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955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955B1
KR102534955B1 KR1020210155349A KR20210155349A KR102534955B1 KR 102534955 B1 KR102534955 B1 KR 102534955B1 KR 1020210155349 A KR1020210155349 A KR 1020210155349A KR 20210155349 A KR20210155349 A KR 20210155349A KR 102534955 B1 KR102534955 B1 KR 102534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ver
discharge
rotat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9377A (ko
Inventor
김남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to KR1020210155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955B1/ko
Publication of KR20230069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openings in the lid, able to be opened or closed by displacing or rotating a cover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3Powder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2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for compacts, vanity boxes 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operated by rotary va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기와, 내용기의 상부에 결합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토출덮개와, 토출덮개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관통홀과 연통되어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회전덮개를 포함하고, 회전덮개는 회전에 의해서 토출덮개에 대한 높이가 변경될 수 있고, 관통홀과 배출홀이 연통되지 않는 경우 회전덮개의 높이가 감소해서 토출덮개에 대한 밀폐력이 증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회전에 의해서 내용물을 차폐하는 커버의 밀폐력을 조절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그 물상으로 구분하면 액상(liquid), 고상(solid), 분말 형태(powder) 그리고 액상 및 고상의 중간 형태에 해당하는 크림(cream) 또는 겔(gel) 타입이 있다. 그리고 고상의 화장품은 일반적으로 파우더 형상 또는 스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파우더 형상의 화장품 내용물은 압축되어 생산 및 보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퍼프(puff)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내용물을 취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80113호에는 파우더를 내용물로 하는 화장품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화장품 용기는 외부커버에 해당하는 용기뚜껑을 개방하면 퍼프를 수납할 수 있는 덮개가 노출된다. 덮개는 파우더와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용물용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힌지에 의해서 내용물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퍼프를 잡고 덮개를 개방한 후 노출된 내용물을 퍼프를 이용해서 취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화장품 용기는 덮개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에 해당하는 파우더가 날려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파우더를 보관하는 용기의 특성상 내용물용기는 밀폐력이 요구되고, 이로 인해 덮개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덮개가 파우더를 외부로 잡아당기게 됨으로써 파우더 날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파우더의 날림 현상은 내용물용기를 오염시키고 나아가 내용물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내용물 유출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기와, 내용기의 상부에 결합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토출덮개와, 토출덮개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관통홀과 연통되어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회전덮개를 포함하고, 회전덮개는 회전에 의해서 스크류 나사산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토출덮개에 대한 높이가 변경될 수 있고, 관통홀과 배출홀이 연통되지 않는 경우 회전덮개의 높이가 감소해서 토출덮개에 대한 밀폐력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덮개는 배출홀이 형성된 회전둘레면을 구비하고, 회전둘레면의 하면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관통홀과 배출홀이 연통되는 경우, 씰링부재는 관통홀의 둘레를 밀폐할 수 있다.
씰링부재는 이중 사출에 의해서 회전덮개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씰링부재는 다수 개의 관통홀의 둘레를 커버할 수 있는 홀씰링과, 회전바닥면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센터씰링과, 홀씰링과 센터씰링을 연결하는 연결씰링을 포함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덮개는 상부둘레면을 구비하고, 상부둘레면의 내주면에는 높이조절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덮개는 상부둘레면의 내주면과 접하는 회전둘레면을 구비하고, 회전둘레면의 외주면에는 높이조절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높이조절돌기가 높이조절홈의 내부에서 이동함으로써 회전덮개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홈은 양단부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토출덮개는 원호 형상의 회전조절홀을 구비하고, 회전덮개는 회전조절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조절돌기를 구비하며, 회전조절홀의 내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조절돌기는 스토퍼를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조절홀의 일 측에는 완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내용물 유출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예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회전덮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토출덮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예시된 토출덮개와 높이조절홈의 확대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예시된 토출덮개와 회전조절홀의 확대 도면이다.
도 7은 회전덮개가 회전에 의해서 하강해서 토출덮개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회전덮개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해서 씰링부재가 관통홀 주변을 밀폐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를 예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100)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파우더(powder)와 같은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을 저장하면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내용기(110)와, 내용기(110)의 상부에 결합하는 토출덮개(120)와, 토출덮개(1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서 내용물의 토출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회전덮개(150)를 포함한다. 특히, 회전덮개(150)는 회전에 의해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토출덮개(120)에 대한 밀폐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용기(110), 토출덮개(120) 및 회전덮개(150)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100)는 다른 외용기(도시하지 않음)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사용되거나 또는 회전덮개(150)의 상부에 별도의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내용물로서 파우더뿐만 아니라 겔이나 액상의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내용기(100)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내용기(110)는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외부둘레면(112)과 내부둘레면(114)을 포함한다. 외부둘레면(112)은 내용기(110)의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둘레면(114)에 비해서 높게 형성된다. 외부둘레면(112)의 상부 내주면은 토출덮개(120)의 상부둘레면(122)과 접한다. 그리고 내부둘레면(114)의 내부에는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이 저장된다. 또한, 내부둘레면(114)의 상단부 둘레에는 토출덮개(120)의 하부둘레면(130)이 삽입된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100)의 회전덮개(150)의 저면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회전덮개(150)를 포함한다. 회전덮개(150)는 회전에 의해서 토출덮개(120)에 형성된 관통홀(134)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덮개(150)의 저면에는 토출덮개(120)에 형성된 관통홀(134)의 형상에 대응하는 씰링부재(164)가 형성되어 있는데, 씰링부재(164)는 관통홀(134)의 둘레를 밀폐해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토출덮개(120)와 회전덮개(!50) 사이 공간으로 의도하지 않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덮개(150)는 회전둘레면(152) 및 걸림둘레면(156)으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둘레면과, 회전바닥면(16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둘레면(152, 156) 및 회전바닥면(160)에 의해서 회전덮개(150)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회전덮개(150)의 내부공간에는 퍼프(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터가 수납될 수 있다.
회전덮개(150)의 회전둘레면(152)은 회전덮개(150)의 내부공간의 내주면을 형성하고 그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걸림둘레면(156)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둘레면(152)은 걸림둘레면(156)에 비해서 길게 형성된다. 회전둘레면(152)과 걸림둘레면(156)의 사이에 해당하는 걸림홈(158)에는 토출덮개(120)의 상부둘레면(12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회전둘레면(152)의 외주면에는 높이조절돌기(154)가 외향 돌출되어 있다. 높이조절돌기(154)는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경우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돌기(154)는 토출덮개(120)의 상부둘레면(122)의 내주면에 형성된 높이조절홈(124)에 삽입되어 그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홈(124)의 내부에서 높이조절돌기(154)의 위치에 따라서 토출덮개(120)에 대한 회전덮개(150)의 높이와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걸림둘레면(156)은 회전둘레면(152)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위치한다. 따라서 걸림둘레면(156)은 사용자가 회전을 위해 파지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회전덮개(150)는 편평한 원형의 회전바닥면(160)을 구비한다. 회전바닥면(160)에는 다수 개의 배출홀(162)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바닥면(160)의 저면에는 배출홀(162)의 둘레를 커버하는 실링부재(16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바닥면(160)의 저면에는 한 쌍의 회전조절돌기(172)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바닥면(160)은 토출덮개(120)의 토출바닥면(13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회전바닥면(160)과 토출바닥면(132) 사이에는 씰링부재(164)가 위치한다. 씰링부재(164)는 내용물의 미사용시(도 7 참조) 관통홀(134)을 벗어나 그 둘레에 위치한다. 그리고 씰링부재(164)는, 내용물을 사용하는 경우(도 8 참조), 관통홀(134)의 둘레를 밀폐하면서(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 내용물이 관통홀(134) 및 배출홀(162)을 통해서만 배출되게 한다.
씰링부재(164)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을 이용해서 이중 사출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씰링부재(164)는 관통홀(134)의 형상에 대응해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재(164)는 슬롯 형상을 갖고 회전바닥면(16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씰링부재(164)는 회전바닥면(160)의 중앙에서 모두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회전바닥면(160)의 중앙에는 센터씰링(170)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홀(134)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홀씰링(16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씰링(170)과 홀씰링(166)은 연결씰링(168)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홀씰링(166)은 관통홀(134)의 형상에 대응해서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바닥면(160)에 형성된 배출홀(162)은 홀씰링(166)에 대응하는 슬롯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배출홀(162)은 회전바닥면(16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회전덮개(150)의 회전에 의해서 배출홀(162)의 위치가 관통홀(134)과 일치되는 경우(도 8 참조) 내용물은 관통홀(134) 및 배출홀(162)을 통과해서 회전바닥면(160)의 상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씰링부재(164)의 홀씰링(166)은 관통홀(134)의 둘레에 위치하면서 내용물이 배출홀(162)을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하고, 토출바닥면(132)과 회전바닥면(160) 사이의 다른 공간으로는 배출되지 않게 한다.
회전덮개(150)의 회전에 의해서 배출홀(162)이 관통홀(134)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7 참조), 홀씰링(166)은 관통홀(134)과 관통홀(134)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압착된 상태에 있다. 이때, 회전덮개(150)와 토출덮개(120) 사이 간격이 최소이므로 회전덮개(150)의 밀폐력이 최대로 된다.
회전바닥면(160)의 하면에 형성된 회전조절돌기(172)는 토출덮개(120)의 토출바닥면(132)에 형성된 회전조절홀(13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회전덮개(150)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조절돌기(172)가 회전조절홀(136)을 따라서 이동하기 때문에 회전덮개(150)의 회전이 제한된다.
도 4는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100)의 토출덮개(12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예시된 토출덮개(120)와 높이조절홈(124)의 확대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 예시된 토출덮개(120)와 회전조절홀(136)의 확대 도면이다. 참고로, 도 4에서 점선은 관통홀(134)과 배출홀(162)이 상하 방향에서 일치할 때 씰링부재(164)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토출덮개(120)는 내용기(110)와 회전덮개(150) 사이에 위치하면서 내용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토출덮개(120)의 상부에는 회전덮개(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덮개(150)의 회전에 의해서 관통홀(134)과 배출홀(162)의 위치가 일치하면 내용물이 회전바닥면(160)의 상부로 배출될 수 있다.
토출덮개(120)는 상부둘레면(122), 하부둘레면(130) 및 토출바닥면(132)을 포함한다.
상부둘레면(122)은 일정한 높이 및 원형의 횡단면을 가져서 토출바닥면(132)과 함께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둘레면(122)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회전덮개(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상부둘레면(122)의 내주면에는 높이조절홈(124) 및 진입홈(126)이 형성되어 있다.
높이조절홈(124) 및 진입홈(126)은 상부둘레면(122)에서 일정한 깊이를 갖고 형성된 홈에 해당한다. 진입홈(126)은 상부둘레면(122)의 상단부를 향해 그 일단이 개방되어 있어서, 회전덮개(150)에 형성된 높이조절돌기(154)가 높이조절홈(124)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높이조절홈(124)은 원호(arc) 형상을 갖고 그 중앙이 진입홈(126)과 연결되어 있다. 높이조절홈(124) 및 진입홈(126)은 전체적으로 역 T 형상을 갖는다.
높이조절홈(124)은 높이가 다른 두 개의 단부(a, b)를 구비하는데, 하나의 단부(a)는 다른 단부(b)에 비해서 더욱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덮개(150)에 형성된 높이조절돌기(154)는 높이조절홈(124)의 단부(a, b)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높이조절돌기(154)가 높이조절홈(124)의 일 단부(a)에 위치하는 경우(도 8 참조) 회전덮개(150)와 토출덮개(120) 사이의 간격이 최대로 되면서 씰링부재(164)에 대한 가압력이 최소로 된다. 또한, 높이조절돌기(154)가 높이조절홈(124)의 타 단부(b)에 위치하는 경우(도 7 참조) 회전덮개(150)와 토출덮개(120)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되면서 씰링부재(164)에 대한 가압력이 최대로 되고, 토출덮개(120)에 대한 회전덮개(150)의 밀폐력이 최대로 된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홈(124)은 스크류 나사산의 나선형 곡선 형상을 가져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회전덮개(150)의 높낮이 및 씰링부재(164)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높이조절홈(124) 및 진입홈(126)은 상부둘레면(122)의 내주면에 2개가 180도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하부둘레면(130)은 토출바닥면(132)에서 하향 돌출된 것으로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하부둘레면(130)은 내용기(110)의 내부둘레면(114)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된다.
토출바닥면(132)은 원형 형상을 갖고 다수 개의 관통홀(134), 회전조절홀(136) 및 완충홀(14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34)은 다수 개가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일렬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관통홀(134)은 내용기(110)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통로에 해당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통홀(134)이 배출홀(162)과 상하 방향에서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도 8 참조)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고, 관통홀(134)과 배출홀(162)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내용물은 회전덮개(150)에 의해서 차폐되어서 배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출덮개(120)는 다수 개의 관통홀(134)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관통홀(134)의 형상 및 배열 구조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덮개는 관통홀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동심원 형태 또는 격자 형태 등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토출바닥면(132)의 가장자리에는 두 개의 회전조절홀(136)이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조절홀(136)은 원호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는 회전조절돌기(17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회전덮개(150)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조절돌기(172)는 회전조절홀(136)의 양단부 사이를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회전덮개(15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즉, 회전조절홀(136)의 내부에서 회전조절돌기(172)가 일단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관통홀(134)과 배출홀(162)가 일치해서 개방된 상태에 있고, 타단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관통홀(134)과 배출홀(162)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전조절홀(136)의 내부에는 내향 돌출된 스토퍼(138)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38)는 곡선 형상을 가져서 회전조절돌기(172)가 이를 통과할 수 있다. 회전조절돌기(172)가 스토퍼(138)를 통과할 때 사용자에게 진동이 전달되는데, 이로 인해 사용자는 회전덮개(15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138)는 회전덮개(150)의 회전 각도를 컨트롤 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회전조절돌기(172)가 스토퍼(138)를 통과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고 회전덮개(15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때는 도 7과 같이 회전덮개(150)가 최대로 하강해서 회전덮개(150)의 밀폐력이 최대인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38)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회전덮개(138)의 회전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덮개(150)가 최대로 하강한 경우 스토퍼(138)에 의해서 회전덮개(150)가 상승하기 위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회전조절홀(136)은 토출바닥면(132)에서 관통 형성된 것으로, 이를 통해서 토출바닥면(132)의 상부에 잔존하는 내용물이 내용기(110)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회전조절홀(136)의 일 측에서 스토퍼(138)의 후방에는 원호 형상의 완충홀(140)이 형성되어 있다. 완충홀(140)은 회전조절홀(136)에 비해서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스토퍼(138)가 탄성적으로 후퇴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회전조절돌기(172)가 스토퍼(138)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회전덮개(150)가 회전에 의해서 하강해서 토출덮개(120)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회전덮개(150)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해서 씰링부재(164)가 관통홀(134) 주변을 밀폐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회전덮개(150)의 회전에 의해서 높이조절돌기(154)가 회전조절홀(136) 내부를 왕복하면서 토출덮개(120)에 대한 회전덮개(150)의 높이가 변경된다.
높이조절돌기(154)가 회전조절홀(136)의 일 단부(도 5에서 높이가 가장 낮은 단부인 b)에 위치하는 경우, 도 7과 같이 토출덮개(120)에 대한 회전덮개(150)의 높이(c)가 최소로 된다. 이로 인해, 토출바닥면(132)의 상면과 회전바닥면(160)의 하면 사이의 간격이 최소가 되거나 접촉함으로써, 회전덮개(150)의 밀폐력이 강화된다.
그리고 이때 씰링부재(164)는 도 7과 같이 최대로 가압되어 수축되면서 관통홀(134)과 관통홀(134) 사이에 위치하면서 밀폐력이 강화된다. 이때는 관통홀(134)과 배출홀(162)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관통홀(134)을 통과한 내용물은 회전바닥면(160)의 상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도 7과 같이 회전덮개(150)가 최대로 하강한 상태는 회전덮개(150) 및 씰링부재(164)의 밀폐력이 최대인 상태로서,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 해당한다.
높이조절돌기(154)가 회전조절홀(136)의 타 단부(도 5에서 높이가 가장 높은 단부인 a)에 위치하는 경우, 도 8과 같이 토출덮개(120)에 대한 회전덮개(150)의 높이(d>c)가 최대로 된다. 그리고 이때 씰링부재(164)는 도 8과 같이 최소로 가압되어서 관통홀(134)의 둘레에 위치한다(도 4에서 점선으로 예시). 이때는 관통홀(134)과 배출홀(162)이 일치한 상태이므로 관통홀(134)을 통과한 내용물은 둘레에 위치한 씰링부재(164)에 의해서 다른 공간으로 유출되지 않고 상부의 배출홀(162)으로만 이동하게 된다. 도 8과 같이 회전덮개(150)가 최소로 하강한 상태는 회전덮개(150)의 밀폐력이 최소인 상태로서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한 상태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회전덮개(150)의 회전에 의해서 토출덮개(120)에 대한 회전덮개(1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씰링부재(164)의 밀폐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장품용기
110: 내용기
120: 토출덮개
122: 상부둘레면
124: 높이조절홈
132: 토출바닥면
134: 관통홀
136: 회전조절홀
138: 스토퍼
150: 회전덮개
154: 높이조절돌기
160: 회전바닥면
162: 배출홀
164: 씰링부재
172: 회전조절돌기

Claims (8)

  1.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용기;
    상기 내용기의 상부에 결합하고,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토출덮개; 및
    상기 토출덮개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어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을 구비하는 회전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덮개는 회전에 의해서 스크류 나사산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토출덮개에 대한 높이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과 상기 배출홀이 연통되지 않는 경우 상기 회전덮개의 높이가 감소해서 상기 토출덮개에 대한 밀폐력이 증가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덮개는 상기 배출홀이 형성된 회전둘레면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둘레면의 하면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과 상기 배출홀이 연통되는 경우,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밀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는 이중 사출에 의해서 상기 회전덮개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덮개는 상기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씰링부재는 다수 개의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커버할 수 있는 홀씰링과, 상기 회전바닥면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센터씰링과, 상기 홀씰링과 상기 센터씰링을 연결하는 연결씰링을 포함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덮개는 상부둘레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둘레면의 내주면에는 높이조절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덮개는 상기 상부둘레면의 내주면과 접하는 회전둘레면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둘레면의 외주면에는 높이조절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돌기가 상기 높이조절홈의 내부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회전덮개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홈은 양단부의 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덮개는 원호 형상의 회전조절홀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덮개는 상기 회전조절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조절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조절홀의 내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조절돌기는 상기 스토퍼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홀의 일 측에는 완충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210155349A 2021-11-12 2021-11-12 화장품 용기 KR102534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349A KR102534955B1 (ko) 2021-11-12 2021-11-12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349A KR102534955B1 (ko) 2021-11-12 2021-11-12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377A KR20230069377A (ko) 2023-05-19
KR102534955B1 true KR102534955B1 (ko) 2023-05-26

Family

ID=8653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349A KR102534955B1 (ko) 2021-11-12 2021-11-12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9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050B1 (ko) 2012-11-27 2013-02-28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KR200476614Y1 (ko) 2013-10-14 2015-03-13 (주)더페이스샵 화장품 용기
KR101840122B1 (ko) 2016-09-09 2018-03-20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용 파우더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7874B2 (ja) * 1997-01-28 2006-11-22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パウダー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050B1 (ko) 2012-11-27 2013-02-28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KR200476614Y1 (ko) 2013-10-14 2015-03-13 (주)더페이스샵 화장품 용기
KR101840122B1 (ko) 2016-09-09 2018-03-20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용 파우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377A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044B1 (ko) 콤팩트 용기
US20180116368A1 (en) Compact container
KR101861810B1 (ko) 액상 화장품 토출 장치
KR101049783B1 (ko) 누액방지기능을 갖는 회전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2534955B1 (ko) 화장품 용기
KR102395106B1 (ko) 화장품 용기
KR102031115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KR101802133B1 (ko)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035519B1 (ko) 듀얼 믹싱용기
KR102080707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KR102325090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KR102104248B1 (ko) 회전 개폐형 화장품 용기
KR102053625B1 (ko) 화장품 용기
KR101143948B1 (ko) 콤팩트 용기
KR102279516B1 (ko) 분쇄 용기
KR101883730B1 (ko) 듀얼 믹싱용기
KR20200121092A (ko) 화장품 용기
KR101915293B1 (ko)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WO2019107051A1 (ja) 化粧料包装体及び化粧料容器
KR101797126B1 (ko) 액상 화장품 토출 장치
KR102643868B1 (ko) 내용물 용기
KR102016105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KR102356590B1 (ko) 화장품 용기
KR101727237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2016104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