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061A -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061A
KR20220016061A KR1020217038007A KR20217038007A KR20220016061A KR 20220016061 A KR20220016061 A KR 20220016061A KR 1020217038007 A KR1020217038007 A KR 1020217038007A KR 20217038007 A KR20217038007 A KR 20217038007A KR 20220016061 A KR20220016061 A KR 20220016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thin paper
container
household thi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테루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16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10/3809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roll spindles which are not directly suppor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8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one or more hinges formed by a separate, single container and a flexible, band-like element fixed to the container and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9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e articles being positioned relative to one another or to the container in a special way, e.g. for facilitating dispensing, without addition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Abstract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 (P) 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 (S) 을 갖는 용기 본체 (10) 를 구비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로서, 용기 본체 (10) 는,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와, 용기 본체 상부 (11) 의 후면과, 용기 본체 하부 (12) 의 후면을 접속시키는 접속부 (13) 를 구비하고, 접속부 (13) 를 지지점으로 용기 본체 상부 (11) 를 회동시킴으로써,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수납 공간 (S) 을 폐색 또는 노출시키고, 용기 본체 하부 (12) 는, 상단부에 외주 벽부 (1211) 와 내주 벽부 (1212) 로 이루어지는 오목홈부 (121) 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 상부 (11) 의 내연부 (118) 가 걸어 맞춤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본 발명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웨트 티슈 등의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는,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가 수납되고, 가정용 박엽지를 취출하는 취출공을 갖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접속되고, 취출공을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게 폐색하는 개폐 덮개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용기 본체가, 용기 본체 상부와 용기 본체 하부로 나누어지고, 가정용 박엽지를 교체할 때에, 용기 본체 상부와 용기 본체 하부를 분리시키는 구조의 것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보 제6510696호
이와 같은 용기 본체가 용기 본체 상부와 용기 본체 하부로 나누어지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는, 보다 용이하게 가정용 박엽지의 교체를 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용이하게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를 교체할 수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를 구비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 상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 하부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후면과,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후면을 접속시키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를 지지점으로 상기 용기 본체 상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상기 수납 공간을 폐색 또는 노출시키고,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하단부에, 환상의 외연부와, 상기 외연부보다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외연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환상의 내연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상단부에,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상기 내연부가 걸어 맞춰지는 환상의 오목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홈부는, 외주 벽면을 구성하고, 상단이 상기 외연부와 맞닿는 외주 벽부와, 내주 벽면을 구성하는 내주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후면의 상기 내주 벽부는, 상기 외주 벽부의 높이보다 높은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좌우 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된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보다 좌우 방향 내측에 형성된 제 2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제 2 가이드부보다 상하 방향의 높이가 높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좌면 및 우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상부는, 전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 하부는, 상기 전면으로부터 전방향으로 돌출된 걸어 맞춤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폐색시에, 상기 걸림부와 상기 걸어 맞춤 돌기가 걸어 맞춰져 상기 폐색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상부는, 바닥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전면으로부터 아치상으로 돌출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면에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용기 본체 상부를 구성하는 다른 부위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상부, 상기 용기 본체 하부, 및 상기 접속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용이하게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를 교체할 수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또한, 망점 부분은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을 나타낸다. 이 점은 다른 도면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개폐 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상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상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바닥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VII-VII 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단면도에 있어서의 손잡이부 주변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의 구체적인 양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8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있어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 축, Y 축 및 Z 축 그리고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정하여 설명한다. 즉,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의 개폐 덮개가 구비된 측을「상」, 그 반대측을「하」, 용기 본체와 개폐 덮개가 접속되어 있는 측을「후」, 그 반대측을「전」, 전측에서 보아 오른손측을「우」, 왼손측을「좌」로 하고, 전후 방향을 따른 축을 X 축, 좌우 방향을 따른 축을 Y 축, 상하 방향을 따른 축을 Z 축으로 한다. 또한, 용기 본체 상부가 용기 본체 하부에 대해 회동한 경우, 용기 본체 상부가 향하는 방향이 바뀌는데, 이하에 있어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와 용기 본체 하부가 조합되고, 수납 공간 (S) 이 폐색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방향을 정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구성]
(전체 구성)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는, 도 1 내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하는 취출공 (113a) 을 구비한 용기 본체 (10) 와, 취출공 (113a) 을 덮도록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게 용기 본체 (10) 에 접속된 개폐 덮개 (2) 와, 용기 본체 (10) 에 구비되고, 개폐 덮개 (2) 의 개폐에 사용되는 버튼부 (3) 를 구비하고,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의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 (P) 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 (S) 이 형성되어 있다.
(가정용 박엽지)
가정용 박엽지 (P) 로는, 예를 들어, 소형의 웨트 시트, 웨트 티슈 등이 교대로 겹쳐 포개진 상태에서 적층되고, 1 장의 웨트 시트, 웨트 티슈 등을 꺼냈을 때에 다음의 웨트 시트, 웨트 티슈 등도 꺼내어지도록 형성된, 소위 팝업식의 시트가 사용된다. 그 밖에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절취선이 가공된 장대한 웨트 시트, 웨트 티슈 등이 롤상으로 감기고, 절취선을 따라 분리하여 사용하는 롤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용기 본체)
용기 본체 (10) 는, 도 1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X 방향 및 Z 방향에 비해 Y 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상으로 형성되고, 이것이 Z 방향 중앙부보다 상부에 있어서 상하로 이분되고, 용기 본체 (10) 의 상측을 구성하는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10) 의 하측을 구성하는 용기 본체 하부 (12) 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는 용기 본체 (10) 의 후면부에 있어서, 접속부 (13)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와, 접속부 (13) 는, 사출 성형 (2 색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 (10) 는, 도 1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가 조합되고, 내부의 수납 공간 (S) 이 폐색된 상태에서, 전체가, X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60 ㎜ 내지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내지 100 ㎜, Y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80 ㎜ 내지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45 ㎜ 내지 165 ㎜, Z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70 ㎜ 의 크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 내지 3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2 ㎜ 이다.
이 크기 및 두께이면, 성형 효율이 높고, 또한 실사용에 문제 없는 강도를 달성할 수 있다.
(접속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를 접속시키는 접속부 (13) 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 (S) 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수납 공간 (S) 을 폐색할 때에는, 사용자는, 용기 본체 상부 (11) 를 상기와는 반대로 회동시키면 된다.
또, 접속부 (13) 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의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접속부 (13) 가 구부러지기 쉬워지고, 용기 본체 상부 (11) 를, 접속부 (13) 를 지지점으로 하여, 용기 본체 하부 (12) 에 대해 회동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생산성은 저하되기는 하지만,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를 별체로서 형성한 후, 이들을 힌지 등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접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용기 본체 (10) 를 Z 방향 중앙부보다 상부에서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로 이분함으로써, 수납된 가정용 박엽지 (P) 가 소정의 포장체에 의해 덮인 상태에서, 수납 공간 (S) 에 수납되는 경우에 있어서, 수납 공간 (S) 의 폐색시에 포장체의 엔드 시일부 등을 끼워 넣어 버릴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고, 가정용 박엽지 (P) 를 더욱 교체하기 쉬워진다.
또한, 용기 본체 (10) 가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로 이분되는 위치는, Z 방향 중앙부 부근이어도 된다.
(용기 본체 상부)
용기 본체 상부 (11) 는, 도 2 내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면이 대략 직사각형상의 개구부로 된 대략 직방체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을 형성하는 천면부 (111) 의 중앙부 부근에, Z 방향 하방으로 오목상이 되는 오목부 (112) 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 (112) 내에는, 중앙부에 수납 공간 (S) 의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공 (113a) 을 갖는 취출부 (113)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단부에는, 탄성 지지 부재 (114) 가 수납되는 수납 오목부 (115) 가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버튼부 (3) 를 부착하는 버튼 부착부 (116)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용기 본체 상부 (11) 의 하면의 하단부에는, 환상의 외연부 (117) 와, 외연부 (117) 보다 내측에 형성되고, 외연부 (117) 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환상의 내연부 (118)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전면의 하단부에는, 수납 공간 (S) 을 노출시킬 때에 파지하는 손잡이부 (119) 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 상부의 재질)
용기 본체 상부 (11) 는, 경질의 재료인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경질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도의 측정 방법은, 탄성 재료에 대해 서술한 것과 동일하다.
또, 후술하는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과,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된 부분은, 사출 성형 (2 색 성형) 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
오목부 (11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면부 (111)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중앙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있어서는, 오목부 (112) 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전단부에 도달하는 곡선상의 대략 직사각형이 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오목부 (112) 의 구체적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목부 (112) 의 Z 방향의 깊이는, 천면부 (111) 에서 보아 5 ㎜ 내지 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크기는, 내부에 취출부 (113) 를 형성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X 방향으로 40 ㎜ 내지 80 ㎜, Y 방향으로 40 ㎜ 내지 12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취출부)
취출부 (113) 는, 오목부 (112)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중앙부 부근에 형성된, 탄성 재료로 형성된 부분이며, 취출부 (113) 의 대략 중앙에는, 대략 구면상으로 부풀어오른 팽출 부분 (113b) 이 형성되어 있고, 그 팽출 부분 (113b) 에 취출공 (113a)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취출공 (113a) 의 가장자리에는, 취출부 (113) 의 중앙부를 향하여, 그 앞쪽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3 개의 돌편 (113c) 이 형성되어 있다.
취출부 (113) 는, 예를 들어, Z 방향의 두께가 0.5 ㎜ 내지 2 ㎜ 인 막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출부 (113) 를 형성하는 탄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계 혹은 우레탄계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경도가 20 내지 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도는, JIS K 6253 (타입 A 듀로미터) 에 의해 측정된 것이다.
또한, 탄성 재료의 경도가 상기 값보다 낮아지면, 지나치게 부드러워 성형이 어렵고, 성형 효율이 나빠지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탄성 재료의 경도가 상기 값보다 높아지면,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공 (113a) 이 형성된 취출부 (113) 가 딱딱해지고, 저항이 지나치게 걸려, 시트가 1 장씩 취출하기 어려워지는 점, 또는, 시트를 끌어낼 때에 수납 공간 (S) 에까지 손가락을 넣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취출공)
취출공 (113a) 은, 취출부 (113)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된, 수납 공간 (S) 으로 이어지는 구멍부이다.
예를 들어, 도 2 에 있어서는, 취출공 (113a) 은, 삼각형의 각 변이 내측으로 원호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고, 각 정점과 무게 중심점을 잇도록 3 개의 슬릿이 무게 중심점에서 교차하는 대략 역 Y 자상으로 되어 있다. 또, 3 개의 슬릿 중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의 폭은 다른 슬릿의 폭에 비해 넓게 되어 있다.
또한, 슬릿의 개수는 이것보다 소수여도 되고 다수여도 되며, 또, 예를 들어, 십자형으로 2 개의 슬릿을 넣음으로써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취출부 (113) 는, 취출공 (113a) 의 주위가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가정용 박엽지 (P) 에 대해 적절한 저항을 걸 수 있고, 수납 공간 (S) 에 수납된 가정용 박엽지 (P) 가 꺼내어진 후에, 다음의 가정용 박엽지 (P) 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 가정용 박엽지 (P) 가 롤 시트인 경우에 있어서, 가정용 박엽지 (P) 에 형성되어 있는 절단용의 절취선으로 이것을 절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돌편)
돌편 (113c) 은, 취출공 (113a) 으로부터 꺼내어지는 가정용 박엽지 (P) 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지점이며, 취출공 (113a) 으로부터 꺼내어지는 가정용 박엽지 (P) 에 대해 적절한 저항을 걸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의 개폐 덮개 (2) 를 개방하여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하는 경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의 뒤쪽에 기립된 자세의 개폐 덮개 (2) 가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하는 동작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사용자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의 전면측에서 손을 뻗어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공 (113a) 으로부터 꺼내도록 하므로, 취출공 (113a) 으로부터 꺼내어지는 가정용 박엽지 (P) 는 앞쪽의 가장자리의 돌편 (113c) 과 슬라이딩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취출공 (113a) 으로부터 앞쪽으로 꺼내어지는 가정용 박엽지 (P) 에 대해, 앞쪽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돌편 (113c) 이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돌편 (113c) 이 가정용 박엽지 (P) 에 대해 적절한 저항을 걸어, 가정용 박엽지 (P) 가 취출공 (113a) 으로부터 지나치게 꺼내어져 버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요컨대, 앞쪽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돌편 (113c) 은, 취출공 (113a) 으로부터 앞쪽으로 꺼내어지는 가정용 박엽지 (P) 에 대해 적절한 마찰력을 부여하여, 꺼내어 사용하는 가정용 박엽지 (P) 에 이어서 꺼내어지는 다음의 가정용 박엽지 (P) 가 취출공 (113a) 으로부터 지나치게 꺼내어져 버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사용하는 가정용 박엽지 (P) 에 이어서 꺼내어진 다음의 가정용 박엽지 (P) 는, 그 일단부가 적정한 길이로 꺼내어진 상태에서, 취출공 (113a) 에 유지되게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취출공 (113a) 에 유지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P) 의 일단부는, 앞쪽의 돌편 (113c) 을 포함하는 3 개의 돌편으로 지지되어 있다.
가정용 박엽지 (P) 의 일단부를 유지하는 취출공 (113a) 은, 취출부 (113) 의 팽출 부분 (113b) 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돌편 (113c) 의 선단측은 팽출 부분 (113b) 의 주위의 기면 (基面) 인 취출부 (113) 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그리고, 가정용 박엽지 (P) 의 일단부는, 이와 같은 돌편 (113c) 에 의해 주위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되어 취출공 (113a) 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가정용 박엽지 (P) 를 잡기 쉽게 되어 있다.
(탄성 지지 부재)
탄성 지지 부재 (114)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재료로 형성된 띠상의 부재이다. 탄성 지지 부재 (114) 의 일단은 오목부 (112) 의 후방에 고착되고, 타단은 개폐 덮개 (2) 의 삽입부 (23) (후술) 에 고착되고, 개폐 덮개 (2) 를 기립시키는 개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고, 사용자가 버튼부 (3) 를 가압했을 때에, 개폐 덮개 (2) 를 후방의 용기 본체 상부 (11) 와의 접속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도록 하여 개방시킨다.
탄성 지지 부재 (114) 는, 폭이 바람직하게는 2 ㎜ ∼ 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 10 ㎜,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0.5 ㎜ ∼ 3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 2 ㎜ 인 띠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탄성 지지 부재 (114) 가 이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폐 덮개 (2) 의 개방시에 무리 없이 밀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개폐 덮개 (2) 의 폐색시에 있어서, 탄성 지지 부재를 수납 오목부 (115) 내에 있어서 용이하게 절곡시켜 수납할 수 있다.
탄성 지지 부재 (114) 를, 아무런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늘어난 상태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 (2) 가 닫히고, 탄성 지지 부재 (114) 가 절곡됐을 때에, 도 2 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힘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로써, 개폐 덮개 (2) 를, 용기 본체 상부 (11) 에 대해, 후방의 개폐 덮개 (2) 와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접속부 (13) 를 회전축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납 오목부)
수납 오목부 (115)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 (2) 의 폐색시에 있어서, 탄성 지지 부재 (114) 가 하방으로 밀어 넣어졌을 때, 탄성 지지 부재 (114) 의 절곡된 부분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이다.
수납 오목부 (115)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 (112) 내의 취출부 (113) 의 후방, 또한, 탄성 지지 부재 (114) 의 전방 부근에 있어서, 오목부 (112) 보다 더욱 Z 방향 하방으로 오목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수납 오목부 (115)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X 방향에 비해 Y 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상이고, 개폐 덮개 (2) 를 폐색했을 때에, 개폐 덮개 (2) 에 의해 밀어 넣어지고, 절곡된 탄성 지지 부재 (114) 를 수납할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을 갖고 있으면 된다.
(버튼 부착부)
버튼 부착부 (116) 는, 오목부 (112) 의 전단부에 있어서,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Z 방향 상방으로 볼록상이 되도록 환상으로 형성된 본체측 끼워 맞춤부 (1161) 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본체측 끼워 맞춤부 (1161) 의 좌우부 및 전방부를 둘러싸도록 Z 방향 하방으로 오목상이 되도록 형성된 버튼 가동부 (1162) 를 구비한다.
(본체측 끼워 맞춤부)
본체측 끼워 맞춤부 (1161) 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전방측이 곡선상, 후방측이 직선상이고, 내주가 버튼부 (3) 에 형성된 버튼측 끼워 맞춤부 (32) (후술) 의 외주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방으로부터 버튼측 끼워 맞춤부 (32) 를 끼워 넣음으로써, 버튼부 (3) 를 버튼 부착부 (116) 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버튼 가동부)
버튼 가동부 (1162) 는, 본체측 끼워 맞춤부 (1161) 의 좌우부 및 전방부를 둘러싸도록 하방으로 오목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취출부 (113) 와 동일한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본체측 끼워 맞춤부 (1161) 에 끼워 넣은 버튼부의 선단부 (31a) 를 상방으로부터 가압했을 때에, 버튼 가동부 (1162) 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버튼부 (3) 가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연부·내연부)
외연부 (117) 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이고, 용기 본체 상부 (11) 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내연부 (118) 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이고, 용기 본체 상부 (11) 의 하단부에 있어서 외연부 (117) 보다 내측에 형성되고, 외연부 (117) 보다 하방으로 돌출되고, 수납 공간 (S) 의 폐색시에는, 내연부 (118) 가 후술하는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오목홈부 (121) 에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
손잡이부 (119) 는,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8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전면의 중앙부에 있어서,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일체적으로, 전면으로부터 아치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전면과의 사이에 손가락을 걸 수 있는 간극 (a) 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손잡이부 (119) 의 전면과 대향하는 내면에는 2 개의 걸림부 (1191) 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 공간 (S) 을 노출시킬 때에는, 손잡이부 (119) 를 파지하고, 접속부 (13) 를 지지점으로 하여 용기 본체 상부 (11) 를 회동시킨다.
또, 도 7 및 도 8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전면과 손잡이부 (119) 의 내면이 교차하는 부분은, R 형상으로 되어 있고, 둥그스름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부 (119) 의 형상은, 아치상으로 돌출되는 형상이 아니어도,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전면과의 사이에 간극 (a) 을 갖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 손잡이부 (119) 는,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가 걸어 맞춰진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 하부 (12) 에 형성된 걸어 맞춤 돌기 (123) (후술) 와 전후 방향으로 겹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걸어 맞춤 돌기 (123) 가 정면에서 보이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걸림부)
걸림부 (1191) 는, 도 4 내지 도 8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 (119) 의 내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2 개 형성되어 있고, 수납 공간 (S) 의 폐색시에 걸어 맞춤 돌기 (123) 에 걸어 맞춰지고, 폐색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걸림부 (1191) 가 형성되는 간격은 임의이지만, 일반적인 사용자의 손가락폭보다 크면 더욱 좋다. 구체적으로는, 5 ㎜ 내지 25 ㎜ 사이로 떨어져 형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 내지 25 ㎜ 사이로 떨어져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부 (1191) 의 수는, 2 개에 한정하지 않고, 손잡이부 (119) 의 내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좌우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좌우로 각각 2 개씩 (합계 4 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용기 본체 하부)
용기 본체 하부 (12)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이 대략 직사각형상의 개구부로 된 대략 직방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환상의 오목홈부 (121)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상면의 바닥부에는, 수납 공간 (S) 에 수납한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공 (113a) 으로부터 취출할 때의 미끄럼 방지가 되는 미끄럼 방지부 (122)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전면의 상단부 중앙부 부근에는, 용기 본체 하부 (12) 와 일체적으로, 전방향으로 돌출되는 걸어 맞춤 돌기 (123) 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 하부의 재질)
용기 본체 하부 (12) 는 용기 본체 상부 (11) 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오목홈부)
오목홈부 (121)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이고, 수납 공간 (S) 을 폐색할 때에, 용기 본체 상부 (11) 의 내연부 (118) 가 걸어 맞춰지도록,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외주 벽부 (1211) 와 내주 벽부 (1212) 를 구비한다.
(외주 벽부·내주 벽부)
외주 벽부 (1211) 는,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외주 벽면으로서 형성되고, 수납 공간 (S) 을 폐색할 때에는,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외연부 (117) 에 맞닿는다.
내주 벽부 (1212) 는, 용기 본체 하부 (12) 의 내주 벽면으로서 형성되고, 외주 벽부 (1211)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면의 좌우 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된 제 1 가이드부 (1212a) 와, 후면의 좌우 방향으로 복수 형성된 제 2 가이드부 (1212b) 를 구비한다.
그리고, 외주 벽부 (1211) 와 내주 벽부 (1212) 사이에 용기 본체 상부 (11) 의 내연부 (118) 가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수납 공간 (S) 의 밀폐성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제 1·제 2 가이드부)
제 1 가이드부 (1212a) 는, 예를 들어, 용기 본체 하부 (12) 의 후면의 좌우 양 단부에, 각각 좌면 또는 우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외주 벽부 (1211) 및 제 2 가이드부 (1212b) 보다 Z 방향의 높이가 높다.
제 2 가이드부 (1212b) 는, 물결상이고, 용기 본체 하부 (12) 의 후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고, 외주 벽부 (1211) 보다 Z 방향의 높이가 높지만, 제 1 가이드부 (1212a) 보다는 낮다.
(미끄럼 방지부)
미끄럼 방지부 (122) 는, 용기 본체 하부 (12) 의 바닥부에 있어서, 주위를 경질 재료에 둘러싸인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대향하는 정점을 잇는 2 개의 직선이 무게 중심점에서 교차하고, 두 직선이 이루는 각 중, Y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된 두 각에 원호를 그린 형상을 갖는다.
또, 상기 2 개의 직선의 4 개의 단부는 원상으로 되어 있고,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원상부만 탄성 재료가 재치면에 접하도록 되어 있고, 재치부 (1221) 로서의 역할을 한다.
(걸어 맞춤 돌기)
걸어 맞춤 돌기 (123) 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전면의 상단부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용기 본체 하부 (12) 와 일체적으로, 전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이고, 수납 공간 (S) 의 폐색시에 있어서, 2 개의 걸림부 (1191) 가 걸어 맞춰진다.
걸어 맞춤 돌기 (123) 는, Y 방향의 길이가, 2 개의 걸림부 (1191) 의 간격과, 2 개의 걸림부 (1191) 의 각각의 Y 방향의 길이의 합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된다.
(개폐 덮개)
개폐 덮개 (2) 는,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 (112) 의 후방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접속된 편평한 곡선상의 대략 직사각형의 부재이고, 폐색 상태에 있어서의 전측에 개폐 덮개측 걸림부 (21) 를 구비하고, 하면측에 개폐 덮개측 밀폐 환부 (22) 와, 탄성 지지 부재 (114) 를 삽입하는 삽입부 (23) 를 구비한다.
또, 개폐 덮개 (2) 는, 폐색시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형상이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오목부 (112)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형상 중, 버튼부 (3) 가 구비된 부분을 제외한 형상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폐색시에 있어서, 오목부 (112) 에 끼워 넣을 수 있고, 또 천면부 (111) 와 면일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 덮개의 재질)
개폐 덮개 (2) 는,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가, 용기 본체 (10) 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개폐 덮개측 걸림부)
개폐 덮개측 걸림부 (21) 는,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 (2) 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갈고리상의 부분이다. 그리고, 버튼부 (3) 에 형성되는 버튼측 걸림부 (33) 와 걸어 맞춰짐으로써, 개폐 덮개 (2) 를 폐색 상태에서 건다. 또, 사용자가 버튼부 (3) 를 가압했을 때에는, 개폐 덮개측 걸림부 (21) 와 버튼측 걸림부 (33) 의 걸어 맞춤이 풀리고, 탄성 지지 부재 (114) 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개폐 덮개 (2) 가 개방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폐 덮개측 걸림부 (21) 의 형상은, 버튼측 걸림부 (33) 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개폐 덮개 (2) 를 폐색 상태에서 걺과 함께, 사용자가 버튼부 (3) 를 가압했을 때에는, 개폐 덮개측 걸림부 (21) 와 버튼측 걸림부 (33) 의 걸어 맞춤이 풀리는 것이면 임의이며,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갈고리상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개폐 덮개측 밀폐 환부)
개폐 덮개측 밀폐 환부 (22)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 (2) 의 폐색시에 있어서 하방으로 환상으로 돌출되고,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주측의 면이, 용기 본체 상부 (11) 에 형성된 취출부 (113) 의 외주와 접촉하도록, 하면측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
삽입부 (23)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 (2) 의 후단부에 탄성 지지 부재 (114) 를 삽입하여 고착시키는 것이다.
(버튼부)
버튼부 (3) 는,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 (31) 와, 상면부 (31) 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버튼측 끼워 맞춤부 (32) 와, 개폐 덮개측 걸림부 (21) 를 걸어 맞추는 버튼측 걸림부 (33) 를 갖고, 버튼측 걸림부 (33) 에 개폐 덮개측 걸림부 (21) 를 삽입함으로써, 개폐 덮개 (2) 를 폐색 상태에서 걺과 함께, 사용자가 버튼부 (3) 를 가압했을 때에는, 개폐 덮개측 걸림부 (21) 의 걸림이 풀리고, 개폐 덮개 (2) 가 개방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버튼부 (3) 는, 용기 본체 (10) 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경질 재료에 의해, 다른 부재로서 독립적으로 형성된 후, 버튼 부착부 (116)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는, 상기와 같이 개폐 덮개 (2) 와 버튼부 (3) 를 제외하고 전체가 사출 성형 (2 색 성형) 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부)
상면부 (31) 는, 도 1,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튼부 (3) 의 상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며,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후방측이 직선상, 전방측이 원호상이 되고, 선단부 (31a) 부근을 제외하고 오목부 (112) 의 전단부 부근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선단부 (31a) 가 오목부 (112) 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면부 (31) 의 크기는, 오목부 (112) 중 개폐 덮개 (2) 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의 크기에 따라 정해지지만, X 방향으로 가장 긴 부분에서 10 ㎜ 내지 30 ㎜, Y 방향으로 가장 긴 부분에서 30 ㎜ 내지 100 ㎜ 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부 (31) 의 선단부 (31a) 와 용기 본체 상부 (11) 사이에는 간극 (b) 이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 (31a) 및 기단부 (31b) 는,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상면 (수평) 에 대해 상이한 각도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선단부 (31a) 의 경사 각도는, 기단부 (31b) 의 경사 각도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단부 (31b) 의 경사 각도가 6 ∼ 8 도, 선단부 (31a) 의 경사 각도가 8 ∼ 10 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버튼부의 기단부 (31b) 는 용기 본체 상부 (11) 에 대해 평행이고 선단부 (31a) 만이 하방으로 경사져 있어도 되고, 기단부 (31b) 로부터 선단부 (31a) 에 걸쳐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도 된다.
(버튼측 끼워 맞춤부)
버튼측 끼워 맞춤부 (32) 는, 예를 들어, 바닥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전방측이 곡선상, 후방측이 직선상이 되는 환상으로 상면부 (31) 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외주가, 전술한 본체측 끼워 맞춤부 (1161) 의 내주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고, 상방으로부터 본체측 끼워 맞춤부 (1161) 에 끼워 넣음으로써, 버튼부 (3) 를 버튼 부착부 (116) 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가, 전술한 본체측 끼워 맞춤부 (1161) 의 외주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고, 하방으로부터 본체측 끼워 맞춤부 (1161) 를 끼워 넣음으로써, 버튼부 (3) 를 버튼 부착부 (116) 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버튼측 걸림부)
버튼측 걸림부 (33) 는, 버튼부 (3) 의 후방에 형성되는 구멍부이며, 개폐 덮개 (2) 에 형성된 개폐 덮개측 걸림부 (21) 가 내부에 삽입되어 걸어 맞춰짐으로써, 개폐 덮개 (2) 를 폐색 상태에서 걺과 함께, 사용자가 버튼부 (3) 를 가압했을 때에는, 개폐 덮개측 걸림부 (21) 의 삽입이 풀리고, 탄성 지지 부재 (114) 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개폐 덮개 (2) 가 개방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버튼측 걸림부 (33) 의 형상은, 개폐 덮개 (2) 를 폐색 상태에서 걺과 함께, 사용자가 버튼부 (3) 를 가압했을 때에는, 버튼측 걸림부 (33) 와 개폐 덮개측 걸림부 (21) 의 걸어 맞춤이 풀리는 것이면 임의이며, 도시한 바와 같은 구멍부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개폐 덮개측 걸림부 (21) 가 걸어 맞춰지는 갈고리부여도 된다.
[실시형태의 효과]
이하, 본 실시형태에 의해 얻어지는 주요한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용기의 폐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있어서, 수납 공간 (S) 의 폐색시에 용기 본체 상부 (11) 의 내연부 (118) 를,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오목홈부 (121) 에 끼워 맞추게 함으로써,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대해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수납 공간 (S) 이 용이하게 노출되어 버리는 경우가 없어져, 폐색을 유지할 수 있고, 밀폐성도 양호하다.
또, 용기 본체 하부 (12) 에 구비된 제 1 가이드부 (1212a) 와 제 2 가이드부 (1212b) 에 의해, 수납 공간 (S) 을 폐색할 때에, 용기 본체 상부 (11) 의 내연부 (118) 가 닿아 그대로 오목홈부 (121) 에 안내되게 되어, 보다 확실하게 수납 공간 (S) 을 폐색할 수 있다.
특히, 2 개의 제 1 가이드부 (1212a) 가 제 2 가이드부 (1212b) 보다 Z 방향의 높이가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 공간 (S) 을 폐색할 때에, 용기 본체 상부 (11) 가 용기 본체 하부 (12) 에 대해 다소 틀어져 버렸다고 해도, 보다 높은 제 1 가이드부 (1212a) 로 가이드되어 궤도 수정되기 때문에, 수납 공간 (S) 의 폐색의 확실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2 개의 제 1 가이드부 (1212a) 는, 후면의 좌우 양 단부에, 각각 좌면 또는 우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제 2 가이드부 (1212b) 가 물결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2 가이드부 (1212b) 가 좌우 방향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보다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어, 보다 원활하게 개폐 동작을 할 수 있다.
(전체 구성)
또, 용기 본체 (10) 가,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이 후면에 있어서 접속부 (13) 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를 재치면에 재치한 채로, 용기 본체 상부 (11) 를 후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시키도록 하여 수납 공간 (S) 을 노출시키고, 가정용 박엽지 (P) 를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정용 박엽지 (P) 의 교체시에, 재치면에 재치한 상태인 채로, 교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버튼부 등)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있어서, 버튼부 (3) 가 형성되고, 선단부 (31a) 의 경사 각도가 기단부 (31b) 의 경사 각도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버튼부 (3) 와 용기 본체 상부 (11) 의 간극 (b) 에 손가락을 넣기 어려워져, 가정용 박엽지 (P) 의 교체시에, 손잡이부 (119) 로 오해하여 버튼부 (3) 를 파지하고 회동시키려고 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버튼부 (3) 가, 하방으로 돌출되는 버튼 가동부 (1162) 에 의해 둘러싸인 본체측 끼워 맞춤부 (1161) 에 부착되어 있다. 이로써, 개폐 덮개 (2) 가 폐색된 상태에 있어서, 버튼부 (3) 의 상면부 (31) 를 사용자가 상방으로부터 가압한 경우, 가압한 위치를 불문하고, 버튼 가동부 (1162) 가 하방으로 뒤틀림으로써, 버튼부 (3) 가 하방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 때, 버튼부 (3) 의 버튼측 걸림부 (33) 에 개폐 덮개 (2) 의 개폐 덮개측 걸림부 (21) 가 삽입되어 있는 점에서, 버튼부 (3) 가 하방으로 가라앉으면, 이에 따라 개폐 덮개 (2) 도 하방으로 밀어 넣어지게 되는데, 개폐 덮개 (2) 는, 탄성 지지 부재 (114) 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고, 이와 같은 탄성력은, 개폐 덮개 (2) 가 하방으로 가라앉을수록 강해진다.
따라서, 버튼부 (3) 가 일정 정도 밀어 넣어지면, 이에 따라 개폐 덮개 (2) 가 가라앉고, 개폐 덮개 (2) 에 대한 상방으로의 탄성력이 강해지지만, 개폐 덮개 (2) 와 버튼부 (3) 는, 개폐 덮개측 걸림부 (21) 및 버튼측 걸림부 (33) 에 의해서만 걸어 맞춰져 있기 때문에, 개폐 덮개 (2) 에 대한 탄성력이 강해지면, 이 걸어 맞춤이 풀리고, 개폐 덮개 (2) 가 개방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버튼부 (3) 의 상면의 어느 부분을 가압해도, 개폐 덮개 (2) 를 개방시키기 쉬워진다.
또, 용기 본체 상부 (11) 가 본체측 끼워 맞춤부 (1161) 를 갖는 버튼 부착부 (116) 를 가짐으로써, 버튼부 (3) 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
용기 본체 상부 (11) 에 있어서, 손잡이부 (119) 가 형성되고, 손잡이부 (119) 의 내주측이 R 가공에 의해 곡면으로 성형됨으로써, 내주측이 예각인 경우에 비해, 손잡이부 (119) 를 외측으로 넓히기 쉬워지고, 걸림부 (1191) 와 걸어 맞춤 돌기 (123) 의 걸어 맞춤 해제가 하기 쉬워져, 용이하게 수납 공간 (S) 을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손잡이부 (119) 는,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가 걸어 맞춰진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 하부 (12) 에 형성된 걸어 맞춤 돌기 (123) 와 전후 방향으로 겹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걸어 맞춤 돌기 (123) 가 정면에서 보이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겉보기에도 좋다.
또, 이 손잡이부 (119) 에 걸림부 (1191)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기 본체 상부 (11) 의 전면과 손잡이부 (119) 의 간극 (a) 에 손가락을 걸어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의 걸어 맞춤을 용이하게 해제하여 수납 공간 (S) 을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손잡이부 (119) 의 내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좌우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복수의 걸림부 (1191)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부 (119) 의 중앙 부근에 손가락을 넣었을 때, 걸림부 (1191) 가 방해가 되지 않고,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의 걸어 맞춤을 보다 용이하게 해제하여 수납 공간 (S) 을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 걸림부 (1191) 가 손잡이부 (119) 의 내면에 2 개 형성되고, 2 개의 걸림부 (1191) 의 간격이 손가락폭보다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용기 본체 상부 (11) 를 회동시킬 때에 손가락이 2 개의 걸림부 (1191) 사이에 들어가기 쉬워지고, 용기 본체 상부 (11) 를 회동시키기 쉬워져, 용이하게 수납 공간 (S) 을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걸어 맞춤 돌기 (123) 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2 개의 걸림부 (1191) 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2 개의 걸림부 (1191) 사이의 거리를 더한 길이보다 길고, 1 개의 걸어 맞춤 돌기 (123) 에 2 개의 걸림부 (1191) 가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걸어 맞춤 돌기 (123) 를 각 걸림부 (1191) 에 대해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것보다 강도가 올라, 보다 안정적으로 걸림부 (1191) 를 걸어 맞추게 할 수 있다.
또, 용기 본체 상부 (11), 용기 본체 하부 (12) 및 접속부 (13) 는, 사출 성형 (2 색 성형) 등의 방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의 제조 효율의 면에서도 우수하다.
(취출공)
취출공 (113a) 으로부터 꺼내어진 다음의 가정용 박엽지 (P) 는, 그 일단부가 적정한 길이를 꺼내어진 상태에서 취출공 (113a) 에 유지되므로, 취출공 (113a) 에 유지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P) 가 개폐 덮개 (2) 를 닫을 때의 방해가 되는 경우가 없다.
또, 취출공 (113a) 에 유지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P) 를 개폐 덮개 (2) 로 끼워 넣어 버리는 경우가 없으므로, 습성의 가정용 박엽지 (P) (웨트 티슈 등) 가 개폐 덮개 (2) 에 끼여 용기 본체 (10) 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고, 건조되어 버리는 트러블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취출공 (113a) 이 형성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이면, 가정용 박엽지 (P) 를 바람직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고, 꺼내어 사용한 가정용 박엽지 (P) 에 이어서 꺼내어진 다음의 가정용 박엽지 (P) 의 일단부를, 개폐 덮개 (2) 를 폐개하는 방해가 되지 않도록 취출공 (113a) 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적정한 길이를 꺼내어진 가정용 박엽지 (P) 가 취출공 (113a) 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음으로써, 수납 공간 (S) 에 수납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P) 를 꺼내어 사용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취출공 (113a) 의 3 개의 슬릿 중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의 폭만이 다른 슬릿의 폭에 비해 넓게 되어 있음으로써, 앞쪽을 제외한 2 개의 돌편 (113c) 에 의해 취출공 (113a) 에 유지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P) 의 일단부의 지지 지점이 분산되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취출공 (113a) 으로 가정용 박엽지 (P) 의 일단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앞쪽으로 연장되는 다른 2 개의 슬릿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음으로써,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할 때에, 일단부가 슬릿에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탄성 지지 부재)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에 의하면, 용기 본체 상부 (11) 에 탄성 재료에 의해 탄성 지지 부재 (114) 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개폐 덮개 (2) 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예를 들어 상방으로 세워 형성하는 스프링상의 탄성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이것이 개폐 덮개 (2) 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한 경우, 개폐 덮개 (2) 의 개폐시마다 이것이 접히거나 늘어나거나를 반복하는 점에서, 이와 같은 스프링상의 부분이 열화되기 쉽고, 개폐 덮개 (2) 에 대한 탄성력이 조기에 약해지기 쉽다. 그리고, 개폐 덮개 (2) 에 대한 탄성력이 일정 정도 약해져 버리면, 이것을 원터치로 개방시킬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탄성 지지 부재 (114) 가 개폐 덮개 (2) 에 의해 눌림으로써, 개폐 덮개 (2) 에 대한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탄성 재료로 형성된 부분의 변형량이 작고, 이것이 열화되기 어려운 점에서, 개폐 덮개 (2) 에 대한 탄성력이 약해지기 어렵다.
또, 오목부 (112) 에 수납 오목부 (115)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탄성 지지 부재 (114) 의 오목부 (112) 와의 접촉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지나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탄성 지지 부재 (114) 가 파손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탄성 지지 부재 (114) 가, 개폐 덮개 (2) 의 회동의 지지점에 가까운, 용기 본체 (10) 의 후방측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개폐 덮개 (2) 에 대한 탄성력이 강해지고, 이것을 개방 상태로 하기 쉬워진다.
(기타 구성)
또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상면에 미끄럼 방지부 (122) 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취출공 (113a) 으로부터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했을 때에 수납 공간 (S) 내의 가정용 박엽지 (P) 가 움직여 흐트러지기 어려워짐으로써, 안정적으로 가정용 박엽지 (P) 를 취출할 수 있다.
또, 미끄럼 방지부 (122) 를 형성하는 일부가 재치면에 접하고, 재치부 (1221) 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를 재치면에 재치했을 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개폐 덮개 (2) 의 폐색시에 있어서, 개폐 덮개측 밀폐 환부 (22) 가 취출부 (113) 의 외주와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수납 공간 (S) 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이하,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손잡이부)
손잡이부 (119) 는, 용기 본체 상부 (11) 의 다른 부분과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되고, 별체로 구성하여 나중에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걸어 맞춤 돌기)
걸어 맞춤 돌기 (123) 는, 반드시 1 개가 아니라, 2 개의 걸림부 (1191) 각각에 대해 2 개 형성해도 된다.
(가이드부)
가이드부는, 제 1 가이드부 (1212a) 만의 구성이어도 되고, 제 2 가이드부 (1212b) 만의 구성이어도 된다.
제 1 가이드부 (1212a) 는, 반드시 좌면 또는 우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 2 가이드부 (1212b) 는, 물결상이 아니어도 좌우 방향에 걸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버튼부)
버튼부 (3) 는, 버튼 가동부 (1162) 에 의해 상하동 가능하게 용기 본체 상부 (11) 에 구비되어 있으면 되고, 반드시 버튼 부착부 (116) 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요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탄성 재료를 버튼 가동부 (1162A) 로 하고, 버튼부 (3) 의 하측의 전체면에 걸쳐 형성한 후에, 버튼부 (3) 를 접착 등의 방법으로 직접 버튼 가동부 (1162A) 상에 부착해도 된다.
(접속부)
상기에 있어서는 접속부 (13) 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의 좌우 방향 중앙부 부근의 1 개 지점에만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접속부 (13) 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A) 의 좌우에 형성된 접속부 (13A, 13A) 와 같이 해도 된다. 이 경우, 수납 공간 (SA) 을 노출시켰을 때에, 접속부 (13A) 가 틀어지기 어려워져, 그 안정성을 높임과 함께, 이것을 다시 폐색하는 작업이 실시하기 쉬워진다.
또,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B) 후면측의 전체면을 덮는 접속부 (13B) 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수납 공간 (S) 이 폐색된 상태에 있어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B) 의 용기 본체 상부 (11) 와 용기 본체 하부 (12) 의 접촉부의 후면측의 전체가 덮이는 점에서, 수납 공간 (S) 의 기밀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그 밖에,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 의 세부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보다 용이하게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를 교체할 수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에 이용할 수 있다.
1 :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10 : 용기 본체
11 : 용기 본체 상부
111 : 천면부
112 : 오목부
113 : 취출부
113a : 취출공
113b : 팽출 부분
113c : 돌편
114 : 탄성 지지 부재
115 : 수납 오목부
116 : 버튼 부착부
1161 : 본체측 끼워 맞춤부
1162 : 버튼 가동부
117 : 외연부
118 : 내연부
119 : 손잡이부
1191 : 걸림부
12 : 용기 본체 하부
121 : 오목홈부
1211 : 외주 벽부
1212 : 내주 벽부
1212a : 제 1 가이드부
1212b : 제 2 가이드부
122 : 미끄럼 방지부
1221 : 재치부
123 : 걸어 맞춤 돌기
13 : 접속부
2 : 개폐 덮개
21 : 개폐 덮개측 걸림부
22 : 개폐 덮개측 밀폐 환부
23 : 삽입부
3 : 버튼부
31 : 상면부
31a : 선단부
31b : 기단부
32 : 버튼측 끼워 맞춤부
33 : 버튼측 걸림부
a, b : 간극
P : 가정용 박엽지
S : 수납 공간

Claims (8)

  1. 내부에 가정용 박엽지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를 구비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 상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 하부와,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후면과,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후면을 접속시키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를 지지점으로 상기 용기 본체 상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상기 수납 공간을 폐색 또는 노출시키고,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하단부에, 환상의 외연부와, 상기 외연부보다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외연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환상의 내연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상단부에, 상기 용기 본체 상부의 상기 내연부가 걸어 맞춰지는 환상의 오목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홈부는, 외주 벽면을 구성하고, 상단이 상기 외연부와 맞닿는 외주 벽부와, 내주 벽면을 구성하는 내주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후면의 상기 내주 벽부는, 상기 외주 벽부의 높이보다 높은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좌우 방향의 양 단부에 형성된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보다 좌우 방향 내측에 형성된 제 2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제 2 가이드부보다 상하 방향의 높이가 높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용기 본체 하부의 좌면 및 우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상부는, 전면에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본체 하부는, 상기 전면으로부터 전방향으로 돌출된 걸어 맞춤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폐색시에, 상기 걸림부와 상기 걸어 맞춤 돌기가 걸어 맞춰져 상기 폐색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상부는, 바닥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전면으로부터 아치상으로 돌출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면에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용기 본체 상부를 구성하는 다른 부위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상부, 상기 용기 본체 하부, 및 상기 접속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KR1020217038007A 2019-06-03 2020-05-26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KR202200160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03993 2019-06-03
JP2019103993A JP7241607B2 (ja) 2019-06-03 2019-06-03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PCT/JP2020/020723 WO2020246311A1 (ja) 2019-06-03 2020-05-26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061A true KR20220016061A (ko) 2022-02-08

Family

ID=7364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007A KR20220016061A (ko) 2019-06-03 2020-05-26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233032A1 (ko)
EP (1) EP3954630A4 (ko)
JP (1) JP7241607B2 (ko)
KR (1) KR20220016061A (ko)
CN (1) CN113811236A (ko)
BR (1) BR112021023820A2 (ko)
WO (1) WO20202463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6613B1 (ja) 2021-05-31 2022-05-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シート構造体、シート包装体、及び外装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96Y2 (ko) 1983-01-10 1990-03-16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0538A (ja) 1983-03-03 1984-09-11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触媒の製造方法
JPH08244861A (ja) * 1995-03-09 1996-09-2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
US5785179A (en) * 1997-06-04 1998-07-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ainer for wet wipes having an improved closure mechanism
JP3262217B2 (ja) * 1997-10-13 2002-03-04 内藤工業株式会社 収納ケース
JP3746901B2 (ja) * 1997-10-15 2006-0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閉自在容器
JP4108904B2 (ja) * 2000-04-19 2008-06-25 株式会社資生堂 気密性容器
US6929125B1 (en) * 2002-07-25 2005-08-16 Foam Technologies, Inc. Watertight protective carrying case
JP2004345712A (ja) * 2003-05-26 2004-12-09 Lining Container Kk 包装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22114B2 (ja) * 2004-03-12 2010-08-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容器
ATE471885T1 (de) * 2007-03-26 2010-07-15 Airsec Sas Behälter
JP4456627B2 (ja) * 2007-09-28 2010-04-28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5166088B2 (ja) * 2008-03-24 2013-03-21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紙収納容器
JP5512116B2 (ja) * 2008-11-14 2014-06-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閉自在容器
US8631931B2 (en) * 2010-06-19 2014-01-21 Danielle Patenaude Dental prosthesis and dental appliance storage box
JP5629142B2 (ja) * 2010-06-24 2014-11-19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US20120211493A1 (en) * 2011-02-23 2012-08-23 Weatherchem Corporation Non-liner container
AU2013222019A1 (en) * 2012-08-31 2014-03-20 Multisteps Pty Ltd A Produce Container
US9834341B2 (en) * 2013-06-19 2017-12-05 Csp Technologies, Inc. Cap and container assemblies
TR201808461T4 (tr) * 2013-07-01 2018-07-23 Daio Seishi Kk Islak mendil paket gövdesi için kapak gövdesi ve ıslak mendil paket gövdesi.
JP6259554B2 (ja) * 2014-03-12 2018-01-10 有限会社K・Mプランニング 収納容器
JP6280586B2 (ja) * 2016-03-30 2018-02-14 大王製紙株式会社 衛生用薄葉紙収納容器
JP6738260B2 (ja) * 2016-11-11 2020-08-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蓋機構、包装体及び分与容器
JP6510696B1 (ja) * 2018-03-05 2019-05-08 大王製紙株式会社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696Y2 (ko) 1983-01-10 1990-03-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4630A4 (en) 2022-06-08
JP2020196517A (ja) 2020-12-10
WO2020246311A1 (ja) 2020-12-10
CN113811236A (zh) 2021-12-17
EP3954630A1 (en) 2022-02-16
US20220233032A1 (en) 2022-07-28
BR112021023820A2 (pt) 2022-01-04
JP7241607B2 (ja)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4064B2 (en) Household thin paper sheet storing container
KR20220016061A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JP4769574B2 (ja) ウエットシート収容容器
KR20220016066A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KR20220016067A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KR20220016062A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CN114929596B (zh) 家庭用薄纸收纳容器
JP7414662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JP7365875B2 (ja) 薄葉紙収納容器
JP2022084078A (ja) 衛生用薄葉紙収納容器
EP3907154A1 (en) Household tissue paper container
JP4417883B2 (ja) シート体収容容器
JP2022111595A (ja) 衛生用薄葉紙収納容器
JP2023018288A (ja) 衛生用薄葉紙収納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