공 용기 간의 연결 구조는 핵심적인 부분이다.
현재, 진공 펌프와 진공 용기를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진공장치의 연결유닛이 개발되어 있지만, 연결유닛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 수를 줄이기 위한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932492호 (2018. 12. 2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 수가 적으며,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공급기와 진공 용기 간의 공기 유동을 안정적으로 단속할 수 있는 진공장치의 연결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장치의 연결유닛은, 내부에 배기로가 마련되고 외부에 안착면이 구비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로와 연결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 진공압 공급기와,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저장실과 연결되는 배기 홀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진공 용기를 상호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진공장치의 연결유닛으로서, 상기 진공 용기에 구비되는 용기 연결부; 및 상기 용기 연결부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베이스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연결부는, 상기 저장실 속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홀과 연결되는 용기 배기 챔버 및 상기 용기 배기 챔버와 상기 저장실을 연결하는 용기 연결유로가 형성된 내부 하우징과,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배기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플런저와, 상기 용기 배기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용기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연결부는, 상기 진공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면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로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플링부 유로를 갖는 커플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커플링부 유로가 상기 배기 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진공 용기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 플런저를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저장실이 상기 용기 연결유로 및 상기 커플링부 유로를 통해 상기 배기로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플런저는 상기 커플링부가 접할 수 있는 용기 플런저 바디와, 상기 용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용기 플런저 바디의 끝단에 연결되는 용기 플런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연결유로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용기 플런저 헤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플런저 헤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 플런저는 상기 진공 용기가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에는 상기 커플링부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 용기가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배기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에는 상기 커플링부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용기 플런저 홀이 마련되며, 상기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은 상기 용기 플런저 홀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장치의 연결유닛은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 수가 적으며,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공급기와 저장실을 갖는 진공 용기를 안정적으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장치의 연결유닛은 다양한 진공장치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장치의 연결유닛이 구비된 진공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공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진공장치의 진공압 공급기에 진공 용기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진공장치의 진공압 공급기에서 진공 용기가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진공장치의 진공 용기를 용기 본체와 뚜껑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장치의 연결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장치의 연결유닛(200)은 진공 용기(110)와, 진공 용기(110)에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해 진공 용기(1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진공압 공급기(120)를 갖는 진공장치(100)에 구비되어 진공 용기(110)와 진공압 공급기(120)를 상호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진공장치(100)는 진공압 공급기(120)에 두 개의 진공 용기(110)가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진공 용기(110)는 저장실(112)과, 저장실(112)과 연결되는 출입구(113)가 구비된 용기 본체(111)와, 용기 본체(111)의 출입구(113)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118)을 포함한다. 용기 본체(111)의 하단부에는 저장실(112)의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도록 저장실(112)과 연결되는 배기 홀(114)이 구비된다. 배기 홀(114)의 둘레에는 용기 실링재(115)가 배치된다.
진공압 공급기(120)는 복수의 진공 용기(110)가 안착될 수 있는 베이스(121)와, 베이스(12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진공 펌프(126)를 포함한다.
베이스(121)는 복수의 진공 용기(11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122)과, 진공 펌프(126)와 연결되는 허브 챔버(123)를 포함한다. 허브 챔버(123)는 베이스(121)의 중심 부분 내측에 마련되어 진공 펌프(126)와 연결된다. 베이스(121)의 상면 중앙에는 진공 펌프(126)를 감싸는 하우징(129)이 구비되고, 안착면(122)은 하우징(129)의 주위에 배치된다. 베이스(121)의 내측에는 허브 챔버(123)와 연결되는 복수의 배기로(124)가 구비된다. 배기로(124)는 허브 챔버(123)로부터 베이스(121)의 가장자리 쪽으로 연장된다.
진공 펌프(126)는 베이스(121)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안착면(122)으로부터 돌출된다. 진공 펌프(126)의 펌프 흡입구(127)는 허브 챔버(123)와 연결된다. 진공 펌프(126)가 작동하면 펌프 흡입구(127)를 통해 허브 챔버(123)의 공기가 진공 펌프(126) 속으로 유입되어 허브 챔버(123)에 진공압이 발생하게 된다. 진공 펌프(126) 속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진공 펌프(126)의 펌프 배기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된다. 펌프 배기구는 진공 펌프(126)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진공 펌프(126)는 베이스(121)에 설치되는 제어부(131)에 의해 제어된다.
진공장치의 연결유닛(200)은 진공 용기(110)에 구비되는 용기 연결부(210)와, 용기 연결부(210)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베이스(121)에 구비되는 베이스 연결부(240)를 포함한다.
*용기 연결부(210)는 용기 본체(111)의 저장실(112) 속에 배치되는 내부 하우징(211)과, 내부 하우징(211)의 내측에 설치되는 용기 체크밸브 유닛(220)과, 용기 본체(11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용기 가이드면(231)을 포함한다.
내부 하우징(211)에는 용기 배기 챔버(212)와, 통공(213)이 마련된다. 용기 배기 챔버(212)는 배기 홀(114)과 연결되고, 통공(213)은 저장실(112)과 연결된다. 내부 하우징(211)의 내측에는 용기 실링부(215)가 구비된다. 용기 실링부(215)는 용기 체크밸브 유닛(220)의 용기 플런저(221)가 틈새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 실링부(215)에는 통공(213)과 연결되는 용기 삽입홀(216)이 구비된다. 용기 삽입홀(216)은 용기 배기 챔버(212)에서 통공(213)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통공(213)과 용기 삽입홀(216)은 저장실(112)과 용기 배기 챔버(212)를 연결하는 용기 연결유로(218)를 구성한다.
내부 하우징(211)과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 실링부(215)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삽입홀(216)이 내부 하우징(211)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용기 체크밸브 유닛(220)은 용기 배기 챔버(212)에 설치된다. 용기 체크밸브 유닛(220)은 배기 홀(114)을 통한 저장실(112)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용기 체크밸브 유닛(220)은 용기 연결유로(218)를 개폐할 수 있도록 용기 배기 챔버(2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플런저(221)와, 용기 플런저(22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용기 탄성부재(227)를 포함한다.
용기 플런저(221)는 용기 본체(111)가 베이스(121)의 커플링부(249)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용기 배기 챔버(212)에 배치된다. 용기 플런저(221)는 진공 용기(110)가 진공압 공급기(120)에 결합될 때, 배기 홀(114) 속으로 진입하는 커플링부(249)에 의해 가압되어 움직이게 된다. 용기 플런저(221)는 용기 플런저 바디(222)와, 용기 플런저 바디(222)의 일단에 연결되는 용기 플런저 헤드(223)를 포함한다.
용기 플런저 바디(222)는 용기 탄성부재(227)와 결합되어 용기 탄성부재(227)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용기 플런저 바디(222)의 중간 부분에는 진공압 공급기(120)의 커플링부(249)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용기 플런저 홀(224)이 마련된다. 용기 플런저 홀(224)은 용기 플런저 바디(222)의 중간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용기 배기 챔버(212)와 배기 홀(114)을 연결한다. 용기 플런저 홀(224)의 둘레에는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225)이 배치된다.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225)은 용기 본체(111)가 커플링부(249)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용기 플런저 헤드(223)는 용기 연결유로(218)의 용기 삽입홀(216)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용기 플런저 헤드(223)는 용기 플런저 바디(222)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기 삽입홀(216)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용기 탄성부재(227)는 용기 배기 챔버(212)에 설치되어 용기 플런저(221)에 대해 용기 연결유로(218)를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용기 탄성부재(227)는 도시된 것과 같은 코일 스프링 구조 등 용기 플런저(221)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 탄성부재(227)는 용기 플런저(221)의 용기 플런저 헤드(223)가 용기 삽입홀(216) 속으로 압입되도록 용기 플런저(221)에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용기 플런저(221)에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용기 플런저 헤드(223)가 용기 삽입홀(216) 속에 압입된다. 이때, 용기 플런저 헤드(223)는 용기 실링부(215)에 밀착됨으로써 저장실(112)과 용기 배기 챔버(212) 사이의 공기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용기 플런저 헤드(223)가 용기 삽입홀(216) 속에 압입된 상태에서 용기 플런저 홀(224)의 중심은 배기 홀(114)의 중심과 편심되어 위치한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 본체(111)가 베이스(121)에 결합될 때, 커플링부(249)가 배기 홀(114) 속으로 삽입되며, 커플링부(249)의 끝단이 용기 플런저 홀(224) 속으로 진입한다. 커플링부(249)의 끝단이 용기 플런저 홀(224) 속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커플링부(249)의 끝단이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225)에 접하여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225)을 가압하게 되며, 이러한 커플링부(249)의 가압력에 의해 용기 플런저(221)가 용기 탄성부재(227)를 압축하면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이때, 용기 플런저 헤드(223)가 용기 실링부(215)에서 떨어져 용기 플런저 헤드(223)와 용기 실링부(215)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틈새가 만들어지며, 이러한 틈새를 통해 저장실(112)과 용기 배기 챔버(212)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용기 가이드면(231)은 베이스 연결부(240)의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253)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용기 본체(111)의 하면에 형성되는 용기 홈(230) 속에 배치된다. 용기 가이드면(231)은 용기 본체(111)의 하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용기 가이드면(231)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베이스 연결부(240)는 배기로(124)와 연결되는 베이스 배기 챔버(241)와, 진공 용기(110)와 결합될 수 있는 커플링부(249)와, 베이스 배기 챔버(241)에 설치되는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253)을 포함한다.
베이스 배기 챔버(241)는 배기로(124)를 통해 허브 챔버(123)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베이스 배기 챔버(241)는 안착면(122)에서 외측으로 개방되는 개구(247)와 연결된다. 개구(247)는 베이스 배기 챔버(241)에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된다.
배기로(124)와 베이스 배기 챔버(241)의 사이에는 베이스 실링부(242)가 구비된다. 베이스 실링부(242)는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253)의 베이스 플런저(254)가 틈새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실링부(242)에는 배기로(124)와 베이스 배기 챔버(241)를 연결하는 베이스 삽입 홀(243)이 구비된다. 베이스 삽입 홀(243)은 베이스 배기 챔버(241)에서 배기로(124)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21)와 별도로 구비되는 베이스 실링부(242)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삽입 홀(243)이 베이스(121)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배기 챔버(241)에는 베이스 실링재(245)가 배치된다. 베이스 실링재(245)는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253)의 베이스 플런저(254)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간 부분에 관통구가 마련된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실링재(245)는 베이스 플런저(254)가 틈새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실링재(245)에 의해 베이스 배기 챔버(241)는 커플링부 유로(250)와 연결되는 공간과, 개구(247)와 연결되는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들 두 개의 공간 사이에서는 공기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커플링부(249)는 진공 용기(1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안착면(122)으로부터 돌출된다. 커플링부(249)의 내측에는 베이스 배기 챔버(241)와 연결되는 커플링부 유로(250)가 구비된다. 진공 용기(110)가 커플링부(249)에 결합될 때 진공 용기(110)의 용기 배기 챔버(212)가 커플링부 유로(250)와 연결된다. 따라서, 진공 용기(110)의 용기 배기 챔버(212)는 커플링부 유로(250)를 통해 베이스 배기 챔버(241)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부(249)의 끝단에는 커플링부 가이드면(251)이 구비된다. 커플링부 가이드면(251)은 용기 플런저(221)의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225)에 대응하도록 용기 본체(111)가 커플링부(249)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용기 본체(111)가 커플링부(249)에 결합될 때 커플링부 가이드면(251)이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225)에 접함으로써 용기 플런저(221)를 통공(213)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253)은 베이스 배기 챔버(241)에 설치된다.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253)은 커플링부 유로(250)를 통한 허브 챔버(123)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253)은 베이스 삽입 홀(243)을 개폐할 수 있도록 베이스 배기 챔버(24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플런저(254)와, 베이스 플런저(254)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베이스 탄성부재(26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런저(254)는 용기 본체(111)가 커플링부(249)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 배기 챔버(241)에 배치된다. 베이스 플런저(254)는 진공 용기(110)가 진공압 공급기(120)에 결합될 때, 용기 본체(111)에 의해 가압되어 움직이게 된다. 베이스 플런저(254)는 베이스 플런저 바디(255)와, 베이스 플런저 바디(255)의 일단에 연결되는 베이스 플런저 헤드(256)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런저 바디(255)는 베이스 탄성부재(260)와 결합되어 베이스 탄성부재(26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베이스 플런저 바디(255)의 중간 부분에는 베이스 플런저 돌기(257)가 돌출 구비된다. 베이스 플런저 돌기(257)는 베이스(121)의 개구(247)를 통해 안착면(122)으로부터 돌출된다. 베이스 플런저 돌기(257)의 일측에는 베이스 플런저 가이드면(258)이 구비된다. 베이스 플런저 가이드면(258)은 용기 본체(111)가 커플링부(249)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용기 본체(111)가 커플링부(249)에 결합될 때 베이스 플런저 돌기(257)가 용기 본체(111)의 용기 홈(230) 속으로 삽입된다. 이때, 용기 본체(111)의 용기 가이드면(231)이 베이스 플런저 돌기(257)의 베이스 플런저 가이드면(258)에 접함으로써 베이스 플런저(254)가 가압력을 받게 되며, 베이스 플런저(254)가 베이스 탄성부재(260)를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베이스 플런저 헤드(256)는 베이스 삽입 홀(24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베이스 플런저 헤드(256)는 베이스 플런저 바디(255)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베이스 삽입 홀(243)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탄성부재(260)는 베이스 배기 챔버(241)에 설치되어 베이스 플런저(254)에 대해 베이스 삽입 홀(243)을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베이스 탄성부재(260)는 도시된 것과 같은 코일 스프링 구조 등 용기 플런저(221)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베이스 탄성부재(260)는 베이스 플런저(254)의 베이스 플런저 헤드(256)가 베이스 삽입 홀(243) 속으로 압입되도록 베이스 플런저(254)에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베이스 플런저(254)에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베이스 플런저 헤드(256)가 베이스 삽입 홀(243) 속에 압입된다. 이때, 베이스 플런저 헤드(256)는 베이스 실링부(242)에 밀착됨으로써 허브 챔버(123)와 베이스 배기 챔버(241) 사이의 공기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 본체(111)가 베이스(121)에 결합될 때, 베이스 플런저(254)의 베이스 플런저 돌기(257)가 용기 본체(111)의 용기 홈(230) 속으로 삽입된다. 베이스 플런저 돌기(257)가 용기 홈(230) 속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용기 본체(111)의 용기 가이드면(231)이 베이스 플런저 돌기(257)의 베이스 플런저 가이드면(258)에 접하여 베이스 플런저 가이드면(258)을 가압하게 되며, 용기 본체(111)의 가압력에 의해 베이스 플런저(254)가 베이스 탄성부재(260)를 압축하면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 플런저 헤드(256)가 베이스 실링부(242)에서 떨어져 베이스 플런저 헤드(256)와 베이스 실링부(242)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틈새가 만들어지며, 이러한 틈새를 통해 허브 챔버(123)와 베이스 배기 챔버(241)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장치의 연결유닛(2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용기 본체(111)에 뚜껑(118)이 결합된 진공 용기(110)가 커플링부(249)에 결합되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커플링부(249)가 용기 체크밸브 유닛(220)의 용기 플런저(221)를 움직여 저장실(112)과 용기 배기 챔버(212)가 연결된다. 그리고 진공 용기(110)에 의해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253)의 베이스 플런저(254)가 움직여 허브 챔버(123)와 베이스 배기 챔버(241)가 연결된다. 따라서, 베이스(121)의 허브 챔버(123)와 진공 용기(110)의 저장실(112)이 공기 유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진공 펌프(126)가 작동하면 진공 펌프(126)에서 발생하는 진공압이 저장실(112)에 제공된다. 즉, 저장실(112)의 공기가 용기 연결유로(218)와, 용기 배기 챔버(212)와, 커플링부 유로(250)와, 베이스 배기 챔버(241)와, 베이스 삽입 홀(243)과, 배기로(124)와, 허브 챔버(123)를 거쳐 진공 펌프(126) 쪽으로 배출됨으로써, 저장실(112)이 진공 상태로 변하게 된다.
저장실(112)이 진공 상태가 된 후,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진공 용기(110)가 커플링부(249)에서 분리되면, 용기 체크밸브 유닛(220)의 용기 플런저(221)가 용기 탄성부재(227)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되어 용기 연결유로(218)를 막는다. 따라서, 배기 홀(114)을 통한 저장실(112)로의 공기 유입이 차단되어 저장실(112)이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용기(110)가 커플링부(249)에서 분리되면,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253)의 베이스 플런저(254)가 베이스 탄성부재(26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되어 베이스 삽입 홀(243)을 막는다. 이때, 커플링부 유로(250)를 통한 허브 챔버(123)로의 공기 유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복수의 진공 용기(110) 중에서 일부 진공 용기(110)만 커플링부(249)에 결합된 상태로 진공 펌프(126)가 작동하더라도 허브 챔버(123)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커플링부(249)에 결합된 진공 용기(110)에 진공압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장치의 연결유닛(200)은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 수가 적으며,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공급기(120)와 저장실(112)을 갖는 진공 용기(110)를 안정적으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장치의 연결유닛(200)은 다양한 진공장치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장치의 연결유닛(200)은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의 진공 용기(110)와 진공압 공급기(120)를 포함하는 진공장치(100)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의 진공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진공 용기(110)에 구비되는 용기 연결부(21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배기 홀(114)을 통한 저장실(112)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용기 체크밸브 유닛(220)의 용기 플런저(221)는 진공 용기(110)가 진공압 공급기(120)의 커플링부(249)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용기 플런저(221)의 이동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21)에 구비되는 베이스 연결부(24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커플링부 유로(250)를 통한 배기로(124)의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253)의 베이스 플런저(254)는 진공 용기(110)가 베이스(121)의 커플링부(249)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베이스 플런저(254)의 이동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용기 본체(111)와 결합되는 커플링부(249)가 안착면(122)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커플링부는 안착면(122)으로부터 함몰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본체(111)의 하단부는 함몰형의 커플링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돌출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진공장치 110 : 진공 용기
111 : 용기 본체 112 : 저장실
118 : 뚜껑 120 : 진공압 공급기
121 : 베이스 122 : 안착면
123 : 허브 챔버 124 : 배기로
126 : 진공 펌프 129 : 하우징
131 : 제어부 200 :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210 : 용기 연결부 211 : 내부 하우징
212 : 용기 배기 챔버 215 : 용기 실링부
218 : 용기 연결유로 220 : 용기 체크밸브 유닛
221 : 용기 플런저 222 : 용기 플런저 바디
223 : 용기 플런저 헤드 227 : 용기 탄성부재
231 : 용기 가이드면 240 : 베이스 연결부
241 : 베이스 배기 챔버 242 : 베이스 실링부
249 : 커플링부 250 : 커플링부 유로
251 : 커플링부 가이드면 253 : 베이스 체크밸브 유닛
254 : 베이스 플런저 255 : 베이스 플런저 바디
256 : 베이스 플런저 헤드 257 : 베이스 플런저 돌기
260 : 베이스 탄성부재

Claims (4)

  1. 내부에 배기로가 마련되고 외부에 안착면이 구비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로와 연결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 진공압 공급기와,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저장실과 연결되는 배기 홀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진공 용기를 상호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진공장치의 연결유닛으로서,
    상기 진공 용기에 구비되는 용기 연결부; 및
    상기 용기 연결부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베이스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연결부는,
    상기 저장실 속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 홀과 연결되는 용기 배기 챔버 및 상기 용기 배기 챔버와 상기 저장실을 연결하는 용기 연결유로가 형성된 내부 하우징과,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배기 챔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플런저와,
    상기 용기 배기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막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용기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연결부는,
    상기 진공 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면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로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플링부 유로를 갖는 커플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커플링부 유로가 상기 배기 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진공 용기와 결합되어 상기 용기 플런저를 상기 용기 연결유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저장실이 상기 용기 연결유로 및 상기 커플링부 유로를 통해 상기 배기로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용기 플런저에는 상기 커플링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용기 플런저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함과 더불어 상기 용기 배기 챔버와 상기 배기 홀을 연결가능한 용기 플런저 홀이 마련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 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진공 용기가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이 마련되며,
    상기 커플링부의 끝단에는 상기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에 대응하도록 기울어진 커플링부 가이드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플링부의 끝단이 상기 용기 플런저 홀 내측으로 진입시, 초기 상기 용기 플런저 홀의 중심은 상기 배기 홀의 중심과 편심되게 위치하다가 상기 커플링부 가이드면이 상기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용기 플런저가 상기 용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면서 선형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플런저는 상기 커플링부가 접할 수 있는 용기 플런저 바디와, 상기 용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용기 플런저 바디의 끝단에 연결되는 용기 플런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연결유로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용기 플런저 헤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 플런저 헤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플런저는 상기 진공 용기가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은 상기 커플링부가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 용기가 상기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배기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용기 플런저 가이드면은 상기 용기 플런저 홀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KR1020210144283A 2020-04-02 2021-10-27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KR102417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283A KR102417927B1 (ko) 2020-04-02 2021-10-27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567A KR102342897B1 (ko) 2020-04-02 2020-04-02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KR1020210144283A KR102417927B1 (ko) 2020-04-02 2021-10-27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567A Division KR102342897B1 (ko) 2020-04-02 2020-04-02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974A KR20210131974A (ko) 2021-11-03
KR102417927B1 true KR102417927B1 (ko) 2022-07-05

Family

ID=781151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567A KR102342897B1 (ko) 2020-04-02 2020-04-02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KR1020210144283A KR102417927B1 (ko) 2020-04-02 2021-10-27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567A KR102342897B1 (ko) 2020-04-02 2020-04-02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28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2929B2 (ja) * 1995-10-13 2005-07-20 エムパ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真空駆動機械ラッ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944A (ko) * 1999-06-05 2001-01-05 성낙점 복수개의 용기를 진공화 시키는 진공장치
IL244564A (en) * 2016-03-13 2017-11-30 Lapidot Tal Vacuum container, system and method
KR101932492B1 (ko) 2016-08-16 2018-12-26 박수민 밀폐용기용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2929B2 (ja) * 1995-10-13 2005-07-20 エムパ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真空駆動機械ラ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897B1 (ko) 2021-12-22
KR20210123163A (ko) 2021-10-13
KR20210131974A (ko)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8414A1 (en) Spray pump
US11154888B2 (en) Spray pump
JP7150726B2 (ja) 膜ポンプデバイスおよび膜ポンプデバイスと作動デバイスとを有する膜ポンプ
KR200457521Y1 (ko) 밀폐식 화장품용기
KR20040101541A (ko) 호스 직결 캐니스터 리드
JP2007245145A (ja) 流動性物質用吐出装置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2417927B1 (ko)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KR20150111213A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170099130A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141317B1 (ko) 펌프 디스펜서
KR101932492B1 (ko) 밀폐용기용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
KR101627227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씰링구조
KR101687450B1 (ko) Lng 이송용 극저온 고압 펌프
KR101641633B1 (ko) 진공펌프
KR200450883Y1 (ko) 펌프 디스펜서
KR101923313B1 (ko) 진공 밀폐용 캡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957649B1 (ko) 진공 밀폐용 캡
US7055721B2 (en) Finger-operated spray pump ejaculating fluid in fixed quantity
KR101751982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US20240084790A1 (en) Elastic member and pump assembly comprising same
KR102370457B1 (ko)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
KR200406686Y1 (ko)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KR102491065B1 (ko) 펌프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