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5726A -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5726A
KR20220065726A KR1020220054509A KR20220054509A KR20220065726A KR 20220065726 A KR20220065726 A KR 20220065726A KR 1020220054509 A KR1020220054509 A KR 1020220054509A KR 20220054509 A KR20220054509 A KR 20220054509A KR 20220065726 A KR20220065726 A KR 20220065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body
contact
flap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현우
Original Assignee
위드클린 주식회사
구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드클린 주식회사, 구현우 filed Critical 위드클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5726A/ko
Publication of KR20220065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726A/ko
Priority to PCT/KR2023/005269 priority patent/WO20232147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18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of snap-ov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20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 B65D45/24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incorporating pressure-applying means, e.g. screws or tog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개구부를 가진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식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식 커버는,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힌지베이스; 일측에 구비된 절곡부에 의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플랩; 상기 플랩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가 그 단부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플랩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접촉부의 접촉지지면이 상기 용기본체에 밀착되면서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지지면의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선으로 정의하고 상기 용기본체가 상기 접촉지지면에 외측을 향하는 수직항력을 가하는 지점을 가압지점으로 정의할 때,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가압지점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준선의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지점에 비해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AIRTIGHT COVER AND AIRTIGHT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조가 쉽고 사용이 편리하며 개방이 쉬운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위생적으로 보관하고 보관 기간을 늘리기 위해 밀폐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흔히 사용되고 있는 밀폐용기에서는 용기본체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에는 돌출부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걸림부를 가진 하나 이상의 잠금날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밀폐용기의 경우, 사용자는 커버의 잠금날개를 하향으로 회전시켜 잠금날개의 걸림부가 돌출부에 걸리게 하여 밀폐용기를 닫을 수 있고, 커버의 잠금날개를 상향으로 회전시켜 잠금날개의 걸림부와 돌출부 사이의 걸림이 해제되게 하여 밀폐용기를 열 수 있다.
이러한 밀폐용기에서는 잠금날개의 걸림부와 견고히 맞물릴 수 있도록 용기본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야 하는데, 커버가 방향에 상관없이 용기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용기본체의 상부 전체를 따라 형성되거나 용기본체의 사방에 형성된다. 즉, 커버는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제조된 용기본체 이외의 용기와는 올바로 사용될 수 없어 활용도가 상당히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은 해당 부분의 세척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돌출부는 그 상부와 하부가 용기본체에 대해 예리한 틈을 형성하므로 이 부분을 세척하는 데에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할 수 있다. 밀폐용기가 음식물 등을 보관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이는 위생상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데, 돌출부는 용기본체의 상부에서 개구부 주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가장 청결이 요구되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이 부분에서 청결 수준이 특히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용기본체의 돌출부는 용기의 보관 및 휴대를 불편하기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커버의 걸림부가 분리된 후에도 커버와 잠금날개 등에 충돌하는 등 사용시 걸리적거리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밀폐용기의 제조 측면을 고려해 보면, 잠금날개를 이용하는 밀폐용기에서는 잠금날개의 걸림부와 용기본체의 돌출부가 정확히 맞물려야 이용이 가능하므로 비교적 정교한 제조 방식이 요구된다. 일반적인 저장용기가 유리, 사기,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재료로 제작되고, 이들 재료에서는 제조 공차가 많게는 +/- 2mm까지 발생할 수 있음을 감안할 때, 위의 종래기술로는 걸림부가 돌출부에 올바로 맞물리지 못하는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용기본체에도 사용이 가능하여 제조가 쉽고 사용이 편리하며 개방이 쉬운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밀폐용기는 개구부를 가진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식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식 커버는,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힌지베이스; 일측에 구비된 절곡부에 의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플랩; 상기 플랩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가 그 단부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플랩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접촉부의 접촉지지면이 상기 용기본체에 밀착되면서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지지면의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선으로 정의하고 상기 용기본체가 상기 접촉지지면에 외측을 향하는 수직항력을 가하는 지점을 가압지점으로 정의할 때,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가압지점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준선의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지점에 비해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밀폐용기 역시 개구부를 가진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식 커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밀폐식 커버는,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힌지베이스; 일측에 구비된 절곡부에 의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플랩; 상기 플랩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가 그 단부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랩을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접촉부의 접촉지지면이 상기 용기본체에 밀착되면서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지지면의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선으로 정의하고 상기 용기본체가 상기 접촉지지면에 외측 및 하측을 향하는 수직항력을 가하는 지점을 가압지점으로 정의할 때,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기준선의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지점에 비해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용기본체는 제1 지점에서의 외경이 상기 제1 지점보다 낮은 제2 지점에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본체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지면은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플랩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되는 중 특정 각도에 다다르면 상기 접촉부의 단부가 상기 용기본체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플랩에 더 큰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접촉부, 상기 지지돌기 및 상기 절곡부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접촉부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는 블로우 몰딩에 의해 제작되어 상기 본체림의 아래에 상기 제1 지점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식 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커버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힌지베이스는 상기 커버본체 및 상기 커버림이 이루는 외표면 상의 지정된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랩은 한 쌍의 절곡부에 의해 한 쌍의 힌지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한 쌍의 절곡부 사이에서 상기 커버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림 중 상기 한 쌍의 힌지베이스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여유홈이 형성되어 상기 플랩이 회전되면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여유홈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밀폐식 커버는 상기 커버림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가 제1 지점에서의 외경이 상기 제1 지점보다 낮은 제2 지점에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본체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접촉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는 그 단면이 원형, 다각형 및 원형과 다각형을 조합한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밀폐식 커버는 복수 개의 플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접촉지지면,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지지돌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랩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촉지지면,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지지돌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랩에 비해 낮은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식 커버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밀폐식 커버는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힌지베이스; 일측에 구비된 절곡부에 의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플랩; 상기 플랩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가 그 단부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랩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접촉부의 접촉지지면이 상기 용기본체에 밀착되면서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지지면의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선으로 정의하고 상기 용기본체가 상기 접촉지지면에 외측을 향하는 수직항력을 가하는 지점을 가압지점으로 정의할 때,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가압지점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준선의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지점에 비해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식 커버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밀폐식 커버는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힌지베이스; 일측에 구비된 절곡부에 의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플랩; 상기 플랩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가 그 단부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랩을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접촉부의 접촉지지면이 상기 용기본체에 밀착되면서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지지면의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선으로 정의하고 상기 용기본체가 상기 접촉지지면에 외측 및 하측을 향하는 수직항력을 가하는 지점을 가압지점으로 정의할 때,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기준선의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지점에 비해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는 용기본체에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용기본체를 밀폐할 수 있다. 이는 밀폐식 커버와 용기본체의 제조를 더 쉽게 하고, 밀폐용기의 사용 및 개방을 더 쉽게 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용기본체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커버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가 밀폐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접촉부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밀폐용기(1000)의 용기본체(500a, 500b)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밀폐식 커버(100)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0)는 밀폐식 커버(100)와 용기본체(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밀폐식 커버(100)는 용기본체(500)의 개구부(55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용기본체(500)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용기본체(500)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내부공간은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550)를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용기본체(500) 중 개구부(550) 주위의 부분을 설명의 편의상 본체림(510)이라 지칭하기로 하고, 본체림(510)에서 외경이 가장 큰 부분의 외경을 제1 외경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용기본체(500a)에서는 본체림(510) 아래에 제1 외경보다 작은 제2 외경을 가진 제2 외경부(520)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외경부(520) 아래의 제3 외경부(530a)는 제2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진다.
한편, 도 2의 (b)에 도시된 용기본체(500b)에는 본체림(510)과 제2 외경부(520)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제3 외경부(530b)는 제2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진다. 도 2의 (b)에 도시된 용기본체(500b)는 예를 들어 블로우 몰딩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데, 블로우 몰딩을 이용하면 용기본체(500b)가 본체림(510)의 아래에서 본체림(510)의 제1 지점(예컨대, 제1 외경을 가진 부분)보다 큰 외경을 가진 부분을 포함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500)가 본체림(510) 아래에 제2 외경부(520)를 포함하는 구조에서는 본체림(510)이 제1 지점(512; 도 5 내지 7 참조)에서의 외경이 제1 지점(512)보다 낮은 제2 지점(517; 도 5 내지 7 참조)에서의 외경보다 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0)는 도 2에 도시된 용기본체(500a, 500b)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체림(510)의 제1 지점(512)과 제2 지점(517)이 자연스러운 경사 또는 굴곡을 이루지 않고 급격한 돌출부 또는 단턱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높은 위치에서 큰 외경을 가진 제1 지점(512)과 낮은 위치에서 작은 외경을 가진 제2 지점(517)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기본체(500)의 본체림(510)이 반드시 제1 지점(512)에 비해 제2 지점(517)에서 외경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림(510)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에 걸쳐 동일한 외경을 유지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커버(100)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림(510)이 동일한 외경을 유지하는 경우에도 밀폐식 커버(100)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커버(100)는 광범위한 종류의 용기본체(500)에 적용가능하다. 용기본체(500)는 그 단면이 원형, 다각형, 원형과 다각형을 조합한 형상 및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심지어 본체림(510)도 단면이 원형이나 다각형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밀폐식 커버(100)는 용기본체(500)의 개구부(55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밀폐식 커버(100)가 용기본체(5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용기본체(500)의 내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밀폐식 커버(100)는 커버본체(110), 커버림(120), 내부리브(130), 커버단턱(140), 여유홈(150), 걸림돌기(160), 힌지베이스(170), 절곡부(180) 및 플랩(190) 중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190)은 또한 지지돌기(200)와 접촉부(210)를 포함할 수 있고, 접촉부(210)는 접촉지지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본체(110)는 용기본체(500)의 개구부(550)를 덮도록 구성된 부분으로서, 일반적인 경우 밀폐식 커버(100)의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커버본체(110)는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커버본체(110)의 전부 또는 일부에 투명한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커버본체(110)는 용기본체(500)의 개구부(550)를 덮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커버본체(110)의 직경은 본체림(510)의 외경 이상일 수 있다.
커버림(120)은 커버본체(110)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 연장될 수 있다. 내부리브(130)는 커버림(120)의 내측에서 더 작은 직경으로 하향 연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부리브(130)의 외경이 용기본체(500)의 개구부(55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밀폐식 커버(100)를 용기본체(500)에 결합할 때, 용기본체(500)의 본체림(510)은 밀폐식 커버(100)의 커버림(120)과 내부리브(13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림(120)에는 필요한 위치에 걸림돌기(160)가 형성될 수 있는데, 내부리브(130)에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홀(135)을 형성하면 밀폐식 커버(100)의 제조에 슬라이드 코어 금형을 이용한 사출성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단턱(140)은 커버림(120) 내측에서 커버본체(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단턱(140)은 내부리브(130)와 함께 패킹(미도시)을 삽입하기 위한 패킹홈(145)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밀폐식 커버(100)를 용기본체(500)에 결합하면, 용기본체(500)의 패킹(미도시)은 본체림(510)을 가압하여 용기본체(500)의 내부를 밀봉할 수 있다.
여유홈(150)은 커버림(120)에 형성된 홈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플랩(190)을 이동시킬 때 커버림(120)이 접촉부(21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커버림(120) 중 지지돌기(200)와 접촉부(21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여유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60)는 특정 위치에서 커버림(120)의 하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60)의 하면이 커버본체(110)와 평행한 수평 평면으로 편평한 형상을 이루되, 걸림돌기(160)의 상부는 경사면(165)을 형성하고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체림(510)이 제1 지점(512)보다 낮은 제2 지점(517)에서 외경이 감소되는 형상을 갖는 경우, 걸림돌기(160)는 본체림(510)의 제1 지점(512)과 제2 지점(517)을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60)가 경사면(165)에 의해 본체림(510)의 제1 지점(512)과 제2 지점(517)을 접촉할 수 있다. 특히, 본체림(510)의 단면이 제1 지점(512)에서 제2 지점(517)을 향해 외경이 감소되는 경사진 형상을 갖는 경우, 걸림돌기(160)의 경사면(165)은 본체림(510)의 경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걸림돌기(160)가 본체림(510)의 제1 지점(512)과 그보다 낮게 위치한 제2 지점(517)을 접촉하기 위해 반드시 경사면(165)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걸림돌기(160)는 예를 들어 L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60)가 단지 수평 방향으로만 연장되어 본체림(510)에서 제1 지점(512)의 아래에서 감소된 외경을 가진 제2 지점(517)만을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림(510)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에 걸쳐 동일한 외경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걸림돌기(160)가 이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대응하는 길이에 걸쳐 동일한 내경을 가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에는 밀폐식 커버(100)가 1개의 플랩(190)과 2개의 걸림돌기(160)를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플랩(190)과 걸림돌기(160)의 개수 및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밀폐식 커버(100)가 복수 개의 플랩(190)을 포함하는 일부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60)가 생략될 수도 있다.
힌지베이스(170)는 커버본체(1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커버본체(110)와 커버림(120)이 이루는 외표면 상의 지정된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힌지베이스(170)에 플랩(190)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힌지베이스(170) 사이에 여유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80)는 플랩(190)이 힌지베이스(170)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플랩(190)을 힌지베이스(17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플랩(190)이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절곡부(180)는 직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힌지베이스(170)와 플랩(190)이 동일한 재질로부터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절곡부(180)는 플랩(190)의 회전을 허용하면서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랩(190)은 일측에 구비된 절곡부(180)에 의해 힌지베이스(17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부분이다. 플랩(190)에서 절곡부(180)가 구비된 동일한 일측에는 지지돌기(200)가 구비된다. 도 3에서와 같이 플랩(190)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는 밀폐식 커버(100)가 용기본체(5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플랩(190)을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돌기(200)의 단부에 형성된 접촉부(210)가 용기본체(500)에 밀착되면서 밀폐식 커버(100)가 용기본체(50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밀폐식 커버(100)가 복수의 플랩(19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힌지베이스(170)에 연결될 수 있다. 충분한 개수의 플랩(190)이 구비된 경우, 밀폐식 커버(100)가 걸림돌기(16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지지돌기(200)는 플랩(190)에서 절곡부(180)가 구비된 동일한 일측으로부터 커버본체(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돌기(200)의 단부에는 접촉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플랩(190)을 하향으로 회전시킬 때, 지지돌기(200) 및 이에 구비된 접촉부(210)는 여유홈(150)을 통과하므로 커버림(120)에 걸리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접촉부(210)는 지지돌기(200)의 단부에 형성되어 용기본체(500)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부분이다. 특히, 플랩(190)이 온전히 하향으로 회전될 때 접촉부(210)가 용기본체(500)에 접촉하는 부분에는 접촉지지면(220)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접촉부(210)는 플랩(190)이 하향 회전되는 중에 본체림(510)에 대해 가압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랩(190)이 힌지베이스(170)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되는 중 특정 각도에 다다르면 접촉부(210)의 단부가 용기본체(500)에 접촉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플랩(190)에 더 큰 힘이 가해지면, 접촉부(210), 지지돌기(200) 및 절곡부(180)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접촉부(210)가 가압 접촉이 일어나는 부분을 넘어가 통과하는 잠금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밀폐식 커버(100)가 더욱 견고하게 용기본체(500)에 대해 잠금 상태를 이룰 수 있게 한다.
접촉지지면(220)은 접촉부(210)의 일부로서, 플랩(190)을 힌지베이스(170)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촉지지면(220)이 용기본체(500)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500)의 본체림(510)이 제1 지점(512)에서 더 큰 외경을 갖고 제1 지점(512)보다 낮은 위치의 제2 지점(517)에서 더 작은 외경을 갖는 경우, 밀폐식 커버(100)가 용기본체(5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접촉지지면(220)은 제1 지점(512)과 제2 지점(517)을 모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플랩(190), 지지돌기(200), 접촉부(210) 및 접촉지지면(220)이 동일한 재질로부터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접촉부(210)와 접촉지지면(220)은 전술한 잠금 과정 및 효과적인 밀폐 상태 유지를 위한 재질 및 치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일부 실시예에서는 지지돌기(200), 접촉부(210) 및 접촉지지면(220) 중 적어도 일부가 플랩(190)과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접촉지지면(220)에 사용되는 재질이 플랩(190)에 사용되는 재질에 비해 낮은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어느 재질이 비교대상에 비해 더 낮은 탄성계수를 가진다 함은 해당 재질에서 비교대상에 비해 탄성적 변형이 더 잘 일어남을 의미하려는 것이다. 접촉지지면(220)이 낮은 탄성계수를 가지면, 접촉지지면(220)은 용기본체(500)의 표면에 더 잘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랩(190)의 재질로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플라스틱이 사용되는 경우, 접촉지지면(220)에는 이보다 낮은 탄성계수를 가진 실리콘 등의 고무제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접촉부(210) 및/또는 지지돌기(200)에 사용되는 재질이 플랩(190)에 사용되는 재질에 비해 낮은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잠금 과정을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지지돌기(200), 접촉부(210) 및 접촉지지면(220) 중 적어도 일부가 플랩(19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위의 구성요소들에 상이한 재료를 적용할 수 있게 하고, 필요에 따라 마모 또는 손상된 부분을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0)가 밀폐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 각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0)가 밀폐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1000)에서 접촉부(210)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기준선"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데, 기준선(L)이라 함은 커버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접촉지지면(220)의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선을 지칭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의 (b) 도면에 나타난 단면도는 (a) 도면의 평면도에 표시된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인데, A-A 선은 그 일부가 기준선(L)과 평행하다.
먼저, 밀폐식 커버(100)의 구조는 밀폐식 커버(100)가 용기본체(500)에서 분리된 상태에 있을 때 커버본체(110)의 내면이 테이블 등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림(120)이 커버본체(110)로부터 하향 연장되므로 테이블 등의 표면에 먼저 접촉할 수 있고, 커버본체(110)가 수평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커버본체(110)의 내면이 이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반대로 커버본체(110)의 내면에 묻어 있을지 모르는 밀폐용기(1000)의 내용물이 테이블 등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밀폐용기(1000)를 닫을 때, 사용자는 밀폐식 커버(100)를 용기본체(500)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데, 본체림(510)이 커버림(120)과 내부리브(1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플랩(190)을 기준으로 볼 때 밀폐식 커버(100)는 용기본체(500)로부터 약간 후방으로(도 4의 (b)에서는 도면의 좌측으로) 물러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걸림돌기(160)가 아직 본체림(510)에 온전히 접촉하지 않는다. 참고로, 밀폐식 커버(100)에서 걸림돌기(160)가 형성된 위치는, 기준선(L)을 중심으로 좌우 90도를 초과하는 범위(즉, 플랩(190) 반대편의 180도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돌기(160)가 아직 본체림(510)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부리브(130)가 용기본체(500)의 개구부(550)에 비해 약간 작게 형성되므로 밀폐식 커버(100)는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가 플랩(190)을 아래로 회전시키는 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서도 걸림돌기(160)는 아직 본체림(510)에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플랩(190)이 아래로 회전되면서, 지지돌기(200) 단부에 형성된 접촉부(210)는 용기본체(500)의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도 5의 (b) 도면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본체림(510)에 더 높은 위치에서 더 큰 외경을 가진 제1 지점(512)과 더 낮은 위치에서 더 작은 외경을 가진 제2 지점(517)이 표시되어 있다. 본체림(510)은 제1 지점(512)과 제2 지점(517)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그 단면이 경사 또는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b) 도면의 확대도에는 또한 접촉부(210)의 상부와 본체림(510)의 일부가 오버랩된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밀폐식 커버(100)의 어느 부분에서도 탄성적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접촉부(210)의 위치를 본체림(510)과 함께 표현한 것이다. 즉, 밀폐식 커버(100)에 탄성적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접촉부(210)가 본체림(510)에 걸리게 되어 플랩(190)이 끝까지 하향으로 회전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밀폐식 커버(100)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적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촉부(210), 지지돌기(200) 및 절곡부(180) 중 적어도 하나에 탄성적 변형이 일어나면서 접촉부(210)가 본체림(510)에 대해 가압 접촉이 일어나는 부분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플랩(190) 하향으로 회전시키는 중 플랩(190)이 특정 각도에 다다르면 접촉부(210)의 단부가 용기본체(500)에 접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5의 (b)에 표시된 제2 지점(517)에 접촉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랩(190)에 더 큰 힘을 가하면, 접촉부(210)가 본체림(510)에 대해 가압되고, 가압되는 힘으로 인해 접촉부(210), 지지돌기(200) 및 절곡부(180)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접촉부(210)가 가압 접촉이 일어나는 부분을 넘어가 통과할 수 있다.
도 6은 접촉부(210)가 가압되는 부분을 통과하여 플랩(190)이 90도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210)의 상측 단부가 본체림(510)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플랩(190)을 계속 아래로 누름에 따라, 접촉부(210)가 본체림(510)에 걸린 가압 접촉 상태를 넘어갈 수 있다. 밀폐식 커버(100)의 커버림(120)에서 플랩(190)의 지지돌기(20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여유홈(1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촉부(210)의 접촉지지면(220)은 여유홈(150)을 통과하여 본체림(510)에 밀착될 수 있다.
특히, 이 상태에서는 본체림(510)이 접촉지지면(220)을 가압하면서 커버본체(110)가 플랩(190)의 방향으로 기준선을 따라 당겨질 수 있으며, 그 결과 도 6의 (b)에서와 같이 걸림돌기(160)가 본체림(510)에 밀착될 수 있다. 걸림돌기(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림(510)의 제1 지점(512)에만 밀착될 수도 있고, 제2 지점(517)에만 밀착될 수도 있으며, 제1 지점(512)과 제2 지점(517) 모두에 밀착될 수도 있다. 커버본체(110)가 플랩(190)의 방향으로 당겨지면 패킹홈(145)에 삽입된 패킹(미도시)은 본체림(510)의 상부와 정렬되어 개구부(550)가 온전히 밀폐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커버(100)가 용기본체(500)를 밀착하는 원리를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용기에서 접촉부(210)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는 접촉부(210)의 접촉지지면(220)이 본체림(510)의 제1 지점(512)과 제2 지점(517)에 접촉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고, 제1 지점(512)을 중심으로 4개의 구간(A, B, C, D)이 표시되어 있다. 표시된 4개의 구간(A, B, C, D)은 접촉지지면(220)이 본체림(510)에 접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절곡부(180)의 가능한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A 구간은 내측 상부, B 구간은 내측 하부, C 구간은 외측 하부, D 구간은 외측 상부를 대표한다. 도 7의 단면도에서 수평 방향은 기준선(L)에 평행한 방향이다. 기준선(L)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접촉지지면(220)의 중심을 향하는 선이다.
도 7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본체림(510)이 제1 지점(512)에서 접촉부(210)의 접촉지지면(220)에 외측을 향하는 수직항력을 가하여 제1 지점(512)이 가압지점 역할을 하고, 절곡부(180)는 가압지점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측 하부에 위치한다. 달리 표현하자면, 절곡부(180)는 외측을 향하는 수직항력을 가하는 제1 지점(512)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고 기준선(L)의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한다. 즉, 절곡부(180)는 C 구간에 위치하고 있다.
커버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접촉지지면(220)의 중심을 향하는 기준선(L)을 기준으로 볼 때, 절곡부(180)는 접촉지지면(220)과 접촉부(210)를 포함하여 플랩(190)에 연결된 부분이 힌지베이스(170)에 대해 회전하는 축에 해당한다.
따라서 절곡부(180)가 C 구간에 위치하면, 접촉지지면(220)과 본체림(510)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본체림(510)이 가하는 수직항력은 회전축인 절곡부(180)의 위에서 작용하며, 절곡부(180)를 중심으로 플랩(190)이 하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도 7의 구성을 예로 들면, 가압지점인 제1 지점(512)에서 접촉지지면(220)에 가해지는 외측 방향의 수직항력은 접촉부(210) 및 지지돌기(200)에 의해 연결된 플랩(190)이 절곡부(18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돌게 하는데, 도 7에서 플랩(190)의 시계방향 회전은 밀폐식 커버(100)를 잠그는 방향의 동작이므로 밀폐식 커버(100)는 용기본체(500)의 개구부(55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체림(510)은 제1 지점(512)에서 접촉지지면(220)에 외측 방향으로 수직항력을 가하여 용기본체(500)에 대해 밀폐식 커버(100)를 기준선(L)의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도시된 플랩(190)의 위치 이외의 위치에는 다른 플랩(190)이 구비되거나 걸림돌기(160)가 구비되고, 이들은 마찬가지로 본체림(510)에 밀착될 수 있다. 그 결과, 밀폐식 커버(100)는 수평 방향으로 용기본체(500)에 대해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본체림(510)이 제1 지점(512)보다 낮은 위치에서 더 작은 외경을 가진 제2 지점(517)을 포함하는 경우, 접촉지지면(220)은 제2 지점(517)도 함께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지지면(220)이 제2 지점(517)을 접촉하므로, 즉 제1 지점(512) 하부의 감소된 외경을 가진 부분을 접촉하므로, 밀폐식 커버(100)가 수직 방향으로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밀폐식 커버(100)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밀폐식 커버(100)에 상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접촉지지면(220)이 제2 지점(517)의 상부에 걸려 밀폐식 커버(100)가 개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지점에서 본체림(510)이 접촉지지면(220)에 외측 방향으로 수직항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밀폐식 커버(10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본체림(510)이 반드시 제1 지점(512)에 비해 제2 지점(517)에서 외경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림(510)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에 걸쳐 동일한 외경을 유지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커버(100)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접촉지지면(220)과 본체림(510) 사이의 마찰력이 밀폐식 커버(100)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어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절곡부(180)가 다른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절곡부(180)가 B 구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지점(512)을 기준으로 구간(A, B, C, D)을 나눈 것은 기준선(L)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 내에서 나눈 것이므로, 절곡부(180)가 B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원형 형상의 커버본체(110)에서 힌지베이스(170)와 절곡부(180)가 원주를 따라 접촉부(21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즉, 커버본체(110)의 중심으로부터 절곡부(180)까지의 가상의 선이 기준선(L)에 대해 큰 각도를 이루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커버본체(110) 및 본체림(510)에 내측으로 함몰된 부분이 형성되고 절곡부(180)가 해당 함몰된 부분에 형성되는 등의 구조에서도 절곡부(180)가 B 구간에 위치할 수 있다.
절곡부(180)가 B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접촉지지면(220)과 본체림(510)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본체림(510)이 가하는 수직항력은 회전축인 절곡부(180)의 위에서 작용하며, 절곡부(180)를 중심으로 플랩(190)이 하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제1 지점(512)에서 접촉지지면(220)에 가해지는 외측 방향의 수직항력은 접촉부(210) 및 지지돌기(200)에 의해 연결된 플랩(190)이 절곡부(180)를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밀폐식 커버(100)가 용기본체(500)의 개구부(55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림(510)이 제2 지점(517)에서 접촉부(210)의 접촉지지면(220)에 외측 및 하측을 향하는 수직항력을 가하여 제2 지점(517)이 가압지점 역할을 하고 절곡부(180)는 기준선(L)의 방향을 따라 가압지점에 대해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절곡부(180)가 제2 지점(517)을 기준으로 A 구간 또는 B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에 해당할 것이다.
절곡부(180)가 제2 지점(517)을 기준으로 B 구간에 위치하면, 가압지점인 제2 지점(517)에서 접촉지지면(220)에 가해지는 수직항력의 외측 방향 성분이 플랩(190)을 하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하여 밀폐식 커버(10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절곡부(180)가 제2 지점(517)을 기준으로 A 구간에 위치하면, 가압지점인 제2 지점(517)에서 접촉지지면(220)에 가해지는 수직항력의 하측 방향 성분이 커버본체(110)를 외측 및 하측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접촉지지면(220)과 커버본체(110) 사이에 본체림(510)이 개재된 상태에서 가압지점의 수직항력이 접촉부(210)와 커버본체(110)를 서로 당기게 하므로, 밀폐식 커버(100)는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절곡부(180)가 제1 지점(512) 또는 제2 지점(517)을 기준으로 A 구간 또는 B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가압지점에서의 수직항력은 부분적으로는 플랩(190)을 상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절곡부(180)가 A 구간 또는 B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밀폐식 커버(100)를 폐쇄하도록 작용하는 수직항력 성분이 밀폐식 커버(100)를 개방하도록 작용하는 수직항력 성분보다 크도록 힌지베이스(170), 플랩(190), 지지돌기(200), 접촉부(210) 및 접촉지지면(220)의 크기, 형상 및 위치가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커버(100)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1000)는 용기본체(500)에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용기본체(500)를 밀폐할 수 있는데, 이 특징은 매우 다양한 장점을 제공한다.
우선, 용기본체(500)에 돌출부가 요구되지 않는다 함은 밀폐식 커버(100)를 매우 다양한 종류의 기존 용기본체(500)에 결합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밀폐식 커버(100)의 활용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500)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용기본체(500)의 휴대 및 보관이 더 편리하고, 용기본체(500)의 세척이 편리하여 용기본체(500)의 청결도를 높은 상태로 유지하기가 더 쉽다. 밀폐식 커버(100)를 개방할 때에도 밀폐식 커버(100)가 용기본체(500)의 돌출부에 부딪히거나 걸릴 가능성이 없어 밀폐용기(1000)의 개방이 더 쉽다.
제조 측면에서도 용기본체(500)에 돌출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기본적으로 더 단순한 형상으로 용기본체(500)가 제조될 수 있고, 돌출부와 걸림부 등 정밀한 치수의 가공을 요구하는 부분이 없어 허용되는 공차의 범위가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커버(100) 또한 비교적 간단한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밀폐용기
100: 밀폐식 커버 110: 커버본체
120: 커버림 160: 걸림돌기
170: 힌지베이스 180: 절곡부
190: 플랩 200: 지지돌기
210: 접촉부 220: 접촉지지면
500: 용기본체 510: 본체림
512: 제1 지점 517: 제2 지점

Claims (15)

  1. 개구부를 가진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식 커버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폐식 커버는,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힌지베이스;
    일측에 구비된 절곡부에 의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플랩;
    상기 플랩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가 그 단부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랩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접촉부의 접촉지지면이 상기 용기본체에 밀착되면서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지지면의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선으로 정의하고 상기 용기본체가 상기 접촉지지면에 외측을 향하는 수직항력을 가하는 지점을 가압지점으로 정의할 때,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가압지점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준선의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지점에 비해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2. 개구부를 가진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식 커버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밀폐식 커버는,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힌지베이스;
    일측에 구비된 절곡부에 의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플랩;
    상기 플랩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가 그 단부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랩을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접촉부의 접촉지지면이 상기 용기본체에 밀착되면서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지지면의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선으로 정의하고 상기 용기본체가 상기 접촉지지면에 외측 및 하측을 향하는 수직항력을 가하는 지점을 가압지점으로 정의할 때,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기준선의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지점에 비해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제1 지점에서의 외경이 상기 제1 지점보다 낮은 제2 지점에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본체림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지면은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되는 중 특정 각도에 다다르면 상기 접촉부의 단부가 상기 용기본체에 접촉하고, 상기 플랩에 더 큰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접촉부, 상기 지지돌기 및 상기 절곡부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접촉부가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블로우 몰딩에 의해 제작되어 상기 본체림의 아래에 상기 제1 지점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식 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커버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베이스는 상기 커버본체 및 상기 커버림이 이루는 외표면 상의 지정된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한 쌍의 절곡부에 의해 한 쌍의 힌지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한 쌍의 절곡부 사이에서 상기 커버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버림 중 상기 한 쌍의 힌지베이스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여유홈이 형성되어 상기 플랩이 회전되면 상기 지지돌기가 상기 여유홈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 커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식 커버는 상기 커버림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제1 지점에서의 외경이 상기 제1 지점보다 낮은 제2 지점에서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본체림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접촉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그 단면이 원형, 다각형 및 원형과 다각형을 조합한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식 커버는 복수 개의 플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지지면,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지지돌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랩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지지면, 상기 접촉부 및 상기 지지돌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랩에 비해 낮은 탄성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4.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식 커버로서,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힌지베이스;
    일측에 구비된 절곡부에 의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플랩;
    상기 플랩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가 그 단부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랩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접촉부의 접촉지지면이 상기 용기본체에 밀착되면서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지지면의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선으로 정의하고 상기 용기본체가 상기 접촉지지면에 외측을 향하는 수직항력을 가하는 지점을 가압지점으로 정의할 때,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가압지점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준선의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지점에 비해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15.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식 커버로서,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된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힌지베이스;
    일측에 구비된 절곡부에 의해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플랩;
    상기 플랩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가 그 단부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랩을 상기 힌지베이스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접촉부의 접촉지지면이 상기 용기본체에 밀착되면서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접촉지지면의 중심을 향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선으로 정의하고 상기 용기본체가 상기 접촉지지면에 외측 및 하측을 향하는 수직항력을 가하는 지점을 가압지점으로 정의할 때, 상기 밀폐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기준선의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지점에 비해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1020220054509A 2022-05-03 2022-05-03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KR20220065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509A KR20220065726A (ko) 2022-05-03 2022-05-03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PCT/KR2023/005269 WO2023214715A1 (ko) 2022-05-03 2023-04-19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509A KR20220065726A (ko) 2022-05-03 2022-05-03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726A true KR20220065726A (ko) 2022-05-20

Family

ID=8180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509A KR20220065726A (ko) 2022-05-03 2022-05-03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65726A (ko)
WO (1) WO20232147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715A1 (ko) * 2022-05-03 2023-11-09 주식회사 이에스지테크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8546A1 (fr) * 2006-08-09 2008-02-14 Dai Nippon Printing Co., Ltd. Récipient à étiquette au moulage
JP5528235B2 (ja) * 2010-06-30 2014-06-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容器
KR20190113689A (ko) * 2019-09-06 2019-10-08 구현우 보관용기
KR102243757B1 (ko) * 2019-09-06 2021-04-23 클린큐트 주식회사 보관용기
KR20220051833A (ko) * 2022-04-08 2022-04-26 위드클린 주식회사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KR20220065726A (ko) * 2022-05-03 2022-05-20 위드클린 주식회사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715A1 (ko) * 2022-05-03 2023-11-09 주식회사 이에스지테크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4715A1 (ko)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838B2 (en) Drinking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s
US9452873B2 (en) Jar and rotatable lid assembly
US5078296A (en) Container closure with stable open positions
US20050029271A1 (en) Straw drinking cup
PT101020B (pt) Conjunto de tampa com meios de vedacao separaveis
KR101947106B1 (ko) 용기
KR20220065726A (ko)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JP6865414B2 (ja) 包装用容器
KR20190026732A (ko) 안내형 래칭 특징부를 갖는 덮개를 포함하는 포트
KR20220051833A (ko) 밀폐식 커버 및 밀폐용기
KR20120075682A (ko) 병의 주둥이에 부착되는 시일의 절취가 가능한 병마개
KR102241982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102664580B1 (ko) 콤팩트 타입 화장품용 리필케이스
KR102068716B1 (ko) 저장용기
KR20220016061A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KR20210132846A (ko) 밀폐용기
WO2019107051A1 (ja) 化粧料包装体及び化粧料容器
JP7233134B2 (ja) 容器
JP3103330B2 (ja) 容 器
KR20230092837A (ko) 개선된 활용성을 가진 밀폐커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
JP6768167B1 (ja) 弁当箱
JP2019137425A (ja) 包装用容器
US11731814B2 (en) Hinge cap and hinge cap set
KR200263639Y1 (ko) 밀폐 뚜껑
KR200340174Y1 (ko)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