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530B1 - 이종물질혼합용기 - Google Patents

이종물질혼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530B1
KR101389530B1 KR1020130119124A KR20130119124A KR101389530B1 KR 101389530 B1 KR101389530 B1 KR 101389530B1 KR 1020130119124 A KR1020130119124 A KR 1020130119124A KR 20130119124 A KR20130119124 A KR 20130119124A KR 101389530 B1 KR101389530 B1 KR 101389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torage space
container
hole
auxiliar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코
Priority to KR1020130119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55Containers provided with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and permitting admixtur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44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having a dispensing opening formed in the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물질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용기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 용기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바디부와, 중앙영역에 캡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공이 상기 용기저장공간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내부캡과, 저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버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바디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캡의 상측에 배치되는 누름버튼과, 상기 버튼유로와 상기 캡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누름버튼의 저면에 형성된 가압관과, 요형(凹形)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개구가 상기 가압관에 연통하고 상기 통과공이 상기 용기저장공간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누름버튼의 가압조작시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내부캡사이에 개재된 복귀스프링과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중간저장실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표면에 밀착되고 상기 가압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펌핑피스톤과 상기 펌핑피스톤을 통과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관과 함께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관에 결합되고 상승동작시 상기 펌핑피스톤을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템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관이 하강하여 상기 펌핑피스톤에 도달하는 동안 상기 중간저장실에 연통할 수 있도록 작동축유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이 하강할 때 상기 통과공을 밀폐하고 상기 작동축이 상승할 때 상기 통과공을 개방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바닥면에 설치된 밸브체를 가지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시 상기 중간저장실내의 화장품을 상기 버튼유로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 해제시 상기 용기바디부에 저장된 화장품을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중간저장실로 유입시키는 펌핑부를 갖는 이종물질혼합용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내부캡으로부터 상기 용기바디부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형성되고 내표면 하단에는 상부걸림돌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상부실린더부와, 바닥면에 상기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실린더부의 하측에 배치된 요형(凹形)의 하부실린더부와, 상단 외표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이 상기 스템에 접촉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상부실린더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실린더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실린더부의 내표면에 결합되는 관형태의 가동실린더부를 가지고; 상기 펌핑피스톤은 상기 상부실린더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부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와, 상기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의 하단과 상기 하부실린더부의 사이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실린더부에 결합된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종물질혼합구조가 간단하고 제품조립이 용이하고 이종물질혼합구조에 의해 중간저장실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물질혼합용기{Receptacle for separately keeping and mixed use of different materials}
본 발명은 이종물질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가지 물질을 하나의 용기에 분리 저장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두가지 물질이 혼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성분이 다른 두 가지 물질(화장품 등)을 미리 혼합하게 되면 혼합상태에서의 화학적인 반응 등으로 인하여 변질되거나 또는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가 있고, 두 개의 용기를 준비하여 따로 저장한 후 사용자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해 두가지 물질을 하나의 용기에서 분리 저장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두 가지 물질이 혼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이종물질혼합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1과 도12는 종래 이종물질혼합용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이종물질혼합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용기저장공간(1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 용기개구(111b)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바디부(111)와, 용기바디부(111)의 상단에 결합된 어깨부(113)와, 어깨부(113)에 일체로 형성된 내부캡(112)과, 어깨부(113)에 결합된 용기캡(118)과, 내부캡(112)의 상측에 배치되는 누름버튼(114)과, 누름버튼(114)의 저면에 결합된 가압관(119)과, 용기저장공간(111a)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150)와, 실린더(150)와 누름버튼(114) 사이에 개재된 펌핑부(140)와, 실린더(150)에 결합된 보조저장공간바디부(161)를 구비한 보조저장공간부(160)를 갖고 있다.
내부캡(112)은 중앙영역에 캡공(1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부캡(112)은 캡공(112a)이 용기저장공간(111a)에 연통하도록 어깨부(113)에 결합된다.
누름버튼(114)은 저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기역자 형태의 버튼유로(114a)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버튼(114)은 용기바디부(1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가압관(119)은 버튼유로(114a)와 캡공(112a)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실린더(150)는 하부영역에 협경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협경부(151)는 바닥면에 통과공(151a)이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에는 실린더걸림턱(151b)이 형성되어 있다.
펌핑부(140)는 실린더(150)의 내부에 설치된 고리형태의 펌핑피스톤(141)과, 펌핑피스톤(141)을 통과하여 가압관(119)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된 작동축(145)과, 작동축(145)의 내부에 설치된 작동봉(146)과, 작동봉(146)의 하단에 형성된 개폐요홈부(147)와, 상단이 개폐요홈부(147)의 바닥면에 도달하고 하단이 통과공(151a)을 통과해서 실린더(15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빨대지지관(148)과, 빨대지지관(148)의 내부에 설치된 빨대(149)와, 누름버튼(114)과 내부캡(112)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복귀스프링(144)을 갖고 있다.
펌핑피스톤(141)은 실린더(150)의 바닥면사이에 중간저장실(150a)이 형성되도록 실린더(150)의 내표면에 밀착 설치된다.
그리고 펌핑피스톤(141)은 가압관(119)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실린더(15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펌핑피스톤(141)은 누름버튼(114)을 가압조작하여 가압관(119)을 하강시킬 때 가압관(119)이 펌핑피스톤(141)과의 이격된 거리만큼 혼자서 하강한 후 가압관(119)과 함께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작동축(145)은 직선상의 작동축바디부(145b)와, 작동축바디부(145b)의 하단에 형성된 스템(145c)을 갖고 있다.
작동축바디부(145b)의 내부공간이 작동축유로(145a)가 된다.
스템(145c)은 상승동작시 펌핑피스톤(141)을 상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작동축(145)은 스템(145c)이 펌핑피스톤(141)을 통과하고 작동축바디부(145b)가 가압관(119)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축(145)은 가압관(119)과 함께 승강할 수 있게 된다.
개폐요홈부(147)는 외표면 상측에 다수개의 개폐요홈유로형성돌부(147a)가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개폐요홈유로형성돌부(147a) 상호간은 이격되어 있어 개폐요홈유로형성돌부(147a) 사이 공간에는 개폐요홈유로가 형성된다.
빨대지지관(148)은 외표면 상측에 다수개의 지지관유로형성돌부(148a)가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
지지관유로형성돌부(148a) 상호간은 이격되어 있어 지지관유로형성돌부(148a) 사이 공간에는 지지관유로가 형성된다.
복귀스프링(144)은 양단이 누름버튼(114)와 내부캡(1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보조저장공간부(160)는 보조저장공간바디부(161)에 더하여 빨대지지관(148)의 하단에 형성된 보조저장공간밀폐판부(162)를 갖고 있다.
보조저장공간밀폐판부(162)는 빨대지지관(148)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보조저장공간바디부(161)는 빨대지지관(148), 보조저장공간밀폐판부(162) 및 실린더(150)와 협조하여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이종물질혼합용기의 동작을 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기바디부(111)의 내부공간 즉 용기저장공간(111a)에는 액상화장품이 저장되어 있고, 보조저장공간부(160)에는 분말형태의 화장품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누름버튼(114)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관(119)이 펌핑피스톤(141)과의 이격된 거리만큼 혼자서 하강하고 이후에는 가압관(119)이 펌핑피스톤(141)과 함께 하강한다. 누름버튼(114)이 가압되면 복귀스프링(144)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가압관(119)이 하강하면 개폐요홈부(147)와 빨대지지관(148)도 하강한다. 여기서 개폐요홈부(147)의 하강은 개폐요홈유로형성돌부(147a)가 실린더걸림턱(151b)을 넘어가도록 이루어진다.
빨대지지관(148)이 하강하면 보조저장공간바디부(161)의 하단을 넘어가도록 보조저장공간밀폐판부(162)도 하강한다.
보조저장공간밀폐판부(162)가 하강하면 보조저장공간부(160)에 저장된 분말화장품과 용기저장공간(111a)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은 혼합된다(도13 참조).
다음에 누름버튼(114)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복귀스프링(144)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누름버튼(114)은 원위치로 상승한다.
누름버튼(114)이 상승하면 작동축(145)과 펌핑피스톤(141)은 상승하고, 작동축유로(145a)는 펌핑피스톤(141)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작동축(145)이 상승할 때 작동봉(146)과 개폐요홈부(147)도 상승한다. 여기서 작동봉(146)와 개폐요홈부(147)의 상승거리는 개폐요홈유로형성돌부(147a)와 실린더걸림턱(151b) 사이의 걸림작용에 의해 제한된다.
작동봉(146)과 개폐요홈부(147)가 상승하면 개폐요홈부(147)의 홈바닥면과 빨대(149)의 상단은 이격되고 이에 따라 용기저장공간(111a)은 빨대(149), 개폐요홈유로형성돌부(147a) 사이 공간에 형성된 개폐요홈유로와 지지관유로형성돌부(148a) 사이 공간에 형성된 지지관유로를 통해 중간저장실(150a)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용기저장공간(111a)이 중간저장실(150a)에 연결된 상태에서 작동축(145)이 상승하여 중간저장실(150a)에 부압(負壓)이 발생하고 용기저장공간(111a)의 혼합 화장품은 통해 중간저장실(150a)로 유입된다(도14 참조).
다음에 누름버튼(114)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관(119)이 펌핑피스톤(141)과의 이격된 거리만큼 혼자서 하강하고, 이후에는 가압관(119)이 펌핑피스톤(141)과 함께 하강한다.
가압관(119)이 펌핑피스톤(141)과의 이격된 거리만큼 혼자서 하강하는 동안 작동축유로(145a)는 중간저장실(150a)에 연통하게 된다.
작동축유로(145a)가 중간저장실(150a)에 연통하게 되면 중간저장실(150a) 내의 혼합화장품은 작동축유로(145a), 가압관(119) 및 버튼유로(114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누름버튼(114)이 하강할 때 복귀스프링(144)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다음에 누름버튼(114)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복귀스프링(144)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누름버튼(114)은 원위치로 상승한다.
누름버튼(114)이 상승하면 작동축(145)과 펌핑피스톤(141)은 상승하고, 작동축유로(145a)는 펌핑피스톤(141)에 의해 폐쇄된다.
작동축(145)이 상승하면 중간저장실(150a)에 부압(負壓)이 발생하고 용기저장공간(111a)의 혼합 화장품은 통해 중간저장실(150a)로 유입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이종물질혼합용기는 2002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5583호(고안의 명칭 : 혼합식 화장품 용기)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종물질혼합용기에 따르면, 실린더(150)의 내부에 설치된 작동봉(146), 개폐요홈부(147) 및 빨대지지관(148)을 통해 보조저장공간밀폐판부(162)를 하강시키는 방법으로 이종물질이 혼합되기 때문에 이종물질혼합구조가 복잡하고 제품조립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동봉(146), 개폐요홈부(147) 및 빨대지지관(148)가 실린더(15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종물질혼합구조에 의해 중간저장실(150a)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물질혼합구조가 간단하고 제품조립이 용이하고 이종물질혼합구조에 의해 중간저장실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종물질혼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용기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 용기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바디부와, 중앙영역에 캡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공이 상기 용기저장공간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내부캡과, 저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버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바디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캡의 상측에 배치되는 누름버튼과, 상기 버튼유로와 상기 캡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누름버튼의 저면에 형성된 가압관과, 요형(凹形)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개구가 상기 가압관에 연통하고 상기 통과공이 상기 용기저장공간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누름버튼의 가압조작시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내부캡사이에 개재된 복귀스프링과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중간저장실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표면에 밀착되고 상기 가압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펌핑피스톤과 상기 펌핑피스톤을 통과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관과 함께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관에 결합되고 상승동작시 상기 펌핑피스톤을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템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관이 하강하여 상기 펌핑피스톤에 도달하는 동안 상기 중간저장실에 연통할 수 있도록 작동축유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이 하강할 때 상기 통과공을 밀폐하고 상기 작동축이 상승할 때 상기 통과공을 개방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바닥면에 설치된 밸브체를 가지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시 상기 중간저장실내의 화장품을 상기 버튼유로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 해제시 상기 용기바디부에 저장된 화장품을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중간저장실로 유입시키는 펌핑부를 갖는 이종물질혼합용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내부캡으로부터 상기 용기바디부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형성되고 내표면 하단에는 상부걸림돌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상부실린더부와, 바닥면에 상기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실린더부의 하측에 배치된 요형(凹形)의 하부실린더부와, 상단 외표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이 상기 스템에 접촉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상부실린더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실린더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실린더부의 내표면에 결합되는 관형태의 가동실린더부를 가지고; 상기 펌핑피스톤은 상기 상부실린더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부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와, 상기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의 하단과 상기 하부실린더부의 사이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실린더부에 결합된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물질혼합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외부충격에 대항하여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는 상기 통과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실린더의 저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안내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는 중앙에 안내관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요형(凹形)의 바닥면부재바디부와 상기 바닥면부재바디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바닥면부재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밀폐요홈부와 상기 밀폐요홈부로부터 상기 하부실린더부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연장형성된 걸림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안내관부가 상기 안내관삽입공을 통과하고 상기 걸림플랜지가 상기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의 하단에 밀착되고 상기 밀폐요홈부가 상기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의 내표면과 상기 하부실린더부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실린더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로 분리되어 있는 상부실린더부 및 하부실린더부와, 상부실린더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부실린더부와 하부실린더부의 내표면에 결합되는 관형태의 가동실린더부를 갖도록 실린더를 형성하는 한편, 실린더를 둘러싸는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와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의 하단과 하부실린더부의 사이공간을 밀폐하도록 하부실린더부에 결합된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를 통해 보조저장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이종물질혼합구조가 간단해지고 제품조립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이종물질혼합구조가 실린더의 외부에 모두 배치되어 이종물질혼합구조에 의해 중간저장실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의 부분절개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의 단면도,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의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의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의 밸브체를 도시한 도면,
도8,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1과 도12는 종래 이종물질혼합용기의 단면도,
도13 및 도14는 각각 종래 이종물질혼합용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의 단면도이고,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의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의 밸브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용기저장공간(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 용기개구(11b)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바디부(11)와, 용기바디부(11)의 상단에 결합된 어깨부(13)와, 어깨부(13)에 일체로 형성된 내부캡(12)과, 어깨부(13)에 결합된 용기캡(18)과, 내부캡(12)의 상측에 배치되는 누름버튼(14)과, 누름버튼(14)의 저면에 결합된 가압관(19)과, 가압관(19)의 외표면에 결합된 스프링지지부재(16)와, 용기저장공간(11a)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50)와, 실린더(50)와 누름버튼(14) 사이에 개재된 펌핑부(40)와, 내부캡(12)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60)와, 실린더(50)에 결합된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70)와, 용기바디부(11)의 바닥면에 설치된 용기피스톤(81)을 갖고 있다.
용기바디부(11)는 바닥면에 통기공(11c)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캡(12)은 중앙영역에 캡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내부캡(12)은 캡공(12a)이 용기저장공간(11a)에 연통하도록 어깨부(13)에 일체로 형성된다.
누름버튼(14)은 저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기역자 형태의 버튼유로(14a)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승강플랜지(14b)가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누름버튼(14)은 승강플랜지(14b)가 어깨부(13)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누름버튼(14)은 용기바디부(11)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가압관(19)은 버튼유로(14a)와 캡공(12a)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실린더(50)는 내부캡(12)으로부터 용기바디부(11)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형성된 상부실린더부(51)와, 상부실린더부(51)의 하측에 배치된 요형(凹形)의 하부실린더부(52)와, 양단이 상부실린더부(51)와 하부실린더부(52)에 결합되는 관형태의 가동실린더부(53)와, 하부실린더부(52)의 저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안내관부(54)를 갖고 있다.
상부실린더부(51)는 내표면 하단에 상부걸림돌부(51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하부실린더부(52)는 바닥면에 통과공(52a)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실린더부(53)는 상단 외표면에는 걸림턱(5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동실린더부(53)는 상단이 스템(45c)에 접촉하고 걸림턱(53a)이 상부실린더(51)의 내표면에 접촉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부실린더부(51)에 결합된다.
그리고 가동실린더부(53)는 하단이 하부실린더부(52)의 내표면에 언더컷방식으로 결합된다.
안내관부(54)는 통과공(52a)에 연통하도록 하부실린더부(52)의 저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실린더(50)는 안내관부(54)를 통해 용기저장공간(11a)에 연통하게 된다.
펌핑부(40)는 실린더(50)의 내부에 설치된 고리형태의 펌핑피스톤(41), 작동축(45) 및 밸브체(43)와, 누름버튼(14)과 스프링지지부재(16)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복귀스프링(44)을 갖고 있다.
펌핑피스톤(41)은 실린더(50)의 바닥면사이에 중간저장실(50a)이 형성되도록 상부실린더부(51)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펌핑피스톤(41)은 가압관(19)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실린더(5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펌핑피스톤(41)은 누름버튼(14)을 가압조작하여 가압관(19)을 하강시킬 때 가압관(19)이 펌핑피스톤(41)과의 이격된 거리만큼 혼자서 하강한 후 가압관(19)과 함께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작동축(45)은 직선상의 작동축바디부(45b)와, 작동축바디부(45b)의 하단에 형성된 스템(45c)을 갖고 있다.
작동축바디부(45b)에는 작동축유로(45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축유로(45a)는 가압관(19)이 하강하여 펌핑피스톤(41)에 도달하는 동안 중간저장실(50a)에 연통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스템(45c)은 상승동작시 펌핑피스톤(41)을 상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작동축(45)은 스템(45c)이 펌핑피스톤(41)을 통과하고 작동축바디부(45b)가 가압관(19)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축(45)은 가압관(19)과 함께 승강할 수 있게 된다.
밸브체(43)는 개폐판(43a)과, 실린더(50)의 내벽면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벽(43b)과, 지지벽(43b)과 개폐판(43a)을 연결하는 개폐암(43c)을 갖고 있다.
개폐암(43c)의 사이에는 연락공(43d)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밸브체(43)는 개폐판(43a)이 통과공(52a)을 폐쇄하도록 설치된다.
밸브체(43)는 작동축(45)이 상승할 때 통과공(52a)을 통해 하측으로부터 개폐판(43a)에 압력이 가해져 개폐판(43a)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통과공(52a)이 개방된다.
그리고 밸브체(43)는 작동축(45)이 하강할 때 개폐판(43a)은 원위치로 하강하고, 이에 따라 통과공(52a)이 폐쇄된다.
복귀스프링(44)은 누름버튼(14)의 가압조작시 탄성력을 축적한다.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60)는 실린더(50)를 둘러싸도록 내부캡(12)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70)는 중앙에 안내관삽입공(71a)이 형성되어 있는 요형(凹形)의 바닥면부재바디부(71)와, 바닥면부재바디부(7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바닥면부재바디부(7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밀폐요홈부(72)와, 밀폐요홈부(72)로부터 하부실린더부(52)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연장형성된 걸림플랜지(73)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70)는 안내관부(54)가 안내관삽입공(71a)을 통과하고, 걸림플랜지(73)가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60)의 하단에 밀착되고, 밀폐요홈부(72)가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60)의 내표면과 하부실린더부(52)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부실린더부(52)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70)는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60)의 하단과 하부실린더부(52)의 사이공간을 밀폐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혼합용기의 동작을 도8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기바디부(11)의 내부공간 즉 용기저장공간(11a)에는 액상화장품이 저장되어 있고,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60),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70) 및 실린더(50)의 사이 공간에는 분말형태의 화장품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누름버튼(14)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관(19)이 펌핑피스톤(41)과의 이격된 거리만큼 혼자서 하강하고 이후에는 가압관(19)이 펌핑피스톤(41)과 함께 하강한다. 누름버튼(14)이 하방향으로 가압되면 복귀스프링(44)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가압관(19)이 하강하면 가동실린더부(53)와 하부실린더부(52)도 하강한다.
하부실린더부(52)가 하강하면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60)와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70) 사이가 개방되고,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60),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70) 및 실린더(50)의 사이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분말형태의 화장품과 용기저장공간(11a)에 저장된 액상화장품은 혼합된다(도8 참조).
다음에 누름버튼(14)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복귀스프링(44)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누름버튼(14)은 원위치로 상승한다.
누름버튼(14)이 상승하면 작동축(45)과 펌핑피스톤(41)은 상승하고, 작동축유로(45a)는 펌핑피스톤(41)에 의해 폐쇄된다.
작동축(45)이 상승하면 중간저장실(50a)에 부압(負壓)이 발생하고 용기저장공간(11a)의 혼합 화장품은 안내관부(54), 통과공(52a) 및 연락공(43d)을 통해 중간저장실(50a)로 유입된다(도9 참조).
용기저장공간(11a)의 혼합 화장품이 중간저장실(50a)로 유입될 때 용기피스톤(81)은 상승한다.
다음에 누름버튼(14)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관(19)이 펌핑피스톤(41)과의 이격된 거리만큼 혼자서 하강하고, 이후에는 가압관(19)이 펌핑피스톤(41)과 함께 하강한다.
가압관(19)이 펌핑피스톤(41)과의 이격된 거리만큼 혼자서 하강하는 동안 작동축유로(45a)가 중간저장실(50a)에 연통하게 된다.
작동축유로(45a)가 중간저장실(50a)에 연통하게 되면 중간저장실(50a) 내의 혼합화장품은 작동축유로(45a), 가압관(19) 및 버튼유로(14a)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도10 참조).
한편 누름버튼(14)이 하강할 때 복귀스프링(44)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다음에 누름버튼(14)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면 복귀스프링(44)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누름버튼(14)은 원위치로 상승한다.
누름버튼(14)이 상승하면 작동축(45)과 펌핑피스톤(41)은 상승하고, 작동축유로(45a)는 다시 펌핑피스톤(41)에 의해 폐쇄된다.
작동축(45)이 상승하면 중간저장실(50a)에 부압(負壓)이 발생하고 용기바디부(11) 내의 액상화장품은 통과공(52a)과 연락공(43d)을 통해 중간저장실(50a)로 유입된다(도9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로 분리되어 있는 상부실린더부(51) 및 하부실린더부(52)와, 상부실린더부(51)의 내표면에 접촉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부실린더부(51)와 하부실린더부(52)의 내표면에 결합되는 관형태의 가동실린더부(53)를 갖도록 실린더(50)를 형성하는 한편, 실린더(50)를 둘러싸는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60)와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60)의 하단과 하부실린더부(52)의 사이공간을 밀폐하도록 하부실린더부(52)에 결합된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70)를 통해 보조저장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이종물질혼합구조가 간단해지고 제품조립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이종물질혼합구조가 실린더(50)의 외부에 모두 배치되어 이종물질혼합구조에 의해 중간저장실(50a)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앙에 안내관삽입공(71a)이 형성되어 있는 요형(凹形)의 바닥면부재바디부(71)와 바닥면부재바디부(7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바닥면부재바디부(7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밀폐요홈부(72)와, 밀폐요홈부(72)로부터 하부실린더부(52)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연장형성된 걸림플랜지(73)를 갖도록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70)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충격에 대항하여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70)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1, 111 : 용기바디부 12, 112 : 내부캡
13, 113 : 어깨부 14, 114 : 누름버튼
15, 115 : 실린더 40, 140 : 펌핑부
41, 141 : 펌핑피스톤 43, 143 : 밸브체
44, 144 : 복귀스프링 45, 145 : 작동축
50,150 : 실린더 51 : 상부실린더
52 : 하부실린더 53 : 가동실린더
54 : 안내관부 60 :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
70 :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 71 : 바닥면부재바디부
72 : 밀폐요홈부 73 : 걸림플랜지
145 : 작동축 146 : 작동봉
147 : 개폐요홈부 148 : 빨대지지관
149 : 빨대 160 : 보조저장공간부
161 : 보조저장공간바디부 162 : 보조저장공간밀폐판부

Claims (2)

  1. 내부에 용기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 용기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바디부와, 중앙영역에 캡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공이 상기 용기저장공간에 연통하도록 설치된 내부캡과, 저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버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바디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캡의 상측에 배치되는 누름버튼과, 상기 버튼유로와 상기 캡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누름버튼의 저면에 형성된 가압관과, 요형(凹形)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개구가 상기 가압관에 연통하고 상기 통과공이 상기 용기저장공간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누름버튼의 가압조작시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상기 누름버튼과 상기 내부캡사이에 개재된 복귀스프링과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중간저장실이 형성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표면에 밀착되고 상기 가압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펌핑피스톤과 상기 펌핑피스톤을 통과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관과 함께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관에 결합되고 상승동작시 상기 펌핑피스톤을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템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관이 하강하여 상기 펌핑피스톤에 도달하는 동안 상기 중간저장실에 연통할 수 있도록 작동축유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이 하강할 때 상기 통과공을 밀폐하고 상기 작동축이 상승할 때 상기 통과공을 개방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바닥면에 설치된 밸브체를 가지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시 상기 중간저장실내의 화장품을 상기 버튼유로를 통해 배출하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조작 해제시 상기 용기바디부에 저장된 화장품을 상기 통과공을 통해 상기 중간저장실로 유입시키는 펌핑부를 갖는 이종물질혼합용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내부캡으로부터 상기 용기바디부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형성되고 내표면 하단에는 상부걸림돌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상부실린더부와, 바닥면에 상기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실린더부의 하측에 배치된 요형(凹形)의 하부실린더부와, 상단 외표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이 상기 스템에 접촉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상부실린더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실린더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실린더부의 내표면에 결합되는 관형태의 가동실린더부를 가지고;
    상기 펌핑피스톤은 상기 상부실린더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부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와, 상기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의 하단과 상기 하부실린더부의 사이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실린더부에 결합된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물질혼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통과공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실린더의 저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안내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저장공간바닥면부재는 중앙에 안내관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요형(凹形)의 바닥면부재바디부와 상기 바닥면부재바디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상기 바닥면부재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밀폐요홈부와 상기 밀폐요홈부로부터 상기 하부실린더부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연장형성된 걸림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안내관부가 상기 안내관삽입공을 통과하고 상기 걸림플랜지가 상기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의 하단에 밀착되고 상기 밀폐요홈부가 상기 보조저장공간스커트부의 내표면과 상기 하부실린더부의 외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부실린더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물질혼합용기.
KR1020130119124A 2013-10-07 2013-10-07 이종물질혼합용기 KR101389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124A KR101389530B1 (ko) 2013-10-07 2013-10-07 이종물질혼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9124A KR101389530B1 (ko) 2013-10-07 2013-10-07 이종물질혼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530B1 true KR101389530B1 (ko) 2014-05-27

Family

ID=5089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124A KR101389530B1 (ko) 2013-10-07 2013-10-07 이종물질혼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5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678A (ko) * 2019-04-02 2020-10-13 김성용 화장품 용기
US11365043B2 (en) * 2020-03-04 2022-06-21 Rennie West Fluid dispens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647Y1 (ko) 2002-03-29 2002-12-12 기근서 내용물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200416576Y1 (ko) 2006-03-06 2006-05-19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JP2008056299A (ja) 2006-08-31 2008-03-13 Yoshino Kogyosho Co Ltd ポンプ付き二剤混合容器
WO2012070843A2 (ko) * 2010-11-22 2012-05-31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647Y1 (ko) 2002-03-29 2002-12-12 기근서 내용물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200416576Y1 (ko) 2006-03-06 2006-05-19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JP2008056299A (ja) 2006-08-31 2008-03-13 Yoshino Kogyosho Co Ltd ポンプ付き二剤混合容器
WO2012070843A2 (ko) * 2010-11-22 2012-05-31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12070843A3 (ko) 2010-11-22 2012-09-27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678A (ko) * 2019-04-02 2020-10-13 김성용 화장품 용기
KR102216092B1 (ko) * 2019-04-02 2021-02-17 김성용 화장품 용기
US11365043B2 (en) * 2020-03-04 2022-06-21 Rennie West Fluid dispens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213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101923306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101928640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JP6596780B2 (ja) 押圧作動式化粧品容器
KR101663782B1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
US8444017B2 (en) Pump-equipped container and duplex discharge container
US20160157581A1 (en) Container for Cream-Type Cosmetic
US10758924B2 (en) Receptacle for mixing of different materials
KR101907778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101389530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KR101816554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401892Y1 (ko)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KR200466221Y1 (ko) 화장품용기
KR101902268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KR101552899B1 (ko) 화장품용기
JP6082232B2 (ja) 吐出装置および吐出製品
CN216187535U (zh) 能够快速出液的按压泵
KR200384793Y1 (ko)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KR102386630B1 (ko) 이종물질 혼합용기의 리필 장치 및 누름 버튼
KR101681018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KR200485890Y1 (ko) 고무링이 삽입된 스크류 타입 에어리스 펌프 용기
KR200470284Y1 (ko) 화장품용기
KR102315119B1 (ko) 3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200000685U (ko) 펌핑식 튜브용기
KR101975504B1 (ko) 펌프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