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625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625B1
KR102053625B1 KR1020190069049A KR20190069049A KR102053625B1 KR 102053625 B1 KR102053625 B1 KR 102053625B1 KR 1020190069049 A KR1020190069049 A KR 1020190069049A KR 20190069049 A KR20190069049 A KR 20190069049A KR 102053625 B1 KR102053625 B1 KR 102053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circumferential surface
hinge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Priority to KR1020190069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1Features of the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A45D2040/223Means for closing the lid comprising a latch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2040/225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05B11/029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located on top of the remaining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힌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외체를 각각 형성하는 외캡 및 외용기와, 외캡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서 승하강 할 수 있는 내캡과, 외용기의 내부에 위치하고 내캡과 힌지 결합하는 내부부재를 포함하고, 외캡이 외용기에 결합된 경우 힌지 결합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외캡은 회전에 의해서 상승한 후 내캡과 함께 힌지 회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커버 개폐를 위한 힌지를 숨길 수 있는 회전 개폐식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용기 중에서 용기본체와 커버가 힌지 결합하고, 커버가 회전에 의해서 개폐되는 화장품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쿠션 팩트(cushion pact)의 경우 용기본체 내부에 화장액이 함침되어 있고, 용기본체의 상부에는 커버가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사용자는 힌지를 중심으로 커버를 회전시켜서 용기본체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종래의 힌지 타입 화장품 용기는 힌지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55780호에는 뚜껑부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경우에도 힌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힌지는 화장품 용기의 외관상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에 대한 커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쇠도 화장품 용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걸쇠 역시 화장품 용기의 외관상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힌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외체를 각각 형성하는 외캡 및 외용기와, 외캡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서 승하강 할 수 있는 내캡과, 외용기의 내부에 위치하고 내캡과 힌지 결합하는 내부부재를 포함하고, 외캡이 외용기에 결합된 경우 힌지 결합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외캡은 회전에 의해서 상승한 후 내캡과 함께 힌지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캡은 캡둘레면을 구비하고, 캡둘레면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캡은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힌지 결합은 캡둘레면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가이드홈은 캡둘레면의 내주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며, 가이드돌기가 제1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외캡이 내캡에 대해서 하강을 완료한 상태에 있고, 제2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외캡이 내캡에 대해서 상승을 완료한 상태에 있다.
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제1 홈돌기 및 제2 홈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돌출 형성될 수 잇다.
내부부재는 외용기와 결합하는 숄더베이스이고, 숄더베이스의 상부에는 숄더가 결합하며, 숄더의 둘레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외캡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에 걸릴 수 있는 캡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힌지 결합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우수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외캡이 폐쇄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서 외캡이 회전에 의해서 상승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서 외캡 및 내캡이 힌지 회전에 의해서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외캡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내캡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숄더베이스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외캡이 외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외캡이 외용기에서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에서 외캡(110)이 폐쇄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서 외캡(110)이 회전에 의해서 상승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서 외캡(110) 및 내캡(120)이 힌지(122)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하, '힌지 회전'이라고 함)에 의해서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외체를 형성하는 외캡(110) 및 외용기(230)를 구비한다. 외캡(110)은 외용기(23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외캡(1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캡(110)이 외용기(230)에 결합된 경우, 힌지(12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외캡(110)은 회전에 의해서 상승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힌지(122)가 외부로 노출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외캡(110)의 회전 상승에 의해서 힌지(122)가 외부로 노출된 경우, 외캡(110)은 힌지 회전에 의해서 외용기(230)에서 분리될 수 있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도 1과 같이 외캡(110)이 외용기(230)에 완전히 결합된 경우, 외캡(110)을 힌지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12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힌지(12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매끈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외캡(110)이 회전에 의해서 상승한 후 힌지 회전에 의해서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외캡(110)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내캡(120)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숄더베이스(15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커버에 해당하는 외캡(110) 및 내캡(120)과, 용기본체에 해당하는 내용기(220) 및 외용기(230)를 포함한다. 또한, 내용기(220) 및 외용기(230)의 내부에는 내부 부재에 해당하는 숄더(134), 숄더베이스(150), 노즐실린더(170), 스프링(180), 펌프(190) 및 피스톤(210)이 구비되어 있다.
외캡(110)은 외용기(230)와 결합해서 화장품 용기(100)의 외체를 형성한다. 외캡(110)은 링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는 폐쇄되어 있다. 외캡(110)은 일정한 높이를 갖는 캡둘레면(112)을 갖는다. 캡둘레면(112)의 내주면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가이드홈(114)은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고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홈(114)은 제1 단부(116) 및 제2 단부(117)를 갖는다. 제1 단부(116)는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홈(114)의 상부 끝 부분에 해당하고, 제2 단부(117)는 가이드홈(114)의 하부 끝 부분에 해당한다. 가이드홈(114)은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 단부(116) 및 제2 단부(117)로 갈수록 경사각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114)의 내부에서 제1 단부(116) 및 제2 단부(117)에 인접한 위치에는 제1 홈돌기(115) 및 제2 홈돌기(119)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돌기(115) 및 제2 홈돌기(119)는 가이드홈(114)의 내부로 약간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홈(114)에 삽입된 가이드돌기(126)는 제1 단부(116) 및 제2 단부(117)로 향할 때 상기 제1 홈돌기(115) 및 제2 홈돌기(119)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캡(110)을 회전 상승 또는 하강시킬 때, 가이드돌기(126)가 상기 제1 홈돌기(115) 및 제2 홈돌기(119)를 통과한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회전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1 홈돌기(115) 및 제2 홈돌기(119)는, 가이드돌기(126)가 제1 단부(116) 및 제2 단부(117)에 위치하는 경우 쉽게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이로 인해 외캡(110)이 쉽게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가이드홈(114)의 내부에는 내캡(120)의 둘레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6)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외캡(110)이 회전에 의해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 가이드돌기(126)는 가이드홈(114)을 따라서 이동한다. 그리고 외캡(110)이 회전에 의해서 상승을 완료한 경우(도 2 및 도 3 참조), 가이드돌기(126)는 제1 단부(116)에 위치한다. 그리고 외캡(110)이 회전에 의해서 하강을 완료한 경우(도 1 참조), 가이드돌기(126)는 제2 단부(117)에 위치한다.
외캡(110)의 내주면 하부에는 캡돌기(118)가 형성될 수 있다. 외캡(110)이 회전에 의해서 하강할 때, 캡돌기(118)는 내부 부재에 해당하는 숄더(134)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외캡(11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외캡(110)의 내부에는 내캡(120)이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내캡(120)은 내부부재와 결합해서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내캡(112)의 외부에 결합된 외캡(110)만 회전한다. 그리고 내캡(120)은 내부부재와 힌지(122)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외캡(110)이 용기본체(220, 230)에 대해서 힌지 결합하지 않고 내캡(120)이 힌지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외캡(110)은 내캡(120)와 일체로 힌지 회전한다.
내캡(120)은 캡둘레면(112)에 비해서 얇은 두께를 갖는 디스크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내캡(120)의 일 측에는 힌지(122)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122)는 내부부재에 해당하는 숄더베이스(150)에 핀(도시하지 않음) 등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해, 내캡(120)이 내부부재에 대해서 힌지 회전 가능하게 된다.
내캡(120)의 둘레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돌기(126)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기(126)는 외캡(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가이드돌기(126)는 길이가 짧고 둘레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캡(120)의 하면에는 거울(130)이 결합될 수 있다.
외용기(23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외용기(230)의 하부는 폐쇄된 구조를 갖는다. 외용기(230)는 용기둘레면(232)을 구비한다. 용기둘레면(232)은 일정한 높이를 갖고 캡둘레면(112)과 함께 화장품 용기의 측면을 매끈하게 형성할 수 있다.
용기둘레면(232)의 내주면 중에서 상부에는 결합나사산(234)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나사산(234)에는 숄더베이스(15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나사산(154)이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숄더베이스(150)가 외용기(230)에 결합된다.
외용기(230)의 내부 공간에는 내용기(220)가 삽입될 수 있다. 내용기(220)는 외용기(230)와 동일하게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용기(220)의 내부에는 화장액 등과 같은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이 충진될 수 있다. 그리고 내용기(220)의 내부에는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에 해당하는 펌프(190)가 삽입된다.
내용기(220)의 바닥면 중앙에는 다소 오목하게 형성된 내용기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내용기홈(222)에 의해서 펌프(190)의 하단부와 내용기(220)의 바닥면 사이에 약간의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에 의해서 내용물이 펌프(190)로 유입될 수 있다.
내용기(220)의 내부에는 피스톤(21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한다. 피스톤(210)은, 펌프(190)에 의해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경우 하강하면서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피스톤(210)은 내용기(22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해서 내용기(220)의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과 공기의 접촉을 차단한다.
피스톤(210)의 중앙에는 센터홀(2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홀(216)은 내부밀착면(212)에 의해서 규정된다. 내부밀착면(212)은 일정한 높이를 갖고, 숄더베이스(150)에 형성된 펌프삽입부(162)의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밀착된다. 또한, 피스톤(210)의 가장자리에는 외부밀착면(214)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밀착면(214)은 피스톤(210)의 두께에 비해서 크게 형성된다. 외부밀착면(214)은 내용기(22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피스톤(210)의 내부밀착면(212) 및 외부밀착면(214)에 의해서 내용물이 내용기(22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내부밀착면(212) 및 외부밀착면(214)은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을 갖고 밀착력이 높은 재질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펌프(190)는 숄더베이스(150)의 중앙에 삽입되어 내용기(22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노즐실린더(170)를 하향 가압하면 펌프(190)가 작동해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펌프(19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에어리스 펌프(airless pump)(190)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내용물의 배출 수단 및 구조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노즐실린더(170)는 스프링(180)에 의해서 그 하면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하향 가압된 노즐실린더(170)는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180)에 의해서 상승할 수 있다.
노즐실린더(170)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는 노즐상면(174)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노즐상면(174)의 가장자리에는 노즐둘레면(172)이 하향 연장 형성된다. 또한, 노즐상면(174)의 중앙에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에 해당하는 노즐(176)이 형성된다. 외캡(110) 및 내캡(120)이 개방되면 노즐실린더(170)가 외부로 노출된다(도 4 참조).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노즐실린더(170)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펌프(19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숄더베이스(150)는 내캡(120)이 힌지 결합하는 것으로 외용기(230)의 상부에 나사 결합한다. 숄더베이스(15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베이스바닥면(156)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숄더베이스(150)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베이스둘레면(152)을 갖는다.
베이스둘레면(152)에 의해서 숄더베이스(150)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또한, 베이스둘레면(152)의 일 측에는 힌지결합부(164)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결합부(164)에는 내캡(120)에 형성된 힌지(1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힌지결합부(164)도 외캡(110)이 외용기(230)에 결합한 경우 힌지(122)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외캡(110)이 외용기(230)에 결합한 경우, 힌지결합부(164)는 캡둘레면(112)에 의해서 커버된다.
베이스둘레면(152)의 하부에는 결합나사산(15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나사산(154)은 베이스둘레면(152)의 하부에서 다소 외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합나사산(154)의 다소 돌출된 상부(도면부호 없음)에는 숄더(134)의 하단부가 위치할 수 있다. 결합나사산(154)은 외용기(23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나사산(23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숄더베이스(150)는 베이스바닥면(156)을 구비한다. 베이스바닥면(156)은 피스톤(21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피스톤(210)을 커버한다. 그리고 베이스바닥면(156)의 중앙에는 다소 돌출 형성된 센터돌기(158)가 형성되어 있고, 센터돌기(158)의 중앙에는 센터홀(16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바닥면(156)에는 관통홀(157)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57)을 통해서 피스톤(210)의 상부에 외부 압력(즉, 대기압)이 전달되고, 이로 인해 피스톤(210)이 내용물의 소진에 따라서 하강하게 된다.
베이스바닥면(156)의 중앙에는 펌프삽입부(도 9의 도면부호 162 참조)가 하향 돌출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숄더(134)는 숄더베이스(150)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노즐실린더(170)가 결합한다. 숄더(134)는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되고 원형으로 형성된다.
숄더(134)의 중앙에는 센터홀(136)이 형성되어 있다. 센터홀(136)은 내부둘레면(140)에 의해서 규정된다. 그리고 센터홀(136)에는 노즐실린더(170)가 삽입된다.
숄더(134)는 링 형상을 갖는 숄더상부면(138)을 구비한다. 숄더상부면(138)은 편평하게 형성된 부분으로서 노즐실린더(170)의 노즐상면(174)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외캡(110) 및 내캡(120)이 개방되면, 노즐상면(174) 및 숄더상부면(138)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숄더상부면(138)의 일 측에는 절개부(137)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137)는 숄더베이스(150)의 힌지결합부(164)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힌지결합부(164)가 노출되게 한다.
숄더(134)는 내부둘레면(140) 및 외부둘레면(142)을 구비한다. 외부둘레면(142)은 숄더(134)의 외경을 형성한다. 그리고 내부둘레면(140)과 외부둘레면(142)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간격에 숄더베이스(150)의 상단부가 삽입된다.
외부둘레면(142)의 하단에는 ㄱ 형상의 걸림돌기(144)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144)는 일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고, 상기 개방된 입구를 통해서 외캡(110)에 형성된 캡돌기(118)가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외캡(110)이 외용기(23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외캡(110)이 외용기(230)에서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외캡(110) 및 외용기(230)가 외체를 형성하고 힌지(122) 및 힌지결합부(164)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외캡(110)의 내부 공간에는 내캡(120)이 결합되어 있다. 즉, 내캡(120)의 가이드돌기(126)가 외캡(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내캡(120)은 힌지(122)에 의해서 숄더베이스(150)의 힌지결합부(164)에 힌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캡(120)은 힌지 회전을 제외한 다른 회전은 하지 않고 외캡(110)만 내캡(120)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내캡(120)이 외캡(110)의 상면 하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외캡(110)의 하단부와 외용기(230)의 상단부가 상호 접촉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돌기(126)는 가이드홈(114)의 제2 단부(117)에 위치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외캡(110)이 회전에 의해서 상승하면 내캡(120)은 외캡(110)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이때 가이드돌기(126)는 가이드홈(114)의 제1 단부(116)에 위치한다. 외캡(110)의 상승 회전에 의해서 외캡(110)이 상승하면, 내캡(120)의 힌지(122) 및 숄더베이스(150)의 힌지결합부(164)가 외부로 노출된다(도3 참조).
외캡(110)이 상승 회전에 의해서 도 1의 상태에서 도 2 및 도 3의 상태로 회전하면, 외캡(110)은 내캡(120)과 함께 힌지 회전에 의해서 개방되어 숄더(134) 및 노즐실린더(17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도 4 및 도 10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의 외캡(110)은 가이드홈(114)에 의한 상승 회전과, 힌지(122)에 의한 힌지 회전을 한다.
내캡(120)의 내부에는 거울(130)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외캡(110) 및 내캡(120)이 힌지 회전에 의해서 개방된 경우, 거울(130)은 외부로 노출된다(도 4 및 도 10 참조).
내캡(120)의 힌지(122)는 절개부(137)에 의해서 노출된 숄더베이스(150)의 힌지결합부(164)에 힌지 결합한다. 따라서 내캡(120)은 외캡(110)과 같은 상승 및 하강 회전은 하지 않고 힌지 구조에 의한 힌지 회전만 한다.
숄더(134)의 중앙에 형성된 센터홀(136)에는 노즐실린더(170)가 삽입된다. 노즐실린더(170)의 하단부는 숄더(134)의 내부둘레면(140)의 하단부에 걸린다. 그리고 노즐실린더(170)의 노즐상면(174)과 숄더(134)의 숄더상부면(138)은 동일한 높이를 가져서 하나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숄더상면(174)에 형성된 노즐(176)을 통해서 내용물이 노출되고, 사용자는 숄더상면(174)에 내용물을 퍼프(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숄더(134)의 내부둘레면(140) 및 외부둘레면(142)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에 해당하는 삽입홈(146)이 형성된다. 삽입홈(146)에는 숄더베이스(15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숄더(134)와 숄더베이스(150)가 상호 결합된다.
숄더베이스(150)는 그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나사산(154)이 외용기(230)의 결합나사산(234)과 나사 결합하는데, 이로 인해 숄더베이스(150)와 외용기(230)가 상호 결합한다.
숄더베이스(150)의 베이스바닥면(156)에는 센터돌기(158)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센터홀(16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바닥면(156)의 하부에는 펌프삽입부(162)가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펌프삽입부(162)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상단 및 하단이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펌프삽입부(162)에는 펌프(190)의 펌프바디(204)가 삽입된다.
베이스바닥면(156)과 노즐실린더(170)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펌프(190)의 펌프헤드(192) 및 스프링(180)이 위치한다. 펌프헤드(192)의 상단부는 노즐실린더(170)의 노즐(176)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펌프(190)를 통해서 배출된 내용물은 노즐(176)에 직접 유입된 후 노즐상면(174)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스프링(180)의 일단부는 노즐상면(174)의 하면과 접하고 타단부는 베이스바닥면(156)과 접한다. 따라서 스프링(180)은 노즐실린더(170)의 하부에서 노즐실린더(17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사용자가 노즐실린더(170)를 하향 가압하면 노즐실린더(170)가 하향 이동하고 이때 스프링(180)이 탄성적으로 수축한다. 노즐실린더(170)의 하향 이동에 의해서 펌프헤드(192)도 하향 이동하면서 펌프가이드(196)가 내용물을 흡입하게 한다. 그리고 노즐실린더(17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18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노즐실린더(170)가 상승한다. 노즐실린더(170)의 상승에 의해서 펌프헤드(192)도 상승하는데, 이로 인해 펌프가이드(196)도 상승하면서 펌프바디(204)의 내부공간(206)에 저압(진공 또는 진공에 가까운 저압)이 발생하게 된다. 내부공간(206)에 저압이 발생함으로써 내용기(220)에 충진된 내용물이 내부공간(206)으로 유입되고 그에 따라서 피스톤(210)이 하강한다.
피스톤(210)은 베이스바닥면(156)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내용기(220)의 상부를 커버한다. 베이스바닥면(156)에는 관통홀(157)이 형성되어 있는데, 관통홀(157)을 통해서 대기압이 피스톤(210)에 가해질 수 있다. 피스톤(210)의 내부밀착면(212)은 펌프삽입부(162)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부밀착면(214)은 내용기(22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내용기(220)에 충진된 내용물은 피스톤(210)에 의해서 완전히 외부와 차폐된다. 내용기(220)에 충진된 내용물이 펌프(190)에 의해서 배출되어 잔존량이 감소하는 경우, 피스톤(210)은 내용기(220) 내부의 압력 저하로 인해서 하강한다.
펌프삽입부(162)의 하단부와 내용기(220)의 중앙에 형성된 내용기홈(222)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을 통해서 내용기(220)에 충진된 내용물이 내용기홈(222)을 통해서 펌프(190)의 하단부로 유입된다. 펌프(190)의 하부에 해당하는 펌프바디(204)는 그 하단부에 하부홀(208)을 구비한다. 하부홀(208)은 내부공간(206)으로 내용물이 유입되는 통로에 해당한다.
펌프바디(204)의 내부에는 펌프가이드(196)의 일부 및 펌프피스톤(202)이 삽입되어 있다. 펌프피스톤(202)의 외부 둘레는 펌프바디(204)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고, 내부 둘레는 펌프가이드(196)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펌프가이드(196)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하단부는 폐쇄되고 상단부는 노즐(176)과 연통되는 구조를 는다. 또한, 펌프가이드(196)의 둘레에는 유입홀(19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입홀(198)의 둘레에는 펌프피스톤(202)이 위치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펌프헤드(192)가 상승한 상태에서 하향 가압되면, 펌프가이드(196)가 하강하면서 유입홀(198)이 펌프피스톤(20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펌프피스톤(202)에 의해서 차폐된 유입홀(198)이 개방되고 내부공간(206)에 유입된 내용물이 유입홀(198)을 통해서 펌프가이드(196)의 내부로 유입된다. 펌프가이드(196)의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은 노즐(176)을 통해서 노즐상면(174)의 상부로 배출된다.
펌프헤드(192)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18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펌프헤드(192)가 상승하고, 이에 연동해서 펌프가이드(196)도 상승한다. 펌프가이드(196)의 상승에 의해서 유입홀(198)은 펌프피스톤(202)에 의해 차폐된다. 또한, 펌프가이드(196)의 상승에 의해서 내부공간(206)에는 진공에 가까운 저압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내용기(220)의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이 내부공간(206)으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으로서 에어리스 펌프(190)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내용물을 배출하는 수단의 구조 및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발포 우레탄에 함침되고 사용자가 상기 발포 우레탄을 직접 가압하는 방법에 의해서 내용물을 사용하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장품 용기
110: 외캡 114: 가이드홈
120: 내캡 122: 힌지
126: 가이드돌기 134: 숄더
150: 숄더베이스 170: 노즐실린더
180: 스프링 190: 펌프
210: 피스톤 220: 내용기
230: 외용기

Claims (6)

  1. 외체를 각각 형성하는 외캡 및 외용기;
    상기 외캡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서 승하강 할 수 있고 힌지를 구비하는 내캡;
    결합나사산을 가져서 상기 외용기의 내부에 나사결합하고, 일정한 높이를 갖는 베이스둘레면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와 힌지 결합하는 숄더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둘레면의 외부에 결합하는 숄더를 포함하고,
    상기 외캡이 상기 외용기에 결합된 경우 상기 힌지 결합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외캡은 회전에 의해서 상승한 후 내캡과 함께 힌지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외캡은 캡둘레면을 구비하고, 상기 캡둘레면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캡은 상기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캡둘레면의 내주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제1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에 대해서 하강을 완료한 상태에 있고, 제2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에 대해서 상승을 완료한 상태에 있고,
    상기 숄더의 둘레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릴 수 있는 캡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69049A 2019-06-12 2019-06-12 화장품 용기 KR102053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049A KR102053625B1 (ko) 2019-06-12 2019-06-12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049A KR102053625B1 (ko) 2019-06-12 2019-06-12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625B1 true KR102053625B1 (ko) 2020-01-22

Family

ID=6936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049A KR102053625B1 (ko) 2019-06-12 2019-06-12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639B1 (ko) * 2020-12-23 2022-04-14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10B1 (ko) * 2009-03-25 2009-08-19 이성환 화장품 케이스
KR101173162B1 (ko) * 2010-08-16 2012-08-16 변재삼 기밀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236050B1 (ko) * 2012-11-27 2013-02-28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US20150314934A1 (en) * 2014-05-02 2015-11-05 David Jeffrey Eberlein Jar and floatable lid assembly
KR101804672B1 (ko) * 2016-05-11 2017-12-05 정규천 나사 및 힌지의 복합 개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10B1 (ko) * 2009-03-25 2009-08-19 이성환 화장품 케이스
KR101173162B1 (ko) * 2010-08-16 2012-08-16 변재삼 기밀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236050B1 (ko) * 2012-11-27 2013-02-28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US20150314934A1 (en) * 2014-05-02 2015-11-05 David Jeffrey Eberlein Jar and floatable lid assembly
KR101804672B1 (ko) * 2016-05-11 2017-12-05 정규천 나사 및 힌지의 복합 개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639B1 (ko) * 2020-12-23 2022-04-14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820B1 (ko) 화장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시스템을 위한 보호 장치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EP3289914B1 (en) Compact container
EP3733550A1 (en) Cosmetic container
US20080095567A1 (en) Bar-Like Cosmetic Delivering Container
JPH03148484A (ja) 分与装置
KR101661581B1 (ko) 펌프 타입 콤팩트 용기
KR101527758B1 (ko) 에어리스 콤팩트 용기
KR20150010306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2053625B1 (ko) 화장품 용기
KR2022007855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20210079088A (ko) 이중 용기
KR102271374B1 (ko) 펌프 조립체
KR200449883Y1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
KR101896042B1 (ko) 가압 토출식 콤팩트 용기
JP6887720B2 (ja) 化粧料包装体及び化粧料容器
KR101910054B1 (ko) 회전 토출식 콤팩트 용기
KR100814317B1 (ko) 토출유닛 출몰식 디스펜서
KR102070689B1 (ko) 펌프 잠금 구조를 구비한 마시지 용기
JP5143478B2 (ja) 繰り出し容器
KR102534955B1 (ko) 화장품 용기
KR20210132846A (ko) 밀폐용기
KR102664580B1 (ko) 콤팩트 타입 화장품용 리필케이스
KR102631431B1 (ko) 회전에 의해 헤드부가 승강하는 내용물 용기
KR102205461B1 (ko) 디스펜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