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317B1 - 펌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펌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317B1
KR101141317B1 KR1020090125047A KR20090125047A KR101141317B1 KR 101141317 B1 KR101141317 B1 KR 101141317B1 KR 1020090125047 A KR1020090125047 A KR 1020090125047A KR 20090125047 A KR20090125047 A KR 20090125047A KR 101141317 B1 KR101141317 B1 KR 101141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inlet
hous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196A (ko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to KR1020090125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3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펌프 디스펜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부와; 용기부에서 분출된 내용물이 체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공간부와 용기부를 연통시키는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와; 하우징을 개폐하는 제2개폐부; 및 누름 조작되면 제2개폐부를 개방시키고, 원상태로 복귀하면 제1개폐부를 개방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부개폐부와 측부개폐부를 포함하는 제1개폐부를 구비하여 제1유입구뿐만이 아닌 제2유입구를 통해서도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린더 피스톤이나 내용물 중 존재하는 불순물 등에 의해 제1유입구가 막히더라도 제2유입구를 통해 내용물의 토출이 계속될 수 있도록 하므로, 실린더 내부의 내용물이 완전히 소진될 때까지 내용물을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펌프, 디스펜서, 밸브

Description

펌프 디스펜서{PUMP DISPENSER}
본 발명은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세제나 화장품 등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펌핑 작용에 의하여 소정량씩 토출시키도록 이용되는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Dispenser)라 함은 밀폐용기 내부에 충진된 기체나 액체 또는 기타 내용물을 가압에 의해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화장품이나 향수 또는 의약품이나 식품 등을 저장하는 각종 밀폐용기에 적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 디스펜서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미도시) 및 용기의 상단에 장착되는 디스펜서 캡(12)을 포함한다.
이 디스펜서 캡(12)은 크게 펌핑부(14)와, 버튼부(15) 및 노즐(16)로 이루어진다. 펌핑부(14)는 캡(21)에 장착된 하우징(22)과, 이 하우징(22)의 내부에 구비 된 스프링(24)과, 이 스프링(24)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일측에 통공(26)이 형성된 샤프트(25)와, 이 샤프트(2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며 하우징(22)의 상단을 폐쇄하는 하우징 캡(27)과, 버튼부(15)의 노즐(16)과 샤프트(25)를 연결하는 연결관(28)과, 하우징(22)의 하단의 걸림턱(29)에 놓이는 볼(3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버튼부(15)를 누르면, 스프링(24)의 탄성력에 반하여 샤프트(25)가 하강하여, 하우징(22) 속에 채워진 내용물이 통공(26)과 샤프트(25)의 중공부 및 연결관(28)을 통해 노즐(16)로 토출된다. 이때, 볼(30)은 하우징(22) 내부 유체의 하강압력에 의해 하우징(22) 하단의 걸림턱(29)에 맞닿도록 된다.
다음에, 버튼부(15)를 놓으면,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25)가 상승하면서 통공(26)이 폐쇄되어 내용물의 토출이 차단되고, 하우징(22)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므로, 용기에 담긴 내용물이 볼(30)을 상승시키면서 밸브를 개방하여 하우징(22) 속에 채워지게 된다. 버튼부(15)를 반복하여 누르면,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면서 내용물이 토출된다.
상기한 종래 디스펜서에 따르면, 볼이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단가가 높고, 볼을 포함한 밸브 구조가 설치됨에 있어서 추가적인 후가공 과정이 요구되므로, 제조과정이 까다롭고, 제조비용이 증가되며, 볼이 녹슬거나 파손되어 제대로 상승되지 않을 경우 내용물의 토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가능하며, 내용물을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에서 분출된 내용물이 체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와 상기 용기부를 연통시키는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와;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제2개폐부; 및 누름 조작되면 상기 제2개폐부를 개방시키고, 원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제1개폐부를 개방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유입구를 개폐하는 하부개폐부; 및 상기 제2유입구를 개폐하는 측부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유입구의 주변부에는 상기 제1개폐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제1개폐부의 이탈을 억제하는 끼움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개폐부는, 폴리에틸렌 재질 또는 고무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개폐부는, 외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 내부와 상기 유로를 연통시키는 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샤프트 일측에 구비되는 스템; 및 상기 유입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부 상부에는 체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는, 누름 조작된 상기 조작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에서 분출된 내용물이 체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상기 용기부를 연통시키는 유입구가 측부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와;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제2개폐부; 및 누름 조작되면 상기 제2개폐부를 개방시키고, 원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제1개폐부를 개방시키는 조 작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부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펌프 디스펜서에 따르면,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부개폐부와 측부개폐부를 포함하는 제1개폐부를 구비하여 제1유입구뿐만이 아닌 제2유입구를 통해서도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린더 피스톤이나 내용물 중 존재하는 불순물 등에 의해 제1유입구가 막히더라도 제2유입구를 통해 내용물의 토출이 계속될 수 있도록 하므로, 실린더 내부의 내용물이 완전히 소진될 때까지 내용물을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개폐부가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질로 사출 성형되고, 하부개폐부와 측부개폐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되며, 안착홈과 끼움돌기 사이에 끼워넣는 한번의 작업으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으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낮아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 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밸브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100)는 용기부(110)와, 하우징(120)과, 제1개폐부(130)와, 제2개폐부(140)와, 조작부(150) 및 체결부(160)를 포함한다.
용기부(110)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한다. 용기부(110)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로는 화장품이나 향수 또는 의약품이나 식품 등 유체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용기부(110)는 상단이 개구된 원통형 형상 또는 개구된 상단이 좁게 형성된 병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용물을 수용하는 실린더(112) 및 이 실린더(112)를 수용하는 외부케이스(114)를 포함하는 2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12)는 용기부(110)의 내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한다. 실린더(112)의 상단 및 하단은 개구되며, 실린더(112)의 개구된 상단에는 돌출부(112a)가 형성된다. 돌출부(112a)의 내측에는 후술할 하우징(120)이 배치된다.
외부케이스(114)는 실린더(112)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실린더(112)의 돌출부(112a) 및 외부케이스(114) 상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부호생략) 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112) 및 외부케이스(114)를 포함하는 용기부(110)는 실린더(112) 및 외부케이스(114)의 2중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자외선 등의 차단효과가 뛰어나므로,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변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10) 내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실린더(112) 내측에는 실린더 피스톤(11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 피스톤(116)은 제1개폐부(130)가 개방되어 실린더(112) 내부에서 내용물이 분출되면 분출된 내용물의 양만큼 상승하여 실린더(112)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용기부(110) 내측에는 마개(1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마개(118)는 실린더(112)와 외부케이스(114)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마개(118)는, 실린더(112)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어, 실린더(112) 내부의 내용물이 실린더(112)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동시에, 실린더 피스톤(116)이 실린더(112)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20)은 용기부(110)의 내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실린더(112) 상단에 형성된 돌출부(112a) 내측에 배치된다. 하우징(120)은, 용기부(110) 내부에서 분출된 내용물을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부분으로서, 제1개폐부(130)를 통해 실린더(112) 내부에서 분출된 내용물은 외부로 분출되기 전 이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부호생략)에 일시적으로 체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20)은 제1유입구(121)와 제2유입구(122,123)를 구비한다.
제1유입구(121)는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용기부(110)를 연 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유입구(121)는 하우징(120)의 하부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2유입구(122,123)는 제1유입구(121)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용기부(110)를 연통시키되, 제1유입구(121)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유입구(122,123)는 하우징(120)의 측부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유입구(122,123)가 하우징(120) 측부의 두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2유입구(122,123)는 하우징(120) 측부의 한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고, 셋 이상의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개폐부(130)는 제1유입구(121)와 제2유입구(122,123)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개폐부(130)는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엘엘피이(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PE) 등과 같은 폴리에틸렌 재질 또는 엔비알(Nitrile Butadiene Rubber; NBR) 등과 같은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개폐부(130)는 제2개폐부(140)에 의해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개방되며, 하부개폐부(131)와 측부개폐부(132,133)를 포함한다.
하부개폐부(131)는 하우징(120)의 하부에 형성된 제1유입구(121)를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20)의 하부에는 안착홈(125; 도 7 참조)이 형성 된다. 안착홈(125)은 제1유입구(121)의 주변부에 형성되되, 제1개폐부(1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유입구(121)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안착홈(125)의 상부에는 끼움돌기(126; 도 7 참조)가 구비된다. 끼움돌기(126)는 하우징(120)의 내벽으로부터 하우징(120)의 내측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부개폐부(131)는 안착홈(125)과 끼움돌기(126) 사이에 장착된다. 이러한 하부개폐부(131)는 그 하부면이 안착홈(125)에 안착되는 한편, 그 상부면이 끼움돌기(126)에 지지됨으로써 제1유입구(121)를 개폐하는 위치에서의 이탈이 억제된다. 이러한 하부개폐부(131)는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변형되어 제1유입구(121)를 개방한다.
측부개폐부(132,133)는 하우징(120)의 측부에 형성된 제2유입구(122,123)를 개폐한다. 측부개폐부(132,133)는 하부개폐부(131)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우징(120)의 측부에 밀착되어 제2유입구(122,123)를 폐쇄한다. 이러한 측부개폐부(132,133)는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하우징(120)의 내측 방향으로 변형되어 제2유입구(122,123)를 개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개폐부(130)는 하부개폐부(131)와 측부개폐부(132,133)가 일체로 형성되고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질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낮아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안착홈(125)과 끼움돌기(126) 사이에 끼워넣는 한번의 작업으로 하우징(120)에 장착될 수 있어 장착이 용이하다.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제2개폐부(140)가 배치된다. 제2개폐부(140)는 하우징(120)을 개폐하며, 샤프트(142)와, 스템(144) 및 피스톤(146)을 포함한다.
샤프트(142)는 하우징(120) 내부에 구비된다. 샤프트(142)는 하우징(120) 내부에 삽입되어, 하우징(120) 내부를 후술할 조작부(150)의 이동에 따라 왕복 이동, 예를 들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샤프트(142)의 내부에는 외부와 하우징(120) 내부를 연통시키는 유로(F)가 형성된다.
샤프트(142)의 일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샤프트(142)의 하단에는 스템(144)이 구비된다. 스템(144)과 샤프트(142) 사이에는, 하우징(120) 내부와 유로(F)를 연통시키는 유입공(143; 도 7 참조)이 형성된다.
샤프트(142)의 외측에는 피스톤(146)이 구비된다. 피스톤(146)은 유입공(14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하우징(120) 내부에 구비되되, 샤프트(142)와 하우징(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피스톤(146)은 하우징(120)의 내측면과 맞닿는 외측면이 하우징(120) 내측면과 소정의 마찰력을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소정의 마찰력이란, 피스톤(146)의 내측면과 샤프트(142)의 외측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보다 큰 마찰력이지만, 샤프트(142)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145) 또는 스템(144)에 의한 걸림력에 의해 피스톤(146)이 샤프트(142)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는 정도의 마찰력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146)은 상기한 바와 같은 소정의 마찰력에 의해, 샤프트(142)의 이동시 샤프트(142)의 이동 방향에 반하여 그 이동을 일정 부분 억제하면서, 유입공(143)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조작부(150)는 용기부(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조작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기 위한 누름면(152)이 형성된다. 조작부(150)는 샤프트(142)의 상단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샤프트(142) 내부에 형성된 유로(F)로부터 연장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분출공(154)이 형성된다.
이러한 조작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면 용기부(110)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샤프트(142)와 스템(144) 및 피스톤(146)을 용기부(110)를 향해 이동시켜 제2개폐부(140)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제2개폐부(140)의 개방에 따라 하우징(120)으로부터 분출된 내용물은 분출공(154)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한편, 조작부(150)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제2개폐부(140)는 다시 폐쇄되며, 그 대신에 제1개폐부(130)가 개방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체결부(160)는 용기부(110) 상부에 배치된다. 체결부(160)는 용기부(110)와, 하우징(120) 및 조작부(150)를 결합시키며, 제1 내지 제3결합부(162,164,166)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162)는 실린더(112)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그 내주면에 나사산(부호생략)이 형성되어 실린더(112)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실린더(112)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164)는 외부케이스(114)와 결합하는 부분으로, 상부에는 조작부(15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밀착되며, 하부는 그 내주면에 나사산(부호생략)이 형성되어 외부케이스(114)와 나사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제1결합부(162) 및 제2결합부(164)가 각각 실린더(112) 및 외 부케이스(114)와 나사 결합되면, 수용부(110)의 개방이 용이해지므로, 실린더(112) 내부에 내용물을 손쉽게 재충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결합부(166)는 하우징(120)과 결합하는 부분으로, 하우징(120) 상부를 중심으로 하우징(120) 내외부를 감싸 고정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내지 제3결합부(162,164,166)는, 사출 성형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제1 내지 제3결합부(162,164,166)가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160)는, 하나의 부품으로 실린더(112)와 외부케이스(114)와, 하우징(120) 및 조작부(15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펌프 디스펜서(100) 장치 전체의 제조과정을 좀 더 용이하게 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100)는, 누름 조작된 조작부(15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조작부(150)와 체결부(160) 사이에 탄성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170)는 누름 조작된 조작부(15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170)는 일단이 조작부(150) 내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체결부(160)의 제2결합부(164) 상단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예시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외부케이스와 제2결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외부케이스와 제2결합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부케이스 및 체결부 외에 다른 구성은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부케이스(114)의 외주면에는, 돌기(114a)가 형성된다. 이 돌기(114a)는, 외부케이스(114)의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돌기(114a)는, 나사산이 형성된 영역에서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2결합부(164)의 하부에는, 홈부(164a)가 형성된다. 이 홈부(164a)는, 제2결합부(164)의 나사산이 형성된 내주면에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영역에서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홈부(164a)는, 외부케이스(114)와 제2결합부(164)가 완전히 나사 결합되었을때 돌기(114a)와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외부케이스(114) 및 제2결합부(164)는, 서로 나사 결합됨에 있어서, 돌기(114a)와 홈부(164a)의 맞물림에 의해 결합이 완료된다. 즉, 제2결합부(164)가 외부케이스(114) 상에서 회전하면서 나사 결합되다가,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영역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홈부(164a)와 돌기(114a)가 서로 맞물리게 되면, 제2결합부(164)의 회전이 정지되고, 나사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 구조를 갖는 외부케이스(114) 및 제2결합부(164)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펌프 디스펜서(100)는, 수용부(110)와 체결부(160)의 결합시, 수용부(110)와 체결부(160)가 서로 완전히 결합되었다는 조작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펌프 디스펜서(100)의 조립 공정에서, 조작부(150)를 일정 방향으로 위치시키고자 할 때, 예를 들어, 조작부(150)의 분출공(154)을 상품명 등이 인쇄되어 있는 라벨이 부착된 부분의 좌측 방향으로 위치시키고자 할 때, 홈부(164a)와 돌기(114a)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면, 상기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펌프 디스펜서가 누름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및 제2개폐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8은 원위치로 복귀하는 상태의 펌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 및 제2개폐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100)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150)의 누름면(152)을 눌러 가압하면, 조작부(150)와 함께 샤프트(142) 및 스템(144)이 용기부(110), 바꾸어 말하면, 하부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샤프트(142) 및 스템(144)이 이동할 때, 피스톤(146)도 함께 이동하는데, 피스톤(146)은 하우징(120) 내부면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일정 부분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되어 있던 유입공(143)을 개방한다. 이때, 제1개폐부(130)의 하부개폐부(131) 및 는 누름 조작된 조작부(150)에 의해 가해진 압력으로 폐쇄된다.
이에 따라 용기부(110) 내부로부터 분출되어 하우징(120) 내부에 체류해 있던 내용물은 유입공(143)을 통해 샤프트(142) 내부에 형성된 유로(F) 내로 유입되며, 이렇게 유로(F)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은 분출공(154)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누름면(152)으로부터 손을 떼어 조작부(150)에 대한 누름 조작을 해제하게 되면, 탄성부(170)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50)와 함께 샤프트(142) 및 스템(144)이 원상태, 즉 누름 조작 전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샤프트(142) 및 스템(144)이 이동할 때, 피스톤(146)도 함께 이동하는데, 피스톤(146)은 하우징(120) 내부면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일정 부분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던 유입공(143)을 폐쇄한다.
이때, 제1개폐부(130)의 하부개폐부(131) 및 측부개폐부(132,133)는 제2개폐부(140)가 개방되었을 때 내용물이 하우징(120) 내부로부터 분출됨에 따라 생성된 진공압에 의해 제1유입구(121) 및 제2유입구(122,123)을 개방하며, 이에 따라 용기부(110)의 실린더(112)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개방된 제1개폐부(130)를 통해 하우징(120) 내부로 분출된다.
이처럼 실린더(112) 내부에서 내용물이 분출되면, 실린더(112) 내부에는 실린더(112) 내부에서 분출된 내용물의 양만큼 진공압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진공압에 의하여 실린더 피스톤(116)이 상승하여 실린더(112)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실린더(112) 내부의 내용물이 점차 감소되어 실린더 피스톤(116)이 제1유입구(121)에 인접된 위치까지 이동되면, 제1유입구(121)가 실린더 피스톤(116)에 막혀 개방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112) 내부의 내용물 중 불순물이 존재할 경우, 이러한 불순물이 제1 유입구(121)를 막아 제1유입구(121)가 개방이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린더(112) 내부의 내용물은 하우징(120)의 하부에 형성된 제1유입구(121)뿐 아니라, 하우징(120)의 측부에 형성된 제2유입구(122,123)을 통해서도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유입구(121)가 막혀 개방되지 않는 경우, 제2유입구(122,123)를 통해 실린더(112) 내부의 내용물이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실린더 피스톤(116)이나 내용물 중 존재하는 불순물에 의해 제1유입구(121)가 막히더라도 제2유입구(122,123)를 통해 내용물의 토출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펌프 디스펜서(100)는, 제1유입구(121)와 제2유입구(122,123)가 형성되는 하우징(120)과 하부개폐부(131)와 측부개폐부(132,133)를 포함하는 제1개폐부(130)를 구비하여 제1유입구(121)뿐만이 아닌 제2유입구(122,123)를 통해서도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린더 피스톤(116)이나 내용물 중 존재하는 불순물 등에 의해 제1유입구(121)가 막히더라도 제2유입구(122,123)를 통해 내용물의 토출이 계속될 수 있도록 하므로, 실린더(112) 내부의 내용물이 완전히 소진될 때까지 내용물을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및 제2개폐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12는 원위치로 복귀하는 상태의 펌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 된 제1 및 제2개폐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예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인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200)는 하우징(220)과 제1개폐부(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2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하우징(120; 도 6 참조)와 마찬가지로, 용기부(1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하우징(220)은 유입구(221,222)를 구비한다.
유입구(221,222)는 하우징(2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부호생략)와 용기부(110)를 연통시킨다. 이러한 유입구(221,222)는 하우징(220)의 측부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구(221,222)는 하우징(220) 측부의 두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유입구(221,222)는 하우징(220) 측부의 한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고, 셋 이상의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개폐부(230)는 유입구(221,222)를 개폐한다. 이러한 제1개폐부(230)는 제2개폐부(140)에 의해 하우징(2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개방되며, 본체부(231)와 측부개폐부(232,233)를 포함한다.
본체부(231)는 하우징(22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20)의 내측에는 한 쌍의 끼움돌기(225,226)가 구비된다. 이 한 쌍의 끼움돌기(225,226)는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의 끼움돌기(225,226)는 하우징(220)의 내벽으로부 터 하우징(22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체부(231)는 이러한 한 쌍의 끼움돌기(225,226) 사이에 끼워져 하우징(220)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본체부(231)의 내부에는 통공(부호생략)이 형성된다. 이러한 통공은 하우징(230)의 공간부에 유입된 유체가 유입공(143) 측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측부개폐부(232,233)는 하우징(220)의 측부에 형성된 유입구(221,222)를 개폐한다. 측부개폐부(232,233)는 본체부(231)로부터 하우징(220)의 내벽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우징(220)의 측부에 밀착되어 유입구(221,222)를 폐쇄한다. 이러한 측부개폐부(232,233)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하우징(220)의 내측 방향으로 변형되어 유입구(221,222)를 개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개폐부(230)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질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낮아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끼움돌기(225,226) 사이에 끼워넣는 한번의 작업으로 하우징(220)에 장착될 수 있어 장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펌프 디스펜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른 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밸브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외부케이스와 제2결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외부케이스와 제2결합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펌프 디스펜서가 누름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및 제2개폐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원위치로 복귀하는 상태의 펌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 및 제2개폐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1 및 제2개폐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원위치로 복귀하는 상태의 펌프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1 및 제2개폐부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 : 펌프 디스펜서 110 : 용기부
112 : 실린더 114 : 외부케이스
116 : 실린더 피스톤 118 : 마개
120,220 : 하우징 121 : 제1유입구
122,123 : 제2유입구 125 : 안착홈
126 : 끼움돌기 130,230 : 제1개폐부
131 : 하부개폐부 132,133,232,233 : 측부개폐부
140 : 제2개폐부 142 : 샤프트
144 : 스템 146 : 피스톤
150 : 조작부 160 : 체결부
162 : 제1결합부 164 : 제2결합부
170 : 탄성부 221,222 : 유입구
231 : 본체부

Claims (10)

  1.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서 분출된 내용물이 체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와 상기 용기부를 연통시키는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제2개폐부; 및
    누름 조작되면 상기 제2개폐부를 개방시키고, 원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제1개폐부를 개방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유입구를 개폐하는 하부개폐부; 및
    상기 제2유입구를 개폐하는 측부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구의 주변부에는 상기 제1개폐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제1개폐부의 이탈을 억제하는 끼움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폴리에틸렌 재질 또는 고무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7. 제1항에 있어서, 제2개폐부는,
    외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하우징 내부와 상기 유로를 연통시키는 유입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샤프트 일측에 구비되는 스템; 및
    상기 유입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상부에는 체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는, 누름 조작된 상기 조작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9. 삭제
  10. 삭제
KR1020090125047A 2009-12-15 2009-12-15 펌프 디스펜서 KR101141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047A KR101141317B1 (ko) 2009-12-15 2009-12-15 펌프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047A KR101141317B1 (ko) 2009-12-15 2009-12-15 펌프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196A KR20110068196A (ko) 2011-06-22
KR101141317B1 true KR101141317B1 (ko) 2012-05-04

Family

ID=4440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047A KR101141317B1 (ko) 2009-12-15 2009-12-15 펌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3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787B1 (ko) * 2014-04-16 2016-05-13 주식회사 다린 치약용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38B1 (ko) * 2012-05-08 2013-01-23 오갑석 분사기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사기 제조 방법
KR101453851B1 (ko) * 2012-10-30 2014-10-22 강성일 내용물 배출펌프
WO2014204034A1 (ko) * 2013-06-18 2014-12-24 Kang Sungil 내용물 배출펌프
KR101448829B1 (ko) * 2013-07-15 2014-10-13 강성일 내용물 배출펌프
KR101987557B1 (ko) * 2017-12-07 2019-09-30 양형택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4764A (ja) * 1993-11-02 1997-05-13 グラクソ、ウェルカム、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エアロゾル分与装置とその使用法
JPH10323590A (ja) 1997-05-23 1998-12-08 Toyo Seikan Kaisha Ltd ポンプディスペンサ
JP2004131163A (ja) 2002-10-15 2004-04-30 Arubion:Kk ポンプ式噴出器
JP2005212801A (ja) 2004-01-27 2005-08-11 Shiseido Co Ltd 内容物放出用ポンプ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4764A (ja) * 1993-11-02 1997-05-13 グラクソ、ウェルカム、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エアロゾル分与装置とその使用法
JPH10323590A (ja) 1997-05-23 1998-12-08 Toyo Seikan Kaisha Ltd ポンプディスペンサ
JP2004131163A (ja) 2002-10-15 2004-04-30 Arubion:Kk ポンプ式噴出器
JP2005212801A (ja) 2004-01-27 2005-08-11 Shiseido Co Ltd 内容物放出用ポンプ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787B1 (ko) * 2014-04-16 2016-05-13 주식회사 다린 치약용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196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317B1 (ko) 펌프 디스펜서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267966B1 (ko)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 화장품용기
US20030230596A1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US6755327B1 (en) Dispensing pump with deformable pump wall and positive shut-off
JPH03696A (ja) ディスペンサー
US20140197205A1 (en) Pump-type cosmetics container
KR20210112328A (ko) 펌프 어셈블리 및 내용물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용기
TW201446615A (zh) 定劑量擠壓分配器
KR102161238B1 (ko) 거품 분배기
US20070164052A1 (en) Simplified metering pump
KR101900419B1 (ko) 이중 용기
JP6084504B2 (ja) 注出容器
KR200450883Y1 (ko) 펌프 디스펜서
KR101627227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의 씰링구조
KR20090103120A (ko) 펌프 디스펜서
KR102338575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1036269B1 (ko)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KR102188920B1 (ko) 이중 용기
JP7433722B2 (ja) 吐出器
WO2012001873A1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ー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KR200485890Y1 (ko) 고무링이 삽입된 스크류 타입 에어리스 펌프 용기
KR101042646B1 (ko)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