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977B1 -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977B1
KR102226977B1 KR1020190056778A KR20190056778A KR102226977B1 KR 102226977 B1 KR102226977 B1 KR 102226977B1 KR 1020190056778 A KR1020190056778 A KR 1020190056778A KR 20190056778 A KR20190056778 A KR 20190056778A KR 102226977 B1 KR102226977 B1 KR 10222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ain body
hole
cosmetic container
moving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019A (ko
Inventor
이경창
최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to KR1020190056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97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본체와,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캡과, 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이동트레이와, 결합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관통홀을 폐쇄하는 실링캡과,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에 의해서 이동트레이를 승하강시키는 회전캡을 포함하고, 수용부는 본체의 내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승하강한다.

Description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AIRTIGHT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가의 화장품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내용물을 변질 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화장품 내용물의 변질, 오염을 초래하는 요인으로는 외부의 공기 및 온도, 습도, 세균, 먼지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수분 함유량이 많은 내용물과 복합 기능을 하는 기능성 내용물의 제품 출시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을 차단하고 내용물의 수분 유지와 내용물 본래 기능을 유지 할 수 있는 화장품 케이스 즉 화장품 내용물의 변질을 막는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87135호에는 선스틱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선스틱 용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자외선 차단제 스틱을 올리고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선스틱 용기는 공기밀폐 기능을 갖지 않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 수분, 먼지 등이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내용물이 변질 및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공기 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본체와,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캡과, 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이동트레이와, 결합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관통홀을 폐쇄하는 실링캡과,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에 의해서 이동트레이를 승하강시키는 회전캡을 포함하고, 수용부는 본체의 내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승하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은 외부캡과, 외부캡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캡을 포함하고, 내부캡은 캡리브를 구비하며, 외부캡을 본체에 결합할 때, 캡리브가 본체의 내주면을 가압할 수 있다.
수용부는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리방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분리방지돌기는 수용부의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되고 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링캡은,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헤드와, 삽입헤드의 둘레에 형성된 캡둘레면과, 삽입헤드와 캡둘레면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고, 결합부는 삽입홈에 억지끼워맞춤 될 수 있다.
본체에 결합하는 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가이드의 내부에는 결합부가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며,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서 가이드가 회전하면서 이동트레이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 밀폐 기능을 가져서 내용물의 변질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내부캡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이동트레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링캡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이동트레이와 실링캡의 결합 부분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이동트레이와 본체의 접촉 부분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이동트레이의 분리방지돌기에 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내부캡과 본체의 접촉 부분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100)의 분해 단면도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100)의 내부캡(104), 이동트레이(120) 및 실링캡(150)을 각각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내용물(170)이 위치하는 공간이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용물(170)은 이동트레이(120)의 수용부(118)와 내부캡(104)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그리고 내부캡(104)과 본체(180)의 내주면과의 접촉 부분이 공기 밀폐 구조(도 9의 도면부호 c 참조)를 갖고, 이동트레이(120)의 수용부(118)와 본체(180)의 내주면과의 접촉 부분도 공기 밀폐 구조(도 7의 도면부호 b 참조)를 갖는다. 또한, 이동트레이(120)에서 내용물이 충진되는 통로에 해당하는 결합부(132)의 관통홀(134)은 실링캡(150)에 의해서 폐쇄된다(도 6의 도면부호 a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100)는 내용물(170)이 위치하는 공간은 상기와 같은 공기 밀폐 구조에 의해서 완전히 밀폐되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외부캡(102)과 본체(180)가 용기의 외체를 형성한다. 외부캡(102)은 본체(18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해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외부캡(102)은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기둥 형상을 갖고, 그 횡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외부캡(102)의 내부에는 내부캡(104)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내부캡(104)은 외부캡(102)의 내부에 결합되어 본체(180)의 상부를 밀폐한다. 내부캡(104)은 외부캡(102) 및 이동트레이(120)의 수용부(118)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내부캡(104)은 내부둘레면(112)과 내부바닥면(114)을 갖는다.
내부둘레면(112)은 내부바닥면(114)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일정한 높이를 갖고 형성된다. 내부둘레면(112)에는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서 걸림단턱(106)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단턱(106)은 본체(180)의 연결단부(182)의 상단부에 안착되는데, 이로 인해 내부캡(104)이 본체(180)에 대해 위치 설정된다.
내부둘레면(112)의 하단에는 캡리브(108)가 둘레 방향 전체에 대해 하향 돌출 형성된다. 캡리브(108)는 내부둘레면(112)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고 외측에는 캡돌기(110)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캡(104)이 본체(180)의 연결단부(182)에 안착될 때, 캡리브(108)는 연결단부(182)의 내주면을 외측으로 가압한다(도 9 도면부호 c 참조). 이와 같은 캡리브(108)의 밀폐 구조에 의해서 본체(18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한 공기 유입이 차단된다.
내부둘레면(112)의 외측에는 내부돌기(105)가 구비되어 있다. 내부돌기(105)는 외부캡(102)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도면부호 없음)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내부캡(104)은 외부캡(102)에 결합되고, 외부캡(102)이 본체(180)에서 분리될 때 내부캡(104)도 함께 분리된다.
내부바닥면(114)은 이동트레이(120)의 수용부(118)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이 오목한 타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바닥면(114)은 다소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80)는 중공의 기둥 형상을 갖고 그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본체(180)의 내부에는 이동트레이(120)가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트레이(120)와 내부캡(104) 사이의 공간에는 내용물(170)이 충진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80)의 내부에는 가이드(140)가 결합되고, 본체(180)의 하부에는 실링캡(150) 및 회전캡(160)이 결합된다.
본체(180)의 횡단면은 내부캡(104) 및 이동트레이(120)의 수용부(118)의 횡단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체(180)의 상부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연결단부(18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단부(182)의 하단 둘레에는 본체단턱(184)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단턱(184)에는 외부캡(102)의 하단부가 안착된다.
본체(180)의 하부에는 내부 공간으로 상향 돌출된 회전결합부(186)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결합부(186)의 하부는 개방되고 상면(190)에는 본체관통홀(188)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결합부(186)의 내부에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40)의 하단부, 실링캡(150) 및 회전캡(160)이 위치한다.
회전결합부(186)의 상면(190)에 형성된 본체관통홀(188)을 통해서 가이드(140)가 본체(18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다.
회전결합부(186)는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는 본체둘레면(192)을 갖는다. 본체둘레면(192)은 본체(180)의 바닥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둘레면(192)의 내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결합돌기(194)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둘레면(192)과 결합돌기(194)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는 회전캡(160)의 둘레면(16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본체(180)의 회전결합부(186)에 형성된 본체관통홀(188)을 통해서 가이드(140)가 본체(180)의 하부에서 내부공간으로 결합된다. 가이드(140)는 그 내부에 결합된 이동트레이(120)의 결합부(132)를 지지한다.
가이드(14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그 상단 및 하단은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140)이 외주면에는 걸림단턱(142)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단턱(142)은 본체관통홀(188)의 주변에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가이드(140)가 본체(180)에 대해 위치 설정된다. 그리고 걸림단턱(142)의 상부에는 이탈방지돌기(144)가 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돌기(144)는 하향 경사진 테이퍼 구조를 갖는다. 이탈방지돌기(144)는 본체관통홀(188)을 통과해서 회전결합부(186)의 상면(190)에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가이드(140)가 회전결합부(186)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가이드(140)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가이드홈(146)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46)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열될 돌기(도면부호 없음)들 사이에 형성된 홈에 해당한다. 가이드홈(146)에는 회전캡(160)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돌기(164)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회전캡(160)이 회전하면 가이드(14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동트레이(120)의 상부에 형성된 수용부(118)에는 내용물(170)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트레이(120)는 회전캡(160)의 회전에 의해서 승하강하는데, 이로 인해 내용물(170)도 이동트레이(120)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동트레이(120)는 내용물(170)이 결합하는 수용부(118)와, 가이드(14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부(132)를 구비한다.
수용부(118)는 내부캡(104)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그 내부공간(122)에는 내용물(170)이 충진된다. 이동트레이(120)의 수용부(118)도 내부캡(104)과 동일하게 둘레면(124)과 바닥면(123)을 갖는다.
둘레면(124)은 바닥면(123)의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상향 돌출된다. 둘레면(124)에 의해서 수용부(118)의 상부에 위치하는 내용물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수용부(118)의 내부공간(122)에는 이동방지돌기(126)가 형성된다. 이동방지돌기(126)는 바닥면(123)에서 상향 돌출 형성된 것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방지돌기(126)는 내용물(170)에 삽입되어서 내용물(170)이 회전하거나 수용부(118)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닥면(123)의 중앙에는 결합부(132)에 형성된 관통홀(134)이 노출된다. 이로 인해, 이동트레이(120)의 결합부(132)의 하단부와 수용부(118)의 내부공간(122)이 연통된다. 또한, 바닥면(123)으로 노출된 관통홀(134)의 상부에는 다수 개의 분리방지돌기(128)가 형성된다. 분리방지돌기(128)는 ㄱ 자 형상을 갖고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부들은 모두 상부링(130)에 결합된다(도 8 참조). 분리방지돌기(128)는 관통홀(134)을 통해서 주입된 내용물(170)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충진된 내용물(170)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용물(170)이 수용부(118)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용부(118)의 하부에 위치하는 결합부(132)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가이드(14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결합부(132)의 둘레에는 나사산(136)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나사산(136)은 가이드(14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도면부호 없음)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캡(160)의 회전에 연동해서 가이드(140)가 회전하면, 결합부(132)는 회전하지 않고 나사산을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한다.
결합부(132)의 중앙에는 관통홀(134)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34)은 결합부(132)의 길이 방향 전체를 관통해서 형성된다. 관통홀(134)의 상단부는 수용부(118)의 바닥면(123)을 통해서 내부공간(122)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관통홀(134)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서 내용물(170)이 수용부(118) 방향으로 주입된다. 내용물(170)의 주입이 완료된 후 관통홀(134)의 하단부는 실링캡(150)에 의해서 밀폐된다.
실링캡(150)은 이동트레이(120)의 결합부(132)의 하단부에 결합해서 관통홀(134)을 폐쇄한다. 실링캡(150)은 삽입헤드(152), 캡둘레면(154), 삽입홈(156) 및 지지돌기(158)를 구비한다.
삽입헤드(152)는 하단부가 개방되고 상단부는 폐쇄된 중공의 원기둥 또는 중공의 절두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삽입헤드(152)는 결합부(132)의 내부에 억지끼워맞춤(press fitting)에 의해 삽입되어서 결합부(132)에 형성된 관통홀(134)을 폐쇄한다.
캡둘레면(154)은 삽입헤드(152)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고, 삽입헤드(152)에 비해서 낮은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캡둘레면(154)과 삽입헤드(152)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은 삽입홈(156)에 해당한다. 삽입홈(156)에는 결합부(132)의 하단부가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삽입된다.
캡둘레면(154)의 외경은 가이드(140)의 내경에 비해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링캡(150)은 이동트레이(120)와 함께 승하강하면서 가이드(14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승하강 할 수 있다.
실링캡(150)은 플렉서블한 성질을 갖는 플라스틱 수지,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지지돌기(158)는 삽입헤드(152)의 하단부에서 하향 돌출된 것으로 하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지지돌기(158)의 하단부는 회전캡(160)의 내부 바닥면과 접할 수 있다.
회전캡(160)은 본체(180)의 회전결합부(186)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동트레이(120)를 회전시킨다. 원형의 회전캡(160)은 둘레면(162)과 중앙의 회전돌기(164)를 구비한다.
회전캡(160)의 둘레면(162)은 회전결합부(186)의 본체둘레면(192) 및 결합돌기(194) 사이의 간격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둘레면(162)의 외경은 본체(180)의 최소 두께에 비해서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둘레면(162)의 일부가 본체(18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회전돌기(164)는 가이드(140)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146)에 삽입되어서 가이드(140)를 회전시킨다.
내용물(170)은 고체와 같이 일정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온도에 따라서 경화될 수 있는 선 스틱(sun stick) 등에 해당할 수 있다.
화장품 용기(100)를 결합하기 위해서 우선 본체(180)의 회전결합부(186)에 형성된 본체관통홀(188)을 통해서 가이드(140)를 본체(180)의 내부에 삽입한다. 가이드(140)의 걸림단턱(142)과 이탈방지돌기(144) 사이에 형성된 홈에 본체관통홀(188)을 형성하는 내주면 부분이 걸리면서 가이드(140)가 본체(180)에 결합 및 위치 설정된다.
가이드(140)를 본체(180)에 결합한 후, 본체(18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이동트레이(120)를 삽입한다. 즉, 가이드(140)를 회전시키면서 이동트레이(120)의 결합부(132)를 가이드(140)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로 인해, 결합부(13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36)이 가이드(1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도면 부호 없음)에 나사 결합되면서 이동트레이(120)가 하강한다.
물론, 이동트레이(120)를 본체(180)의 내부에 위치 설정한 후 가이드(140)를 본체(180)의 하부에 삽입해서 결합할 수도 있다.
이동트레이(120)와 가이드(140)를 결합한 후 내부캡(104) 및 외부캡(102)을 결합해서 본체(180)의 상부를 폐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내부캡(104) 및 외부캡(102)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하나의 캡만을 구비할 수 있고, 이때 하나의 캡은 본체(180)의 상단부를 밀폐해서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캡(104) 및 외부캡(102)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내부캡(104)을 본체(180)에 결합함으로써 본체(180)의 상부는 폐쇄된다. 그리고 내부캡(104)과 이동트레이(120)의 수용부(118) 사이에는 내용물(170)이 충진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내용물(170)은 이동트레이(120)의 결합부(132)에 형성된 관통홀(134)을 통해서 본체(180)의 하부에서 충진될 수 있다. 주입된 내용물(170)은 관통홀(134)을 따라서 이동해서 수용부(118)와 내부캡(104) 사이의 빈 공간에 충진된다.
내용물(170)의 충진을 완료한 후 실링캡(150)을 이용해서 관통홀(134)을 폐쇄한다. 즉, 실링캡(150)의 삽입헤드(152)를 관통홀(134)에 삽입하고, 결합부(132)의 하단부를 실링캡(150)의 삽입홈(156)에 삽입한다. 실링캡(150)이 결합됨으로써 내용물(170)이 충진된 공간이 완전 밀폐될 수 있다.
실링캡(150)을 결합부(132)의 하단부에 삽입한 후 회전캡(160)을 결합한다. 즉, 회전캡(160)을 본체(180)의 회전결합부(186)에 삽입하는데, 이때 회전돌기(164)가 가이드(140)의 가이드홈(146)에 삽입된다.
회전캡(160)을 회전시키면, 가이드홈(146)에 삽입된 회전돌기(164)에 의해서 가이드(140)가 회전된다. 가이드(140)의 회전에 의해서 그 내부에 나사 결합된 이동트레이(120)가 나사산을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체로 결합된 외부캡(102) 및 내부캡(104)을 본체(180)에서 분리한 후 회전캡(160)을 돌려서 내용물(170)을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이동트레이(120)와 실링캡(150)의 결합 부분을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이동트레이(120)와 본체(180)의 접촉 부분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이동트레이(120)의 분리방지돌기(128)에 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9는 내부캡(104)과 본체(180)의 접촉 부분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이동트레이(120)의 결합부(132)의 하단부는 실링캡(150)에 의해서 밀폐된다. 즉, 실링캡(150)의 삽입헤드(152)의 외주면 하단부는 결합부(13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결합부(132)의 하단부 내주면과 오버랩(overlap)되는데(도 6의 a 부분)된다. 이와 같은 오버랩 구조(a)에 의해서 관통홀(134)이 폐쇄되어 공기 유입이 차단되고 내용물의 증발 또는 유출 그리고 외부 이물질 유입이 차단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이동트레이(120)의 둘레면(124)의 상단에 형성된 돌출부(125)가 본체(180)의 내주면에 대해 오버랩 결합된다(도 7의 b 부분). 그리고 이동트레이(120)의 승하강에도 상기 오버랩(b)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버랩 구조(b)에 의해서 내용물(170)이 충진된 공간의 하부가 폐쇄되어 공기 유입이 차단되고 내용물의 증발 또는 유출 그리고 외부 이물질 유입이 차단된다.
도 8을 참고하면, 이동트레이(120)에서 내용물이 충진되는 내부공간(122)의 바닥면(123)에는 관통홀(134)이 노출된다. 그리고 관통홀(134)을 통해서 충진된 내용물이 내부공간(122)으로 유입된다. 또한, 관통홀(134)의 상부에는 ㄱ 형상을 갖는 네 개의 분리방지돌기(128)가 구비되어 있다. 분리방지돌기(128)는 내용물(170)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용물(170)이 이동트레이(120)의 수용부(118)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를 참고하면, 내부캡(104)의 캡리브(108)는 본체(180)의 연결단부(18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오버랩(c)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캡리브(108)의 외측에 형성된 캡돌기(110)가 연결단부(182)의 내주면을 가압한다. 이와 같은 오버랩 구조(c)에 의해서 내용물(170)이 충진된 공간의 상부가 폐쇄되어 공기 유입이 차단되고 내용물의 증발 또는 유출 그리고 외부 이물질 유입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내용물(170)이 충진되는 공간의 상부는 오버랩 c에 의해서 밀폐되고 하부는 오버랩 b에 의해서 밀폐된다. 또한, 내용물(170)이 충진되는 통로에 해당하는 이동트레이(120)의 관통홀(134)은 실링캡(150)과의 결합에 의한 오버랩 a에 의해서 밀폐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내용물(170)이 상기 오버랩 a, b 및 c에 의해서 완전히 외부와 차단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변질, 증발 및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장품 용기
102: 외부캡 104: 내부캡
108: 캡리브 120: 이동트레이
118: 수용부 128: 분리방지돌기
132: 결합부 134: 관통홀
136: 나사산 140: 가이드
146: 가이드홈 150: 실링캡
152: 삽입헤드 160: 회전캡
164: 회전돌기 170: 내용물
180 본체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캡;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고, 내용물을 수용하되 둘레면의 상단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대해 오버랩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내면을 가압한 상태에서 승하강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이동트레이;
    상기 결합부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실링캡;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에 의해서 상기 이동트레이를 승하강시키는 회전캡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캡은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삽입헤드, 상기 삽입헤드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되 상기 삽입헤드에 비해서 낮은 높이를 갖는 캡둘레면, 상기 삽입헤드와 상기 캡둘레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헤드의 하단부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회전캡의 내부 바닥면과 접하는 지지돌기를 구비하는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외부캡과, 상기 외부캡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캡은 캡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캡을 상기 본체에 결합할 때, 상기 캡리브가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리방지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돌기는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되고 ㄱ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하는 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며,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가 회전하면서 상기 이동트레이를 승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0190056778A 2019-05-15 2019-05-15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22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778A KR102226977B1 (ko) 2019-05-15 2019-05-15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778A KR102226977B1 (ko) 2019-05-15 2019-05-15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019A KR20200132019A (ko) 2020-11-25
KR102226977B1 true KR102226977B1 (ko) 2021-03-12

Family

ID=7364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778A KR102226977B1 (ko) 2019-05-15 2019-05-15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9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68B1 (ko) * 2009-03-06 2009-12-15 장용운 화장품 용기
KR101933888B1 (ko) * 2017-07-03 2019-01-02 펌텍코리아(주) 측면버튼이 구비된 스틱형 화장료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182A (ko) * 2016-10-11 2018-04-20 펌텍코리아 (주) 휴대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듀얼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200494894Y1 (ko) * 2017-08-17 2022-01-20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68B1 (ko) * 2009-03-06 2009-12-15 장용운 화장품 용기
KR101933888B1 (ko) * 2017-07-03 2019-01-02 펌텍코리아(주) 측면버튼이 구비된 스틱형 화장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019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450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US10717567B2 (en) Discharge container
KR101571466B1 (ko) 흡수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US10994920B2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individually discharging capsules
CN102259723A (zh) 用于容器的封闭装置以及用于该装置的密封部件
US20180116368A1 (en) Compact container
KR101524475B1 (ko) 액상의 내용물이 함침된 흡수부재가 구비되는 화장품 용기
KR102265177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2271373B1 (ko) 이중 용기
KR102226977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196810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1530580B1 (ko) 회전 개폐형 튜브용기
KR101897961B1 (ko) 밀폐력이 향상된 에어타이트 립 화장품 용기
KR101807294B1 (ko)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102664580B1 (ko) 콤팩트 타입 화장품용 리필케이스
KR102188196B1 (ko) 화장품 용기
KR102053625B1 (ko) 화장품 용기
KR20190092688A (ko) 토출구 밀폐 구조가 개선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ES2294349T3 (es) Tubo mejorado hecho de material plastico.
KR102406082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0440Y1 (ko) 배출링을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2151580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910054B1 (ko) 회전 토출식 콤팩트 용기
KR101915293B1 (ko)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KR102181366B1 (ko)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