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313B1 - 진공 밀폐용 캡 - Google Patents

진공 밀폐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313B1
KR101923313B1 KR1020170078023A KR20170078023A KR101923313B1 KR 101923313 B1 KR101923313 B1 KR 101923313B1 KR 1020170078023 A KR1020170078023 A KR 1020170078023A KR 20170078023 A KR20170078023 A KR 20170078023A KR 101923313 B1 KR101923313 B1 KR 101923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iston
pressure
cap bod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병우
Original Assignee
서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병우 filed Critical 서병우
Priority to KR102017007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밀폐용 캡에 관한 것으로, 밀폐용기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작동공간부와 공기유입구를 형성한 캡본체; 상기 캡본체의 작동공간부 내벽면에 설치되는 피스톤 가이드; 상기 피스톤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실시하며 내부에 진공압 발생부를 형성한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판; 상기 캡본체와 피스톤부 사이를 연통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작용수단; 상기 공기유입구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개폐단속 하는 밸브체; 및 상기 가압판과 진공작용수단에 분할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 진공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체를 직접 가압하여 외기를 주입하는 진공해제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캡본체의 표면적에 대응하는 크기의 피스톤부를 제작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진공압 발생을 위한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펌핑작용 횟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진공 밀폐용 캡{sealing cap for vacuum}
본 발명은 진공 밀폐용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밀폐용 캡에 진공해제밸브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조 개선을 통해 피스톤부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공해제시 밀폐용기 및 진공 밀폐용 캡 내부 공기압을 동시에 해제시킬 수 있는 진공 밀폐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밀폐용 캡은 식품을 담는 밀페용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밀폐용기 내에 담긴 식품이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거나 고유의 향이 사라지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도록 밀폐용기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도구이다.
즉, 식품의 보관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 밀폐용 캡은 상기 밀폐용기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피스톤부와, 상기 캡본체와 피스톤부 사이에 연결되어 밀폐용기 내의 공기를 제거하는 진공작용수단과, 상기 캡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진공상태의 밀폐용기에 결합된 캡본체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공기를 주입하는 진공해제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부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펌핑작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상기 진공작용수단의 작용을 통해 밀폐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진공 밀폐용 캡을 밀폐용기로부터 탈착시키고자 할 때 진공상태에서는 캡본체가 진공압력에 의해 열리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진공해제밸브를 조작하여 진공을 해제시켜 상기 캡본체를 쉽게 탈착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 밀폐용 캡은 상기 캡본체의 표면적에 대하여 피스톤부와 진공해제밸브가 각각 다른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부의 크기를 크게 확장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여 진공 효율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다시 말해, 피스톤부의 크기에 따른 진공압력의 효율을 높여 펌핑작용의 횟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진공해제밸브는 밀폐용기에 대해서만 진공을 해제시키는 구조이므로 상기 피스톤부 내의 갇혀있는 진공압을 동시에 해제시키지 못하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26772호(2012.03.0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진공 밀폐용 캡에 진공해제밸브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조 개선을 통해 피스톤부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공해제시 밀폐용기 및 진공 밀폐용 캡 내부 공기압을 동시에 해제시킬 수 있는 진공 밀폐용 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폐용 캡은, 밀폐용기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작동공간부와 공기유입구를 형성한 캡본체; 상기 캡본체의 작동공간부 내벽면에 설치되는 피스톤 가이드; 상기 피스톤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실시하며 내부에 진공압 발생부를 형성한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판; 상기 캡본체와 피스톤부 사이를 연통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작용수단; 상기 공기유입구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개폐단속 하는 밸브체; 및 상기 가압판과 진공작용수단에 분할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 진공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체를 직접 가압하여 외기를 주입하는 진공해제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해제밸브는 상기 가압판에 설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압력스프링과, 상기 누름판에 결합되며 상기 진공작용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진공작용수단 내에 설치되는 록킹돌기와, 상기 록킹돌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압력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체는 상부에 상기 록킹돌기의 일부분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표면에는 상기 록킹돌기가 진입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수용홈의 중심부가 양측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정 깊이의 중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작용수단은 상기 피스톤부 내에 설치되는 진공압밸브와, 상기 캡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압밸브를 고정지지하는 공기배출관과, 상기 공기배출관의 외주 둘레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압밸브에는 상기 진공압 발생부의 내부 압력조건을 높이기 위해 상기 피스톤부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탄성리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 가이드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용기에 대한 진공 작용을 완료한 후 상기 피스톤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피스톤 가이드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회전식 체결구조를 가지는 걸림돌기와 걸림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밀폐용기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 또는 내용물 가루가 상기 공기유입구로 침입하여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안전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해제밸브의 구성이 진공 밀폐용 캡에 일체형 구조로 설치가 이루어짐에 따라, 캡본체의 표면적에 대응하는 크기의 피스톤부를 제작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진공압 발생을 위한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펌핑작용의 횟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진공해제밸브의 구성은 가압판과 진공작용수단에 각각 분할 설치되어 밸브체를 직접 가압하는 변형을 통해 외기를 주입하는 구성이므로 진공 밀폐용 캡 내부에 갇혀있는 진공압도 동시에 해제시킬 수 있어 진공 밀폐용 캡의 초기 펌핑작용의 작동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용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 밀폐용 캡이 밀폐용기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밀폐용 캡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진공해제밸브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폐용 캡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밀폐용 캡은 밀폐용기(10)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작동공간부(110)와 공기유입구(120)를 형성한 캡본체(100)와, 상기 캡본체(100)의 작동공간부(110) 내벽면에 설치되는 피스톤 가이드(200)와, 상기 피스톤 가이드(200)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실시하며 내부에 진공압 발생부(310)를 형성한 피스톤부(300)와, 상기 피스톤부(3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부(300)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판(400)과, 상기 캡본체(100)와 피스톤부(300) 사이를 연통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10)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작용수단(500)과, 상기 공기유입구(120)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개폐단속 하는 밸브체(600)와, 상기 가압판(400)과 진공작용수단(500)에 분할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10)의 내부 진공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체(600)를 직접 가압하여 외기를 주입하는 진공해제밸브(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캡본체(100)는 밀폐용기(10)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밀폐용기(10)를 기준으로 내부에는 상기 밀폐용기(10)의 바닥면을 향하여 일정 깊이 함몰되는 작동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상기 밀폐용기(10)와 체결되는 체결부(1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공간부(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밀폐용기(10) 내에 채워진 공기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공기유입구(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130)와 밀폐용기(10) 사이에는 고무패킹(미도시)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밀폐력과 체결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캡본체(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밀폐용기(10)에 대한 진공 작용시, 상기 밀폐용기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 또는 내용물의 가루 등이 상기 공기유입구(120)로 침입하여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안전커버(1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커버(140)는 상기 캡본체(100)의 바닥면과 외주면 일부분을 감싸는 구조의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밀폐용기(10) 내의 공기는 상기 안전커버(140)와 캡본체(100)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상기 공기유입구(120)로 빠져나간다.
상기 피스톤 가이드(200)는 상기 캡본체(100)의 작동공간부(110) 내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할 피스톤부(300)의 상하방향에 대한 왕복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피스톤 가이드(200)의 외면은 상기 작동공간부(110)를 형성하는 내벽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되 내면은 상기 피스톤부(300)의 상하이동에 따른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매끄러운 표면으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스톤 가이드(2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소정 깊이를 가지는 가이드홈(210)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피스톤부(300)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펌핑 작용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안정적인 직선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 가이드(200)에는 상기 밀폐용기(10)에 대한 진공 작용을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30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피스톤 가이드(200) 내에 잠금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대략 'ㄴ'자 구조의 걸림관통부(220)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 가이드(200)의 상단 테두리 둘레에는 상기 작동공간부(110)에 대하여 착탈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착탈용 플랜지부(23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부(300)는 상기 피스톤 가이드(200)에 삽입되는 것으로,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실시하는 작동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상기 피스톤부(300)는 왕복운동에 따른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를 가지는 진공압 발생부(310)가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부(300)는 상기 캡본체(100)의 표면적 넓이와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넓은 크기를 가지는 형태로 제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진공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펌핑작용의 횟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상기 캡본체(100)에 대하여 후술할 진공해제밸브(700)를 설치할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지 않고 상기 피스톤부(300)가 진공해제밸브(7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작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캡본체(100)에는 상기 진공해제밸브(700)와 피스톤부(300)가 구분되어 이격 설치되는 구성이 아닌 캡본체(100)의 표면에는 상기 피스톤부(300)만 단독으로 차지하고 있는 구성 및 구조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210)과 걸림관통부(220)에 각각 대응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돌기(320) 및 잠금돌기(330)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판(400)은 상기 피스톤부(30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피스톤부(300)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가압력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가압판(400)과 피스톤부(300)가 상호 결합되는 결합면에는 상기 밀폐용기로부터 빠져나온 공기가 대기로 방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개 이상의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압판(400)의 중심부에는 상기 진공해제밸브(700)의 일부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요홈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410)의 바닥면에는 공기주입구멍(4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진공해제밸브(700)는 상기 캡본체(100)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상기 가압판(400)에 설치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진공작용수단(500)은 상기 캡본체(100)와 피스톤부(300) 사이를 연통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밀폐용기(10)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작용수단(500)은 상기 피스톤부(300) 내에 설치되는 진공압밸브(510)와, 상기 캡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압밸브(510)를 고정지지하는 공기배출관(520)과, 상기 공기배출관(520)의 외주 둘레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5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진공압밸브(510)에는 상기 진공압 발생부의 내부 압력조건을 높이기 위해 상기 피스톤부(300)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탄성리브(5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압밸브(510)의 중심부에는 상기 진공해제밸브(700)의 다른 일부 구성이 설치되는 설치공간부(512)와, 상기 공기주입구멍(420)과 연통하는 연통구멍(513)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배출관(520)은 상기 피스톤부(300)가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는 행정거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단차진 구조의 공간부(521)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용기(10) 내의 공기와, 상기 진공해제밸브(700)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는 각각 상기 공기배출관(520)의 공간부(521)를 출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탄성스프링(530)은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피스톤부(300)를 지지고하 타단이 상기 공기배출관(520)에 지지되는 것으로, 피스톤부(300)의 하강시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300)를 원래의 위치로 탄성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부(300)와 공기배출관(520)의 결합면 사이에는 펌핑작용시 그 사이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오링(54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진공작용수단(500)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가압판(400)을 가압하는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30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부(300)의 진공압 발생부(310) 내에 채워진 공기는 상기 진공압밸브(510)와 밀착되는 상호 압력 작용에 의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후 상기 가압판(400)을 누르고 있는 압력을 해제시키면 상기 피스톤부(300)의 압력에 압축되어 있던 탄성스프링(53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피스톤부(300)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부(30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진공압 발생부(310)에는 진공압력이 발생하고 이 진공압력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구(120)를 폐쇄하고 있는 후술할 밸브체(600)가 변형을 통해 개방됨에 따라 상기 밀폐용기(10) 내의 공기가 상기 진공압 발생부(31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피스톤부(300)의 상승동작이 멈추면 상기 밸브체(600)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상기 공기유입구(120)를 폐쇄한다.
상기 밸브체(600)는 상기 공기유입구(1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밀폐용기(10) 내부에 대하여 공기의 유동을 개폐단속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밸브체(600)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20)의 단면 두께를 기준으로 공기유입구(120)의 하단에 밀착되는 제1 걸림돌기(610)와, 상기 공기유입구(120)의 상단에 밀착되는 제2 걸림돌기(62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걸림돌기(620)는 진공압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탄성변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밸브체(600)는 상부에 상기 진공해제밸브(700)의 록킹돌기(740) 일부분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수용홈(6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630)의 표면에는 상기 록킹돌기(740)가 진입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수용홈(630)의 중심부가 양측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64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정 깊이의 중공부(65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진공해제밸브(700)는 상기 가압판(400)과 진공작용수단(500)에 각각 분할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밀폐용기(10)의 내부 진공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체(600)를 직접 가압하여 외기를 주입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진공해제밸브(700)는 상기 가압판(400)에 설치되는 누름판(710)과, 상기 누름판(7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압력스프링(720)과, 상기 누름판(710)에 결합되며 상기 진공작용수단(5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돌기(730)의 구성과, 상기 진공작용수단(500)의 진공압밸브(510)에 설치되는 록킹돌기(740)와, 상기 록킹돌기(7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압력스프링(75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진공해제밸브(700)은 진공된 상태의 밀폐용기(10)를 쉽게 개방하기 위해 상기 밀폐용기(10) 내에 다시 공기를 주입하여 진공을 해제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가압판(400) 중앙에 설치된 누름판(710)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압판(710)과 연결된 가압돌기(730)가 함께 아랫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압돌기(730)는 상기 진공압밸브(510)에 설치되는 록킹돌기(740)와 접촉하여 누르는 압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가압돌기(730)의 압력에 눌린 상기 록킹돌기(740)가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상기 밸브체(600)의 수용홈(630)에 진입하며 상기 록킹돌기(740)가 진입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수용홈(630)의 절개부(640) 중심부가 양측방향으로 벌어져서 틈새를 제공하고 이때 공기가 주입됨으로써 상기 밀폐용기(10) 내부에 대한 진공을 해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록킹돌기(740)와 제2 압력스프링(750)은 상기 진공압 발생부(310)의 내부가 과압상태에 이를 경우, 진공압력에 의해 상기 록킹돌기(740)가 탄력적으로 일정 높이 하강하여 상기 진공압 발생부(310)의 과압 상태를 해소하는 역할을 병행한다.
이는 상기 밀폐용기(10)에 대한 지나친 펌핑작용에 따른 상기 진공압 발생부(310)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상기 피스톤부(310)를 아래쪽으로 하강시키는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결국, 상기 피스톤부(300)를 상기 피스톤 가이드(200)에 잠금 상태로 고정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해제밸브(700)는 진공 밀폐용 캡 자체에 형성되는 구성 및 구조에 의해 진공압 효율을 높이기 위한 피스톤부(300)의 크기를 한층 확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공 밀폐용 캡 내부에 갇혀있는 진공압도 동시에 해제시킬 수 있어 진공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초기 펌핑작용의 작동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밀폐용기 100 : 캡본체
200 : 피스톤 가이드 300 : 피스톤부
400 : 가압판 500 : 진공작용수단
600 : 밸브체 700 : 진공해제밸브

Claims (8)

  1. 밀폐용기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작동공간부와 공기유입구를 형성한 캡본체;
    상기 캡본체의 작동공간부 내벽면에 설치되는 피스톤 가이드;
    상기 피스톤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실시하며 내부에 진공압 발생부를 형성한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가압력을 전달하는 가압판;
    상기 캡본체와 피스톤부 사이를 연통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작용수단;
    상기 공기유입구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개폐단속 하는 밸브체; 및,
    상기 가압판과 진공작용수단에 분할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 진공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브체를 직접 가압하여 외기를 주입하는 진공해제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진공해제밸브는,
    상기 가압판에 설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압력스프링과, 상기 누름판에 결합되며 상기 진공작용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진공작용수단 내에 설치되는 록킹돌기와, 상기 록킹돌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 압력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폐용 캡.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부에 상기 록킹돌기의 일부분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표면에는 상기 록킹돌기가 진입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수용홈의 중심부가 양측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일정 깊이의 중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폐용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작용수단은,
    상기 피스톤부 내에 설치되는 진공압밸브와,
    상기 캡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압밸브를 고정지지하는 공기배출관과,
    상기 공기배출관의 외주 둘레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폐용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압밸브에는 상기 진공압 발생부의 내부 압력조건을 높이기 위해 상기 피스톤부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탄성리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폐용 캡.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가이드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폐용 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에 대한 진공 작용을 완료한 후 상기 피스톤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피스톤 가이드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회전식 체결구조를 가지는 걸림돌기와 걸림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폐용 캡.
  8.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밀폐용기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 또는 내용물 가루가 상기 공기유입구로 침입하여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안전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밀폐용 캡.
KR1020170078023A 2017-06-20 2017-06-20 진공 밀폐용 캡 KR101923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23A KR101923313B1 (ko) 2017-06-20 2017-06-20 진공 밀폐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23A KR101923313B1 (ko) 2017-06-20 2017-06-20 진공 밀폐용 캡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449A Division KR101957649B1 (ko) 2018-11-21 2018-11-21 진공 밀폐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313B1 true KR101923313B1 (ko) 2018-11-28

Family

ID=6456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023A KR101923313B1 (ko) 2017-06-20 2017-06-20 진공 밀폐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3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0594A (zh) * 2020-12-08 2021-04-16 宁波华丰包装有限公司 一种四方形立体真空压缩袋
CN113955319A (zh) * 2021-11-19 2022-01-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负压发生结构和保鲜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320B2 (ja) * 1993-09-28 2000-04-24 凸版印刷株式会社 荷電ビーム露光用透過マスクの製造方法
KR100257616B1 (ko) * 1997-07-16 2000-06-01 박윤식 진공용기 뚜껑
KR100455105B1 (ko) * 2001-08-20 2004-11-12 박윤식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KR101161732B1 (ko) * 2010-08-02 2012-07-11 구정오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320B2 (ja) * 1993-09-28 2000-04-24 凸版印刷株式会社 荷電ビーム露光用透過マスクの製造方法
KR100257616B1 (ko) * 1997-07-16 2000-06-01 박윤식 진공용기 뚜껑
KR100455105B1 (ko) * 2001-08-20 2004-11-12 박윤식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KR101161732B1 (ko) * 2010-08-02 2012-07-11 구정오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0594A (zh) * 2020-12-08 2021-04-16 宁波华丰包装有限公司 一种四方形立体真空压缩袋
CN112660594B (zh) * 2020-12-08 2022-07-05 宁波华丰包装有限公司 一种四方形立体真空压缩袋
CN113955319A (zh) * 2021-11-19 2022-01-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负压发生结构和保鲜盒
CN113955319B (zh) * 2021-11-19 2024-04-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负压发生结构和保鲜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4319B2 (en) Foaming pump
US8006870B2 (en) Discharger for a flowable medium
US4225061A (en) Fluid dispensing device
KR101923313B1 (ko) 진공 밀폐용 캡
KR20110008182U (ko) 에어리스펌프를 갖는 콤팩트 용기
US5176296A (en) Precompression metering-proportioning pump enabling its efficiency to be improved by early admission into the pump working space
KR101447558B1 (ko) 펌프식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202284B1 (ko)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1957649B1 (ko) 진공 밀폐용 캡
KR100986313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JP2004230316A (ja) 液体噴出ポンプ
JP2014213883A (ja) ポンプ式噴霧容器の外気導入機構
JP2010167378A (ja) 液体噴出器
KR101389530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JP2005211807A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KR102024121B1 (ko) 포밍 펌프 디스펜서
KR101974540B1 (ko) 휴대용 진공펌프
KR200422951Y1 (ko) 화장품용기
KR20170138258A (ko) 진공 펌프
KR102417927B1 (ko) 진공장치의 연결유닛
KR200465229Y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펌프 작동장치
KR101571292B1 (ko) 노즐고정형 펌핑식 화장품용기
KR200425282Y1 (ko) 액상 내용물 배출펌프
KR102404868B1 (ko) 친환경 공기압축 펌핑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