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123A -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 Google Patents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123A
KR20200113123A KR1020190033051A KR20190033051A KR20200113123A KR 20200113123 A KR20200113123 A KR 20200113123A KR 1020190033051 A KR1020190033051 A KR 1020190033051A KR 20190033051 A KR20190033051 A KR 20190033051A KR 20200113123 A KR20200113123 A KR 20200113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acid
food
kit
chlorous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9865B1 (ko
Inventor
이동희
유충만
Original Assignee
이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filed Critical 이동희
Priority to KR1020190033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86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L3/34095Details of apparatus for generating or regenera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L3/344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comprising other gases in addition to CO2, N2, O2 or H2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포장되어 있는 과일, 채소, 어류, 육류 중에 수분이 함유되어 미생물 생육촉진에 의한 부패의 원인을 살조력이 우수한 아염소산(HClO2)과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이산화탄소 가스의 충진법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식품의 품질보존과 안전성 유지에 의한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가 제공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키트 관련 기술이다.
본원은 수분이 없는 상태의 아염소산 소스 및 이산화탄소 소스 원료가 개별적으로 밀폐되어 2가지 타입의 조성물로 분리되어 보관되어 있다가 대기와 접촉하는 조건이 충족되면 2가지 조성물이 공기 중의 습기와 반응하여 살조력이 우수한 아염소산 가스와 이산화탄소의 가스가 선택적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식품에 존재하는 미생물 및 세균을 사멸시켜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Description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Retard emission kit of chlorite and carbon dioxide for long time the freshness of the food.}
본 발명은 마트의 식품코너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거나 또는 냉장고와 같은 저장용기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과일, 채소, 어류, 육류 등을 보관 저장 중에 식물이나 육류 중에 수분이 함유되어 미생물 생육촉진에 의한 부패의 원인을 없애기 위해 살조력이 우수한 아염소산(HClO2)를 사용하거나 또는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이산화탄소 가스를 소량씩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식품의 품질보존과 신선도 유지상태로 장기간 식품보관이 가능한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키트 관련 기술이다.
본원은 아염소산 소스 및 이산화탄소 소스 원료가 개별적으로 밀폐되어 2가지 타입의 조성물로 분리되어 보관되어 있다가 밀폐가 부분적으로 해지되어 대기와 접촉하는 조건이 충족되면 2가지 조성물이 공기 중의 습기와 접축 및 반응하는 경우 살조력이 우수한 아염소산 가스와 이산화탄소의 가스가 선택적이거나 또는 동시에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식품에 존재하는 미생물 및 세균번식을 없이하거나 사멸시켜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사상의 발명이다.
식품이란 한가지 이상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고 유해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으며 사람이 먹을 수 있고 소화, 흡수가 가능한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말하는 것으로 그중에서 식품을 처리하여 조리. 가공한 것을 흔히 식물(食物; food diet)이라고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식품저장이란 그 품질이 오래토록 변하지 않도록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작업을 말하며 여기서 식품의 품질이란 성분상의 품질과 기호적인 품질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 흔히 성분상의 품질이라고 하면 식품의 영양학적 가치를 의미하게 되고 기호적인 품질이라고 하면 식품의 색, 향, 맛, 조직(texture), 신선도(freshness)등의 기호적 가치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식품저장의 목적은 이 두가지 측면의 식품의 품질을 균형있게 유지시키는데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식품을 일정기간 동안 숙성시켜 품질을 오히려 개선시키는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수도 있으며, 또한 실제로는 식품의 특성에 따라서 어떤 것은 영양적인 품질유지에 치중하는 경우도 있고, 어떤 것은 반대로 기호적인 품질의 유지에 치중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채소의 경우를 보면 되도록 채소의 원형을 살려 싱싱한 채소로 저장하는 경우가 있고 또 때로는 채소의 원형이나 신선도는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상품가치를 높이고 저장기간을 늘리기 위하여 아예 김치나 다른 가공품으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오늘날의 식품저장은 인스탄트 식품이나 통조림식품과 같이 가공을 주체로 한 것과 식품을 저온이나 냉동법으로 천연 그대로 저장하는 것의 두가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식품 저장학에서는 흔히 식품의 원형을 잃지 않고 성분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도록 일정기간 유지시키는 작업을 저장이라 하고, 식품의 품질열화를 막고 상품가치를 유지 개선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작업을 보장(Preservation)이라고 하여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가공처리하지 않은 대부분의 식품들은 풍부한 영양소와 수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바 이러한 영양소들은 사람의 몸에 필요한 성분인 동시에 미생물의 번식에 유용한 배양기의 역할도 하므로 식품은 특성상 미생물이 쉽게 번식하여 변패되기 알맞는 상태에 놓여있다 할 수 있고, 일단 미생물이 식품에 번식하여 변패되면 여러가지 유해물질이 생기게 되며, 어떤 경우는 프토마인(ptomaine)과 같이 식품의 성분 자체가 변패되어 독성물질이 생기는 수도 있고, 또 어떤 경우는 아플라톡신(aflatoxin)과 같은 미생물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이 변패되지 않도록 저장하기 위해서는 미생물의 번식을 막아 주어야 하는데 그렇다고 식품 중의 영양소를 빼내어 버릴 수는 없는 일이기 때문에 우선 식품의 주성분이 되는 영양소와 그 영양소를 가장 좋아하는 미생물과의 관계를 고려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생체식품(生體食品)의 경우는 수확한 후에도 호흡 등 생명현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고 이와 같은 생명현상이 일어나고 있을 때에는 수많은 종류의 효소(enzyme)가 작용하여 자가소화(自家消化 ; autolysis), 변패(變敗 ; deterioration), 변색(變色 ; discoloration) 등을 일으키기 때문에 식품은 수확한 후에 적당한 대책을 세워 저장하지 않으면 않된다.
또한 식품들은 여러 성분의 복합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식품이 일단 수확되거나 처리되고 나면 이들 성분의 복합계가 평형을 잃게되어 여러 가지의 복잡한 부정형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대부분의 식품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식품중의 수분은 각종 성분을 가용화시켜 성분간의 반응을 촉진시키며 미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지만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적절한 조건에서 식품의 부패의 원인이 되므로 식품의 품질보존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저장이 꼭 필요한 요소가 된다.
식품을 적당히 저장함으로서 얻어질 수 있는 이익은 실로 다양한바 우선 식품 자체의 품질을 유지, 향상시키고 계획적인 식품의 생산, 분배를 통하여 인간의 식생활을 원활하게 영위시키며 이것이 인간생활에 있어 경제적인 면, 산업적인 면, 사회적인 면, 문화적인 면 등 여러가지 면에서 지대한 영향을 가져다 줄 수 가 있다.
더욱이 과채류인 경우는 취급, 수송, 저장, 판매 과정 중에 계속해서 호흡 및 증산작용이 이루어져 선도가 저하되고 장기간 수송이 소요되는 수출국가의 경우는 부패, 시듦, 노화촉진 변질에 따른 클레임이 발생해 수확 후 수명연장기술의 선진화는 지금도 매우 시급한 당면 과제가 되고 있다.
더욱 후진국과 개도국의 유통 및 저장 중 부패로 인한 경제적 손실률이 최하 10%에서 무려 50%까지 이른 점을 감안하면 신선도 유지를 위한 수명연장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나 경제성이 요구되면서 간편한 식품의 저장기술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식품의 신선도를 제공하기 위해 개시된 선행기술들을 살펴보면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13-0009513에서는 제올라이트와 페그마타이트 분말의 원료혼합물을 건조시키거나 또는 원료혼합물에 건조제를 첨가하여 통기성을 갖춘 포장필름을 제조하여 포장재의 기포구멍 발생을 방지하고, 밀봉된 포장재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에틸렌가스를 배출시켜 부패, 이취발생 및 과숙성을 억제하고, 장기간 보관에도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포장재가 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13-0006343에서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산소나 이산화탄소는 통과되지만 수분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기공이 다수 개 천공되어 있는 필름부를 가지며, 상기 기공을 통한 산소의 투과율은 20,000 ∼ 40,000cc/㎡·24h인 포장재를 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07-0008148에서는 내화성 무기산화물로 티타니아, 알루미나와 In2O3가 혼합된 고체 분말상에 귀금속과 전이금속이 담지된 촉매를 건조하고 300∼ 600℃ 사이에서 소성한 촉매에 의해 어느 수준까지 식품의 신선도를 제공할 수 있는 신선도 유지용 촉매 및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2005-0048567에서는 조미김이 유통기간 중 포장대 내에서 산화되어 인체에 해로운 과산화지질을 생성함을 포함하여 조미김이 변질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조미김의 포장대 내부에 보통의 공기 대신에 정제되고 건조한 비활성가스를 충전하여 밀폐시킴으로써 조미김을 안전하게 장기 유통할 수 있도록 한 조미김 비활성기체 충전 포장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05-0093044 A에서는 보크사이트 부산물 점토(Red Mud) 40∼60wt%, 활성탄 30∼50wt%를 수분함량 30∼45wt%로 혼합하여 사출기로 성형화시키고, 70∼120℃의 온도에서 건조시킨 다음, 800∼950℃로 소성시켜 무기산 5∼10wt%로 산세척하고, 활성금속염 2∼10wt%로 담지시켜 제조되고; 비표면적이 500㎡/g 이상이고, 암모니아 흡착능이 50mg/g 이상이며, 황화수소 흡착능이 50mg/g 이상이고, 요오드 흡착력이 320 mg/g 이상이며, 내마모도가 99% 이상인 냉장고 탈취용 및 원예산물 신선도 유지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등록번호 4764385에서는 극초단파에 의한 가열방법에 의해 과일과 채소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공정과; 효소의 비활성화 온도로 냉각시키는 공정과; 비활성가스가 포함된 용기안에서 상기 냉각공정에서 차가워진 과일이나 채소를 기밀식으로 실링하는 공정과; 과일이나 채소가 손상없이 퇴행성 가스의 생성을 방지하고, 살균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식품저장을 위패키지 공정에 의해 과일이나 채소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보존하기 위한 공정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등록번호 3946118에서는 국내에서 세탁 세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과탄산나트륨(상품명: 옥시크린)과 같이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발생기 산소와 결합된 과산화칼슘에 의해 과일, 채소 및 시리얼의 신선도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공정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공개번호 2017-0332674 A1에서는 (a) 펙틴과 구연산의 적어도 하나의 층 ; (b) 젤라틴과 아염소산 나트륨의 적어도 하나의 층 ; (c) 선택적으로 펙틴과 구연산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젤라틴과 아염소산 나트륨의 적어도 하나의 층간의 젤라틴을 (아염소산 나트륨 없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벽층 , 그리고 ; (d) 상기 층과 결합하는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라벨/인서트는 펙틴과 구연산의 적어도 하나의 층과 젤라틴과 아염소산 나트륨의 적어도 하나의 층의 교호층을 가진다. 상기 패키지 라벨/인서트를 사용하는 항목에서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방법이 추가로 구성되는 음식의 미생물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패키지 라벨 인서트를 방출하는 서방형 이산화염소 가스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2016-0113282 A1에서는 아염소 산 수용액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살균제는 식품 첨가물, 살균성, 의약부 외품용, 의학 또는 기타 등등로서 이용될 수 있는 아염소 산 수용액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살균제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2014-0113007 A1에서는 알카리제가 클로라이트의 양에 대해 0.7 이상 몰의 동등한 것과 2 이하의 몰의 동등한 것의 양에 운반되고 운반되고, 그리고 제품이 중량 이하쯤 10%의 수분 함유량을 가지고 있는 이산화 염소를 생성하기 위한 염소 Dioxide-Generating 생성물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2008-0241323 A1에서는 sanitizing 매체를 생성하고 저장하기 위한 원본 탱크를 포함하는 물체를 위생적으로 하기 위한 시스템 ; sanitizing 매체를 생성하고 저장하기 위한 제 2 세대 탱크 ; 탱크 유체 유동선을 통한 상기 제 1 및 제 2 생성 탱크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 유체 연통에서 화학적 전달 펌프 ; 공수 ; 공수 라인을 통한 상기 물 공급을 가진 유체 통신에서 처리 펌프 ; 처리 용액 도관을 통한 상기 처리 펌프를 가진 유체 통신에서 적어도 하나의 노즐에 있어서, sanitizing 매체는 직접적으로 상기 처리 펌프으로, 또는 상기 처리 용액 도관으로, 상기 공수 라인에 제공되는 농산품 소독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본원과 같이 용기 내부에 포장되어 있는 과일, 채소, 어류, 육류 중에 수분이 함유되어 적절한 환경에서 미생물 내지는 세균의 생육촉진에 의해 식품의 부패가 진행되거나 가속화되어 식품의 신선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분말상의 아염소산과 이산화탄소 소스에 의해 살조력이 우수한 아염소산(HClO2)과 이산화탄소 가스의 충진수단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식품의 품질보존과 안전성 유지에 의한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가 제공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키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사상은 제시된바 없는 신규한 기술사상임을 확인하고 연구에 이르게 되었다.
본원은 용기 내부에 포장되어 있는 과일, 채소, 어류, 육류 중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음에 따라 미생물 또는 세균들이 생존할 수 있는 적절한 환경이 제공되면 미생물 내지 세균들이 급속한 생육촉진에 의해 식품의 부패가 진행되거나 가속화되어 식품의 신선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안을 찾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분말상의 아염소산 소스 및 이산화탄소 소스 원료가 개별적으로 밀폐되어 2가지 타입의 조성물로 분리되어 보관되어 있다가 밀폐가 해지되어 대기와 접촉하는 조건이 충족되면 2가지 조성물이 공기 중의 습기와 반응하여 살조력이 우수한 아염소산(Chlorite) 가스의 방출과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량이 선택적으로 각각 조절되도록 제공하여 식품 중에 포함된 미생물 내지는 세균 증식에 의한 식품 신선도 피해를 줄이기 위한 아염소산(Chlorite)과 이산화탄소를 원하는 양으로 소량씩 배출시키는 서방형 키트(Kit)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사상은 수분이 없는 상태로 아염소산 소스가 방출될 수 있는 조성물과 이산화탄소가 소량씩 방출될 수 있는 소스(Source) 조성물이 독립적으로 밀폐된 저장공간에 보관되도록 구성되고, 배출 조절량 조절기구를 통하여 아염소산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며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가 소량씩 배출되는 서방형 방출키트로 제공되어 식품이 보관된 장소에 크게 설치되거나 또는 냉장고 등 소규모 보관장소 내부에 설치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본원 기술사상의 구체적인 구현 예는 과일, 채소, 어류, 육류 등의 식품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하여 식품의 포장용기 내부에 아염소산 소스 및 이산화탄소의 소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방형 방출 키트(Kit)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의 일적용예는 도 1 내지 도 2에 제시된 실시양태와 같이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소스(Source)의 조성물(20)과 아염소산 소스가 방출되는 조성물(30)이 독립적으로 밀폐된 저장용기에 수분이 없는 상태로 보관되는 구성을 이루되,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30)은 세라믹 분말을 100중량부로 기준으로 할 때 아염소산염(Chlorite salts)과 유기산(Organic acid)이 50 내지 150 중량%, 흡습성 물질이 1.5 내지는 4.5 중량%, 하이드로겔 고분자가 0.25 내지는 1.0 중량% 혼합되어 보관되도록 적용되고, 이산화탄소 소스 조성물(20)은 단독의 탄산암모늄(Ammonium carbonate)이 전량 구성되거나, 또는 탄산염(Carbonate salts)을 100 중량부 기준으로 할 때 유기산(Organic acid)이 50 내지 150 중량%, 흡습성 물질이 1.5 내지는 4.5 중량%, 하이드로겔 고분자가 0.25 내지는 1.0 중량% 혼합되어 보관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으로 밀폐된 저장용기에 보관되고 상기의 저장용기에 보관된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30) 및 이산화탄소 소스 조성물(20)이 공기 중의 습기와 접촉하는 양이 조절되어 필요량만큼 소량씩 배출될 수 있는 구성을 이루고 아염소산 가스를 방출하거나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구성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식품 포장용기(90) 내부에 증식되는 미생물이나 세균을 사멸시켜 신선도 저하에 따른 식품 분야의 피해를 줄이고자 하는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을 형성하는 세라믹 분말은 분말상의 아염소산염(Chlorite salts) 소스의 농도를 희석시켜 적정량을 배출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50 ㎛ 크기 이하의 맥반석, 황토석, 감람석(Olivine), 고령토(Kaolin), 메타카올린(metakaolin), 규산 광물(Silica Mineral), 규조토(Diatomite), 규회석(Wollastonite), 납석(Pyrophyllite), 돌로마이트(Dolomite), 리튬광물(Lithium Minerals), 마그네사이트(Magnesite), 보크사이트(Bauxite), 벤토나이트(Bentonite), 화산재, 부석(Pumice), 붕산염광물(Borate), 사문석(Serpentine), 산성백토(Acid clay), 산화철(Iron Oxide), 석류석(Garnet), 탄산광물(Carbonate Minerals), 애타풀자이트(Attapulgite), 제올라이트(Zeolite), 퍼라이트(Perlite), 세피오라이트(Sepiolite), 연옥(Nephrite), 인회석(Apatite), 일라이트-운모(Illite-Mica), 장석(Feldspar), 진주암(Perlite), 질석(Vermiculite), 중정석(Barite), 활석(Talc), 규조토(diatomaceous earth), 흑연(Graphite), 헥토라이트(Hectorite), 점토광물(Clay Minerals), 지르코늄 광물(Zirconium Minerals), 투어마린(Tourmaine; 전기석), 흄실리카(Fume silica), 에어로겔(Aerogel), 플라이에쉬(Fly ash), 고로슬래그 중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되고 상기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을 형성하는 아염소산염은 살조력이 우수한 아염소산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분말상의 아염소산나트륨 내지는 아염소산칼륨 중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유기산은 용기형 서방형 방출키트 내지는 봉지형 서방형 방출키트 내부에 수분이 없는 상태의 서방형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 및 이산화탄소 소스 조성물(20)이 독립적으로 밀폐된 저장용기(40a,40b)에서 배출량 조절구(60)를 통하여 기능성분을 방출하거나 또는 봉지형 서방형 방출키트(50a,50b)의 일측 벽체에 방출구멍(80a,80b)이 뚫려 있되, 식품 신선도 유지가 필요치 않을 경우 접착테이프(70)에 의해 밀봉되고, 식품 신선도 유지가 필요하여 접착테이프(70)를 개방할 경우 이산화탄소 방출용 소스의 조성물(20)과 아염소산 방출용 소스의 조성물(30)에 포함된 흡습물질이 비닐하우스 공간에 존재하는 습기를 빨아드리면서 알칼리성의 아염소산염과 탄산염이 산.염기 반응에 의해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의 소스를 생성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것으로 이를 위해 분말상의 유기산이 필요하며 호박산(succin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사과산(Male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술폼산(Surfamic acid), 옥살산(Oxal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술핀산(Sulfinic acid) 중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30) 및 이산화탄소 소스 조성물(20)을 형성하는 흡습성 물질은 수분이 없는 상태의 아염소산 소스가 방출되는 조성물(30)과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소스(Source)의 조성물(20)이 배출량 조절구(60a,60b)나 저장용기의 방출구멍(80a,80b)이 개방될 때 산.염기 반응에 의해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의 소스가 생성되도록 수성 분위기를 만들어 주기 위해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실리카겔 중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30) 및 이산화탄소 소스 조성물(20)을 형성하는 하이드로겔 고분자는 수분이 없는 상태의 아염소산 소스가 방출되는 조성물(30)과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소스(Source)의 조성물(20)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상태에서 배출량 조절구(60a,60b)나 저장용기의 방출구멍(80a,80b)을 통하여 습기가 서방형 이산화탄소 소스가 방출되는 조성물(20)과 서방형 아염소산 소스가 방출되는 조성물(30)에 유입될 때 흡습된 수분을 장기간 보존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한천(Agar), 콜라겐 펩타이드(Pept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전분(Starch), 가수분해전분(Hydrolyzed starch), 가교전분(Cross-linked starch), 덱스트린(Dextrin), 감마PGA(Poly-r-glutamic acid), 카라기난(Carrageenan), 아라비아검(Arabic Gum), 산탄검(Xanthan Gum), 카르복실메틸셀롤로오스(CMC, carboxy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즈(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메틸셀룰로우즈(Methyl cellulose), 젤라틴(Gelatin), 펙틴(Pectine), 알긴산 나트륨 또는 칼륨염(Alginic acid-Na, K salts),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중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소스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탄산염은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이산화탄소 가스의 충진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중탄산칼륨(Potassium bicarbonate),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 중탄산암모늄(Ammonium carbonate), 탄산마그네슘(Magnesium carbonate),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탄산암모늄 중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탄산암모늄은 상온에서 분해, 해리에 의해 저렴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매우 오랫 동안 암모늄과 이산화탄소가 방출되어 장기간 광합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장기간의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이산화탄소 가스의 충진법에 이용될 수 있음에 따라 아염소산과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바, 반응식 1~2와 같은 탄산염을 이용한 산?염기 반응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동원할 수 있다.
Carbonate + Acid →유기물 내지는 무기물 + CO2--------------[반응식 1]
(NH4)2CO3 → NH4HCO3 + NH3---------------------------[반응식 2]
상기 반응식 1과 같이 탄산염(Carbonate)의 산,염기 반응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동원하는 경우 탄산알칼리금속염, 탄산알칼리토금속류염, 탄산암모늄염을 이용될 수 있고 탄산알칼리금속염, 탄산알칼리토금속류염인 경우 비점이 높기 때문에 상온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공할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 산(Acid)를 탄산알칼리금속염 내지는 탄산 알칼리 토금속류염에 공급해야만 이산화탄소를 제공할 수 있고, 유일하게 탄산암모늄인 경우 산(Acid)을 공급하지 않아도 자동 해리되어 장시간 동안 이산화탄소를 방출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도 3에 제시된 실시양태로 그 개요를 설명해 보면 포장용기(90) 내부에 존재하는 식품(100)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포장용기(90)의 크기나 모양, 다양한 식품의 종류에 따라 아염소산 소스와 이산화탄소 소스가 방출되는 용기형 서방형 방출키트(10)를 사용할 수 있으며, 봉지형 서방형 방출키트(50)를 사용할 수 있다. 포장용기(90) 내부에 존재하는 식품이 딸기와 같이 매우 연한 조직으로 구성된 식품인 경우에는 전량의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이산화탄소 가스가 방출되도록 제공하거나, 대부분의 이산화탄소 소스의 배출 과정 중에 소량의 아염소산 소스가 함께 배출되도록 배출량 조절기구(뚜껑, 60) 내지는 방출구멍(80)을 통하여 아염소산 소스와 이산화탄소의 소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장용기(90) 내부에 존재하는 식품(100) 중 조직이 단단하면서 쉽게 부패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식품(100)인 경우에는 배출량 조절기구(60) 또는 방출구멍(80)을 통하여 전량의 아염소산 소스가 배출되도록 하거나 대부분의 아염소산 소스를 배출하면서 소량의 이산화탄소의 소스가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배출량 조절기구(뚜껑, 60) 내지는 방출구멍(80)을 통하여 아염소산 소스와 이산화탄소 소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은 아염소산 소스가 방출될 수 있는 조성물과 이산화탄소가 소량씩 방출될 수 있는 소스(Source)의 조성물이 독립적으로 밀폐된 저장공간에 구성되고, 배출 조절기구를 통하여 아염소산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식품 신선도 유지용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가 소량씩 배출되는 서방형 방출키트에 의해 식품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장기간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원 기술은 식품 자체의 품질을 유지 및 향상시키고 계획적인 식품의 생산, 분배를 통하여 인간의 식생활을 원활하게 영위시키며 인간 생활의 경제적인 면, 산업적인 면, 사회적인 면, 문화적인 면 등 여러 가지의 측면에서 지대한 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원 기술이 적용되어 식품에 잔존하고 있는 미생물 및 세균을 사멸시켜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켜 식품분야의 경제적 성장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더불어 국민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큰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 본 발명의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용기 타입의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도 2: 본 발명의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봉지 타입의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도 3: 본 발명에 의한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용 키트(Kit)를 식품용 포장 용기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적용예시도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내용을 실시예로 기재하기에 앞서,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 예에 의하여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키트가 밀폐용기 타입으로 제공되는 형태의 키트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더욱 간단한 구성으로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키트가 봉지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는 키트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용 키트(Kit)가 식품용 포장 용기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적용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현장에 적용되기 위한 서방형 방출키트의 적용예로서 도 1에 제시되는 용기형의 서방형 방출키트(10)는 아염소산 소스가 방출되는 조성물(30)과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소스(Source)의 조성물(20)이 독립적으로 각각의 밀폐용기(40a,40b) 내부에 수분이 없는 상태로 보관되도록 적용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서방형 아염소산 소스가 방출되는 조성물(30) 및 서방형 이산화탄소 소스가 방출되는 조성물(20)이 하기의 실시예와 같이 제공되어 밀폐용기(40a,40b) 내부에 내장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공기 중의 습기와 반응하도록 밀폐용기(40a,40b) 일측으로는 배출량 조절 기능을 갖는 배출량 조절구(60)가 단독의 뚜껑을 갖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구멍을 갖는 뚜껑형태로 제공되어 그 상부를 밀봉테이프(42)가 막고 있는 상태로 제공되는 서방형 방출 키트(10)가 식품(100) 포장용기(90)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면서 식품(100) 포장용기(90) 내부에 아염소산 소스 또는 이산화탄소 소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는 포괄적으로 단순히 배출량 조절구(60)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흔하게 소금이나 후추 용기와 같이 평소에는 막혀 있는 상태로 이루다가 뚜껑부를 활용하여 개구된 미세 구멍을 부분적으로 오픈시켜 토출량을 조절시켜 양념이 나오도록 조절하는 실시양태와 같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또 다른 실시양태로 예를 들면 신축성 있고 유연한 구조의 봉지 형태로 제공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용기(50) 내부에 수분이 없는 상태의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30)과 이산화탄소 소스 조성물(20)이 구획되어 각각 보관되고 플렉시블한 용기(50) 상부 쪽 벽체에는 방출구멍(80)이 다수개 뚫린 상태에서 접착테이프(70) 등으로 막고 있다가 아염소산 소스 또는 이산화탄소 소스의 발생이 필요한 경우 방출구멍(80)을 막고 있던 접착테이프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구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조성물(20,30)에 공기 중의 습기와 만나 반응됨으로 아염소산 소스 또는 이산화탄소 소스를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식품(100) 포장용기(90) 내부의 적당한 위치에 보관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원 기술로 제공되는 서방형 방출키트(10)가 작은 식품(100) 포장용기(90) 등의 내부 어느 공간에서 보관되는 구조를 이외에도 식품저장 창고나 비닐하우스와 같이 일정 공간영역을 차지는 공간에서, 서방형 방출 키트(10) 내부에 보관된 수분이 없는 상태의 이산화탄소 소스 조성물(20) 및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30)이 대기 중의 공기와 접촉 및 반응하는 양을 조절하며, 식품(100)이 보관된 창고나 비닐하우스와 같은 식재료 보관공간(90) 내부에 선택적으로 아염소산 소스 또는 이산화탄소 소스를 공급하여 살조력이 우수한 아염소산 소스에 의해 식품에 잔존하고 있는 미생물 및 세균을 사멸시키고,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이산화탄소 가스의 충진법을 제공하여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상술한다.
실시 예 1
PE 샘플 용기에 세라믹으로 흄실리카((주)세원상사, 평균입자의 크기: 7~40 nm) 100 g과 아염소산 소스로 NaClO2(삼전순약) 50 g, 유기산으로 구연산(삼전순약) 50 g, 흡습물질로 NaCl(삼전순약) 1.5 g, 하이드로겔 고분자로 아라비아검(신원무역상사) 0.25 g을 측량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고, 6 cm × 8 cm ×0.05 t 크기의 지퍼백에 각각 5 g씩 분취하여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봉지타입의 서방형 아염소산 키트를 준비하였다.
따로 탄산암모늄(삼전순약, Ammonium carbonate)을 6 cm × 8 cm ×0.05 t 크기의 지퍼백에 각각 5 g씩 분취하여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봉지타입의 서방형 이산화탄소 키트를 준비하였다.
투명 테잎을 이용하여 상기에서 준비된 봉지타입의 서방형 아염소산 키트와 봉지타입의 서방형 이산화탄소 키트를 하나의 묶음으로 붙여주어 식품신선도 유지용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를 준비하였다.
봉지타입의 서방형 아염소산 키트에는 전혀 천공을 하지 않고, 봉지타입의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에 약 2 mm 크기의 구멍 20개를 천공한 후 딸기가 채워져 있는 PET 포장용기 4곳에 삽입을 하고 식품의 신선도를 확인하였다.
실시 예 2
봉지타입의 서방형 아염소산 키트에 4개의 구멍을 천공하고, 봉지타입의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에 20개의 구멍을 천공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 예 3
PE 샘플 용기에 세라믹으로 벤토나이트(대명케미칼, 평균입자의 크기: 35 ㎛) 100 g과 아염소산 소스로 KClO2(삼전순약) 100 g, 유기산으로 호박산(삼전순약) 100 g, 흡습물질로 염화칼슘(삼전순약) 2.5 g, 하이드로겔 고분자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Na salt(신원무역상사) 0.25 g을 측량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고, 6 cm × 8 cm ×0.05 t 크기의 지퍼백에 각각 5 g씩 분취하여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봉지타입의 서방형 아염소산 키트를 준비하였다.
따로 이산화탄소의 소스로 중탄산암모늄(삼전순약, Ammonium bicarbonate) 100 g과 유기산으로 호박산(삼전순약) 100 g, 흡습물질로 염화칼슘(삼전순약) 2.5 g, 하이드로겔 고분자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Na salt(신원무역상사) 0.25 g을 측량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고, 6 cm × 8 cm ×0.05 t 크기의 지퍼백에 각각 5 g씩 분취하여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봉지타입의 서방형 이산화탄소 키트를 준비하였다.
투명 테잎을 이용하여 상기에서 준비된 봉지타입의 서방형 아염소산 키트와 봉지타입의 서방형 이산화탄소 키트를 하나의 묶음으로 붙여주어 식품신선도 유지용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를 준비하였다.
봉지타입의 서방형 아염소산 키트에는 약 2 mm 크기의 구멍을 10개 천공하고, 봉지타입의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에는 구멍 20개를 천공한 후 상추가 채워져 있는 지퍼백 포장용기 4곳에 삽입을 하고 식품의 신선도를 확인하였다.
실시 예 4
봉지타입의 서방형 아염소산 키트에는 약 2 mm 크기의 구멍을 15개 천공하고, 봉지타입의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에는 구멍 20개를 천공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 예 5
PE 샘플 용기에 세라믹으로 흄실리카((주)세원상사, 평균입자의 크기: 7~40 nm) 100 g과 아염소산 소스로 아염소산나트륨(삼전순약) 150 g, 유기산으로 설폼산(삼전순약) 50 g, 흡습물질로 실리카겔(삼전순약) 4.5 g, 하이드로겔 고분자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Na salt(신원무역상사) 1.0 g을 측량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고, 100 ml PET 샘플병에 각각 5 g씩 분취하여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용기타입의 서방형 아염소산 키트를 준비하였다.
따로 이산화탄소의 소스로 탄산나트륨(삼전순약, Sodium carbonate) 100 g과 유기산으로 설폼산(삼전순약) 50 g, 흡습물질로 실리카겔(삼전순약) 4.5 g, 하이드로겔 고분자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Na salt(신원무역상사) 1.0 g을 측량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고, 100 ml PET 샘플병에 각각 5 g씩 분취하여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용기타입의 서방형 이산화탄소 키트를 준비하였다.
투명 테잎을 이용하여 상기에서 준비된 용기타입의 서방형 아염소산 키트와 용기타입의 서방형 이산화탄소 키트를 하나의 묶음으로 붙여주어 용기타입의 식품신선도 유지용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를 준비하였다.
또한 준비된 용기타입의 식품신선도 유지용 서방형 아염소산과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의 입구를 테이프(Tape)를 이용하여 아염소산 키트의 입구에는 약 20 %를 이산화탄소의 키트의 입구에는 약 80 %를 막은 다음 꽁치 5마리카 채워져 있는 지퍼백 포장용기 4곳에 삽입을 하고 식품의 신선도를 확인하였다.
실시 예 6
PE 샘플 용기에 세라믹으로 (주)승리상사의 규조토(평균입자의 크기: 35 ㎛) 100 g과 아염소산 소스로 아염소산나트륨(삼전순약) 150 g, 유기산으로 아스코빈산(비타민 C, 삼전순약) 50 g, 흡습물질로 염화나트륨(삼전순약) 4.5 g, 하이드로겔 고분자로 메칠셀룰로우즈(신원무역상사) 1.0 g을 측량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고, 100 ml PET 샘플병에 각각 5 g씩 분취하여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용기타입의 서방형 아염소산 키트를 준비하였다.
따로 이산화탄소의 소스로 탄산칼슘(삼전순약, Calcium carbonate) 100 g과 유기산으로 아스코빈산(비타민 C, 삼전순약) 50 g, 흡습물질로 염화나트륨(삼전순약) 4.5 g, 하이드로겔 고분자로 메칠셀룰로우즈(신원무역상사) 1.0 g을 측량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고, 100 ml PET 샘플병에 각각 5 g씩 분취하여 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한 용기타입의 서방형 이산화탄소 키트를 준비하였다.
투명 테잎을 이용하여 상기에서 준비된 용기타입의 서방형 아염소산 키트와 용기타입의 서방형 이산화탄소 키트를 하나의 묶음으로 붙여주어 용기타입의 식품신선도 유지용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를 준비하였다.
또한 준비된 용기타입의 식품신선도 유지용 서방형 아염소산과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의 입구를 테이프(Tape)를 이용하여 아염소산 키트의 입구에는 약 10 %를 이산화탄소의 키트의 입구에는 약 90 %를 막은 다음 잘려져 있는 형태의 돼지고기(삼겹살) 500 g이 채워져 있는 지퍼백 포장용기 4곳에 삽입을 하고 식품의 신선도를 확인하였다.
비교 예 1~6
식품 포장용기 내부에 식품신선도 유지용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를 삽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 1~6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 예 1~6에 따른 실시 예 1~6의 식품 신선도는 식품의 온도를 평균 26℃ 를 유지한 상태에서 관능법으로 날짜 경과에 따른 식품 변질이 시작되는 날로 정하였다. 본 관능법은 성인 13명(여성 8명, 남성 5명, 평균 나이: 36.4세)을 대상으로 확인하였으며, 본 식품신선도의 확인 날짜는 관능법에 참여한 성인 13명이 식품을 대상으로 후각, 시각, 촉각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구분 식품의 신선도(day)
후각 시각 촉각
실시 예 1 9 14 11
실시 예 2 12 18 16
실시 예 3 11 18 18
실시 예 4 14 20 21
실시 예 5 17 18 17
실시 예 6 20 22 23
비교 예 1~2 5 3 2
비교 예 3~4 4 4 4
비교 예 5 2 3 4
비교 예 6 3 5 4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 예 1~2의 매우 연한 조직으로 구성된 딸기를 대상으로 아염소산이나 이산화탄소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의 식품 신선도를 관능법으로 확인한 결과 후각에 의한 악취의 초기 발생 날짜가 5일부터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 육안 관찰에 의한 시각적 관능법에서는 3일부터 변색됨을 확인하였고, 손가락으로 딸기 표면을 눌러서 확인한 촉각에 의한 관능법에서는 2일부터 변질됨이 확인된 반면, 실시 예 1의 딸기 포장용기 내부에 삽입된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중 이산화탄소를 전량 공급하도록 구성될 경우 후각에 의한 악취의 초기 발생 날짜가 9일부터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 육안 관찰에 의한 시각적 관능법에서는 14일부터 변색됨을 확인하였고, 손가락으로 딸기 표면을 눌러서 확인한 촉각에 의한 관능법에서는 11일부터 변질됨을 확인하였고, 실시 예 2의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중 아염소산 배출 구멍과 이산화탄소의 배출구멍을 1 : 4 비율로 천공되어 아염소산과 이산화탄소가 함께 배출되도록 구성될 경우 후각에 의한 악취의 초기 발생 날짜가 12일부터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 육안 관찰에 의한 시각적 관능법에서는 18일부터 변색됨을 확인하였고, 손가락으로 딸기 표면을 눌러서 확인한 촉각에 의한 관능법에서는 16일부터 변질됨이 확인됨에 따라 본원의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를 선택적으로 적절히 사용할 경우 식품의 종류 및 특징에 따라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교 예 3~4의 매우 연한 조직으로 구성되고, 보관을 잘못할 경우 쉽게 상할 수 있는 상추를 대상으로 아염소산이나 이산화탄소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의 식품 신선도를 관능법으로 확인한 결과 후각에 의한 악취의 초기 발생 날짜, 육안 관찰에 의한 시각적 관능법, 손가락으로 딸기 표면을 눌러서 확인한 촉각에 의한 관능법 모두 4일부터 변질됨이 확인된 반면, 실시 예 3의 상추 포장용기 내부에 삽입된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의 구멍 비율을 1 : 2로 천공하여 아염소산과 이산화탄소가 함께 배출되도록 구성될 경우 후각에 의한 악취의 초기 발생 날짜가 11일부터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 육안 관찰에 의한 시각적 관능법에서는 18일부터 변색됨을 확인하였고, 손가락으로 딸기 표면을 눌러서 확인한 촉각에 의한 관능법에서는 18일부터 변질됨을 확인하였고, 실시 예 4의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중 아염소산 배출 구멍과 이산화탄소의 배출구멍을 1.5:2의 비율로 천공되어 아염소산과 이산화탄소가 함께 배출되도록 구성될 경우 후각에 의한 악취의 초기 발생 날짜가 14일부터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 육안 관찰에 의한 시각적 관능법에서는 20일부터 변색됨을 확인하였고, 손가락으로 딸기 표면을 눌러서 확인한 촉각에 의한 관능법에서는 21일부터 변질됨이 확인됨에 따라 본원의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를 선택적으로 적절히 사용할 경우 식품의 종류 및 특징에 따라 식품의 신선도를 크게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교 예 5의 식품관리가 부족할 경우 비교적 부패의 가능성이 높은 꽁치를 대상으로 아염소산이나 이산화탄소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의 식품 신선도를 관능법으로 확인한 결과 후각에 의한 악취의 초기 발생 날짜가 2일부터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 육안 관찰에 의한 시각적 관능법에서는 3일부터 변색됨을 확인하였고, 손가락으로 딸기 표면을 눌러서 확인한 촉각에 의한 관능법에서는 4일부터 변질됨이 확인된 반면, 실시 예 5의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중 아염소산 배출구와 이산화탄소의 배출구를 20%와 80%로 개방되어 아염소산과 이산화탄소가 함께 배출되도록 구성될 경우 후각에 의한 악취의 초기 발생 날짜가 17일부터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 육안 관찰에 의한 시각적 관능법에서는 18일부터 변색됨을 확인하였고, 손가락으로 딸기 표면을 눌러서 확인한 촉각에 의한 관능법에서는 17일부터 변질됨이 확인됨에 따라 이 또한 본원의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를 선택적으로 적절히 사용할 경우 식품의 종류 및 특징에 따라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교 예 5의 식품관리가 부족할 경우 비교적 부패의 가능성이 높은 꽁치를 대상으로 아염소산이나 이산화탄소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의 식품 신선도를 관능법으로 확인한 결과 후각에 의한 악취의 초기 발생 날짜가 2일부터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 육안 관찰에 의한 시각적 관능법에서는 3일부터 변색됨을 확인하였고, 손가락으로 딸기 표면을 눌러서 확인한 촉각에 의한 관능법에서는 4일부터 변질됨이 확인된 반면, 실시 예 5의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중 아염소산 배출구와 이산화탄소의 배출구를 20%와 80%로 개방되어 아염소산과 이산화탄소가 함께 배출되도록 구성될 경우 후각에 의한 악취의 초기 발생 날짜가 17일부터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 육안 관찰에 의한 시각적 관능법에서는 18일부터 변색됨을 확인하였고, 손가락으로 딸기 표면을 눌러서 확인한 촉각에 의한 관능법에서는 17일부터 변질됨이 확인됨에 따라 이 또한 본원의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를 선택적으로 적절히 사용할 경우 식품의 종류 및 특징에 따라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교 예 6의 지방과 단백질로 구성된 국민 애호식품인 돼지고기 삼겹살을 대상으로 아염소산이나 이산화탄소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의 식품 신선도를 관능법으로 확인한 결과 후각에 의한 악취의 초기 발생 날짜가 3일부터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 육안 관찰에 의한 시각적 관능법에서는 5일부터 변색됨을 확인하였고, 손가락으로 딸기 표면을 눌러서 확인한 촉각에 의한 관능법에서는 4일부터 변질됨이 확인된 반면, 실시 예 6의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중 아염소산 배출구와 이산화탄소의 배출구를 90%와 20%로 개방되어 아염소산과 이산화탄소가 함께 배출되도록 구성될 경우 후각에 의한 악취의 초기 발생 날짜가 20일부터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 육안 관찰에 의한 시각적 관능법에서는 22일부터 변색됨을 확인하였고, 손가락으로 딸기 표면을 눌러서 확인한 촉각에 의한 관능법에서는 23일부터 변질됨이 확인됨에 따라 이 또한 본원의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를 선택적으로 적절히 사용할 경우 식품의 종류 및 특징에 따라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비교 예 1~6과 실시 예 1~6을 통해서 확인한 결과 과일, 채소, 어류, 육류 중에 수분이 함유되어 미생물 생육촉진에 의한 부패의 원인을 살조력이 우수한 아염소산(HClO2)과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이산화탄소 가스의 충진법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경우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어 식품 자체의 품질을 유지, 향상시키고 계획적인 식품의 생산, 분배를 통하여 인간의 식생활을 원활하게 영위시킴은 물론 인간 생활의 경제적인 면, 산업적인 면, 사회적인 면, 문화적인 면 등 여러 가지의 측면에서 지대한 영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0 : 용기형 서방형 방출 키트 20 : 이산화탄소 소스의 조성물
30 : 아염소산 소스의 조성물 40 : 밀폐용기
50 : 봉지형 서방형 방출 키트 60 : 배출량 조절기구(뚜껑)
70 : 접착테이프 80 : 방출구멍
90 : 식재료 보관공간 100 : 식품

Claims (7)

  1. 식품보관 공간 내부에서 아염소산 소스와 이산화탄소의 소스를 선택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키트(Kit)에 있어서,
    아염소산 소스가 방출되는 조성물(30)과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는 소스(Source)의 조성물이 독립적으로 밀폐된 저장용기에 수분이 없는 상태로 보관되는 구성을 이루되,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30)은 세라믹 분말을 100중량부로 기준으로 할 때 아염소산염(Chlorite salts)과 유기산(Organic acid)이 50 내지 150 중량%, 흡습성 물질이 1.5 내지는 4.5 중량%, 하이드로겔 고분자가 0.25 내지는 1.0 중량% 혼합되어 보관되도록 적용되고,
    이산화탄소 소스 조성물(20)은 단독의 탄산암모늄(Ammonium carbonate)이 전량 구성되거나, 또는 탄산염(Carbonate salts)을 100 중량부 기준으로 할 때 유기산(Organic acid)이 50 내지 150 중량%, 흡습성 물질이 1.5 내지는 4.5 중량%, 하이드로겔 고분자가 0.25 내지는 1.0 중량% 혼합되어 보관되도록 적용되고
    상기 저장공간 내부에서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30) 및 이산화탄소 소스 조성물(20)이 공기 중의 습기와 접촉하는 양이 조절되며 아염소산 가스를 방출하거나 또는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도록 보관용기가 부분적으로 개구되는 구성이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식품에 존재하는 미생물 및 세균을 사멸시키거나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도록 적용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Kit).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30)에 사용되는 세라믹 분말은 50 ㎛ 크기 이하의 맥반석, 황토석, 감람석(Olivine), 고령토(Kaolin), 메타카올린(metakaolin), 규산 광물(Silica Mineral), 규조토(Diatomite), 규회석(Wollastonite), 납석(Pyrophyllite), 돌로마이트(Dolomite), 리튬광물(Lithium Minerals), 마그네사이트(Magnesite), 보크사이트(Bauxite), 벤토나이트(Bentonite), 화산재, 부석(Pumice), 붕산염광물(Borate), 사문석(Serpentine), 산성백토(Acid clay), 산화철(Iron Oxide), 석류석(Garnet), 탄산광물(Carbonate Minerals), 애타풀자이트(Attapulgite), 제올라이트(Zeolite), 퍼라이트(Perlite), 세피오라이트(Sepiolite), 연옥(Nephrite), 인회석(Apatite), 일라이트-운모(Illite-Mica), 장석(Feldspar), 진주암(Perlite), 질석(Vermiculite), 중정석(Barite), 활석(Talc), 규조토(diatomaceous earth), 흑연(Graphite), 헥토라이트(Hectorite), 점토광물(Clay Minerals), 지르코늄 광물(Zirconium Minerals), 투어마린(Tourmaine; 전기석), 흄실리카(Fume silica), 에어로겔(Aerogel), 플라이에쉬(Fly ash), 고로슬래그 중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Kit).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30)에 사용되는 아염소산염은 분말상의 아염소산나트륨이나 아염소산칼륨 중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Kit).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30) 및 이산화탄소 소스 조성물(20)에 사용되는 유기산은 호박산(succin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사과산(Male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술폼산(Surfamic acid), 옥살산(Oxal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술핀산(Sulfinic acid) 중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Kit).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30) 및 이산화탄소 소스 조성물(20)에 사용되는 흡습성 물질은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실리카겔 중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Kit).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 소스 조성물(30) 및 이산화탄소 소스 조성물(20)에 사용되는 하이드로겔 고분자는 한천(Agar), 콜라겐 펩타이드(Pept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전분(Starch), 가수분해전분(Hydrolyzed starch), 가교전분(Cross-linked starch), 덱스트린(Dextrin), 감마PGA(Poly-r-glutamic acid), 카라기난(Carrageenan), 아라비아검(Arabic Gum), 산탄검(Xanthan Gum), 카르복실메틸셀롤로오스(CMC, carboxy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즈(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메틸셀룰로우즈(Methyl cellulose), 젤라틴(Gelatin), 펙틴(Pectine), 알긴산 나트륨 또는 칼륨염(Alginic acid-Na, K salts),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중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Kit).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소스 조성물(20)에 사용되는 탄산염은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중탄산칼륨(Potassium bicarbonate),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 중탄산암모늄(Ammonium carbonate), 탄산마그네슘(Magnesium carbonate),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탄산암모늄 중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Kit).
KR1020190033051A 2019-03-22 2019-03-22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KR102209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51A KR102209865B1 (ko) 2019-03-22 2019-03-22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051A KR102209865B1 (ko) 2019-03-22 2019-03-22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123A true KR20200113123A (ko) 2020-10-06
KR102209865B1 KR102209865B1 (ko) 2021-02-01

Family

ID=7282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051A KR102209865B1 (ko) 2019-03-22 2019-03-22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8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599B1 (ko) * 2020-12-21 2021-06-18 에스지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쌀통
KR102331449B1 (ko) * 2021-03-19 2021-12-01 황대진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
CN113812455A (zh) * 2021-08-24 2021-12-21 广州市博仕奥生化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防霉灭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20075619A (ko) * 2020-11-30 2022-06-08 서석진 화학적 처리된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수분함유 식품의 선도유지제의 제조방법
KR102556342B1 (ko) * 2023-01-08 2023-07-17 주식회사 네이피 발효식품을 위한 과발효억제 및 항균 기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902A (ko) * 1999-12-10 2002-08-14 가오가부시끼가이샤 살균방법
JP2005323572A (ja) * 2004-05-17 2005-11-24 Mc Foodtech Kk 殺菌方法及び殺菌用組成物
KR20060015581A (ko) * 2003-05-12 2006-02-17 다츠오 오카자키 차아염소산 또는 아염소산을 함유한 살균수의 생성방법,살균원료 패키지 및 살균수 생성키트와 공간 살균방법 및장치
JP2009153455A (ja) * 2007-12-27 2009-07-16 Miura Co Ltd 殺菌装置および殺菌方法
JP3161304U (ja) * 2010-04-30 2010-07-29 株式会社ウイット 亜塩素酸ナトリウムをコーティングし、使用時に二酸化塩素を生成し長時間発生する抗菌、抗かび、消臭ドライシート
KR20140135446A (ko) * 2013-05-16 2014-11-26 이동희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주입 키트(Ki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304B2 (ja) 1995-10-25 2001-04-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902A (ko) * 1999-12-10 2002-08-14 가오가부시끼가이샤 살균방법
KR20060015581A (ko) * 2003-05-12 2006-02-17 다츠오 오카자키 차아염소산 또는 아염소산을 함유한 살균수의 생성방법,살균원료 패키지 및 살균수 생성키트와 공간 살균방법 및장치
JP2005323572A (ja) * 2004-05-17 2005-11-24 Mc Foodtech Kk 殺菌方法及び殺菌用組成物
JP2009153455A (ja) * 2007-12-27 2009-07-16 Miura Co Ltd 殺菌装置および殺菌方法
JP3161304U (ja) * 2010-04-30 2010-07-29 株式会社ウイット 亜塩素酸ナトリウムをコーティングし、使用時に二酸化塩素を生成し長時間発生する抗菌、抗かび、消臭ドライシート
KR20140135446A (ko) * 2013-05-16 2014-11-26 이동희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주입 키트(Ki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619A (ko) * 2020-11-30 2022-06-08 서석진 화학적 처리된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수분함유 식품의 선도유지제의 제조방법
KR102266599B1 (ko) * 2020-12-21 2021-06-18 에스지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쌀통
KR102331449B1 (ko) * 2021-03-19 2021-12-01 황대진 농약이 포함되지 않은 서방형 토양 살생제 및 그 제조방법
CN113812455A (zh) * 2021-08-24 2021-12-21 广州市博仕奥生化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防霉灭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556342B1 (ko) * 2023-01-08 2023-07-17 주식회사 네이피 발효식품을 위한 과발효억제 및 항균 기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865B1 (ko)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865B1 (ko)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Niveditha et al. Application of cold plasma and ozone technology for decontamination of Escherichia coli in foods-a review
Jayas et al. PH—postharvest technology: modified atmosphere storage of grains meats fruits and vegetables
KR100428229B1 (ko) 다층 살생물 막 조성물
US20220073243A1 (en)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containers
EP2265136A1 (en) Absorbent pads for food packaging
KR102018545B1 (ko) 식품의 신선도 유지, 소독, 위생 처리를 위한 아염소산 소스(Chlorous acid source)를 제공하기 위한 키트
US9993800B2 (en) Oxygen uptake compositions and preservation of oxygen perishable goods
JP2754595B2 (ja) 脱酸素剤包装体
EP1063177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ackaging and treating alive bivalves
KR20140135446A (ko)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주입 키트(Kit).
CN106332954A (zh) 一种二氧化氯缓释包
CN1351837A (zh) 一种生物气调包装保鲜技术
CN113812455A (zh) 一种防霉灭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H0297349A (ja) 食品鮮度保持材
JPH03216173A (ja) 食品の包装前殺菌式保存法
JP2006288270A (ja) あんぽ柿の包装方法
JPH0453887B2 (ko)
CN213045013U (zh) 一种新鲜果蔬保鲜装置
KR20230132010A (ko)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저장용 기능성 키트
JPS6342676A (ja) 食品の保存方法
KR820000531B1 (ko) 야채, 과물의 선도보지제(鮮度保持劑)
Sanoj Kumar et al. Advances in controlled or modified-atmosphere storage and packaging.
CN112568279A (zh) 一种保鲜剂及其制备方法
ES2331385T3 (es) Dispositivo microbiestatico asi como envase que encierra un dispositivo de este tip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