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902A - 살균방법 - Google Patents

살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902A
KR20020065902A KR1020027007420A KR20027007420A KR20020065902A KR 20020065902 A KR20020065902 A KR 20020065902A KR 1020027007420 A KR1020027007420 A KR 1020027007420A KR 20027007420 A KR20027007420 A KR 20027007420A KR 20020065902 A KR20020065902 A KR 20020065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pm
surfactant
component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7934B1 (ko
Inventor
기요아키 요시카와
요시히로 야마자키
데츠야 오카노
스미토시 이토
시게루 다무라
도시카즈(사망) 아즈마
다카시 이토이
노보루 마츠오
마사오 니키
쇼지 나카네
신야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98961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75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98964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75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9896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8867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989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8801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302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0242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87442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757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8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58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0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alogens;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or salts thereof
    • D06M11/1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alogens;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or salts thereof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Abstract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 등을 사용하는 미생물을 살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 및/또는 그 염(A)과 계면활성제(B)와 pH 조정제(C)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미생물과 접촉시키는 살균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살균방법{METHODS OF STERILIZATION}
종래, 광범위한 환경에 있어서의 살균소독제로서, 차아염소산 나트륨, 차아염소산 칼슘, 디클로로이소시아누르산 나트륨 등의 염소계 살균제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차아염소산 나트륨 등의 차아염소산염은, 가격면과 효과의 점에서 범용되고 있는데, 의료, 식품공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는 미생물의 살균, 멸균에 대하여, 더욱 그 효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57-61099호에는, 차아염소산염, 알칼리성 물질 및 특정한 제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각각 특정한 중량비로 함유하는 액체 살균표백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 7-233396호에는, 차아염소산 나트륨염, 음이온 계면활성제, 알칼리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킬레이트제를 함유하는 인공투석기 등의 의료기기용의 살균세척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차아염소산염계 살균제는, 일반세균이나 곰팡이(균사)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지만, 약품내성이 보다 높은 바이러스, 간균이 형성하는 포자, 곰팡이 포자에 대해서 간이한 조작으로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 일본 특개평 11-148098호에는 고도표백분(차아염소산 칼슘)과 같은 차아염소산 알칼리토류 금속염 등의 염소계 살균제, 고체의 산,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고형 살균세척제가 개시되어 있는데, 보다 고도의 살균처리에 대하여 인식되어 있지 않고, 게다가 칼슘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이 스케일, 스컴(스컴)의 발생 원인으로 되어, 살균효율의 저하를 가져온다.
더욱이, 일본 특개평 7-328638호에는, 전해산화수에 표면장력을 저감시키는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피살균물의 외표면에 대한 밀착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고, 살균효과의 면에서는 우수한데, 염소가스가 발생하여,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특개소 59-93799호에는, 아민옥사이드를, 차아염소산염과 알칼리를 함유하는 액체세척제에 배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개소 59-98200호에는, 아민옥사이드를, 차아염소산 알칼리 금속염을 함유하는 표백제의 증점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에는 살균, 특히 내성이 높은 포자나 바이러스의 살균에 관한 언급은 없다.
차아염소산 등을 사용하는 미생물을 살균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간이한 처리에 의해, 높은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안전성, 작업성이 우수한 살균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 및/또는 그 염(A)과 계면활성제(B)와 pH 조정제(C)를함유하는 수용액을 미생물과 접촉시키는 살균방법이다. 즉, 차아염소산 및/또는 그 염(A)과 계면활성제(B)와 pH 조정제(C)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살균유효량을 미생물을 살균하는 장소에 적용함으로써 미생물을 살균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하게는, pH(25℃)가 3∼8이고, 또는 수용액의 유효 염소농도가 5∼5000ppm이다. pH(25℃)가 5∼8, 5∼7.5, 5 이상 7 미만, 6 이상 7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pH 조정제(C)는 유기산 또는 그 염이고, 특히 유기산 또는 그 염이 포화 이염기산 또는 그 염이다. 포화 유기산 또는 그 염을 pH(25℃) 5 이상 7 미만, 특히 6 이상 7 미만으로 포함하면 좋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B)는 양성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양성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다가알코올 유도체형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아민옥사이드가 바람직하다.
또, 차아염소산 나트륨염(A), 라우릴디메틸 아민옥사이드(B), 숙신산(C)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A), (B) 및 (C) 성분은 이하에 기재한 각 실시의 형태 (R)로부터 (X)까지의 어느 것에도 기재된 구체예를 포함한다.
또 각 실시의 형태 (R)부터 (X)까지의 어느 것에도 기재된 pH 조정, 첨가물, 사용 방법을 발명의 범위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생물을 살균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의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경질표면을 살균하는 것, 곰팡이를 제거하는 것, 자동세척기를 살균하는 것, 신선식품을 살균하는 것, 섬유제품을 살균하는 것, 의료기구를 살균하는 것이다. 식품가공, 주방의 살균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음료수용 플라스틱병의 살균세척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 회수품의 살균세척도 가능하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R)
실시의 형태 (R)에 있어서는, 상기의 본 발명중, (A)성분으로서 차아염소산 알칼리 금속염을 사용하고, (B)성분으로서 아민옥사이드 및 다가알코올 유도체형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C)성분으로서 유기산 또는 그 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차아염소산 알칼리 금속염(A)으로서는, 차아염소산 나트륨, 차아염소산 칼륨, 차아염소산 리튬 등을 들 수 있는데, 차아염소산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민옥사이드(B)로서는,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를 들 수 있고, 특히 탄소수 8∼18의 알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R)에 사용되는 수용액은, 차아염소산 알칼리 금속염(A)과 아민옥사이드(B)의 병용효과에 의해 살균효과가 상승적으로 향상하는데, 이 수용액은, (A)성분과 (B)성분을, (A)/(B)=10/1∼1/10, 더욱이 5/1∼1/5, 특히 2/1∼1/2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성분은 유효염소 기준에서의 중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액은, 유기산 또는 그 염(C)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산 또는 그 염(C)으로서는,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세바스 등의 포화 이염기산 또는 그 염이나, 푸마르산, 말레산 등의 불포화 이염기산 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화 이염기산 또는 그 염,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10의 포화 이염기산 또는 그 염이고, 특히 숙신산 또는 그 염이 바람직하다. 유기산 또는 그 염(C)은, 차아염소산 알칼리 금속염(A)과의 중량비가 (C)/(A)=5/1∼1/10, 더욱 2/1∼1/5, 특히 1/1∼1/5로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액은,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및/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의 수산화물(D)을 함유해도 좋다. (D)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등을 들 수 있고,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액은, 무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또는 무기산의 알칼리토류 금속염(E)을 함유해도 좋다. (E)성분으로서는 황산나트륨, 질산나트륨,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 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질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인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인산칼륨 등을 들 수 있고,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인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인산칼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액의 pH(25℃)는 3∼8, 바람직하게는 5∼8, 보다 바람직하게는 5∼7.5,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상 7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6 이상 7 미만이고, pH의 조정은 상기 유기산 또는 그 염(C)이나 무기산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 수용액의 유효 염소농도는 5∼5000ppm, 특히 50∼200ppm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액은, 배합품의 상태에서는, (A)성분을 5ppm∼12중량%, 특히 10∼60000ppm, (B)성분을 0.5ppm∼35중량%, 특히 1ppm∼10중량%, (C)성분을 0.5ppm∼60중량%, 특히 1ppm∼10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이 수용액을 더욱 희석한 수용액을 미생물과 접촉하게 하면, 이 희석 수용액은, (A)성분을 5∼5000ppm, 더욱 10∼5000ppm, 특히 50∼200ppm, (B)성분을 0.5∼50000ppm, 더욱 5∼2000ppm, 특히 50∼200ppm, (C)성분을 0.5∼25000ppm, 더욱 5∼1000ppm, 더욱 또 25∼500ppm, 특히 25∼150ppm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균방법은, 상기 (A)성분과 (B)성분, 더욱더 (C)∼(E)성분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미생물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행해진다. 미생물이란, 일반세균, 사상균, 바이러스, 곰팡이포자, 세균포자 등을 의미한다.
수용액의 접촉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데, 살포, 분무, 침지, 충전 등의 방법을 들 수 있고, 적당한 담체에 수용액을 함침시킨 것으로 대상물을 닦아내도 된다. 수용액의 접촉시간도 한정되지 않는데, 미생물에 따라서는, 30초 이내, 특히 10초 이내라는 단시간의 접촉시간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접촉시키는 수용액의 온도도 한정되지 않는데, 10∼70℃가 바람직하고, 특히 20∼6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균방법은, 살균스펙트럼이 넓고, 세균(곰팡이)뿐만 아니라, 바이러스나 포자에 대한 효과도 높기 때문에, 폭넓은 분야에서의 살균방법으로서 유용하다. 예를 들면, 병원, 양호시설, 식품 가공공장, 클리닝 시설, 주방 등의 벽, 마루, 창 등 또는 그것들에서 사용되는 기구, 비품, 및 제품용(예를 들면 음료액용) 용기의 살균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살균방법은, 각종 미생물, 특히 포자나 바이러스 등의 내성이 강한 미생물에 대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안전성,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 본 발명에서는, 차아염소산 알칼리 금속염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농도조정이나 자동 공급장치에서의 희석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표백분(차아염소산 칼슘) 등의 분말계 살균제에 비해 취급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S)
실시의 형태 (S)는, 본 발명중, (A)성분으로서 차아염소산염 및 차아염소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고, (B)성분으로서 양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한다. 또는 적어도 1종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해도 좋다.
(A)성분의 차아염소산염으로서는, 차아염소산 칼륨, 차아염소산 나트륨 등의 차아염소산 알칼리 금속염이나 차아염소산 칼슘, 차아염소산 마그네슘 등의 차아염소산 알칼리토류 금속염 등을 들 수 있고, 차아염소산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고, 특히 차아염소산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A)성분은, 조성물의 유효 염소농도가 바람직하게는 1∼5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30∼100ppm으로 되도록 배합된다.
(B)성분의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 등의 아민옥사이드, 알킬디메틸아미노 지방산베타인, 알킬카르복시메틸 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륨 베타인 등의 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8∼18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가 바람직하다. 또, (B)성분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제 1차 아민염, 제 2차 아민염, 제 3차 아민염, 제 4차 암모늄염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제 4차 암모늄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 4차 암모늄염으로서는, 4개의 치환기중 적어도 1개가 총 탄소수 8∼28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이고, 나머지가 벤질기, 탄소수 1∼5의 알킬기 및 탄소수 1∼5의 히드록시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총 탄소수 8∼28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는, 이 탄소수의 범위에서, 알콕실기, 알케닐옥시기, 알카노일아미노기, 알케노일아미노기, 알카노일옥시기 또는 알케노일옥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B)성분을 1∼5000ppm, 더욱 5∼3000ppm, 특히 10∼1000ppm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S)의 조성물은, (A)성분과 (B)성분의 중량비는 실시의 형태 (R)의 (A)/(B)로서 기재한 것과 같다.
pH 조정제(C)로서는,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알칼리토류 금속의 수산화물, 무기산 또는 그 염, 유기산 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알칼리토류 금속의 수산화물로서는, 상기 (D)성분에 대해 기술한 바와 같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 또는 그 염으로서는, 염산, 황산, 황산나트륨, 질산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 칼륨, 탄산수소 나트륨, 탄산수소 칼륨, 황산마그네슘, 질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인산3나트륨, 인산3칼륨, 인산수소 2나트륨, 인산수소 2칼륨, 인산 2수소나트륨, 인산 2수소칼륨, 폴리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 또는 그 염은 실시의 형태 (R)에 기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S)의 조성물은, pH(20℃)가 3∼8이고, 바람직하게는 5∼8, 보다 바람직하게는 5∼7.5, 더욱 바람직하게는 5∼7,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이상 7 미만,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6 이상 7 미만이다. (C)성분은 pH를 이 범위로 하는 양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S)의 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고급 지방산염, 고급 알코올 황산에스테르염, 고급 알코올 술폰산염, 황산화 지방산염, 술폰화 지방산염, 인산 에스테르염, 지방산 에스테르의 황산 에스테르염, 지방산 에스테르의 술폰산 에스테르염, 고급 알코올 에테르의 황산 에스테르염, 고급 알코올 에테르의 술폰산 에스테르염, 고급 알코올 에테르치환의 아세트산염, 지방산과 아미노산의 축합물, 지방산 아미드의 알킬올화 황산 에스테르염, 지방산 아미드의 알킬화 술폰산염, 술포숙신산 에스테르염, 알킬 벤젠 술폰산염, 알킬페놀 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 술폰산염, 알킬벤조이미다졸 술폰산염, 아미드에테르 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 에테르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 N-아실 N-메틸타우린 또는 그 염, 아미드에테르 황산 또는 그 염, N-아실 글루탐산 또는 그 염, N-아미드에틸-N-히드록시에틸 아세트산 또는 그 염, 아실옥시에탄 술폰산 또는 그 염, N-아실-β-알라닌 또는 그 염, N-아실-N-카르복시에틸 타우린 또는 그 염, N-아실-N-카르복시에틸 글리신 또는 그 염, 및 알킬 또는 알케닐아미노 카르보닐메틸 황산 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중에 1∼1000ppm, 더욱 5∼500ppm, 특히 10∼200ppm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동세척기용 살균제 조성물에는, 상기 (A)∼(C) 성분외에,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트리폴리인산염, 피로인산염, 탄산염, 과탄산염, 규산염, 황산염 등의 무기 빌더류,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염, 아미노트리메틸렌 포스폰산염, 1-히드록시-1, 1-디포스폰산염,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 포스폰산염,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메틸렌 포스폰산염, 시트르산염, 클루콘산염,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등의 유기 빌더류, 저포성(低泡性) 비이온 계면활성제, 효소 등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기 등의 세척에 사용되는 자동세척기용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여기서, 자동세척기란, 컵 등의 식기, 플라스틱 컨테이너 등의 반송용 용기 등의 경질표면을 연속적 또는 배치(batch)식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장치 전체를 의미하며, 크기, 방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을 사용한 살균은, 오물을 제거한 후에 행하면 보다 효과적이고, 예를 들면 벨트컨베이어식 자동 식기세척기의 경우, 세척후, 최종 헹굼전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스프레이 하는 방법이 최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기 등의 세척에 사용되는 자동세척기용으로서 매우 적합하고, 통상의 조작으로 포자형성균과 같은 내성이 강한 균에 대해서도 높은 살균력을 나타낸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T)
실시의 형태 (T)에 있어서는, 본 발명 중, (A)성분으로서 차아염소산염 및 차아염소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고, (B)성분으로서 양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한다. 또는 적어도 1종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해도 좋다.
(A)성분의 차아염소산염은 실시의 형태 (S)에 기재된 바와 같다. (A)성분은, 조성물의 유효 염소농도가 바람직하게는 1∼20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500ppm으로 되도록 배합된다.
(B)성분의 양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B)성분을 1ppm∼2중량%, 더욱 5ppm∼1중량%, 특히 10∼5000ppm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S)의 조성물은, (A)성분과 (B)성분의 중량비는 실시의 형태 (R)의 (A)/(B)로서 기재된 바와 같다.
pH 조정제(C)의 예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T)의 조성물은 pH(20℃)를 실시의 형태 (S)와 동일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T)의 조성물은, 실시의 형태 (S)와 동일하게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중에 1ppm∼5중량%, 더욱 5ppm∼1중량%, 특히 10∼5000ppm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대상으로 되는 섬유제품으로서는, 기저귀, 물수건, 시트, 파자마 등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비세척, 본세척으로 섬유제품의 오물을 뺀후에 섬유제품에 적용하면 효과적이고, 특히 최종 헹굼 전의 헹굼공정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의 처리로 포자형성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한 높은 살균력을 나타내는 섬유제품용 살균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U)
실시의 형태 (U)에서는, 본 발명중, (A)성분으로서 차아염소산염 및 차아염소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고, (B)성분으로서 양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한다. 또는 적어도 1종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해도 좋다.
(A)성분의 차아염소산염은 실시의 형태 (S)에 기재된 바와 같다. (A)성분은, 조성물의 유효 염소농도가 바람직하게는 1∼10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200ppm으로 되도록 배합된다.
(B)성분의 양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재된 바와 같다. (B)성분을 1ppm∼1중량%, 더욱 1∼5000ppm, 특히 5∼2000ppm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U)의 조성물은, (A)성분과 (B)성분의 중량비는 실시의 형태 (R)의 (A)/(B)로서 기재된 바와 같다.
pH 조정제(C)의 예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다. 또, 유기산 또는 그 염도 실시의 형태 (R)에 기술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U)의 조성물은 실시의 형태 (S)와 동일하게 pH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U)의 조성물은, 실시의 형태 (S)와 동일하게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중에 1ppm∼1중량%, 더욱 1∼5000ppm, 특히 5∼2000ppm이 바람직하다.
본 형태 (U)는 신선식품용 살균세척제 조성물로서 유용하고, 상기 (A)∼(C)성분외에,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은 유기 빌더류, 저포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효소 등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세척장치용으로서도 매우 적합하다. 이것을 사용한 신선식품의 살균세척을 간단히 설명하면 유기 오물이 많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는 이들을 제거후, 본 발명의 조성물로 세척살균하면 효과적이다.
본 형태에 의하면, 안전하고, 우수한 살균세척 효과를 나타내는 신선식품용 살균세척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신선식품용의 자동세척기용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V)
실시의 형태 (V)에 있어서는, 본 발명 중, (A)로서 차아염소산염 및 차아염소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고, (B)성분으로서 양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한다. 또는 적어도 1종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해도 좋다.
(A)성분의 차아염소산염은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다. (A)성분은, 조성물의 유효 염소농도가 바람직하게는 1∼100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2000ppm으로 되도록 배합된다.
(B)성분의 양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B)성분을 1ppm∼10중량%, 더욱 10ppm∼5중량%, 특히 50ppm∼2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V)의 조성물은, (A)성분과 (B)성분의 중량비는 실시의 형태 (R)의 (A)/(B)로서 기재된 바와 같다.
pH 조정제(C)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다. 유기산 또는 그 염의 예는 실시의 형태 (R)에 기술된 바와 같다.
본 실시의 형태 (V)는 pH(20℃)를 실시의 형태 (S)와 동일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 (V)의 조성물은, 실시의 형태 (S)와 동일하게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중에 1ppm∼50중량%, 더욱 10ppm∼5중량%, 특히 50ppm∼2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형태는 살(殺)바이러스제 조성물로서 유용하고, 상기 (A)∼(C) 성분 외에, 트리폴리인산염, 피로인산염, 탄산염, 과탄산염, 규산염, 황산염 등의 무기 빌더류, 에틸렌디아민테트라 아세트산염, 아미노트리메틸렌 포스폰산염, 1-히드록시-1, 1-디포스폰산염,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 포스폰산염,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메틸렌 포스폰산염, 시트르산염, 글루콘산염,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산-말레산공중합물,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등의 유기 빌더류, 저포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효소 등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자동 세척장치용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여기서, 자동 세척장치란, 내시경이나 의료기구 등을 자동적으로 세척하는 장치 전반을 의미하고, 그 양식 등에 구애되지 않는다. 이것을 사용한 살바이러스 처리는, 원칙적으로 세척공정의후에 행해지는 것이 효과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살바이러스 효과가 높고, 또한 안전성, 작업성에 우수한 살바이러스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W)
실시의 형태 (W)에 있어서는, 본 발명 중, (A)성분으로서 차아염소산염 및 차아염소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고, (B)성분으로서 양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한다. 또는 적어도 1종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해도 좋다.
(A)성분의 차아염소산염은 실시의 형태 (S)에 기재된 바와 같다. (A)성분은, 조성물의 유효 염소농도가 바람직하게는 1∼50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500ppm으로 되도록 배합된다.
(B)성분의 계면활성제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고, 양성 계면활성제의 예,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도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B)성분을 1ppm∼5중량%, 더욱 5ppm∼1중량%, 특히 10∼5000ppm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W)의 조성물은, (A)성분과 (B)성분의 중량비는 실시의 형태 (R)의 (A)/(B)로서 기재한 바와 같다.
pH 조정제(C)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다. 유기산 또는 그 염의 예는 실시의 형태 (R)에 기술된 바와 같다.
본 실시의 형태 (W)의 조성물은 실시의 형태 (S)와 동일하게 pH를 조정할 수 있다.
본 형태의 조성물에서는, 종래의 곰팡이 제거제에 비해 저농도, 단시간의 처리로 우수한 곰팡이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은, 차아염소산염이 높은 산화력에 의한 오물 성분의 분해와 양성 계면활성제 혹은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높은 침투력의 상승효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염의 산화 환원 전위가 알칼리 영역에 비해 중성 영역의 쪽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에서는, 보다 안전성이 높은 중성 영역에서의 사용에서도 세척성능이 유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더욱 차아염소산 및/또는 그 염과 안정된 배합이 가능하고, 세척효과를 높이기 위해,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중에 1ppm∼5중량%, 더욱 10ppm∼0.5중량%, 특히 50∼500ppm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의 곰팡이 제거제와 동일하게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곰팡이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곰팡이 제거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X)
실시의 형태 (X)에 있어서는, 본 발명 중, (A)성분으로서 차아염소산염 및 차아염소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고, (B)성분으로서 양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한다. 또는 적어도 1종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해도 좋다.
(A)성분의 차아염소산염은 실시의 형태 (S)에 기재된 바와 같다. (A)성분은, 조성물의 유효 염소농도가 바람직하게는 1∼50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500ppm으로 되도록 배합된다.
(B)성분의 계면활성제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고, 양성 계면활성제의 예,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도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다. (B)성분을 1ppm∼5중량%, 더욱 5ppm∼1중량%, 특히 10∼5000ppm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X)의 조성물은, (A)성분과 (B)성분의 중량비는 실시의 형태 (R)의 (A)/(B)로서 기재된 바와 같다.
pH 조정제(C)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다. 유기산 또는 그 염의 예는 실시의 형태 (R)에 기술된 바와 같다.
본 실시의 형태 (W)의 조성물은 실시의 형태 (S)와 동일하게 pH를 조정할 수 있다.
본 형태 (X)에는 오물에 대한 침투성 향상을 위해,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예는 실시의 형태 (S)에 기술된 바와 같다.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중에 1ppm∼5중량%, 더욱 10ppm∼0.5중량%, 특히 50∼500ppm가 바람직하다.
본 형태의 조성물은, 자동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는 계에서도 매우 적합하다. 또, 증포제 첨가에 의한 거품세척 살균도 가능하다.
본 형태에 의하면, 경질표면에 대하여 우수한 세척력을 나타내고, 또한, 통상의 조작보다도 저온, 단시간의 처리로도 포자나 곰팡이에 대해 우수한 살균력을 나타내는 경질표면용 살균세척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Z)
본 발명에서는 (B)성분으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의 형태 (R)로부터 (X)까지 각각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 에테르 및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 에테르를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에스테르, 알킬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 알킬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시드, 폴리옥시알킬렌알킬(폴리) 글리코시드 등의 다가알코올 유도체형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에스테르, 수지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수지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다가알코올 유도체형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다가알코올 유도체형 계면활성제 중에서는,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알킬폴리 글리시드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에스테르, 알킬폴리 글리코시드가 바람직하다.
이하의 실시예에 사용된 기탁균은 전부 일본 오사카후 오사카시 요도가와구 쥬산 혼마치 2쵸메 17-85에 있는 재단법인 발효연구소(Institute For Fermentation, OSAKA, IFO)로 부터 얻을 수 있다. 1996년판 Microorganisms 10thList of Cultures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R1∼R11 및 비교예 R1∼R3
표 R1에 나타내는 조성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수용액을 사용하여, 이하의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R1에 나타낸다. 또한, 표 R1 중의 유효 염소농도는, JIS K-0101 "요오드법"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 R1∼R11의 수용액 ①은, 차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유효 염소농도 60000ppm)과 계면활성제를 소정량 혼합하여 얻어진 것을 최종 배합농도의 2배까지 이온교환수로 희석한 것과 예를 들면 숙신산 등의 pH 조정제를 최종 배합농도의 2배까지 이온교환수로 희석한 것을 등량 혼합하여 얻은 것이다.
[R1] 살포자시험
포자형성균인, ①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IFO13494), ② 고초(枯草)균(Bacillus subtilis ATCC6051)을 사용하여, 정법에 따라 열처리를 행하고, 얻어진 포자를 시험에 제공했다. 즉, SCD 한천배지(니혼세이야쿠(주)제)에 먼저 배양한 균을 한 백금선(platinum loop) 긁어내어, 1ml의 멸균수에 현탁하고, 65℃, 30분간의 열처리후, 2회 원심 분리 세척을 한 것을 시험에 사용했다.
이 시험용 포자균액(약 107∼108cell/ml)을 0.1ml 취하고, 표 R1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수용액 ①을 더욱 멸균한 이온교환수로 표 R1에 나타내는 배율로 희석한 시험용 수용액(온도 25℃) 10ml에 10초간 접촉시킨후, 50μl를 채취하고, 후배양용 SCDLP 배지(티오황산 나트륨 3.3% 함유) 0.2ml가 든 마이크로 샤알레(CORNING사제, 96-Cell Wells)에 접종했다. 30℃에서 48시간 배양하고, 균의 발육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마이크로 샤알레 상에서 균이 생육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관찰했다. 균의 생육이 없는 경우를 「○」, 있는 경우를 「×」로서 평가했다.
[R2] 살곰팡이 시험
피험균으로서 곰팡이(진균, Aspergillus niger IFO6341)는, PDA 배지를 사용하여, 25℃에서 7일간 배양했다. 얻어진 균체를 유리비드 법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한후, 멸균거즈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균액을 얻었다. 이 균액(약 107∼108cell/ml)을 0.1ml 취하고, 표 R1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수용액을 더욱 멸균한 이온교환수로 표 R1에 나타내는 배율로 희석한 수용액(온도 25℃) 10ml에 10초간 접촉시킨후, 0.1ml를 채취하고, 후배양용 PDA 배지(티오황산 나트륨 3.3% 함유)에 접종했다. 25℃에서 7시간 배양하고, 균의 발육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평가했다.
실시예 R12∼R20 및 비교예 R4
표 R2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수용액 ②를 이온교환수로 표 R2에 나타내는 배율로 희석한 시험용 수용액(유효 염소농도 200ppm)을 조제하고, 샘플병에 밀폐후, 40℃의 항온조에서 2일간 보존했다. 또한, 이 수용액 ②중, 실시예 R12∼R20은 차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유효 염소농도 60000ppm)을 최종 배합농도의 2배까지 이온교환수로 희석한 것과, 계면활성제와 유기산을 소정량 혼합하여 얻어진 것을 최종 배합농도의 2배까지 이온교환수로 희석한 것을 등량 혼합하여 얻은 것이다. 2일후에 샘플병을 꺼내고, 시험용 수용액의 유효 염소농도를 측정하고, 유효 염소농도의 유지율(%)을 다음 식에 의해 구했다. 결과를 표 R2에 나타낸다.
유지율(%)=[40℃에서 2일 보존후의 유효 염소농도/200]×100.
또, 상기 보존시험후의 시험용 수용액을 사용하여 살균시험을 행했다. 즉, 실시예 R1∼R11 및 비교예 R1∼R3에서 사용한 2종의 포자균액을 104cell/ml로 조정하고, 0.1ml를 채취하여, 상기 보존후의 시험용 수용액(온도 25℃) 10ml에 10초간 접촉시킨후, 티오황산 나트륨 3.3%수용액으로 단계 희석한후, SCD 한천배지에 발랐다. 30℃에서 48시간 배양후, 정법에 따라 콜로니수로부터의 잔균수를 구했다. 결과를 표 R2에 나타낸다.
실시예 S1∼S11 및 비교예 S1∼S3
(S1)살균제 조성물의 조제
표 S1의 실시예 S1∼S5, S7∼S9 및 비교예 S2의 조성물을, 차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유효 염소농도 60000ppm)과 (B)성분 또는 (G)성분을 소정량 혼합하여 얻어진 것을 최종 배합농도의 2배까지 이온교환수로 희석한 것과 숙신산을 최종 배합농도의 2배까지 이온교환수로 희석한 것을 등량 혼합하여 얻었다.
또, 격막방식으로 얻어진 이른바 전해산화수중, 양극측에 발생한 차아염소산수(pH(25℃) 2.7, 유효 염소농도 50ppm)를 사용하여, 0.1mol/L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11로 조정하고, 표 S1의 비교예 S3의 조성물을 얻었다. 또, 상기의 차아염소산수를 1mol/L의 숙신산2나트륨 수용액으로 pH 5로 조정후, 라우릴디메틸아민 옥사이드(실시예 S1과 동일한 것) 농도가 25ppm이 되도록 첨가하고, 표 S1의 실시예 S6의 조성물을 얻었다. 동일하게, 표 S1에 나타내는 양만큼 사용하여, 실시예 SI0 및 S11의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표 S1중의 유효 염소농도는, JIS K-0101“요오드법”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이들 조성물을 표 S1의 유효 염소농도로 되도록 희석한 시험수용액을 사용하여(실시예 S6, S10, S11, 비교예 S3은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함), 이하의 방법으로 살균성능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S1에 나타낸다.
(S2)살균성능의 평가
연질의 다 된 쌀밥 약 300g을 플라스틱제 도시락 상자(170mm x 120mm x 43mm)에 넣고, 2시간 실온에서 방냉후, 쌀밥을 꺼낸다. 그 도시락 상자내에, 포자형성균(Bacillus cereus IFO13494)을 정법에 따라 열처리하여 얻은 포자의 현탁액(약 109∼1010cell/ml) 1ml를 균일하게 살포했다. 이 도시락 상자를,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제 자동 식기세척기 DW-2000R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세척, 살균,헹굼을 행하고, 세척전후의 포자의 수를 비교했다. 여기서, 세척전후의 포자의 수는, 각각 멸균면봉에 의해 도시락 상자의 소정 면적(50mm x 50mm)을 닦아내고, 그것을 1ml 멸균수에 현탁하고, 그 액의 10배 희석을 반복하고, 포자균 검출용 NGKG 한천배지에, 각 액을 25μl 도포하여 30℃에서 48시간 배양한후의 수로 측정했다. 희석 단수 n은 5로 하고, 균수는, 최대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3개 값의 평균치로 했다.
<세척조건>
세척온도: 60℃±2℃
세척시간: 15초
세척제: 가오(주)제 아쿠시얄(단 비교예 S1에서는 사용하지 않음)
세제농도: 0.15%
<살균조건>
살균온도: 60℃
살균시간: 10 초
<헹굼 조건>
헹굼온도: 60℃
헹굼시간: 5초
(1): ()안은 유효 염소농도를 나타낸다.
(2): 암피톨 20N(가오(주)제, 유효분 35%)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S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3): 사니졸 C(가오(주)제, 유효분 50%)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S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4): MCA-750(사카모토 약품 공업(주)제)을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S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5): LWA1570(미쯔비시가가쿠 푸드(주)제)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S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6): 마이도루 12(가오(주)제, 유효분 40%)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S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7): 에말 20C(가오(주)제, 유효분 25%)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S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실시예 T1∼T11 및 비교예 T1∼T3
(T1)살균제 조성물의 조제
표 T1의 실시예 T1∼T5, T7∼T9 및 비교예 T2의 조성물을 실시예 (S1)과 동일하게 하여 얻었다. 비교예 T1은 무균수를 사용했다.
또, 실시예 S1과 동일하게 하고, 상기와 같은 양극측에 발생한 차아염소산수를 사용하고, pH 11로 조정하여, 표 T1의 비교예 T3의 조성물을 얻었다. 또, 상기의 차아염소산수를 실시예 (S1)과 동일하게 해서 pH 5로 조정후, 라우릴 디메틸 아민옥사이드(실시예 T1과 동일한 것) 농도가 25ppm이 되도록 첨가하고, 표 T1의 실시예 T6의 조성물을 얻었다. 동일하게, 실시예 T10 및 T11의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표 T1 중(속)의 유효 염소농도는 상기 "요오드법"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이들 조성물을 표 T1의 유효 염소농도로 되도록 희석한 시험수용액을 사용하여(실시예 T6, T10, T11, 비교예 T3은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함), 이하의 방법으로 살균성능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T1에 나타낸다.
(T2)살균성능의 평가
솜 브로드(원료 천, 미염착포)를 10cmx24cm의 크기로 재단하고, 이것을 오토클레이브 멸균(121℃, 15분)하고, 클린 벤치내에서 냉각 건조한 것을 시험포로서사용했다. 포자형성균(Bacillus subtilis ATCC6633)을 정법에 따라 열처리하여 얻어진 포자의 현탁액(약 107∼108cell/ml) 1ml를 멸균수로 100ml로 더욱 엷게 한 균액(약 105∼106cell/ml)에, 상기의 시험천 10매 (천의 중량 25g, 욕비 1/4)를 침지하고, 10분간 25℃에서 처리했다. 뒤이어, 30초간 원심탈수를 행하고, 75g의 함수천을 얻었다. 이 함수천으로부터 액상부의 0.5ml를 채취하여, 살균처리전의 균수측정용 샘플로 했다.
뒤이어, 상기의 함수포를, 표 T1에 나타내는 조성물 100g에 5분간 25℃에서 침지했다. 그후, 티오황산 나트륨(하이포)으로 처리하고, 30초간 원심탈수를 행하고, 75g의 살균후의 함수포를 얻었다. 이 함수포로부터 액상부의 0.5ml를 채취하여, 살균처리후의 균수측정용 샘플로 했다.
각 측정용 샘플은, 순차적으로 멸균수로 단계희석을 행하고, SCD 한천 배지(닛스이 세이야쿠(주)제)에서 30℃에서 48시간 배양하고, 정법에 따라 균수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T1에 나타낸다.
(1): ()안은 유효 염소농도를 나타낸다.
(2): 암피톨 20N(가오(주)제, 유효분 35%)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T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3): 사니졸 C(가오(주)제, 유효분 50%)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T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4): MCA-750(사카모토 약품 공업(주)제)을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T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5): LWA1570(미쯔비시 가가쿠 푸드(주)제)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T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6): 마이도르 12(가오(주)제, 유효분 40%)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T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7): 에말 20C(가오(주)제, 유효분 25%)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T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실시예 U1∼U11 및 비교예 U1∼U4
(U1)신선식품용 살균세척제 조성물의 조제
표 U1의 실시예 U1∼U5, U7∼U9 및 비교예 U1∼U3의 조성물을 실시예 (S1)과 동일하게 하여 얻었다.
또, 실시예 (S1)과 동일하게 하여, 상기와 같은 양극측에 발생한 차아염소산수를 사용하고, pH 11로 조정하고, 표 U1의 비교예 U4의 조성물을 얻었다. 또, 상기 차아염소산수를 실시예 (S1)과 동일하게 하여 pH 5로 조정후, 라우릴 디메틸 아민옥사이드(실시예 U1과 동일한 것) 농도가 25ppm이 되도록 첨가하고, 표 U1의 실시예 U6의 조성물을 얻었다. 동일하게, 실시예 U10 및 U11의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표 U1 중의 유효 염소농도는 상기 "요오드법"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이들 조성물을 표 U1의 유효 염소농도로 되도록 희석한 시험수용액을 사용하여(실시예 U6, U10, U11, 비교예 U4는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함), 이하의 방법으로 제균·살균성능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U1에 나타낸다.
(U2) 제균·살균성능의 평가
시판되는 양배추의 외피 2장을 벗기고, 4 분할하여, 그것들을 약 100g이 되도록 잘게 자른다. 잎이 1장씩 벗겨지도록 1L 비이커에 넣었다. 이것에 표 U1의 조성물을 욕비 10으로 되도록 투입하고, 3분 침지세척, 30초 저수헹굼(1L의 수도물)을 2회 행했다. 이들 조작은 모두 실온에서 행했다. 최후 헹굼후, 양배추를 균질화하여 균수측정 샘플로 한다. N수는 5로 하고, 식품위생 검사지침에 따라 양배추 1g당의 일반 생균수를 측정했다. 제균·살균율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제균·살균율(%)=[(A-B)/A]×100
A; 세척전의 균수(개/양배추 1g)
B; 세척후의 균수(개/양배추 1g)
(1): ()안은 유효 염소농도를 나타낸다.
(2): 암피톨 20N(가오(주)제, 유효분 35%)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U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3): 사니졸 C(가오(주)제, 유효분 50%)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U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4): MCA-750(사카모토 약품 공업(주)제)을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U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5): LWA1570(미쯔비시 가가쿠 푸드(주)제)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U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6): 마이도르 12(가오(주)제, 유효분 40%)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U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7): 에말 20C(가오(주)제, 유효분 25%)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U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실시예 V1∼V11 및 비교예 V1∼V4
(V1) 살바이러스제 조성물의 조제
표 V1의 실시예 V1∼V5, V7∼V9 및 비교예 V1∼V3의 조성물을 실시예 (S1)과 동일하게 하여 얻었다.
또, 상기와 같은 양극측에 발생한 차아염소산수를 사용하고, 실시예 (S1)과 동일하게 하여 pH 11로 조정하고, 표 V1의 비교예 V4의 조성물을 얻었다. 또, 상기의 차아염소산수를 (S1)과 동일하게 하여 pH 5로 조정후, 라우릴디메틸 아민옥사이드(실시예 V1과 동일한 것) 농도가 25ppm이 되도록 첨가하여, 표 V1의 실시예 V6의 조성물을 얻었다. 동일하게, 실시예 V10 및 V11의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표 V1중의 유효 염소농도는 상기 "요오드법"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이들 조성물을 표 V1의 유효 염소농도로 되도록 희석한 시험수용액을 사용하여(실시예 V6, V10, V11, 비교예 4는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함), 이하의 방법으로 살균성능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V1에 나타낸다.
(V2) 살바이러스 성능의 평가
<대상 바이러스>
(i) 폴리오 바이러스: 폴리오 바이러스 3형, 왁틴 주(Sabin 주)
(ii)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HF 주
또한, 바이러스의 증식 및 감염가의 측정에는 FL 세포를 사용했다.
<시험방법>
표 V1의 살바이러스제 조성물 50μl와 바이러스 액 50μl를 혼합한다. 30초간 20℃에서 방치하고, 2% 티오황산 나트륨 수용액 50μl을 가한다. 이 혼합액을 10 배씩 단계 희석하여 바이러스 감염가를 측정하다. 또한, 바이러스 대조로서는, 각 제제 50μL에 2% 티오황산 나트륨 수용액 50μL를 가하고, 30분간 방치한후에, 바이러스 액 50μL를 가한 것으로 했다.
(1): ()안은 유효 염소농도를 나타낸다.
(2): 암피톨 20N(가오(주)제, 유효분 35%)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V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3): 사니졸 C(가오(주)제, 유효분 50%)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V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4): MCA-750(사카모토 약품 공업(주)제)을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V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5): LWA1570(미쯔비시 가가쿠 푸드(주)제)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V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6): 마이도르 12(가오(주)제, 유효분 40%)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V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7): 에말 20C(가오(주)제, 유효분 25%)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V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8): 에말겐106(가오(주)제)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V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실시예 W1∼W10 및 비교예 W1∼W3
표 W1에 나타내는 조성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하의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W1에 나타낸다. 또한, 표 W1 중의 유효 염소농도는 상기 "요오드법"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또한, 각 조성물은, 차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유효 염소농도 60000ppm)과(B)성분 또는 (F)성분을 소정량 혼합할 수 있는 것을 최종 배합농도의 2배까지 이온교환수로 희석한 것과 숙신산을 최종 배합농도의 2배까지 이온교환수로 희석한 것을 등량 혼합하여 얻은 것이다.
이하의 각 시험에서는, 표 W1의 조성물을, 표 W1의 유효 염소농도로 되도록 희석한 시험수용액을 사용했다.
(W1) 곰팡이제거 시험
(W1-1) 곰팡이 오물 플레이트의 조제
피험균으로서 곰팡이(진균, Aspergillus niger IFO6341)를, PDA 배지를 사용하여, 25℃에서 7일간 배양했다. 얻어진 균체를 유리비드 법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한후, 멸균거즈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균액을 얻었다(약 105cell/ml).
이 균액 0.5ml를 ABS 수지제 플레이트(세로 76mm x 가로 26mm x 두께 1mm)에 접종하고, 30℃, 90% RH로 3일간 배양하여, 곰팡이 오물 플레이트를 얻었다.
(W1-2) 곰팡이 오물 세척력
표 W1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더욱 멸균한 이온교환수로 희석한 수용액(온도 25℃) 1ml를 곰팡이 오물 플레이트 접종하고, 15분후 수세하고 건조한후, 플레이트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아래와 같은 5 단계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W1에 나타낸다.
5…곰팡이 오물이 완전히 떨어져 있다.
4…곰팡이 오물이 대부분 떨어져 있다.
3…곰팡이 오물이 반 정도 떨어져 있다.
2…곰팡이 오물이 대부분 떨어져 있지 않다.
1…곰팡이 오물이 전혀 떨어져 있지 않다.
(W1-3) 살균력
상기 (W1-2)에서, 희석 수용액(온도 25℃)을 접종하고, 수세, 풍건(風乾)한 플레이트의 소정 면적(10mm x 10mm)을 멸균면봉으로 닦아내고, 이 면봉을 1ml 멸균수에 침지하여 부착물을 현탁하고, 그 현탁액 0.1ml를 PDA 배지(티오황산 나트륨 3.3% 함유)에 접종했다. 25℃에서 7일간 배양하고, 곰팡이가 생육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균의 생육이 없는 경우를 「◎」 또는 「○」, 있는 경우를 「×」로 했다. 결과를 표 W1에 나타낸다.
(1): ()안은 유효 염소농도를 나타낸다.
(2): 암피톨 20N(가오(주)제, 유효분 35%)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W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3): 사니졸 C(가오(주)제, 유효분 50%)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W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4): MCA-750(사카모토 약품 공업(주)제)을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W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5): LWA1570(미쯔비시 가가쿠 푸드(주)제)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W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6): 마이도르 12(가오(주)제, 유효분 40%)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W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7): 에말 20C(가오(주)제, 유효분 25%)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W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8): 에말겐106(가오(주)제)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W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실시예 W11∼W14, 비교예 W4
격막방식으로 얻어진 이른바 전해산화수중, 양극측에 발생한 차아염소산수(pH(25℃) 2.7, 유효 염소농도 50ppm)를 사용하고, 0.1mol/L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11로 조정하고, 표 W2의 비교예 W4의 조성물을 얻었다. 또, 상기의 차아염소산수를 1mol/L의 숙신산2나트륨 수용액으로 pH 5로 조정후, 라우릴디메틸아민 옥사이드(실시예 W1과 동일한 것) 농도가 25ppm이 되도록 첨가하고, 표W2의 실시예 W11의 조성물을 얻었다.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W12∼W14의 조성물도 얻었다. 그것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W1과 동일하게 곰팡이 오물 세척력과 살균력의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W2에 나타낸다.
실시예 X1∼X8 및 비교예 X1∼X3
표 X1에 나타내는 조성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하의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X1에 나타낸다. 또한, 표 X1 중의 유효 염소농도는 상기 "요오드법"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또한, 각 조성물은 실시예 W1∼W10 및 비교예 W1∼W3을 얻은 것과 동일하게 하여 얻었다.
(X1) 세척력
기름오물과 단백질 오물 각각의 모델오물을 제작후, 리너츠 시험개량법으로 각각의 세척력을 평가했다. 또한, 어느 시험에도, 표 X1의 조성물을, 표 X1의 유효 염소농도로 되도록 희석한 시험수용액을 사용했다.
(X1-1) 기름오물 세척력
소의 지방과 대두유를 체적비 1:1로 혼합한 유지 20g, 모노올레인 0.25g 및 오일레드 0.1g을 클로로포름 60ml에 녹여서 기름오물액을 조제한다. 청정한 슬라이드 글라스를 6매 1조로 하여, 1mg까지 각각의 질량을 측정해 둔다. 25±1℃의 기름오물액중에 슬라이드 글라스를 1매씩 약 55mm의 지점까지 약 2초간 담그고, 기름오물을 부착시킨후 꺼낸다. 슬라이드 글라스의 하부에 부착된 기름오물의 고인 곳은 청정한 거즈 등의 천이나 여과지를 사용하여 빨아들이게 하여, 기름오물의 부착을 균일한 상태로 하고, 25±1℃에서 풍건하여 질량을 측정한다. 풍건 방치 시간 1시간 이상 2시간 이내에 모델오물 유리조각을 시험에 사용한다. 이 때, 모델오물 유리조각의 6매당 기름오물 부착량은 0.140±0.010g이 되도록 한다.
이 모델오물 유리조각 6조를, 25℃±2℃에서 5분간, 리너츠 개량 세척기를 사용해서 세척하고, 이온교환수로 25±2℃에서 30초간 헹군다. 헹굼이 종료된 유리조각은, 일주일간 풍건하게 한다. 세척력의 평가는, 모델오물 유리조각의 세척전후의 중량으로부터 산출한다. 즉, 세척전과 세척후의 중량차를 구하고, 다음 식에 의해 세척율(%)을 산출한다.
세척율(%)=(세척전 중량 - 세척후 중량)/오물 때 부착량×100
6매의 유리조각에 대하여 각각의 세척율을 구하고, 최대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4매의 세척율의 평균치를 그 조성물의 세척율로 했다.
(X1-2) 단백질 오물 세척력
탈지분유 20g을 60℃의 이온교환수로 희석, 용해하고, 합계 100g으로 하여, 단백질 오물액으로 한다. 25℃±1℃의 단백질 오물액에 청정한 슬라이드 글라스를 1매씩 약 55mm의 지점까지 약 2초간 담그고, 단백질 오물을 부착시킨후 꺼낸다. 슬라이드 글라스의 하부에 부착된 단백질 오물의 고인 곳은 청정한 거즈 등의 천이나 여과지를 사용하여 빨아들이게 하여, 단백질 오물의 부착을 균일한 상태로 하여, 25±1℃에서 풍건한다. 이것을 다시 한번 반복하여, 한쪽 면의 오물을 완전히 제거후, 풍건하고 110℃에서 1시간 변성을 행하여, 시험편으로 한다. 이 시험편을 12시간 이상 24시간 이내에 시험에 사용한다. 시험편을, 25℃±2℃에서 5분간, 리너츠 개량 세척기를 사용하여 세척하고, 이온교환수로 25±2℃에서 30초간 헹군다. 헹굼후, 70℃에서 30분 건조하고, 에리트로신 1중량% 용액으로 착색후, 착색면적(S1)을 사진판정에 의해 측정하고, 초기(세척전)의 단백질 오물 부착면적(S0)으로부터 세척율(%)을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한다.
세척율(%)=(S0- S1)/S0×100
6매의 유리조각에 대하여 각각의 세척율을 구하고, 최대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4매의 세척율의 평균치를 그 조성물의 세척율로 했다.
(X2) 살균력
(X2-1) 살포자 시험
포자형성균인 고초균(Bacillus subtilis ATCC6633)을 SCD 한천 배지(니혼세이야쿠(주)제)에 먼저 배양한 균을 한 백금선 긁어내어, 1ml의 멸균수에 현탁하고,65℃, 30분간의 열처리후, 2회 원심분리 세척을 행한 것을 시험에 사용했다(105cell/ml).
이 시험용 포자균액을 0.1ml 취하고, 표 X1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더욱 멸균한 이온교환수로 희석한 시험수용액(온도 25℃) 10ml에 접종하고, 실온에서 3분간 작용시켰다. 10초 이내에 균 접촉액을 50μl를 채취하고, 후배양용 SCDLP 배지(티오황산 나트륨 3.3% 함유) 0.2ml이 든 마이크로 샤알레([R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에 접종했다. 30℃에서 48시간 배양하고, 균의 발육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마이크로 샤알레 상에서 균이 생육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관찰하고, 균의 생육이 없는(즉 100% 살균할 수 있음) 최소의 희석배율(최소 살균 유효 염소농도)을 구했다. 또한, 유효 염소농도는 상기 "요오드법"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X2-2) 살곰팡이 시험
실시예 [R2]와 동일하게 하여 균액을 얻었다(약 105cell/ml). 이 균액을 0.1ml 취하고, 표 X1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더욱 멸균한 이온교환수로 희석한 수용액(온도 25℃) 10ml에 접종하고, 실온에서 3분간 작용시켰다. 10초 이내에 0.1ml를 채취하고, 후배양용 PDA 배지(티오황산 나트륨 3.3% 함유)에 접종했다. 25℃에서 7시간 배양하고, 균의 발육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상기 같이 평가했다.
(1): ()안은 유효 염소농도를 나타낸다(이하 동일).
(2): 암피톨 20N(가오(주)제, 유효분 35%)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X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3): 사니졸 C(가오(주)제, 유효분 50%)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X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4): MCA-750(사카모토 약품 공업(주)제)을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X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5): LWA1570(미쯔비시 가가쿠 푸드(주)제)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X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6): 마이도르 12(가오(주)제, 유효분 40%)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X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7): 에말 20C(가오(주)제, 유효분 25%)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X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8): 에말겐106(가오(주)제)를 사용하여 유효분 농도가 표 X1의 수치로 되도록 했다.
실시예 X9∼X12, 비교예 X4
격막방식으로 얻어진 이른바 전해산화수중, 양극측에 발생한 차아염소산수(pH(25℃) 2.7, 유효 염소농도 50ppm)를 사용하고, 0.1mol/L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11로 조정하고, 표 X2의 비교예 X4의 조성물을 얻었다. 또, 상기의 차아염소산수를, 1mol/L의 숙신산2나트륨 수용액으로 pH 5로 조정후, 라우릴 디메틸 아민옥사이드(실시예 X1과 동일한 것) 농도가 25ppm이 되도록 첨가하고, 표 X2의 실시예 X9의 조성물을 얻었다. 동일하게, 실시예 X10∼X12의 조성물을 얻었다. 그것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X1과 동일하게 살균력의 시험을 행하고, 균의 육성이 없는 경우를 「◎」또는 「○」, 있는 경우를 「×」로 했다. 결과를 표 X2에 나타낸다.
실시예 X13∼X20 및 비교예 X5∼X7
표 X3에 나타내는 조성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사용해서, 이하의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X3에 나타낸다.
또한, 각 조성물은, 차아염소산 나트륨 수용액(유효 염소농도 60000ppm)과 (B)성분 및/또는 (F)성분을 소정량 혼합하여 얻어진 것을 최종 배합농도의 2배까지 이온교환수로 희석한 것과 숙신산을 최종 배합농도의 2배까지 이온교환수로 희석한 것을 등량 혼합해서 얻은 것이다.
또, 어느 시험에도, 표 X3의 조성물을, 표 X3의 유효 염소농도로 되도록 희석한 시험수용액을 사용했다. 또한, 표 X3 중의 유효 염소농도는, JIS K-0101 "요오드법"에 따라 측정한 것이다. 또, 표 X3 중의 각 성분은 표 X1 중의 것과 동일한 것이다.
(XI) 세척력
소의 지방과 대두유를 체적비 1:1로 혼합한 유지 20g, 모노올레인 0.25g 및 오일 레드 0.1g를 클로로포름 60ml에 녹여서 기름 오물액을 조제한다. 청정한 슬라이드 글라스(76mm x 26mm x 1mm)를 6매 1조로 하고, 1mg까지 각각의 질량을 측정해 둔다. 25±1℃의 기름오물액중에 슬라이드 글라스를 1매씩 약 55mm의 지점까지 약 2초간 담그고, 기름오물을 부착시킨후 꺼낸다. 슬라이드 글라스의 하부에 부착한 기름오물의 고인 곳은 청정한 거즈 등의 천이나 여과지를 사용하여 빨아들이게 하고, 기름오물의 부착을 균일한 상태로 하여, 25±1℃에서 풍건하여 질량을 측정한다. 풍건 방치시간 1시간 이상 2시간 이내에 모델오물 유리조각을 시험에 사용한다. 이 때, 모델오물 유리조각의 6매당의 기름오물 부착량은 0.140±0.010g이 되도록 한다.
300ml 비이커에, 시험수용액 300ml(25℃)를 넣고, 선단에 에어스톤을 부착한 실리콘 호스를 시험수용액중에 침전시켜, 에어펌프로 공기를 보내어(유량 1.5 리터/분), 거품을 발생시킨다. 넘친 거품에, 모델오물 유리조각을 1매씩 5분간 접촉시키고, 이온교환수로 25±2℃에서 30초간 헹군다. 헹굼이 종료된 유리조각은, 일주일간 풍건하게 한다. 세척력의 평가는, 모델오물 유리조각의 세척전후의 중량으로부터 산출한다. 즉, 세척전과 세척후의 중량차를 구하여, 다음 식에 의해 세척율(%)을 산출한다.
세척율(%)=(세척전 중량 - 세척후중량)/오물 때 부착량×100
6매의 유리조각에 대하여 각각의 세척율을 구하고, 최대치와 최소치를 제외한 4매의 세척율의 평균치를 그 조성물의 세척율로 했다.
(XII) 살균력
포자형성균인 고초균(Bacillus subtilis ATCC6633)을 SCD 한천배지(니혼 세이야쿠(주)제)에 앞서 배양한 균을 한 백금선 긁어내어, 1ml의 멸균수에 현탁하고, 65℃, 30분간의 열처리후, 2회 원심분리 세척을 행한 것을 시험에 사용했다(105cell/ml). 이 시험용 포자균액 0.5ml를, 상기 (X1)과 동일하게 하여 조제한 1매의 모델오물 유리조각에 균일하게 접종한후, 풍건하여 살균시험용 유리조각을 얻었다.
살균시험용 유리조각을, 상기 (XI)과 동일하게 하여 발생시킨 시험수용액의 거품에 5분간 접촉시키고, 곧바로 멸균수로 헹구었다. 유리조각 표면이 건조하기 전에, 유리조각의 소정 면적(20mm x 20mm)을 멸균면봉으로 닦아내고, 이 면봉을 1ml의 멸균수에 침지하여 부착물을 현탁했다. 그 현탁액의 25μl를 후배양용 SCDLP 배지(티오황산 나트륨 3.3%함유) 0.2ml가 든 마이크로 샤알레([R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에 접종했다. 30℃에서 48시간 배양하고, 균의 발육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균의 육성이 없는 경우를 「◎」 또는 「○」, 있는 경우를 「×」로 했다. 결과를 표 X3에 나타낸다.
실시예 X21∼X24
격막방식으로 얻어진 이른바 전해산화수중, 양극측에 발생한 차아염소산수(pH(25℃) 2.7, 유효 염소농도 50ppm)를 사용하여 1mol/L의 숙신산2나트륨 수용액으로 pH 5로 조정후, (B)성분 농도가 200ppm이 되도록 첨가하고, 표 X4의 실시예 X21∼X24의 조성물을 얻었다. 그것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X13∼X20과 동일하게 살균력의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X4에 나타낸다.
단, 본예에서는, 모두 거품과 살균시험용 유리조각의 접촉시간을 10분으로 하고, 거품형성용의 시험수용액의 온도는 50℃로 했다.

Claims (14)

  1. 차아염소산 및/또는 그 염(A)과 계면활성제(B)와 pH 조정제(C)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미생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pH(25℃)가 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용액의 유효 염소농도가 5∼50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 조정제(C)가 유기산 또는 그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유기산 또는 그 염이 포화 이염기산 또는 그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B)가 양성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B)가 아민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B)가 다가알코올 유도체형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질표면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곰팡이 제거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세척기를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선식품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제품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료기구를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7007420A 1999-12-10 2000-12-08 살균방법 KR100737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52218 1999-12-10
JP35221899 1999-12-10
JPJP-P-2000-00041093 2000-02-18
JP2000041093 2000-02-18
JP2000098961A JP3607564B2 (ja) 2000-03-31 2000-03-31 自動洗浄機用殺菌剤組成物
JPJP-P-2000-00098962 2000-03-31
JPJP-P-2000-00098960 2000-03-31
JP2000098964A JP3607565B2 (ja) 2000-03-31 2000-03-31 生鮮食品用殺菌洗浄剤組成物
JPJP-P-2000-00098964 2000-03-31
JPJP-P-2000-00098961 2000-03-31
JP2000098962A JP2001288676A (ja) 2000-03-31 2000-03-31 繊維製品用殺菌剤組成物
JP2000098963A JP2001288019A (ja) 2000-03-31 2000-03-31 殺ウイルス剤組成物
JP2000098960 2000-03-31
JPJP-P-2000-00098963 2000-03-31
JPJP-P-2000-00130278 2000-04-28
JP2000130278A JP2001302423A (ja) 2000-04-28 2000-04-28 カビ取り剤組成物
JPJP-P-2000-00187442 2000-06-22
JP2000187442A JP3607578B2 (ja) 2000-03-31 2000-06-22 硬質表面用殺菌洗浄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902A true KR20020065902A (ko) 2002-08-14
KR100737934B1 KR100737934B1 (ko) 2007-07-13

Family

ID=2757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420A KR100737934B1 (ko) 1999-12-10 2000-12-08 살균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236399A4 (ko)
KR (1) KR100737934B1 (ko)
CN (1) CN1205863C (ko)
WO (1) WO200104157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4447A (ko) * 2015-01-16 2017-09-15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살균제 및 그것을 사용한 살균 방법
KR20190045652A (ko) * 2017-10-24 2019-05-03 이동희 식품의 신선도 유지, 소독, 위생 처리를 위한 아염소산 소스(Chlorous acid source)를 제공하기 위한 키트
KR20200107693A (ko) * 2019-03-08 2020-09-16 이동희 무농약 친환경 농산물을 재배하기 위한 비닐하우스용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KR20200113123A (ko) * 2019-03-22 2020-10-06 이동희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KR102208456B1 (ko) * 2020-08-07 2021-01-27 주식회사 세니젠 과채류 세척용 항균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6023B2 (ja) * 2004-12-24 2010-08-1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農業用殺菌剤組成物
CN105670810A (zh) * 2016-02-01 2016-06-15 孙爱华 一种手术器械清洗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325897A (zh) * 2017-08-11 2017-11-07 安徽新瑞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家庭用环保清洗剂
KR20200116910A (ko) * 2017-11-29 2020-10-13 프리키라 파마슈티컬 인코포레이티드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항미생물제
CN108457099B (zh) * 2018-02-28 2020-04-07 江苏金太阳纺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平衡面料酸碱度的缓冲剂及其制备方法
CN110679607A (zh) * 2018-07-06 2020-01-14 广州泰道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的新型杀菌消毒溶液及其制备方法
US20210338625A1 (en) * 2018-12-04 2021-11-04 Mark KWIECINSKI Use of polyol fatty ester compositions and products for minimizing exposure to a noxious substance
CN109907069A (zh) * 2019-03-25 2019-06-21 天津市郁峰化工有限公司 一种次氯酸消毒液及其制备方法
CN111744041A (zh) * 2019-03-29 2020-10-09 瀚森高新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可食用型空气抑菌芳香液及其制备方法
CN110123834A (zh) * 2019-05-08 2019-08-16 山东消博士消毒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次氯酸消毒液及其制备方法
CN111349527A (zh) * 2020-04-15 2020-06-30 广州立白企业集团有限公司 一种除霉啫喱及其制备方法
CN112120042A (zh) * 2020-10-16 2020-12-25 山东众之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灭菌的次氯酸消毒液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86268B1 (ko) * 1960-10-03 1963-05-17
JPS5278905A (en) * 1975-12-26 1977-07-02 Lion Corp Basic detergent for hard surface
NZ188897A (en) * 1977-11-18 1981-01-23 Unilever Ltd Aqueous coloured liquid bleach compositions
US4418055A (en) 1978-07-12 1983-11-29 Anprosol Incorporated Sterilization system
FR2548682B1 (fr) * 1983-07-08 1985-11-08 Lesieur Cotelle Composition pour le nettoyage automatique des cuvettes de wc
JPS63502662A (ja) * 1986-03-01 1988-10-06 オ−チンクロス,ト−マス,ラルフ 殺生剤、特に殺ウイルス組成物
JPH078768B2 (ja) * 1988-06-06 1995-02-01 ジプコム株式会社 殺菌水
US5093140A (en) * 1988-07-20 1992-03-03 Eisai Co., Ltd. Aqueous bactericide for animal treatment
JPH04360672A (ja) * 1991-06-07 1992-12-14 Juichiro Yagi 食品除菌殺菌剤
JPH08164189A (ja) * 1994-12-15 1996-06-25 Morinaga Milk Ind Co Ltd 殺菌方法
JPH09154922A (ja) * 1995-12-04 1997-06-17 Tomey Technol Corp コンタクトレンズの消毒洗浄方法
JP3219698B2 (ja) * 1996-09-06 2001-10-15 クリーンケミカル株式会社 殺菌消毒液の製造方法
US5911909A (en) * 1996-11-12 1999-06-15 S. C. Johnson & Son, Inc. Acidic bleaching solution, method of preparation and a bleaching system for forming the same
JP4047951B2 (ja) * 1997-08-01 2008-02-13 東ソー株式会社 晒粉組成物
JPH11148097A (ja) * 1997-11-14 1999-06-02 Kao Corp 生鮮食品用の固形殺菌洗浄剤
JP3983353B2 (ja) * 1997-11-14 2007-09-26 花王株式会社 硬質体用の固形殺菌洗浄剤
US6162371A (en) * 1997-12-22 2000-12-19 S. C. Johnson & Son, Inc. Stabilized acidic chlorine bleach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JPH11188083A (ja) * 1997-12-25 1999-07-13 Yoshiya Okazaki 殺菌水製造方法及び装置
JP3004958B2 (ja) * 1998-02-19 2000-01-31 クリーンケミカル株式会社 殺菌消毒用製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4447A (ko) * 2015-01-16 2017-09-15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살균제 및 그것을 사용한 살균 방법
KR20190045652A (ko) * 2017-10-24 2019-05-03 이동희 식품의 신선도 유지, 소독, 위생 처리를 위한 아염소산 소스(Chlorous acid source)를 제공하기 위한 키트
KR20200107693A (ko) * 2019-03-08 2020-09-16 이동희 무농약 친환경 농산물을 재배하기 위한 비닐하우스용 서방형 아염소산 및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KR20200113123A (ko) * 2019-03-22 2020-10-06 이동희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KR102208456B1 (ko) * 2020-08-07 2021-01-27 주식회사 세니젠 과채류 세척용 항균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934B1 (ko) 2007-07-13
EP1236399A1 (en) 2002-09-04
CN1433269A (zh) 2003-07-30
CN1205863C (zh) 2005-06-15
WO2001041572A1 (fr) 2001-06-14
EP1236399A4 (en) 200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934B1 (ko) 살균방법
US6793846B2 (en) Microbicide compositions
JP3434453B2 (ja) 殺菌洗浄剤組成物
US6302968B1 (en) Precarboxylic acid rinse method
EP0756620B1 (en) Peroxyacetic acid rinse method
EP1287100B1 (en) Biocidal cleaner composition
JP5033380B2 (ja) 食器、調理器具、食品加工場内もしくは厨房内の設備用殺菌剤組成物および殺菌洗浄剤組成物、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食器、調理器具、食品加工場内もしくは厨房内の設備の殺菌方法あるいは殺菌洗浄方法
CN101247724A (zh) 氧化方法及其组合物
JP4846292B2 (ja) 洗浄ならびに除菌用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030138498A1 (en) Methods of sterilization
JP5784965B2 (ja) 殺菌洗浄剤組成物および殺菌洗浄方法
JP3607606B2 (ja) 殺菌方法
JP6731290B2 (ja) 粉末殺菌洗浄剤組成物
JPH1135974A (ja) 殺菌洗浄剤組成物
JP2001311095A (ja) 殺菌洗浄剤組成物
JP3607578B2 (ja) 硬質表面用殺菌洗浄剤組成物
JP3607652B2 (ja) 殺菌剤組成物
JP3607601B2 (ja) 殺菌剤組成物
JP5784963B2 (ja) 殺菌洗浄剤組成物および殺菌洗浄方法
WO2012148004A1 (ja) 殺菌剤組成物および殺菌洗浄剤組成物
JP3607564B2 (ja) 自動洗浄機用殺菌剤組成物
JP5188950B2 (ja) 硬質表面の洗浄殺菌方法
JP3607565B2 (ja) 生鮮食品用殺菌洗浄剤組成物
US20200138021A1 (en) Cleaning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 and Its Uses
KR20030079259A (ko) 알칼리성 살균 세척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