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837A -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837A
KR20230092837A KR1020230072736A KR20230072736A KR20230092837A KR 20230092837 A KR20230092837 A KR 20230092837A KR 1020230072736 A KR1020230072736 A KR 1020230072736A KR 20230072736 A KR20230072736 A KR 20230072736A KR 20230092837 A KR20230092837 A KR 20230092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rim
airtigh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병
구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지테크
Priority to KR1020230072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2837A/ko
Publication of KR20230092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04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comprising U-shaped or bifurcated members coacting with containers these members remaining connected with the closure and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pivoted bails
    • B65D45/06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comprising U-shaped or bifurcated members coacting with containers these members remaining connected with the closure and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pivoted bails associated with toggle levers, e.g. swing stoppe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밀폐커버는 용기의 개구부를 에워싸는 용기테두리에 결합되는 밀폐커버로서,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커버테두리; 상기 용기테두리의 하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힌지에 의해 상기 커버테두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잠금날개; 및 상기 잠금날개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에서는, 잠금날개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힌지가 용기테두리 아래에 위치하므로, 커버테두리는 용기테두리의 모든 부분을 온전히 에워쌀 수 있다. 이는 패킹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밀폐가 해제되거나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SEALING COVER HAVING IMPROVED UTILITY AND SEALABLE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위생적으로 보관하고 보관 기간을 늘리기 위해 밀폐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밀폐용기는 용기 내부를 기밀(airtight)하게 밀폐하여 공기의 소통을 차단함으로써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더 오래 보존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인 밀폐용기에서는 커버에 잠금날개가 구비되어 있고, 잠금날개의 내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의 테두리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잠금날개를 내려 커버의 걸림돌기가 용기 테두리의 걸림홈에 삽입되게 하여 용기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밀폐용기에서는 걸림돌기와 걸림홈이 특수한 형상을 갖고, 이로 인해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걸림돌기가 동일한 설계를 가진 걸림홈에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커버를 동일한 세트의 대응하는 용기에만 사용이 가능하고, 커버와 크기가 같더라도 대응하는 걸림홈을 가진 용기에는 밀폐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 또한, 걸림홈은 일반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 작은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용기의 걸림홈에 이물질이 진입하게 되면 이를 세척하기 어렵고, 이는 용기의 미관 및 위생 상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밀폐용기에서는 커버가 용기의 테두리에 얹혀진 상태에서 잠금날개가 조작되므로, 커버의 테두리 중 일부는 잠금날개의 공간을 위해 절개된 형상을 갖게 된다. 이는 커버에 장착되는 패킹 등이 외부에 노출되게 할 수 있고, 또한 커버의 구조적 강도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양한 형상의 용기테두리와 결합할 수 있는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증가된 구조적 강도를 가져 적은 수의 잠금날개로도 용기를 밀폐시키는 것이 가능한 밀폐커버 및 밀폐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 밀폐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밀폐커버는 용기의 개구부를 에워싸는 용기테두리에 결합되는 밀폐커버로서,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커버테두리; 상기 용기테두리의 하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힌지에 의해 상기 커버테두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잠금날개; 및 상기 잠금날개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커버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잠금날개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폐커버는 상기 용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잠금날개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폐커버는 상기 용기에 결속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날개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힌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지지돌기가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힌지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힌지와 상기 용기의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설정되어, 상기 잠금날개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힌지, 상기 잠금날개 및 상기 지지돌기 중 적어도 하나에 탄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날개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돌기의 내측 표면은 상기 용기테두리 아래의 측벽에 평행하여 상기 지지돌기의 말단부는 상기 용기테두리의 하부에 접촉하고 상기 지지돌기의 내측 표면은 상기 측벽과 면접촉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잠금날개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힌지에 의해 상기 커버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힌지 사이에는 상기 잠금날개가 상기 커버테두리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여유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테두리는 상기 용기테두리의 하부 아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커버테두리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테두리의 일부의 내면과 상기 용기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테두리의 다른 일부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용기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테두리의 일부의 외측과 상기 용기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테두리의 다른 일부의 외측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테두리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커버본체의 일부가 상기 걸림턱에 접촉하면서 상기 커버본체가 상기 커버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본체는 패킹을 결합하기 위한 패킹홈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테두리는 상기 패킹홈의 다른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패킹을 결합하기 위한 패킹홈이 상기 커버본체 또는 상기 커버테두리에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 밀폐커버를 포함하는 밀폐용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에서는, 잠금날개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힌지가 용기테두리 아래에 위치하므로, 커버테두리는 용기테두리의 모든 부분을 온전히 에워쌀 수 있다. 이는 패킹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밀폐가 해제되거나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테두리에 잠금날개를 위한 공간을 절개할 필요가 없으므로 커버테두리는 강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밀폐용기와는 달리 잠금날개를 두 개의 대향하는 변에만 구비하여도 밀폐커버가 견고히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날개의 회전을 위한 힌지를 커버테두리의 하단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커버테두리의 외측 표면에 비해 잠금날개가 외측으로 돌출하는 정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잠금날개가 커버테두리의 외측 표면 너머 더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는 더 넓은 범위의 치수를 가진 용기에 결합될 수 있고, 같은 세트로 제작된 용기 이외에도 다양한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에서는 커버본체와 커버테두리를 별도로 제작하여 서로 조립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밀폐커버의 분해를 가능하게 하여 세척 등을 용이하게 하고, 커버본체와 커버테두리에 다른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여 잠금날개의 조작에 요구되는 탄성 변형을 제공하면서도 커버본체가 높은 내열성을 갖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내측", "외측", "상측" 및 "하측" 등의 표현을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내측"이라 함은 밀폐용기(1000)의 내부에 가까운 쪽을 지칭하려는 것이고, "외측"이라 함은 밀폐용기(1000)의 내부에 먼 쪽을 지칭하려는 것이다. 한편, "상측"이라 함은 용기(100)가 개방된 방향을 지칭하려는 것이고, "하측"이라 함은 그 반대 방향을 지칭하려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0)의 실제 사용시에는 명세서에서 언급된 상측 방향이 실제 상측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10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밀폐용기(1000)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0)는 기본적으로 용기(100)와 밀폐커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0)는 그 내측에 내부공간(105)을 형성하여 내용물을 담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고, 밀폐커버(200)는 용기(100) 상부에 형성된 용기테두리(150)에 결합되어 내부공간(105)을 밀폐시키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용기(100)는 바닥면(110)과 측벽(120)을 포함하여 그 내측에 내부공간(105)을 형성할 수 있다. 용기(100)는 유리, 합성수지, 금속 등 매우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용기(100)의 측벽(120)은 바닥면(110)으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는데,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외측으로 경사진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도 있다. 측벽(120)의 상단에는 용기테두리(150)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테두리(150)는 내부공간(105)의 개방된 상부를, 즉 용기(100)의 개구부를 에워싸는 부분을 이룬다. 용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고 용기(100)의 상단부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용기테두리(150)는 외부로 약간 돌출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0)에서 용기(100)가 취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용기테두리(150)가 묘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서와 같이 용기테두리(150a)가 용기(100)의 측벽(120)에 대해 절곡된 각을 이루며 형성될 수도 있고, 도 6의 (b)에서와 같이 용기테두리(150b)가 용기(100)의 측벽(120)으로부터 굴곡을 그리며 외측으로 돌출할 수도 있고, 도 6의 (c)에서와 같이 용기테두리(150c)의 하측에 지지돌기(350)의 말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용기테두리(150)는 지지돌기(350)가 접촉하여 상하 방향을 따라 저항력을 가할 수 있는 한 다양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밀폐커버(200)는 용기(100) 상부에 형성된 용기테두리(150)에 결합되어 내부공간(105)을 밀폐시킬 수 있다. 밀폐커버(200)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특히 커버테두리(250)와 잠금날개(300) 주변에는 높은 강도를 제공하면서도 약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는 크게 커버본체(210), 밀착부(220), 패킹(240), 커버테두리(250), 힌지(260), 잠금날개(300) 및 지지돌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본체(210)는 밀폐커버(200)의 주요 부분으로서, 용기(100)의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본체(210)에는 밀폐커버(200)의 결합을 위한 구성요소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밀착부(220)는 커버본체(210)의 일부로서 용기테두리(150)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도록 커버본체(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220)는 커버본체(210)에 비해 위로 돌출하여 그 하측에 패킹(240)을 삽입하기 위한 패킹홈(23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밀착부(220)의 상면은 용기(100)의 하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을 이루며 위로 돌출하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이는 밀폐커버(200)의 디자인적 요소로 작용하는 동시에 동일한 크기의 밀폐커버(200)를 쉽게 포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패킹홈(230) 및 패킹(240)이 생략된 채 밀착부(220) 자체가 패킹(24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착부(220)의 하부가 용기테두리(150)에 밀착하여 밀폐 성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밀착부(220) 상부의 형상 및 밀착부(220)가 위로 돌출하는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패킹(240)은 패킹홈(230)에 삽입되어 용기(100)와 밀폐커버(200) 사이에 높은 밀폐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패킹(240)이 패킹홈(230)에 삽입된다 함은 패킹(240)이 밀폐커버(200)의 일부로서 그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포괄하는 것이다. 패킹(240)은 고무, 실리콘(silicone) 등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패킹홈(230)이 용기테두리(150)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패킹(240) 역시 자연히 용기테두리(15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잠금날개(300)가 체결되면, 밀폐용기(200)가 용기(100)를 향해 압박될 수 있고, 패킹(240)은 용기테두리(150)에 압착될 수 있다. 패킹(240)은 밀폐커버(200)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빈틈없이 용기테두리(150)를 접촉하여 공기의 소통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테두리(250)는 커버본체(2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테두리(250)는 커버본체(210)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하향 연장될 수 있고, 용기테두리(150)의 하부보다 더 아래까지 연장되어 용기테두리(150)의 외측을 온전히 에워쌀 수 있다. 커버테두리(250)는 그 내면이 용기테두리(150)의 외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도록 설계될 수 있지만, 후술되는 바와 같이 커버테두리(250)가 용기테두리(150)보다 더 외측에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커버테두리(250)는 밀착부(220)로부터 하향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밀착부(220)가 그 하부에 패킹홈(230)을 형성하며 위로 돌출할 수 있고, 커버테두리(250)는 밀착부(22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 연장되면서 패킹홈(23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힌지(260)는 잠금날개(300)가 커버테두리(250)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잠금날개(300)가 커버테두리(25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커버테두리(250)가 폴리프로필렌(PP) 재질로 형성된 경우, 힌지(260)는 잠금날개(3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얇은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60)는 용기테두리(150)의 하부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잠금날개(300)는 용기테두리(150)의 하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커버테두리(25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힌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260) 사이에는 여유슬릿(270)이 형성될 수 있다. 여유슬릿(270)은 잠금날개(300)가 커버테두리(250)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260)는 커버테두리(25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고,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외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잠금날개(300)는 힌지(260)에 의해 커버테두리(250)에 결합될 수 있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잠금날개(300)는 힌지(26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잠금날개(30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잠금날개(3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밀폐커버(200)는 용기(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있고, 잠금날개(3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밀폐커버(200)는 용기(100)에 결속된 상태에 있다. 도 2의 (b)와 도 4는 잠금날개(300)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묘사하고, 도 2의 (a)와 도 5는 잠금날개(300)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묘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밀폐커버(200)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잠금날개(300)는 사각형의 대향하는 두 변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돌기(350)는 잠금날개(30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고, 밀폐커버(200)가 용기(100)에 결합될 때 용기테두리(150)를 가압하여 밀폐커버(200)를 아래로 당기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돌기(350)는 힌지(2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잠금날개(300)가 한 쌍의 힌지(260)에 의해 커버테두리(250)에 연결되고, 지지돌기(350)는 한 쌍의 힌지(260) 사이의 여유슬릿(270)이 형성된 위치에 인접한 부분에서 잠금날개(300)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테두리(250)에서 여유슬릿(270)에 인접한 부분에는 오목부(280)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280)는 커버테두리(250)의 내면의 일부가 오목하게 제거된 것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부분으로서 지지돌기(35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테두리(250)에 오목부(280)가 형성되고 지지돌기(250)가 오목부(280)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커버테두리(250)가 지지돌기(350) 및 잠금날개(300)의 회전을 방해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지지돌기(350)가 연장되는 길이는, 힌지(260)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힌지(260)와 용기(100)의 측벽(120)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날개(30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될 때 힌지(260), 잠금날개(300)와 지지돌기(350)에는 탄성 변형이 발생하면서 지지돌기(350)가 용기(100)의 측벽(120)에 대한 오버랩을 넘어가면서 용기테두리(150) 아래의 위치로 삽입될 수 있다. 지지돌기(350)에 인접한 위치에는 잠금날개(300)가 커버테두리(250)에 연결되는 힌지(260)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여유슬릿(270)이 형성되어 있어, 힌지(260), 잠금날개(300) 및 지지돌기(350)가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재질로 형성된 경우 요구되는 탄성 변형이 어렵지 않게 발생할 수 있다.
지지돌기(350)의 내측 표면은, 잠금날개(300)가 도 4에서와 같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용기테두리(150) 아래의 측벽(120)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날개(300)가 제2 위치로 회전되면, 지지돌기(350)의 말단부는 용기테두리(150)의 하부에 접촉하고 지지돌기(350)의 내측 표면은 측벽(120)과 면접촉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지지돌기(350)는 오목부(28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60)가 용기테두리(150)의 하부보다 아래에 위치하므로, 잠금날개(3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지지돌기(350)는 아래에서 위로 연장되어 용기테두리(150)에 접촉할 수 있다. 지지돌기(350)가 용기테두리(150)의 하부를 가압하므로 밀폐커버(200) 전체를 아래로 당기게 되고, 이는 패킹(240)이 용기테두리(150)의 상면에 압착되게 하여 용기(100)의 내부공간(105)이 밀폐되게 할 수 있다.
위에 제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1000)는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잠금날개(300)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힌지(260)가 용기테두리(150) 아래에 위치하므로, 커버테두리(250)는 용기테두리(150)의 모든 부분을 온전히 에워쌀 수 있다. 이는 패킹(2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밀폐가 해제되거나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커버테두리(250)에 잠금날개(300)를 위한 공간을 절개할 필요가 없으므로 커버테두리(250)는 강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밀폐용기에서는 커버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커버의 사변에 각각 걸림부 및/또는 잠금날개를 구비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에서는 커버에 가해지는 힘을 커버테두리(250)가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도 2에서와 같이 잠금날개(300)를 두 개의 대향하는 변에만 구비하여도 밀폐커버(200)가 견고히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잠금날개(300)의 회전을 위한 힌지(260)를 커버테두리(250)의 하단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커버테두리(250)의 외측 표면에 비해 잠금날개(300)가 외측으로 돌출하는 정도를 크게 줄일 수 있고,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잠금날개(300)가 커버테두리(250)의 외측 표면 너머 더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밀폐커버(200)와 다수의 공통점을 가지며,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이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1000)의 양측에 잠금날개(300)가 구비될 수 있고, 각 잠금날개(300)에 형성된 지지돌기(350)는 용기테두리(150)를 아래에서 접촉할 수 있다. 지지돌기(350)와 패킹(240)이 용기테두리(150)를 각각 아래와 위에서 접촉하고 밀폐용기(1000) 양측의 지지돌기(350)가 용기(100)를 양측에서 접촉하므로, 밀폐커버(200)의 커버테두리(250)가 반드시 용기테두리(150)에 접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밀폐커버(200)의 커버테두리(252)는 그 내측 표면이 용기테두리(150)로부터 외측으로 후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국, 용기(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커버테두리(250)의 일부의 내면과 용기(1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커버테두리(250)의 다른 일부의 내면 사이의 거리가, 용기(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용기테두리(150)의 일부의 외측과 용기(1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용기테두리(150)의 다른 일부의 외측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간단히 표현하자면, 밀폐용기(1000)의 대향하는 두 변을 고려할 때, 양쪽 커버테두리(250)의 내면 사이의 거리가 양쪽 용기테두리(150)의 외측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많은 경우, 밀폐용기의 용기 부분은 깨끗한 미관을 제공하고 내열성이 높은 유리 재료로 제작된다. 그러나 유리 재료로 제품을 제작할 때에는 다른 재료가 이용되는 경우에 비해 제조 오차가 큰 편이며,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밀폐커버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걸림홈을 가진 용기를 유리로 제작하면 불량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 및 밀폐용기(1000)는 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데, 밀폐커버(200)의 지지돌기(350)가 대응하는 걸림홈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지 외측으로 돌출하는 용기테두리(150)만을 요구하므로 유리 또는 기타 재료로 제작되는 용기(100)의 제조 오차를 큰 범위까지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도 7에서와 같이 내측 표면이 외측으로 후퇴한 커버테두리(252)에 의해 더 증폭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밀폐커버(200)의 패킹(240)은 여전히 용기테두리(15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커버테두리(252)의 내측 표면은 용기테두리(150)의 외측에 대응하는 설계상의 위치보다 더 외측으로 후퇴해 있다. 따라서 용기테두리(150)가 제조상의 오차로 인해 더 외측으로 돌출하더라도 밀폐커버(200)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용기(100)의 측벽(120) 자체가 제조상의 오차로 인해 더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커버테두리(252)의 패킹(240)은 용기테두리(150)의 상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며 밀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 및 밀폐용기(1000)는 커버테두리(250, 252)가 용기테두리(150)에 접촉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밀폐커버(200)가 더 넓은 범위의 치수를 가진 용기(100)에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커버본체(210)와 커버테두리(250)가 서로 결합되어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에서는 커버테두리(250)에 잠금날개(300) 등을 위한 절개 부분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커버테두리(250)가 상하 방향을 따라 충분한 길이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 자체적으로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커버본체(210)의 밀착부(222)가 소정 높이까지만 도달하고, 커버테두리(250)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턱(254)이 형성되어 있다. 밀폐커버(200)의 조립시 제조자는 커버테두리(250)를 커버본체(210)의 위에서 커버본체(2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시켜 걸림턱(254)이 밀착부(222)의 위에 안착되게 할 수 있다. 커버본체(210)와 커버테두리(250)는 서로 결합되면서 함께 패킹홈(23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밀착부(222)가 패킹홈(230)의 상면과 내측벽을 형성하고, 커버테두리(250)의 내측 표면이 패킹홈(230)의 외측벽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버본체(210)와 커버테두리(250)는 이들 간의 결합을 강화시키기 위한 돌기와 홈 등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 없이 단지 압입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밀폐커버(200)의 세척 등을 위해 필요에 따라 커버본체(210), 커버테두리(250) 및 패킹(24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커버본체(210)와 커버테두리(250)가 조립되는 구조로 구현된 경우, 커버본체(210)와 커버테두리(250) 각각을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테두리(250) 및 이에 연결되는 잠금날개(300), 지지돌기(350) 등은 잠금날개(300)의 조작에 요구되는 탄성 변형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커버본체(210)는 PCT(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PCTG(PCT glycol-modified) 등의 내열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용기(100)의 내부공간(105)에 높은 온도의 음식물 등이 보관되더라도, 내열 소재로 형성된 커버본체(210)만이 용기(100)의 개구부를 덮어 내부공간(105) 내의 열에 의한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공간(105)에서 방출되는 열이 많은 경우에도, 열은 대부분 대류에 의해 커버본체(210)의 상면에서 외부로 방출되고, 전도에 의해 커버테두리(250)에 전달되는 열은 그 양이 미미하여 커버테두리(250)에 변형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커버본체(210)와 커버테두리(252)가 서로 결합되어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는 커버본체(210)의 밀착부(220)의 외측에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226)가 형성되어 돌출부(226) 위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테두리(220)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턱(256)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패킹(240)의 장착을 위한 패킹홈(230)은 커버본체(210)의 돌출부(226) 내측에서 밀착부(220)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밀폐커버(200)의 조립시 제조자는 커버테두리(252)를 커버본체(210)의 위에서 커버본체(2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시켜 걸림턱(256)이 돌출부(226) 위의 단턱에 안착되게 할 수 있다. 패킹홈(230)이 커버본체(21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패킹홈(230)의 외측벽을 형성하는 돌출부(226)는 패킹(240)의 외측 표면보다 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테두리(252)의 내측 표면은 돌출부(226)의 외측 표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패킹(240)은 용기테두리(15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커버본체(210)와 커버테두리(252)가 서로 결합되면 커버테두리(252)는 도 7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용기테두리(150)로부터 외측으로 후퇴된 구조를 갖게 된다.
도 9에는 패킹홈(230)이 커버본체(210)에만 형성되고 커버본체(210)와 커버테두리(252)가 결합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패킹홈(230)을 커버테두리(250, 252) 측에 형성하고 패킹홈(230)이 형성된 커버테두리(250, 252)를 커버본체(21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본체(210)와 커버테두리(250, 252)의 결합 구조는 달라질 수 있다.
위에 제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1000)는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지지돌기(350)가 용기테두리(150)의 하부에서 지지하고 커버테두리(250, 252)가 용기테두리(150)에 접촉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밀폐커버(200)는 더 넓은 범위의 치수를 가진 용기(100)에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용기(100)는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다양한 형상의 용기테두리(150)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는 같은 세트로 제작된 용기(100) 이외에도 다양한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여 크게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1000)는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지지돌기(350)가 용기테두리(150)의 하부에서 지지하고 커버테두리(250, 252)가 용기테두리(150)에 접촉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밀폐커버(200)는 더 넓은 범위의 치수를 가진 용기(100)에 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용기(100)는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다양한 형상의 용기테두리(150)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는 같은 세트로 제작된 용기(100) 이외에도 다양한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여 크게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커버(200)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1000)에서는 커버테두리(250, 252)에 잠금날개(300) 등을 위한 공간을 절개할 필요가 없어 자체적으로 높은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커버본체(210)와 커버테두리(250, 252)를 별도로 제작하여 서로 조립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밀폐커버(200)의 분해를 가능하게 하여 세척 등을 용이하게 하고, 커버본체(210)와 커버테두리(250, 252)에 다른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여 잠금날개(300)의 조작에 요구되는 탄성 변형을 제공하면서도 커버본체(210)가 높은 내열성을 갖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밀폐용기
100: 용기 150: 용기테두리
200: 밀폐커버 210: 커버본체
220: 밀착부 230: 패킹홈
240: 패킹 250, 252: 커버테두리
260: 힌지 270: 여유슬릿
300: 잠금날개 350: 지지돌기

Claims (10)

  1. 용기의 개구부를 에워싸는 용기테두리에 결합되는 밀폐커버로서,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커버테두리;
    상기 용기테두리의 하부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힌지에 의해 상기 커버테두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잠금날개; 및
    상기 잠금날개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밀폐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날개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폐커버는 상기 용기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잠금날개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폐커버는 상기 용기에 결속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날개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힌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돌기가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힌지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힌지와 상기 용기의 측벽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설정되어, 상기 잠금날개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힌지, 상기 잠금날개 및 상기 지지돌기 중 적어도 하나에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날개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돌기의 내측 표면은 상기 용기테두리 아래의 측벽에 평행하여 상기 지지돌기의 말단부는 상기 용기테두리의 하부에 접촉하고 상기 지지돌기의 내측 표면은 상기 측벽과 면접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커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날개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힌지에 의해 상기 커버테두리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힌지 사이에는 상기 잠금날개가 상기 커버테두리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여유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테두리는 상기 용기테두리의 하부 아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커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테두리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커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테두리의 일부의 내면과 상기 용기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테두리의 다른 일부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용기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테두리의 일부의 외측과 상기 용기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테두리의 다른 일부의 외측 사이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커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테두리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본체의 일부가 상기 걸림턱에 접촉하면서 상기 커버본체가 상기 커버테두리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본체는 패킹을 결합하기 위한 패킹홈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테두리는 상기 패킹홈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커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테두리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본체의 일부가 상기 걸림턱에 접촉하면서 상기 커버본체가 상기 커버테두리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본체 또는 상기 커버테두리에는 패킹을 결합하기 위한 패킹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커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밀폐커버를 포함하는 밀폐용기.
KR1020230072736A 2023-06-07 2023-06-07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 KR20230092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736A KR20230092837A (ko) 2023-06-07 2023-06-07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736A KR20230092837A (ko) 2023-06-07 2023-06-07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837A true KR20230092837A (ko) 2023-06-26

Family

ID=8694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736A KR20230092837A (ko) 2023-06-07 2023-06-07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28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455B1 (ko)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JP6067142B2 (ja) 化粧品容器キャップ
KR100830370B1 (ko) 밀폐용기의 뚜껑
KR101613482B1 (ko) 밀폐용기
KR101390289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200301897Y1 (ko) 밀폐용기
JP4049274B2 (ja) 中間蓋を有する多段積層式容器
AU2013318845C1 (en) Container body and storage container having the same
HUE028272T2 (en) Container
TWI664122B (zh) 容器
US9428311B2 (en) Container
KR20180002202U (ko) 분리결합이 용이한 가압밀폐용기
KR20230092837A (ko)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
KR101876732B1 (ko) 용기구조체
KR20120003816U (ko) 밀폐 용기 뚜껑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KR100673992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200403040Y1 (ko) 식품보관용 잠금구조
JP5517236B2 (ja) 容器密閉構造
KR101300698B1 (ko) 분리형 잠금날개를 구비한 밀폐용기
KR20220065726A (ko)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KR102241982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140002515U (ko) 밀폐뚜껑
KR19990082455A (ko) 화장용 기밀(氣密) 콤팩트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