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284B1 -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 Google Patents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284B1
KR101202284B1 KR1020110057998A KR20110057998A KR101202284B1 KR 101202284 B1 KR101202284 B1 KR 101202284B1 KR 1020110057998 A KR1020110057998 A KR 1020110057998A KR 20110057998 A KR20110057998 A KR 20110057998A KR 101202284 B1 KR101202284 B1 KR 101202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ntainer
airless pump
pump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884A (ko
Inventor
임준국
Original Assignee
(주)톨리코리아
주식회사 탭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톨리코리아, 주식회사 탭코리아 filed Critical (주)톨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57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284B1/ko
Priority to US13/267,060 priority patent/US8631975B2/en
Priority to CN201110315164.XA priority patent/CN102756853B/zh
Priority to FR1160773A priority patent/FR2974281B1/fr
Publication of KR2012012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15Piston pumps actuated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2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14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05B11/1025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a spring urging the outlet valve in its clos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리스 펌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동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또한 펌프의 작동과 동시에 노즐이 개폐작동되도록 하여 비사용시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아울러, 사용시에는 펌프의 작동과 동시에 노즐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항상 정량씩 토출되도록 하는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화장품용기로서,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고, 상부가 개구되면서 내경에는 토출되는 내용물을 밀어 올리는 밀판이 체결되는 경질의 내용기; 상기 내용기의 외부에 체결되어 이를 보호토록 하는 경질의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면이 오목한 사용홈을 가지면서 중심부에는 노즐이 형성됨과동시에 외주연 일측면에는 수평으로 누름작동되는 작동버튼이 체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내부에서 내용기와 노즐 사이를 연통되게 연결토록 구비되고, 작동버튼의 누름작동에 의한 동력을 수직으로 변환시켜 내용기의 내용물을 펌핑토록 하는 에어리스 펌프; 상기 에어리스 펌프의 상부와 노즐 사이에 설치되어 펌프의 작동과 동일한 스트로크로 노즐을 개폐토록 하는 노즐개폐수단;을 갖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A airless pump and airless pump have cosmetic case}
본 발명은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리스 펌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동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또한 펌프의 작동과 동시에 노즐이 개폐작동되도록 하여 비사용시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아울러, 사용시에는 펌프의 작동과 동시에 노즐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항상 정량씩 토출되도록 하는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겔(gel) 또는 크림(cream)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들은 주로 개구부가 비교적 넓은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뚜껑으로 개폐되는 전용의 크림화장품용기에 담겨져 사용되거나 또는 튜브형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에 담겨져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크림화장품용기의 구성은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내용물을 손가락으로 찍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개구부가 비교적 넓으면서도 높이가 낮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뚜껑을 개폐한 후 용기내에 수납되는 크림형태의 화장품을 손가락으로 적당량 찍어서 사용하게 되고, 사용후에는 뚜껑을 닫아서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크림화장품용기는 크림 형태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을 단순히 담아서 보관하는 정도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으로 개폐토록 하는 구성임으로써 보관시 개구부를 긴밀히 밀폐하기가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할 때마다 뚜껑에 의해 용기가 개방되어 대기에 노출됨으로써 외부의 공기나 이물질 등의 유입이 쉽게 이루어져 화장품이 오염 또는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화장품이 급속하게 오염 및 변질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매번 뚜껑을 개방할 때마다 화장품의 고유한 향과 수분이 쉽게 빠져나가게 됨으로써 화장품 본래의 성분을 상실하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시에도 용기내의 화장품을 매번 필요로 하는 양만큼 손가락으로 정확히 찍어서 사용하기가 힘들어 화장품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도 손가락을 통하여 화장품의 오염 및 변질을 더욱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화장품이 보관되는 저장용기는 손가락으로 화장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개구부를 넓게 형성되어야 하는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바닥면의 모서리부분에 남겨지는 화장품을 완전하게 사용하기도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다른 형태의 종래 크림화장품용기는 튜브형으로 이루어진 화장품용기를 들수 있다.
상기 튜브형 용기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합성수지 등의 여러 가지 연질로 형성됨과 동시에 표면을 압착함으로써 비교적 좁은 주입구를 통해 내용물이 토출되는 구성으로서 화장품뿐만 아니라 크림형태로 이루어지는 각종 의약품이나 치약, 샴푸 등과 같은 세제류를 저장하는 용기로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튜브형 화장품용기는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저장 보관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은 있으나, 튜브 자체가 가지는 특성상 내용물이 토출되는 양만큼 전체적인 체적이 줄어들어 외형이 변형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하는 양만큼 튜브의 외형이 점차 찌그러지게 됨으로써 최초의 외형을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여 외관상 보기가 좋지 못한 등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변형된 외형에 의해 보관성이 좋지 못하고 사용시 핸드링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외에도 개구부가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인하여 사용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압착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구성임으로써 매번 필요로 하는 정확한 양을 토출시키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튜브형의 내부용기와 경질의 외부용기로 구성한 이중구조체의 화장품용기로 형성하면서도 이들 개구부에는 에어리스 펌프를 장착한 형태의 화장품용기가 개발되어 있고, 이러한 형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서도 제안된 바 있다.
본원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선출원 특허등록의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특허출원 제10-2008-49071호(등록번호 10-963155호)를 들수 있는데, 경질의 외부용기내에 튜브형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용기가 이중구조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개구부에는 에어리스 펌프가 장착되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외부용기의 외부로 노출된 펌프의 작동버튼을 누름작동하게 되면, 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튜브형의 내부용기에 저장된 화장품이 노즐을 통하여 토출됨으로써 화장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선등록특허는 비사용시에는 외부의 공기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시에는 펌프의 작동에 의해 정량씩 토출되는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가지기는 하지만, 작동버튼이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 누름방식에 의해 작동되는 것임으로써 사용의 불편함이 야기되었을 뿐만 아니라, 노즐이 측면에 형성되어 내용물이 측면으로 토출됨에 따라 외부로 흘러내리는 등 여러 가지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형태의 에어리스 펌프를 장착한 화장품용기의 구성은 특허출원 제2009-27218호를 들수 있는데, 이는 튜브가 없는 저장용기의 상부에 펌프가 설치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작동버튼의 누름작동에 의해 펌프가 작동되어 내용물을 상부측으로 토출시키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의 선출원발명은 용기의 상부면에 작동버튼과 노즐이 나란히 설치되는 구성임으로써 작동버튼을 누름작동시 내용물이 손가락에 묻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에 제안된 화장품용기의 에어리스 펌프 구성은 대부분 저장용기와 노즐의 사이에 실린더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실린더에는 스프링에 의해 피스톤이 탄력설치되고, 피스톤의 일측단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버튼이 체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완벽한 기밀성을 유지하지 못하여 오작동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동버튼의 누름작동에 따른 동력전달과정이 실린더상에 설치되는 피스톤을 진퇴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압력이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내용물이 토출되는 경로가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토출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라 할지라도 노즐과 에어리스 펌프 사이의 배출통로상에는 토출되고 남는 내용물이 항상 남게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이의 잔여물은 결국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어 오염 및 변질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에어리스 펌프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즉 누름작동하는 작동버튼의 수평동력을 수직으로 변환시켜 상,하 펌핑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에어리스 펌프의 작동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에어리스 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리스 펌프의 작동버튼을 측면에서 누름작동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펌프의 작동과 동시에 노즐을 개폐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공기 유입을 원초적으로 차단하여 겔 또는 크림형태의 화장품을 오염이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에어리스 펌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상 일정량의 내용물을 정확히 토출시키도록 하는 에어리스 펌프를 화장품용기에 적용함으로써 고가인 화장품을 매번 낭비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외부로 토출되는 내용물을 상부의 오목한 사용홈으로 토출시켜 손가락으로 편리하게 찍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리스 펌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즉 본 발명의 에어리스 펌프는 용기의 헤드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펌프의 작동버튼을 헤드의 측면에 사이드 방식으로 설치하여 수평방향으로 누름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화장품용기의 헤드 상면에 설치되는 노즐의 내부에는 펌프의 작동과 동시에 승강작동되는 노즐개폐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펌프의 펌핑작동과 노즐의 개폐작동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포함한다.
또한 에어리스 펌프의 작동에 따른 작동버튼의 동력전달과정은 수평의 방향에서 수직의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동력전달이 최단거리에서 이루어져 원활한 펌핑작동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경로 역시 최단거리로 짧아져 토출에 따른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에어리스 펌프를 화장품용기에 적용함으로써 고가인 화장품을 낭비가 없고, 오염 및 변질됨이 없이 편리하고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더욱이 내용물을 화장품용기의 상부 사용홈으로 토출시켜 손가락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의 내부에 에어리스 펌프를 장착하면서도 작동버튼을 사이드 방식으로 구성함과동시에 노즐은 상부로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한 손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는 등 작동에 따른 편리성과 더불어 토출되는 내용물의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즉, 사이드 방식으로 누름작동하는 펌프의 작동에 의해 일정량만큼의 내용물이 화장품용기의 상부 사용홈으로 정확히 토출됨으로써 손가락 하나로 찍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에어리스 펌프의 작동버튼에 따른 동력전달과정을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전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펌프의 작동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토출경로가 짧아져 오작동 비율이 월등히 줄어들면서도 토출효율이 그만큼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의 내부에 펌프의 작동과 함께 작동되는 노즐개폐수단을 장착함으로써 비사용시에는 외부의 공기와 이물질의 유입이 원초적으로 차단되어 내용물을 안전하게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에어리스 펌프를 화장품용기에 적용함으로써 액체 또는 겔 상태 등의 고가인 화장품을 낭비도 없고, 오염 및 변질됨이 없이 장기간동안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1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도1에서 저장용기를 단면하여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도3에서 내부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저장용기의 일부를 단면하여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도5의 A - A선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외형에 따른 케이스만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에어리스 펌프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도8에서 노즐개폐수단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작동관에 슬라이더가 결합되는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 도10의 단면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 노즐개폐수단의 조립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 도12에서 작동버튼을 누른 작동상태도
도 14 내지 도16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내지 도6에서는 본 발명의 전체구조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고, 도7 내지 도11에서는 본 발명의 세부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도1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면에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이 내용물을 저장하는 저장용기(100)와 이 저장용기(100)의 노즐 부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개폐작동되는 뚜껑(200)으로 구분된다.
상기 저장용기(100)는 내,외용기의 이중 용기체로 구성되면서도 밀폐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액체상태뿐만 아니라 겔, 크림상태의 내용물도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장기간 저장보관할 수 있다.
저장용기(100)는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보관토록 하는 내용기(10)와, 내용기(10)의 외측에서 이중의 구조로 형성되어 전체적인 외형을 유지토록 하는 외용기(20)로 구성되고, 외용기(20)의 상부에는 노즐을 가지는 헤드(30)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의 헤드(30)내에서 내용기(10)의 상부에 에어리스 펌프(40)가 설치된다.
상기 내,외용기(10)(20)는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 등의 재질로 형성되면서도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예컨데, 내용기(10)는 직사광선 또는 자외선 등으로부터 내용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라미네이터, 알루미늄, 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외용기(20)는 유리,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서 외형을 중시하여 형성할 수 있다.
내용기(10)는 내부에 화장품과 같은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1)을 가지면서 상,하부가 개구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별도의 밀판(12)이 체결되어 내용물의 토출되는 양에 따라 상승되어 내용물을 밀어올리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고, 상부의 개구부에는 에어리스 펌프(40)가 설치된다.
밀판(12)은 후렉시블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면서도 하부가 개구되는 내용기(10)의 내경에 삽입체결되어 저장공간(11)을 밀폐하게 되고, 내용물의 토출에 따른 진공압력이 작용할 시 상승되어 내용물을 토출구를 향해 밀어 올리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 외용기(20)는 내용기(10)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전체적인 외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원통 또는 사각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내용기의 안전한 보호를 위하여 경질로 형성되면서도 저면에는 내용기내의 밀판(12)의 작동을 위한 에어공(21)이 형성된다.
상기 외용기(20)의 상부에는 헤드(30)가 설치된다.
이 헤드(30)는 내부에 에어리스 펌프(4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상부면에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용물을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찍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홈(31)을 가짐과 동시에, 이의 중심에는 노즐(32)이 형성되고, 외주연의 일측면에는 에어리스 펌프(40)의 작동버튼이 설치되는 설치공(33)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헤드(30)의 상면은 오목한 형상의 유연한 사용홈(31)으로 형성되면서도 중심부에는 노즐(32)이 형성됨으로써 펌프의 작동에 의해 내용물이 노즐(32)을 통해 토출되면 사용홈(31)을 따라서 손가락으로 편리하게 찍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노즐(32)은 내부를 향한 관체형의 토출관으로 형성되는 것이나 노즐로 명명하며, 최종적으로 내용물이 토출되는 구멍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리스 펌프(40)는 헤드(30)의 내부 공간에서 내용기(10)의 상부에 긴밀하게 체결되어 내용기(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된다.
상기 에어리스 펌프(40)는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내용기(10)의 주입구내에 압축실린더(41)가 밀폐캡(42)에 의해 삽입체결되어 주입구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되고, 압축실린더(41)의 내부에는 피스톤밸브(43) 및 피스톤(44)이 체결된다.
상기 압축실린더(41)는 상부가 개구되면서 하단부에는 역지밸브(49a)에 의해 개폐되는 토출구(41a)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용물을 압축토록 하는 압축실(41b)을 가진다.
이 압축실린더(41)는 상단의 플랜지가 내용기(10)의 주입구와 긴밀히 밀착되어 체결되면서도 몸체는 내용기(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ㅁ므로써 역지밸브(49a)에 의해 개폐되는 토출구(41a)를 통해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압축실린더(41)를 고정하는 밀폐캡(42)은 내용기(10)와 헤드(30)의 사이에 고정설치되어 에어리스 펌프(40)를 형성하는 관련부품들을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의 상면에는 후술할 슬라이더를 안내토록 하는 가이드벽(42a)이 양측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중심부의 중심공에는 피스톤(44)과 작동관(45)이 수직으로 삽입체결되어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 밸브(43)는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면서 압축실린더(41)의 내경에 긴밀히 삽입체결되고, 피스톤(44)과 작동관(45)의 승강작동에 의해 승강되면서 압축실(41b)내의 내용물을 압축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또 상기 피스톤(44)은 상부가 개구되는 원통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면서 중심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배출공(44a)이 천공되고, 하단부는 압축실린더(41)의 내경을 따라 승강작동되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외주연상에는 톱니형의 날개(44b)를 갖추어 구성된다.
이 피스톤(44)은 상부가 작동관(45)의 저면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고정되어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경로를 제공하면서 작동관(45)의 승강작동에 따라 동일하게 승강작동된다.
또 피스톤(44)의 표면에는 내용물의 토출에 따른 흐름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리브(44c)들이 교호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의 외측에 피스톤밸브(43)가 장착되어 승강작동에 따라 리브(44c) 사이들의 공간을 개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관(45)은 밀폐캡(42)의 상부에서 중심공을 따라 수직으로 체결되면서 스프링(46)에 의해 탄력설치되고, 이의 상부에는 노즐(32)을 개폐토록 하는 노즐개폐수단(A)이 설치된다.
상기 작동관(45)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외주연상에는 양측으로 힌지축(45a)이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지대(45b)가 일정길이만큼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승강작동에 따라 피스톤밸브(43)를 승강작동시키게 된다.
또 상기 노즐개폐수단(A)은 상단부는 구형을 이루면서 하부는 개구되는 토출경로(51a)를 가지는 파이프형의 노즐개폐봉(51)을 갖추어 형성되고, 이 노즐개폐봉(51)의 상부에는 내부의 토출경로(51a)와 연통되는 토출공(51b)이 천공된다.
이 노즐개폐봉(51)의 하단부는 작동관(45)의 상부와 연통되게 결합되어 내용물의 토출경로를 형성하게 되고, 상단부는 구형으로 형성되어 헤드(30)의 노즐(32)을 개폐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30)의 저면에는 별도의 패킹(49)이 체결고정되어 노즐(32)측으로 토출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토록 구성되며, 즉, 원통형으로 형성되면서 노즐(32) 부위를 감싸아 체결됨으로써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중심공으로 삽입체결되는 노즐개폐봉(51)의 기밀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관(45)의 외측에는 작동버튼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슬라이더(47)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슬라이더(47)의 끝단에는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작동버튼(48)이 체결된다.
상기 슬라이더(47)는 일측에 작동버튼(48)이 체결되는 체결공(47a)을 가지면서 양측으로 슬라이드편(47b)이 나란히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편(47b)에는 45°로 경사지게 천공되는 축공(47c)이 형성된다.
슬라이더(47)의 양측 슬라이드편(47b)은 밀폐캡(42)의 상단 가이드벽(42a) 사이에 체결되어 이를 따라 수평으로 진퇴작동됨과 동시에, 축공(47c)은 작동관(45)의 양측에 형성되는 힌지축(45a)과 축결합되고, 일측의 체결공(47a)에는 작동버튼(48)이 체결된다.
상기 작동버튼(48)은 일측이 슬라이더(47)의 체결공(47a)에 체결됨과 동시에 헤드(30)의 설치공(33)을 통하여 수평으로 설치되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외부에서 누름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장품용기는 저장용기(100)와 뚜껑(200)으로 구성되며, 저장용기(100)의 내용기(10)에는 액체뿐만 아니라 겔, 크림 상태로 이루어지는 각종 화장품들을 효과적으로 저장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저장용기(100)는 화장품과 같은 내용물을 안전하게 저장토록 하는 내용기(10)와 이를 보호토록 하면서도 전체적인 외형을 유지토록 하는 외용기(20)가 이중구조로 구성되면서도 이들의 상부에 헤드(30)와 에어리스 펌프(40)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내,외용기(10)(20)의 서로 다른 재질이나 또는 이중구조로 인하여 외부로부터의 직사광선과 자외선 등으로 부터 내용물을 안전하고도 효율적으로 장기간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게 되고, 또한 에어리스 펌프(40)에 의해 외부의 공기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내용물의 오염이나 변질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헤드(30)상에 형성되는 노즐(32)을 노즐개폐수단(A)에 따른 노즐개폐봉(51)이 긴밀히 막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나 이물질의 유입이 원초적으로 차단됨으로써 내용물을 보다 안전하게 저장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 화장품용기내의 내용물 즉,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뚜껑(200)을 개방한 상태에서 헤드(30)의 일측면 설치공(33)에 설치된 작동버튼(48)을 눌러주면, 이의 누름력에 의해 슬라이더(47)가 수평방향으로 전진작동을 하게 된다.
슬라이더(47)는 밀폐캡(42)의 가이드벽(42a) 사이에 조립되어 있음에 따라 이에 안내된 채로 수평방향으로 진퇴작동만을 하게 되므로 작동버튼(48)의 누름작동에 의해 전진작동을 하게 된다.
이 슬라이더(47)의 전진작동에 의해 슬라이드편(47b)의 축공(47c)과 힌지축(45a)으로 축 결합된 작동관(45)은 스프링(46)을 압축하면서 수직으로 하강작동을 하게 된다.
즉, 슬라이더(47)의 슬라이드편(47b)에 천공된 축공(47c)이 45°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의 축공(47c)에 작동관(45)의 힌지축(45a)이 교차되게 조립됨으로써 슬라이더(47)의 진퇴작동에 따른 수평동력은 수직으로 변환되어져 작동관(45)을 승강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관(45)이 하강하게 되면, 이에 결합된 상부의 노즐개폐봉(51)은 동일한 스트로크로 하강하면서 노즐(32)을 개방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에어리스 펌프(40)를 펌핑하게 된다.
즉, 상기 작동관(45)이 하강하면서 그 하부에 체결된 피스톤(44)을 먼저 하강시키게 되고, 하강하는 피스톤(44)은 먼저 압축실린더(41)내의 압축실(41b)를 압축하게 됨과 동시에, 피스톤밸브(43)와 이격되어져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경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작동관(45)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44)이 피스톤밸브(43)보다 먼저 하강하게 되고, 이어서 작동관(45)의 지지대(45b)가 피스톤밸브(43)를 순차적으로 하강시키게 됨으로써 압축실(41b)을 압축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44)과 피스톤밸브(43)의 순차적인 하강에 의해 압축실(41b)내에 충진되어 있던 내용물은 피스톤(44)의 하단 날개(44b)들 사이와 리브(44c)들의 사이를 거쳐 피스톤밸브(43)의 상부측으로 이송된다.
이어서 피스톤(44)의 배출공(44a)을 거쳐 그 내부로 이송된 후 노즐개폐봉(51)의 토출경로(51a)로 토출되고, 상기 노즐개폐봉(51)의 토출경로(51a)로 토출되는 내용물은 그 상단 토출공(41b)을 거쳐 노즐(32)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압축모드에서는 역지밸브(49a)는 토출구(41a)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노즐(32)을 거쳐 헤드(30)의 상부 사용홈(31)으로 토출되는 내용물은 손가락으로 찍어서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과는 반대로 누르고 있던 작동버튼(48)을 놓게 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46)의 복귀력에 의해 작동관(45)은 원위치로 상승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 상부 노즐개폐수단(A)의 노즐개폐봉(51)도 동일한 스트로크로 상승되어 상단부가 노즐(32)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 아울러 작동관(45)의 하부에 연결된 피스톤(44) 역시 원위치로 상승작동되면서 피스톤밸브(43)를 순차적으로 상승작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압축실린더(41)내의 압축실(41b)은 팽창되어 강한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피스톤(44)이 상승되면서 피스톤밸브(43)의 사이에서 발생된 토출경로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승작동됨으로써 압축실(41b)의 강한 흡출압력으로 역지밸브(49a)가 토출구(41a)을 개방하게 되어 내용기(10)내의 내용물이 압축실(41b)내로 유입되고, 이렇게 압축실(41b)내로 유입되는 내용물은 다음 작동을 대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관(45)이 상승작동함에 따라 이의 외측에 형성된 힌지축(45a)과 축결합된 슬라이더(47)는 경사진 축공(47c)에 의해 역시 수평으로 후진작동됨으로써 다음 작동에 따른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동 즉, 작동버튼(48)의 누름작동을 반복함으로써 헤드(30)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리스 펌프(40)가 작동되어 내용기(10)내의 내용물을 항상 일정한 양만큼 정량으로 토출시킬 수가 있다.
즉,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노즐(32)이 항상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외부로 부터 공기는 물론 이물질의 유입이 원초적으로 차단되는 것이고, 사용시에는 작동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그 즉시 펌프의 작동과 동시에 노즐이 개방됨으로써 내용물은 효과적으로 토출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100:저장용기 200:뚜껑
10:내용기 11:저장공간
12:밀판 20:외용기
21:에어공 30:헤드
31:사용홈 32:노즐
33:설치공 40:에어리스 펌프
41:압축실린더 41a:토출구
41b:압축실 42:밀폐캡
42a:가이드벽 43:피스톤밸브
44:피스톤 44a:배출공
44b:날개 44c:리브
45:작동관 45a:힌지축
45b:지지대 46:스프링
47:슬라이더 47a:체결공
47b:슬라이드편 47c:축공
48:작동버튼 49:패킹
49a:역지밸브 A:노즐개폐수단
51:노즐개폐봉 51a:토출경로
51b:토출공

Claims (7)

  1. 저장용기에 설치되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헤드의 노즐;
    상기 저장용기와 헤드의 노즐 사이에 설치되고, 저장용기와 연통되는 압축실을 가지는 압축실린더;
    상기 압축실린더를 고정설치토록 하는 밀폐캡;
    상기 압축실린더의 내부 압축실에 체결되는 피스톤밸브 및 피스톤;
    상기 밀폐캡의 상부에서 중심공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어 승강작동되고 피스톤과 피스톤밸브를 승강작동시키도록 하는 작동관;
    상기 작동관과 밀폐캡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작동관에 직각방향으로로 축결합되어 작동버튼에 의해 수평으로 진퇴작동되어 작동관을 수직으로 승강작동시키도록 하는 슬라이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캡은 저장용기의 개구부에 체결되고,
    상면에는 슬라이더가 체결되어 진퇴작동되는 가이드벽이 양측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중심부의 중심공에는 피스톤과 작동관이 수직으로 삽입체결되어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관은 밀폐캡에 체결되어 수직으로 승강작동되면서 외연에 힌지축이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에는 피스톤밸브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지지봉이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더의 진퇴작동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작동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일측에 작동버튼이 체결되는 체결공를 가지면서 양측으로 밀폐캡의 가이드벽에 안내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편이 나란히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편에는 45°로 경사지게 천공되는 축공이 형성되어 작동관의 힌지축과 축결합되며, 작동버튼에 의해 수평으로 가해지는 동력을 수직으로 변환하여 작동관을 승강작동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펌프.
  5. 화장품용기로서,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고, 상부가 개구되면서 내경에는 토출되는 내용물을 밀어 올리는 밀판이 체결되는 경질의 내용기;
    상기 내용기의 외부에 체결되어 이를 보호토록 하는 경질의 외용기;
    상기 외용기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면이 오목한 사용홈을 가지면서 중심부에는 노즐이 형성됨과동시에 외주연 일측면에는 수평으로 누름작동되는 작동버튼이 체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의 내부에서 내용기와 노즐 사이를 연통되게 연결토록 구비되고, 작동버튼의 누름작동에 의한 동력을 수직으로 변환시켜 내용기의 내용물을 펌핑토록 하는 에어리스 펌프;
    상기 에어리스 펌프의 상부와 노즐 사이에 설치되어 펌프의 작동과 동일한 스트로크로 노즐을 개폐토록 하는 노즐개폐수단;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펌프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면에 오목한 형상의 유연한 사용홈과, 이의 중심부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노즐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리스 펌프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개폐수단은 에어리스 펌프의 상부 작동관에 수직으로 노즐개폐봉이 체결고정되고, 이 노즐개폐봉은 상단부가 구형을 이루면서 하부는 개구되는 토출경로를 가지는 파이프형으로 구성되며, 이 노즐개폐봉의 상부에는 내부의 토출경로와 연통되는 토출공이 천공되어 에어리스 펌프의 승강작동과 동일한 스트로크로 승강작동되어 노즐을 개폐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스 펌프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20110057998A 2011-04-25 2011-06-15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101202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998A KR101202284B1 (ko) 2011-04-25 2011-06-15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US13/267,060 US8631975B2 (en) 2011-04-25 2011-10-06 Airless pump and cosmetic container having the same
CN201110315164.XA CN102756853B (zh) 2011-04-25 2011-10-17 无气泵和具有该无气泵的化妆品容器
FR1160773A FR2974281B1 (fr) 2011-04-25 2011-11-24 Pompe sans air et recipient de produit cosmetique comprenant cette dernie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291 2011-04-25
KR1020110057998A KR101202284B1 (ko) 2011-04-25 2011-06-15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884A KR20120120884A (ko) 2012-11-02
KR101202284B1 true KR101202284B1 (ko) 2012-11-16

Family

ID=4750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998A KR101202284B1 (ko) 2011-04-25 2011-06-15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2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920B1 (ko) * 2020-04-24 2020-12-09 (주)연우 이중 용기
EP3977892A1 (en) 2020-10-05 2022-04-06 Samhwa Co., Ltd. Cosmetic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86Y1 (ko) * 2012-09-14 2014-03-14 (주)아모레퍼시픽 배출펌프
KR200474362Y1 (ko) * 2013-04-01 2014-10-30 펌텍코리아 (주) 두 가지 내용물을 보관,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101385944B1 (ko) * 2013-08-08 2014-04-16 정상열 내용물 배출용 에어리스 펌프의 사이드 버튼
KR200476949Y1 (ko) * 2013-08-22 2015-04-20 펌텍코리아 (주) 두 가지 내용물을 보관,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FR3019528B1 (fr) * 2014-04-08 2019-10-11 Qualipac Flacon.
AU2017354038B2 (en) 2016-11-01 2022-12-08 Igloo Products Corp. Container lid
KR102181628B1 (ko) * 2019-05-08 2020-11-23 주식회사 디티에스엠지 에어리스 펌프를 갖는 아이롤러 타입 화장품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552A1 (en) 2004-06-29 2006-01-05 Kim Yoon-Hoi Lip pack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01552A1 (en) 2004-06-29 2006-01-05 Kim Yoon-Hoi Lip packag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920B1 (ko) * 2020-04-24 2020-12-09 (주)연우 이중 용기
WO2021215676A1 (ko) * 2020-04-24 2021-10-28 주식회사 연우 이중 용기
EP3977892A1 (en) 2020-10-05 2022-04-06 Samhwa Co., Ltd. Cosmetic container
JP2022061006A (ja) * 2020-10-05 2022-04-15 サムファ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化粧品容器
US11382398B2 (en) 2020-10-05 2022-07-12 Samhwa Co., Ltd Cosmetic container
JP7265799B2 (ja) 2020-10-05 2023-04-27 サムファ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化粧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884A (ko) 201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284B1 (ko) 에어리스 펌프 및 그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101287363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도포장치
KR101267966B1 (ko)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 화장품용기
KR101028988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US8631975B2 (en) Airless pump and cosmetic container having the same
KR101265949B1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265948B1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0963155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이중화장품용기
KR101021611B1 (ko) 잠금수단을 가지는 에어리스 이중화장품용기
US20190381528A1 (en) 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KR102338575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2318862B1 (ko) 에어리스 펌핑형 화장품 용기
KR200465229Y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펌프 작동장치
JP2019018917A (ja) ポンプ式液体密閉容器
KR200483650Y1 (ko) 에어리스 펌프를 장착한 화운데이션 화장품용기
KR101090312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101789136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KR102517074B1 (ko) 에어리스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1082427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101443837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프
KR200485890Y1 (ko) 고무링이 삽입된 스크류 타입 에어리스 펌프 용기
KR101320556B1 (ko) 화장품 용기
CN111483696A (zh) 一种饭盒和抽气装置
KR102169678B1 (ko) 탄성 복원력을 이용한 화장품용기
KR200394527Y1 (ko) 진공펌프를 가지는 튜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