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425B1 - 진공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425B1
KR102490425B1 KR1020210052245A KR20210052245A KR102490425B1 KR 102490425 B1 KR102490425 B1 KR 102490425B1 KR 1020210052245 A KR1020210052245 A KR 1020210052245A KR 20210052245 A KR20210052245 A KR 20210052245A KR 102490425 B1 KR102490425 B1 KR 102490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torage device
locking
vacuum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5545A (ko
Inventor
김성훈
안태성
전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락앤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락앤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락앤락
Priority to KR1020210052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42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대상물을 진공으로 보관할 수 있는 진공 보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인 진공 보관 장치는 보관부와 커버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보관부를 물 또는 세척수로 세척할 수 있으며,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세척 시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보관 장치{VACUUM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진공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커버부와 보관부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진공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물은 탄수화물의 공급원으로 건조되면 장기간 보관되어 섭취될 수 있으므로, 인류의 주된 식량으로 취급되고 있다. 이러한 곡물은 대부분 대량으로 포장되어 공급되는데 최근에는 가족 구성원 수의 감소로 인하여 곡물이 보관되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
곡물의 보관 기간이 장기화 됨에 따라 곡물이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어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일례로 곡물 중 하나인 쌀이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면, 쌀은 산화되어 식감이 나빠지기도 하며, 쌀의 영양분이 파괴되고, 쌀벌레가 증식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쌀을 진공 밀폐하여 쌀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보관하는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이 기술의 도입으로 어느 정도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보이나 쌀을 진공 밀폐하는 기술은 예기치 못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데, 이는 위생의 문제이다.
곡물을 진공 밀폐하는 장치는 진공 밀폐를 위하여 각종 전자장치들(예를 들어 진공펌프 등)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 밀폐를 하는 장치를 수분으로 세척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에는 곡물 가루들을 수분이 있는 천으로 닦는 정도의 세척이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만약 수분으로 이 장치를 세척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 역시 간단하지 않다. 곡물을 진공으로 보관하는 장치는 가정용으로 소형으로 제조되는 바, 그 내부를 청소하기 매우 난감하기 때문이다.
국내 등록특허 출원번호 2019-0100063 (2020.08.24 공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곡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를 물 또는 세척수로 세척할 수 있으며, 소형으로 제조되더라도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세척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진공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인 진공 보관 장치는 대상물을 진공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진공 보관 장치는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부분에 인접하여 연결부가 형성된 보관부 및 상기 보관부의 개방된 부분에 배치되며,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보관부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결합홈이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결합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상기 결합홈의 일면에는 고정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결합블록은 일면에 개방된 개방부가 배치되어 상기 고정블록이 상기 결합블록으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상기 고정블록은 일방향으로 돌출된 방해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블록에는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일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방해면과 맞닿아 상기 이동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도록 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상기 방해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일방향으로 연속되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상기 결합블록은 설치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설치홀을 폐쇄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와 힌지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의 일면은 상부 부분보다 하부 부분이 일방향을 향하여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상기 결합홈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블록과 이격된 위치에 연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상기 연결돌기의 직경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연속되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상기 보관부의 상기 연결부와 대칭되는 위치에는 결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락킹부와 대칭되는 위치에는 상기 보관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상기 탈착부는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결착부와 맞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상기 결착부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결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는 상기 커버부와 힌지 연결되어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하측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탈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는 외부와 연통되는 해제홀이 형성된 설치홈 및 상기 설치홈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해제홀을 개폐하는 진공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곡물을 보관하는 보관부와 커버부가 분리될 수 있으며, 커버부에 전자장치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관부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보관부와 커버부가 분리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세척의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그러면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보관부와 커버부가 결합될 때 견고하게 결합되어 곡물을 진공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보관부와 커버부가 매우 쉽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 보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보관부와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2b는 보관부와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폐쇄부와 락킹부를 힌지 연결하는 각 구성을 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의한 락킹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확대 저면도이다. 도 5c는 일 실시예에 의한 락킹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의한 결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의한 결착부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의한 탈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의한 탈착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해제부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설치홈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8c는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해제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 설명될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곡물, 야채, 채소 등 보관될 수 있으므로, 보관될 수 있는 대상을 통칭하여 대상물이라고 명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 보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보관부와 커버부가 분리된 상태를, 2b는 보관부와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진공 보관 장치는 보관부(100)와 커버부(200)를 포함한다.
보관부(100)는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관부(100)는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보관부(100)는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내부의 공간으로 대상물이 배치될 수 있다. 보관부(100)의 개방된 부분에는 커버부(200)가 배치되어 보관부(10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할 수 있다.
커버부(200)는 보관부(100)의 개방된 부분에 배치되어 보관부(10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여 보관부(100)를 밀폐할 수 있다. 커버부(200)에는 진공부(230)(일례로 진공펌프)가 설치되어 보관부(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보관부(100)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0)에는 진공해제부(235)가 배치되어 보관부(100) 내부를 다시 대기압으로 만들 수 있다. 진공해제부(235)에 대한 구조는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보관부(100)와 커버부(200)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보관부(100)의 내부를 진공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 커버부(200)는 보관부(100)와 결합되고, 보관부(100)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관부(100)와 커버부(200)를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진공부(230), 동작을 위한 디스플레이(미도시) 등 다양한 전자장치는 커버부(20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관부(100)는 세척수와 같은 수분으로 세척하여도 문제되지 않는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폐쇄부와 락킹부를 힌지 연결하는 각 구성을 분해 도시한 것이다.
커버부(200)는 폐쇄부(210)와 락킹부(250)를 포함한다.
폐쇄부(210)는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형성된다. 폐쇄부(210)는 보관부(100)의 일면에서 배치되는 경우 보관부(10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할 수 있다. 폐쇄부(210)의 내측에는 각종 전자장치(진공부(230) 등)이 배치되어 있다. 폐쇄부(210)의 일측에는 탈착부(26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락킹부(250)와 연결될 수 있다. 폐쇄부(210)는 락킹부(25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락킹부(250)가 보관부(100)의 연결부(110)에 연결된 경우, 폐쇄부(210)는 락킹부(250)를 중심으로 회동 운동되어 보관부(100)의 개방된 부분을 개방할 수 있다.
즉, 락킹부(250)는 양측면에 홀이 형성되고, 락킹부(250)가 정렬되어 폐쇄부(210)에 배치되는 경우 락킹부(250)의 홀에 대응되는 배치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락킹부(250)의 홀과 폐쇄부(210)의 홀에는 연결핀(241)이 배치될 수 있다. 폐쇄부(210)의 홀 주위에는 치합부(242)가 배치될 수 있고, 락킹부(250)에는 치합부(242)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치합부(242)와 맞닿아 배치되는 힌지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치합부(242)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에는 치합부(242)의 둘레를 따라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부(243)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면에는 치합부(242)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형태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치합부(242)와 힌지부(243)는 각각 나사산과 나사홈이 대응되어 치합된 채 폐쇄부(210)가 회전 시 이것들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폐쇄부(210)와 락킹부(250)에는 홀이 형성되고, 홀에는 치합부(242)와 힌지부(243)가 각각 배치되고, 이 홀에는 연결핀(241)이 배치되어 폐쇄부(210)와 락킹부(250)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폐쇄부(210)가 회전됨에 따라 치합부(242)가 힌지부(243)와 치합된 채 회전될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확대 상면도이다.
보관부(100)에 형성된 연결부(110)는 설정된 형상으로 함몰된 결합홈(110)일 수 있으며, 커버부(200)에 형성된 락킹부(250)는 결합블록(250)일 수 있다. 보관부(100)와 커버부(200)의 연결은 결합홈(110)에 결합블록(250)이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결합홈(110)은 보관부(100)의 일측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110)을 기준으로 결합홈(110)은 상측과, 상측과 연결된 일측이 연통되며 개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110)는 양측면, 타측면, 하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10)는 고정블록(111), 연결돌기(112), 체결돌기(113), 가이드돌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록(111)은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110)의 타측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블록(111)은 일면에 방해면(1111)을 포함할 수 있다. 방해면(1111)은 고정블록(111)의 일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방해면(1111)은 경사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방해면(1111)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돌기(112)는 고정블록(111)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돌기(112)는 두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블록(111)과 연결돌기(112)를 연결하면 삼각형의 형상으로 그려질 수 있다. 연결돌기(11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연속되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돌기(112)의 최상측의 직경은 최하측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체결돌기(113)는 고정블록(111)과 연결돌기(112)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13)는 연결돌기(112)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돌기(112)가 보관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되면 체결돌기(113)는 외측에 배치된다. 체결돌기(113)도 연결돌기(112)와 마찬가지로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13)는 작은 높이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14)는 연결부(11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14)는 연결부(110)의 양측면에서 연결부(11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의한 락킹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부의 확대 저면도이다. 도 5c는 일 실시예에 의한 락킹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결합블록(250)은 개방부(252), 인입홀(253), 체결홀(254), 가이드홀(255)이 형성된 케이스(25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51)는 결합블록(250)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51)는 결합홈(110)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51)는 적어도 하면, 측면을 포함하며 형성된다. 케이스(251)의 하면에는 개방부(252), 인입홀(253), 체결홀(254), 가이드홀(25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52)는 케이스(251)가 정렬되어 결합홈(110)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블록(111)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개방부(252)의 크기는 고정블록(111)의 전체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인입홀(253)은 위의 경우와 동일한 경우, 연결돌기(112)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인입홀(253)은 개방부(252)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인입홀(253)은 연결돌기(112)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돌기(112)가 2개인 경우 인입홀(253)도 2개로 구성된다. 또한, 인입홀(253)은 설정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데 이는 전술한 연결돌기(112)의 최하측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체결홀(254)은 위의 경우와 동일한 경우, 체결돌기(113)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체결홀(254)은 인입홀(253)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홀(254)도 체결돌기(113)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255)은 위의 경우와 동일한 경우, 가이드돌기(114)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홀(255)도 가이드돌기(114)와 대응되는 수로 형성된다.
락킹부(250)가 연결부(110)에 하강하며 배치되는 경우 고정블록(111)은 개방부(252)에, 연결돌기(112)는 인입홀(253)에, 체결돌기(113)는 체결홀(254)에, 가이드돌기(114)는 가이드홀(255)에 배치되며 락킹부(250)는 연결부(110)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돌기(112)는 상측이 하측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바, 연결돌기(112)는 인입홀(253)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돌기(114)가 가이드홀(255)에 배치되며, 그로 인하여 락킹부(250)는 위치가 정렬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체결돌기(113)가 체결홀(254)에 배치됨으로써 락킹부(250)는 연결부(110)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락킹부(250)가 연결부(110)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경우, 락킹부(25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하여는 락킹부(250)가 안착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락킹부(250)와 연결부(110)가 결합된다. 이는 전술한 방해면(1111)과, 락킹부(250)의 고정부(2522)를 통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고정부(2522)는 락킹부(250)의 일면에서 적어도 이동되어 방해면(1111)과 맞닿아 락킹부(250)를 연결부(110)에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5c를 기준으로 연결부(110)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방해면(1111)의 돌출된 하측의 하부면에 맞닿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락킹부(250)를 상승 이동시키려면 방해면(1111)은 고정부(2522)와 맞닿아 이 이동을 방해하여 락킹부(250)가 연결부(110)에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2522)는 케이스(251)의 일면에 힌지 결합되게 연결된다. 케이스(251)에는 설치홀(2511)이 형성되고, 케이스(251)는 설치홀(2511)을 폐쇄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고정부(2522)는 고정핀(2524)을 통하여 케이스(251)에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부(2522)는 고정핀(2524)을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고정부(2522)는 상측이 하측보다 케이스(251)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이동된 경우, 고정블록(111)의 방해면(1111)과 고정부(2522)는 맞닿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회동되어 위치가 역전된 경우 고정부(2522)의 하측이 방해면(1111)과 맞닿을 수 있다.
고정블록(111)이 개방부(252)를 통하여 케이스(251) 내로 인입된 후 고정부(2522)의 하측이 상측보다 내측으로 이동되어 방해면(1111)과 고정부(2522)가 맞닿도록 됨으로써 락킹부(250)는 연결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2522)는 동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탄성부(252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술한 고정핀(2524)에는 탄성부(2523)가 고정핀(2524)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2523)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고정핀(2524)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되,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51)의 내부와 고정부(2522)의 일면에는 탄성부(2523)의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안착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2522)가 고정핀(2523)을 축으로 힌지 운동되면 탄성부(2523)의 일측 단부가 케이스(251)의 안착면에 안착되거나, 이탈되는 형태로 고정부(2522)는 힌지 운동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의한 결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의한 결착부의 확대 상면도이다.
보관부(100)의 연결부(110)가 형성된 부분과 대칭되는 부분에는 결착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200)의 락킹부(250)와 대칭되는 위치에는 탈착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결착부(150)와 탈착부(260)는 결합되어 커버부(200)가 보관부(10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결착부(150)는 연결부(110)와 마찬가지로 설정된 형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결착부(150)는 일면에 일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결착돌기(15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의한 탈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의한 탈착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탈착부(260)는 그립부(261), 탈착돌기(262), 회동핀(263), 탄성인가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261)는 단차져서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부분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탈착돌기(262)는 그립부(261)와 반대 부분이 형성되며 결착돌기(151)와 맞닿아 폐쇄부(210)를 고정할 수 있다.
일례로 탈착돌기(262)는 결착돌기(151)의 하측과 맞닿아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탈착부(260)는 회동핀(263)을 통하여 폐쇄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탈착부(260)를 회동핀(263)이 관통하고, 회동핀(263)이 폐쇄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써 탈착부(260)는 회동핀(263)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폐쇄부(210)는 회동 시 결착돌기(151)와 탈착돌기(262)가 맞닿지 않게 되어 폐쇄부(210)는 락킹부(250)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회동핀(263)에는 회동핀(263)을 둘러싸는 형태로 탄성인가부(264)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인가부(264)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641)와, 제1연장부(2641)와 반대 위치에서 제1연장부(2641)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2642), 그리고 위치는 제1연장부(2641)와 반대 위치이지만 제1연장부(2641)와 유사한 각도로 연장되는 제3연장부(2643)를 포함한다.
탈착부(260)는 탄성인가부(264)의 제1연장부(2641), 제2연장부(2642), 제3연장부(2643)를 통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일례로 탈착부(2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연장부(2641)는 탈착부(260)의 하측과 맞닿게 되고, 제2연장부(2642)는 폐쇄부(210)의 하측과 맞닿게 되며, 제3연장부(2643)는 후술하여 설명할 밀폐부(270)와 맞닿게 될 것이다. 탈착부(260)의 위치를 유지하는 물리력이 더 이상 가해지지 않으면 탈착부(260)는 제1연장부(2641), 제2연장부(2642), 제3연장부(2643)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착부(150)는 탈착부(260)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해제부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설치홈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8c는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해제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또한, 커버부(200)에는 진공부(230)와 진공해제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진공부(230)는 일례로 진공펌프일 수 있으며 전원공급에 따라 보관통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보관통 내부에 대상물이 배치되고, 커버부(200)가 보관부(100)를 밀폐하여 배치된 후 진공부(230)가 동작되면, 보관통 내부는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진공해제부(235)는 커버부(200)의 상면에 배치된다. 진공해제부(235)는 설치홈(220)에 배치될 수 있다.
설치홈(220)은 커버부(200)의 상면에 형성된 홈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연통홀(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는 기둥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진공해제부(235)는 양측에 레그부(2351)를 포함하며, 중앙에는 하측을 향하여 기둥부(23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진공해제부(235)의 측면에는 설정된 간격을 두고 해제홀(2353)이 형성되어 있다. 해제홀(2353)은 진공해제부(235)의 측면을 따라 진공해제부(235)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공해제부(235)는 레그부(2351)가 연통홀(221)에 배치되고, 기둥부(2352)가 기둥홀(222)에 위치되는 형태로 설치홈(220)에 배치될 수 있다. 진공해제부(235)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위에 링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진공해제부(235) 자체가 다단의 형태를 가져서 설치홈(220)을 밀폐하다가 직경이 작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면 설치홈(220)을 밀폐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진공해제부(235)는 상승, 하강할 수 있다. 진공해제부(235)가 하강되어 배치된 경우에는 설치홈(220)을 밀폐시키고, 진공해제부(235)가 상승되어 배치된 경우 해제홀(2353)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홈(220)의 연통홀(221)은 해제홀(2353)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해제부(235)가 상승된 경우 연통홀(221)과 해제홀(2353)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보관부(100)로 인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부(200)는 전원단자(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참조) 전원단자(280)는 락킹부(250)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원단자(280)는 고정부(2522)의 하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원단자(280)는 그 배치로 인하여 커버부(200)의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커버부(200)에는 밀폐부(270)가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270)는 폴리머로 제조될 수 있으며, 폐쇄부(210)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밀폐부(270)는 커버부(200)가 정렬되어 보관부(100)와 배치된 경우, 커버부(200)와 보관부(100) 사이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럼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진공부(230)가 동작된 경우 보관통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보관부
110 : 연결부(결합홈)
111 : 고정블록
1111 : 방해면
112 : 연결돌기
113 : 체결돌기
114 : 가이드돌기
150 : 결착부
151 : 결착돌기
200 : 커버부
210 : 폐쇄부
220 : 설치홈
221 : 연통홀
222 : 기둥홀
230 : 진공부
235 : 진공해제부
2351 : 레그부
2352 : 기둥부
2353 : 해체홀
241 : 연결핀
242 : 치합부
243 : 힌지부
250 : 락킹부(결합블록)
251 : 케이스
2511 : 설치홀
2522 : 고정부
2523 : 탄성부
2524 : 고정핀
252 : 개방부
253 : 인입홀
254 : 체결홀
255 : 가이드홀
260 : 탈착부
261 : 그립부
262 : 탈착돌기
263 : 회동핀
264 : 탄성인가부
2641 : 제1연장부
2642 : 제2연장부
2643 : 제3연장부
270 : 밀폐부
280 : 전원단자

Claims (13)

  1. 대상물을 진공 보관할 수 있는 진공 보관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부분에 인접하여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에는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일면에는 일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의 방해면이 형성된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보관부; 및
    상기 보관부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도록 설정된 형상의 폐쇄부와 상기 폐쇄부의 일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형상의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부에는 치합부가 배치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치합부에 대응되어 힌지부가 배치되며, 상기 치합부와 상기 힌지부를 관통하는 연결핀이 배치되어, 상기 폐쇄부는 상기 치합부가 상기 힌지부와 치합되어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락킹부의 하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락킹부가 정렬되어 상기 결합홈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고정블록이 상기 개방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락킹부에는 일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락킹부에 힌지 연결된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회동되어 내측으로 이동 시 상기 고정블록의 방해면의 하측과 맞닿아 상기 락킹부가 상기 결합홈에서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보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일방향으로 연속되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설치홀이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홀을 폐쇄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하측이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일측으로 회동 시 상기 방해면과 맞닿고, 타측으로 회동 시 상기 방해면과 맞닿지 않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일면은 상부 부분보다 하부 부분이 일방향을 향하여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일면에는 상기 고정블록과 이격된 위치에 연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락킹부의 하측에는 인입홀이 형성되어서 상기 락킹부가 정렬되어 상기 결합홈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인입홀로 인입되어 상기 락킹부가 상기 결합홈에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의 직경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연속되어 증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의 상기 결합홈과 대칭되는 위치에는 결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락킹부와 대칭되는 위치에는 상기 보관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탈착부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결착부와 맞닿을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결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는 상기 폐쇄부와 힌지 연결되어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하측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탈착돌기를 포함하여서
    상기 탈착돌기가 일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결착돌기의 하측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진공 보관 장치.
  13. 삭제
KR1020210052245A 2021-04-22 2021-04-22 진공 보관 장치 KR102490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45A KR102490425B1 (ko) 2021-04-22 2021-04-22 진공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245A KR102490425B1 (ko) 2021-04-22 2021-04-22 진공 보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545A KR20220145545A (ko) 2022-10-31
KR102490425B1 true KR102490425B1 (ko) 2023-01-19

Family

ID=8380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245A KR102490425B1 (ko) 2021-04-22 2021-04-22 진공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4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530B1 (ko) * 2019-08-16 2020-08-24 (주)서흥메가텍 진공쌀통
KR102185722B1 (ko) * 2020-08-21 2020-12-02 주식회사 로그네트웍스 진공쌀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148A (ko) * 2015-09-08 2017-03-1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콘솔박스 개폐용 후크
KR20190100063A (ko) 2018-02-20 2019-08-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젤라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530B1 (ko) * 2019-08-16 2020-08-24 (주)서흥메가텍 진공쌀통
KR102185722B1 (ko) * 2020-08-21 2020-12-02 주식회사 로그네트웍스 진공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545A (ko)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1897Y1 (ko) 밀폐용기
US7950524B2 (en) Wafer container having the purging valve
JP2009091043A (ja) 食品等保管容器
KR102490425B1 (ko) 진공 보관 장치
JP7393796B2 (ja) バルブ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KR100737838B1 (ko) 전기압력조리기의 덮개부
KR100500961B1 (ko) 잠금기능과 진공해제작업이 동시 수행이 가능한 진공포장기
KR102015281B1 (ko) 휴대용 진공보관용기
WO2009091131A2 (en) Rotation type oil damper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0906080B1 (ko) 밀폐용기
KR102035520B1 (ko) 플런저를 이용한 정수기용 파우셋
JP6368381B2 (ja) 飲料容器のためのカバー装置
KR200486122Y1 (ko) 물티슈 용기용 캡
KR20210066415A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20140110236A (ko) 환기덕트용 댐퍼
KR200387521Y1 (ko) 밀폐용기
JP6554521B2 (ja) 液体排出容器
KR101450574B1 (ko) 음식물 저장용기
KR200294828Y1 (ko)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KR200396084Y1 (ko) 밀폐용기의 잠금장치
KR200419744Y1 (ko) 진공보관 케이스용 밸브
KR200259215Y1 (ko) 밀폐용기용 잠금장치
KR200454556Y1 (ko) 캡슐의 배출시 터짐방지 구조를 갖는 캡슐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