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080B1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080B1
KR100906080B1 KR1020050028716A KR20050028716A KR100906080B1 KR 100906080 B1 KR100906080 B1 KR 100906080B1 KR 1020050028716 A KR1020050028716 A KR 1020050028716A KR 20050028716 A KR20050028716 A KR 20050028716A KR 100906080 B1 KR100906080 B1 KR 100906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lever
r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6217A (ko
Inventor
안원식
Original Assignee
안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원식 filed Critical 안원식
Priority to KR1020050028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08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free-fall aeration or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02F3/327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characterised by animals and pl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에 삽입된 뚜껑을 원터치 방식으로 확장시켜 용기의 내측면을 가압 밀폐하도록 구성한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부에 입구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입구에 삽입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며 상기 용기의 입구 내측면에 접하는 부위가 팽창 또는 수축되는 압착부와, 상기 뚜껑과 압착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확장 또는 수축하는 링과, 상기 뚜껑의 외측에 위치하며 변위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변위에 따라 상기 링이 확장 또는 수축하도록 상기 레버와 상기 링을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밀폐용기, 뚜껑, 원터치, 압착부, 링, 레버, 링크

Description

밀폐용기{Sealed Container}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밀폐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뚜껑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뚜껑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밀폐용기 110, 210 : 용기
111, 211 : 입구 120, 220 : 뚜껑
121, 221 : 상판 123, 223 : 삽입부
125 : 공간 130, 230 : 압착부
140, 240 : 링 150, 250 : 레버
151 : 꺾쇠 161, 162, 163, 261 : 링크
171 : 배기공 173 : 덮개
241 : 직선부 242 : 만곡부
243 : 고정핀 244 : 장공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에 삽입된 뚜껑을 원터치 방식으로 확장시켜 용기의 내측면을 가압 밀폐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밀폐용기에 음식물을 보관해 둠으로써, 외기에 포함된 오염원으로부터 음식물을 보호하여 음식물의 부패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밀폐용기는 크게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밀폐용기와 유리로 제작된 밀폐용기로 구분된다.
플라스틱 재질의 밀폐용기는 용기 및 뚜껑이 사출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서, 용기의 입구가 뚜껑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홈에 대응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뚜껑을 가압한다. 그러면 용기의 입구가 상기 홈에 억지끼움되면서 용기의 입구를 뚜껑으로 폐쇄한다. 이때 밀폐용기의 밀폐상태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용기와 뚜껑의 결합부위를 따라가며 손으로 가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결합부위를 따라 가압함으로써, 뚜껑은 용기에 빈틈없이 정합되어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유리로 제작된 밀폐용기는 유리병의 입구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뚜껑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유리병 입구에 뚜껑이 나사 체결되어 유리병을 밀폐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밀폐용기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질의 밀폐용기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뚜껑을 용기에 밀폐함에 있어서, 용기와 뚜껑의 결합부위를 따라가며 가압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유리로 제작된 밀폐용기는 고가이며 파손 시에 신체일부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뚜껑으로 용기의 입구를 완전하게 밀폐함에 있어서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부에 입구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입구에 삽입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며 상기 용기의 입구 내측면에 접하는 부위가 팽창 또는 수축되는 압착부와, 상기 뚜껑과 압착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확장 또는 수축하는 링과, 상기 뚜껑의 외측에 위치하며 변위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변위에 따라 상기 링이 확장 또는 수축하도록 상기 레버와 상기 링을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은 일부가 절단된 개방형 구조이고, 상기 레버는 상기 뚜껑 외측에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변위하며, 둘 이상의 링크는 상기 레버와 상기 링의 양단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상기 레버의 변위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링크가 이동하면서 상기 링을 벌리거나 좁혀지도록 하여 확장 또는 수축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뚜껑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의 하단에 연장된 꺾쇠는 상기 링크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쪽으로 꺾여 위치하며, 상기 둘 이상의 링크가 상기 꺾쇠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크는 상기 꺾쇠의 자유단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제1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2개의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은 상기 링의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뚜껑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와 연통하는 배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에는 배기공을 폐쇄하는 덮개가 위치하며, 상기 꺾쇠에는 제3 링크가 연결되어 상기 덮개를 밀어 개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링은 폐쇄된 다각형 구조로서, 상기 다각형의 변에 각각 대응하는 직선부와, 상기 다각형의 꼭짓점에 각각 대응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부와 상기 만곡부가 접하는 부위에는 어느 한 쪽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상기 장공에 삽입되어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핀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는 상기 뚜껑 외측에 세워져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만곡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링크들이 상기 레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들이 직선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링크의 일단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을 관통한 힌지가 상기 꺾쇠의 자유단부와 상기 제1 링크를 힌지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기의 개방부에는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압착부가 상기 절곡부의 아래에서 팽창하여 상기 용기의 내측면을 가압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밀폐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3a와 도 3b는 뚜껑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100)는 사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110)와, 용기(110)의 입구(111)를 폐쇄하는 뚜껑(120) 및, 용기(110)가 접하는 면을 따라 뚜껑(120)에 부착된 유연한 재질의 압착부(130)를 포함하며, 도 1a와 도 1b에 보이듯이, 상기 뚜껑(120)은 그 직경이 확장 또는 수축되게 구성된다.
뚜껑(120)이 용기(110)의 입구(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뚜껑(120)의 직경을 확장하면, 도 2a에 보이듯이, 압착부(130)가 용기(110)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용기(110)를 완전히 밀폐한다. 따라서 외기를 차단함으로써, 용기(110)에 수용된 음식물의 부패를 방지한다.
아래에서는 밀폐용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20)은 용기(110)의 내경보다 큰 직경의 상판(121)과, 용기(1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상판(121)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부(123)로 구분된다. 그리고 삽입부(123)의 원주를 따라 링(140)이 위치하는데, 도 3a 및 도 3b에 보이듯이, 링(140)은 일부가 절단된 개방된 구조로서, 상기 링(140)이 확장되면서 링(140)의 외측에 위치한 압착부(130)를 가압하여 팽창시킨다.
참고로 도면에 있어서, 도 1a와 도 2a 및 도 3a는 링(140)이 확장된 상태 즉 압착부(130)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b와 도 2b 및 도 3b는 링(140)이 수축한 상태 즉 압착부(130)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링(140)이 확장된 상태에서 압착부(130)는 용기(110)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밀폐한다.
한편, 압착부(130)는 세라믹과 같이 열에 강하며 유연한 재질로서, 뚜껑(120)의 상판(121) 저면과 삽입부(123)의 원주 그리고 삽입부(123)의 저면에 밀착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뚜껑(120)의 상판(121) 중앙에는 레버(150)가 위치하는데, 상기 레버(150)는 눕거나 세워지도록 선회하며, 뚜껑(120)의 내부에 위치한 링크(161, 162)와 연결된다. 차후에 그 작동관계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레버(150)가 눕혀지면 링크(161, 162)는 전진하게 되어 압착부(130)가 팽창하고, 반대로 레버(150)가 세워져 위치하면 링크(161, 162)는 후진하여 압착부(130)가 수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뚜껑(120)으로 용기(110)를 밀폐하기 위해서, 세워진 레버(150)를 잡고 뚜껑(120)의 삽입부(123)를 용기(110)에 삽입한 후에 레버(150)를 눕히면 용기(110)는 뚜껑(120)에 의해 폐쇄되고, 반대로 폐쇄된 상태에서 레버(150)를 세우면 압착부(130)가 수축하게 되어 뚜껑(120)을 용기(110)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뚜껑(120) 내부의 구성요소 및 결합관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뚜껑(120)은 내부에 공간(125)이 형성되며, 레버(150)의 하단에 고정된 꺾쇠(151)는 뚜껑(120)의 상판(121)을 관통해 뚜껑(120)의 내부 공간(125)에 위치한다. 그리고 뚜껑(120)의 삽입부(123) 둘레에는 링(140)이 위치하는데, 상기 링(140)의 폭을 갖는 홈(123h)이 삽입부(123)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홈(123h)에 링(140)이 삽입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링(140)의 양단부가 상기 내부 공간(125)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한편, 뚜껑(120)의 내부 공간(125)에는 제1 링크(161)와 바(bar) 형태를 갖는 2개의 제2 링크(162)가 힌지 결합되어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공간(125)에 위치한 레버(150)의 꺾쇠(151)에는 제1 링크(161)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제1 링크(161)의 타단에는 2개의 제2 링크(162)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자유롭게 선회 가능하다. 그리고 제2 링크(162)의 타단은 링(140)의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레버(150)가 세워져 위치하면 꺾쇠(151)의 자유단부는 링크(161, 162)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쪽 방향인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레버(150)가 눕혀지면 꺾쇠(151)의 단부는 링크(161, 162)가 위치한 전방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된다.
레버(150)의 위치 즉, 눕혀지거나 세워짐에 따라 상기 링크(161, 162)들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다. 이와 같이 링크(161, 162)들이 전후진하면서, 제2 링크(162)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링(140)은 확장 또는 수축되는 데, 링크(161, 162)들이 전진하게 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2 링크(162) 각도가 벌어지면서 링(140)은 확장되고, 반대로 링크(161, 162)들이 후진하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2 링크(162)의 각도가 좁아지면서 링(140)은 수축하게 된다.
여기에서 링(140)이 확장되면 삽입부(123)의 원주를 덮고 있는 압착부(130)가 팽창되면서 용기(110)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되고, 반대로 링(140)이 수축하게 되면 가압하고 있던 압착부(130)가 수축하게 되면서 뚜껑(120)이 용기(110)에서 용이하게 빠질 수 있게 된다. 즉, 링(140)이 확장하면 용기(110)의 내경보다 커지면서 용기(110)의 내측면과 간섭되어 용기(110)를 밀폐하고, 반대로 링(140)이 수축하게 되면 용기(110)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뚜껑(120)이 용기(110)에서 쉽게 빠지게 된다.
한편, 뚜껑(120)에는 용기(110)의 내부에 발생한 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공(171)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기공(171)의 위치는 레버(150)를 중심으로 링크(161, 162)들이 위치한 방향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그리고 뚜껑(120)의 상면에는 상기 배기공(171)은 개폐하는 덮개(173)가 고정되는데, 덮개(173)는 탄성을 갖고 있으며 그 일단은 뚜껑(120)의 상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뚜껑(120)의 내부에는 꺾쇠(151)의 자유단부에 힌지 결합된 제3 링크(163)가 덮개(173)의 타단에 접하도록 통로(127)가 형성되며, 꺾쇠(151)의 자유단부에 힌지 결합된 제3 링크(163)가 통로(127)를 통해 덮개(173)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도 2a 및 도 2b에 보이듯이, 레버(150)가 세워져 있을 경우에는 제3 링크(163)가 뚜껑(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덮개(173)의 타단을 들어올린다. 이와 같이 덮개(173)의 일단이 들어올려짐에 따라 배기공(171)은 개방되어 용기(110) 내의 증기가 배출된다.
반대로, 레버(150)가 눕혀져 있을 경우에는 꺾쇠(151)의 자유단부가 전진하게 되면서, 제3 링크(163) 또한 전진하게 되어 통로(127) 안쪽으로 진입해 들어간다. 이와 같이 제3 링크(163)가 통로(127) 내부로 진입해 들어가게 되면서 제3 링크에 힌지 결합된 덮개(173)는 배기공(171)을 폐쇄한다.
즉, 레버(150)가 눕혀져 용기(110)를 밀폐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덮개(173)가 배기공(171)을 폐쇄하여 용기(110)를 밀폐하며, 레버(150)가 세워졌을 경우에는 덮개(173)가 제3 링크(163)에 의해 들어올려지면서 배기공(171)이 개방되어 용기(110) 내부를 통기시킨다.
아래에서는 꺾쇠(151)와 제1 링크(161) 및 제3 링크(163)의 연결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꺾쇠(151)의 자유단부와 연결된 제1 링크(161)의 단부에는 장공(161H)이 형성되며, 장공(161H)을 관통해 힌지 결합됨으로써, 장공(161H) 길이만큼 유격거리가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꺾쇠(151)의 자유단부에 연결된 제3 링크(163)는 유격거리 없이 힌지 결합된다. 상기의 유격거리는 레버(150)가 약 45도 선회함에 따른 꺾쇠(151) 자유단부의 이동 거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서, 눕혀진 레버(150)를 세우는 과정에서 45도 세워 졌을 때부터 링(140)은 수축되기 시작하지만, 덮개(173)는 레버(150)가 세워짐과 동시에 열리기 시작한다. 따라서 레버(150)가 수직하게 세워졌을 때에는 이미 용기(110) 내부의 증기는 배기공(171)을 통해 빠져나가 용기(110) 내부 또한 대기압 상태가 된다. 따라서 뚜껑(120)을 열기에 편리하다.
한편, 뚜껑(120)의 압착부(130)가 팽창하였을 때에, 용기(110)의 내측면에 잘 밀착되어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용기(110)의 개방부(111)에는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부(113)가 형성되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140)의 확장에 의해 압착부(130)가 팽창될 때에, 압착부(130)는 절곡부(113) 안쪽 내측면을 가압하여 밀착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절곡부(113)가 형성되지 않은 수직면을 가압하는 것 보다 접촉면적이 넓어지며 그 만큼 밀폐성을 향상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를 제1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에, 제1 실시예의 밀폐용기는 원형이고, 제2 실시예의 밀폐용기는 다각형이다. 이와 같은 구조적인 차이에 따라 제2 실시예의 밀폐용기는 레버의 회전에 의해 링크들이 전후진 이동하고, 링크들의 이동에 따라 뚜껑의 모서리에 위치한 가변부재가 밖으로 또는 안으로 이동하면서 용기의 내측면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면에서,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뚜껑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200)는 사각형이며 사각형의 뚜껑(220)이 사각형의 용기(210)에 삽입되어 입구(211)를 폐쇄한다. 뚜껑(220)은 사각형의 상판(221)과, 상기 상판(221)의 저면에 형성되며 용기(210)에 삽입되는 사각형의 삽입부(223)로 구분되며, 삽입부(223)의 측면을 따라 폐쇄형 사각 링(240)이 위치한다.
상기 사각 링(240)은 2종류의 부재가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4개의 직선부(241)와 4개의 만곡부(242)와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고정핀(243)을 포함한다. 4개의 직선부(241)는 사각형의 4변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하고, 4개의 만곡부(242)는 사각형의 꼭짓점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하는데, 상기 만곡부(242)와 직선부(241)가 접하는 부위에 있어서, 어느 한 쪽에 고정핀(243)이 고정되고, 다른 쪽에 장공(244)이 형성되어 고정핀(243)이 장공(244)에 끼워져 이동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어느 한 쪽이 직선부(241)이고, 상기 다른 쪽이 만곡부(242)에 해당하지만,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은 사각 링(240)의 구조에서, 사각 링(240)의 확장 또는 수축에 따른 가로 및 세로변의 가변길이는 장공(244) 길이의 두 배에 해당한다.
한편, 각각의 만곡부(242) 안쪽 면에는 링크(261)가 힌지 결합된다. 상기 링크(261)들은 레버(250)가 위치한 뚜껑(220)의 중앙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며, 레버(250)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레버(250)가 회전하게 되면 힌지 결합된 링크(261)들은 레버(250)와 만곡부(242)를 잇는 직선에서 소정의 각도로 벗어나게 되면서 만곡부(242)는 레버(250) 쪽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레버(250)와 만곡부(242)를 잇는 직선 상에 링크(261)가 각각 위치하게 되면, 만곡부(242)는 레버(250)에서 최대로 이격된 거리에 위치한다.
즉, 레버(250)의 회전운동이 링크(261)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면서 링크(261)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 만곡부(242)가 이동하게 된다. 만곡부(242)의 이동에 따라 사각 링(240)은 확장 또는 수축된다.
이와 같이 사각 링(240)이 확장 또는 수축되면서 사각 링(240)의 외측을 덮고 있는 압착부(230) 또한 팽창 및 수축되며, 용기(210)의 내측면에 가압 또는 가압해제한다.
또한 용기(210)의 개방부(211)에는 안쪽으로 절곡부(21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링(240)의 확장 또는 수축에 따른 용기(210)의 내측면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작동관계는 제1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각형의 밀폐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배기공(171)과 덮개(173) 및 제3 링크(163)가 장착되며, 제3 링크(163)가 레버(150)에 연결되어 레버(15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면서 덮개(173)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각형 밀폐용기(200)에서는 레버(250)가 회전에 의해 압축부(230)가 팽창 및 수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레버(150)의 선회운동에 의해 링크(261)가 직선 운동하도록 구조적인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의 선회운동으로 사각용기를 밀폐 또는 개방할 수도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폐용기는 뚜껑이 용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밀폐함으로써, 외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음식물을 부패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용기는 뚜껑을 용기에서 제거할 때에 레버를 잡고 제거할 수 있도록, 레버를 세우면 가압 해제되게 구성하여 뚜껑을 다루기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용기는 레버의 1회 조작으로 밀폐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밀폐용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9)

  1. 삭제
  2. 일부에 입구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입구에 삽입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며 상기 용기의 입구 내측면에 접하는 부위가 팽창 또는 수축되는 압착부와,
    상기 뚜껑과 압착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확장 또는 수축하는 링과,
    상기 뚜껑의 외측에 위치하며 변위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변위에 따라 상기 링이 확장 또는 수축하도록 상기 레버와 상기 링을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링은 일부가 절단된 개방형 구조이고, 상기 레버는 상기 뚜껑 외측에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변위하며, 둘 이상의 링크는 상기 레버와 상기 링의 양단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상기 레버의 변위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링크가 이동하면서 상기 링을 벌리거나 좁혀지도록 하여 확장 또는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의 하단에 연장된 꺾쇠는 상기 링크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쪽으로 꺾여 위치하며, 상기 둘 이상의 링크가 상기 꺾쇠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꺾쇠의 자유단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제1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2개의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의 타단은 상기 링의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용기의 내부와 연통하는 배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에는 배기공을 폐쇄하는 덮개가 위치하며, 상기 꺾쇠에는 제3 링크가 연결되어 상기 덮개를 밀어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폐쇄된 다각형 구조로서, 상기 다각형의 변에 각각 대응하는 직선부와, 상기 다각형의 꼭짓점에 각각 대응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부와 상기 만곡부가 접하는 부위에는 어느 한 쪽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상기 장공에 삽입되어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핀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뚜껑 외측에 세워져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만곡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링크들이 상기 레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들이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의 일단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을 관통한 힌지가 상기 꺾쇠의 자유단부와 상기 제1 링크를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9.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방부에는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압착부가 상기 절곡부의 아래에서 팽창하여 상기 용기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1020050028716A 2005-04-06 2005-04-06 밀폐용기 KR100906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716A KR100906080B1 (ko) 2005-04-06 2005-04-06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716A KR100906080B1 (ko) 2005-04-06 2005-04-06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217A KR20060106217A (ko) 2006-10-12
KR100906080B1 true KR100906080B1 (ko) 2009-07-06

Family

ID=3762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716A KR100906080B1 (ko) 2005-04-06 2005-04-06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67163A (ja) * 2015-03-04 2019-10-03 ヘレン オブ トロイ リミテッド 密封可能な蓋を有する容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688B1 (ko) * 2010-03-18 2010-08-03 김문수 원 푸시 방식의 본체 개폐형 밀폐 용기
KR20180049562A (ko) * 2016-11-03 2018-05-11 방석진 가스 배출이 가능한 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5701U (ko) 1974-12-07 1976-06-15
JPS56121646U (ko) 1980-02-14 1981-09-16
JPS5811663A (ja) 1981-07-16 1983-01-22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用蓋体
JPH01130961U (ko) * 1988-03-03 1989-09-06
JP3038533U (ja) * 1996-12-06 1997-06-20 星硝株式会社 保存容器用蓋体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5701U (ko) 1974-12-07 1976-06-15
JPS56121646U (ko) 1980-02-14 1981-09-16
JPS5811663A (ja) 1981-07-16 1983-01-22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用蓋体
JPH01130961U (ko) * 1988-03-03 1989-09-06
JP3038533U (ja) * 1996-12-06 1997-06-20 星硝株式会社 保存容器用蓋体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67163A (ja) * 2015-03-04 2019-10-03 ヘレン オブ トロイ リミテッド 密封可能な蓋を有する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217A (ko)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5829B2 (ja) 製品、特に化粧品の格納用パッケージ
KR100906080B1 (ko) 밀폐용기
US5944235A (en) Plugging system for liquid container
KR101390289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100561958B1 (ko) 일체형 자동밀봉 밸브를 구비한 디스펜싱 클로우져
KR101348305B1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TWI454410B (zh) 封閉件及具有封閉件之容器
KR100986313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KR200404820Y1 (ko) 한개의 잠금수단으로 밀폐가 가능한 양념통
EP0562965B1 (fr)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notamment de produit de maquillage
JP3982715B1 (ja) 一体成形されたヒンジキャップ
WO2011012556A1 (fr) Commutateur électrique pour portière ou haillon arrière de véhicule automobile
KR102243757B1 (ko) 보관용기
KR10153363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병마개
KR102490425B1 (ko) 진공 보관 장치
KR101623850B1 (ko) 회전 승강형 진공포장기
CN220917080U (zh) 一种水杯
KR200445821Y1 (ko) 회전형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WO1997017269A1 (fr) Valve de securite bidirectionnelle a usage multiple
KR100607543B1 (ko)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CN213543208U (zh) 一种便于清理的隧道式热缩炉
KR102226977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30092837A (ko)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
KR200328353Y1 (ko) 공기주입형 에어백 튜브 장착 밀폐용기 뚜껑과 용기 케이스
KR100584854B1 (ko) 자동 잠금구조의 진공챔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