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854B1 - 자동 잠금구조의 진공챔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잠금구조의 진공챔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854B1
KR100584854B1 KR1020030067202A KR20030067202A KR100584854B1 KR 100584854 B1 KR100584854 B1 KR 100584854B1 KR 1020030067202 A KR1020030067202 A KR 1020030067202A KR 20030067202 A KR20030067202 A KR 20030067202A KR 100584854 B1 KR100584854 B1 KR 100584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cuum chamber
locking
upper case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039A (ko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안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영 filed Critical 안준영
Priority to KR102003006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854B1/ko
Publication of KR2005003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포장지를 진공 밀폐시킨 후 함께 보관될 수 있는 진공챔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는 진공챔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챔버장치의 진공챔버가 진공되면서 잠금작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진공챔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챔버장치, 진공챔버, 잠금, 자동, 압력차

Description

자동 잠금구조의 진공챔버장치{Automatically lockable vacuum chamber apparatus}
도1은 종래의 진공포장기를 나타낸다.
도2는 종래의 진공챔버장치를 나타낸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챔버장치가 열려져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챔버장치가 닫혀져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5는 도4의 A-A 단면도이다.
도6은 진공밸브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7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잠금수단의 일례의 작용을 나타낸다.
도8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잠금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9는 잠금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10...진공챔버장치,
220...상부케이스,
230...하부케이스,
240...진공챔버,
270...진공밸브, 271...공기유출입통로, 272...나사산부, 273...캡, 274...고무,
281...걸림부, 282...걸이부, 283...제1걸림턱, 284...제2걸림턱, 285...제3걸림턱, 286...제4걸림턱, 287...고정돌기, 288...고정홈,
290...진공포장지, 291...진공펌프, 292...호스,
본 발명은 진공포장지가 진공된 후에 진공된 채로 열봉합되지 않고 보관되는 진공포장지용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포장지는 내부에 음식물 등이 수납된 후 진공상태로 되어, 음식물 등이 진공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포장지이다.
종래에는 진공포장을 함에 있어 도1에 도시되듯이 실용신안등록번호제20-0235323호이고 고안의 명칭이 "진공 및 접착용 포장기"에 기재된 종래의 진공포장기를 사용하였다.
도1과 같은 진공포장기는 상하부 케이스(10, 20)와, 상기 상하부케이스(10, 20)의 내부에 진공포장지(30)의 일단이 삽입된 다음 패킹하는 고무패킹(23, 24)과, 상기 상하부 고무패킹(23, 24)에 의해 진공 포장지(3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진공펌프(25)와, 상기 하부 고무패킹(23)의 전면에는 진공 포장지(30)의 밀봉을 위한 가열수단인 히터(2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진공포장기에 의한 진공포장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식료품 등이 진공포장지(30)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진공 포장지(30) 의 개봉부가 상하부 고무패킹(23, 24) 사이에 위치된 후에, 상하부 고무패킹(23, 24)이 맞물리도록 상기 상부케이스(20)가 하부케이스(10) 위로 하강된다.
그런 후에 소정의 스위치가 작동되면 진공펌프(25)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진공펌프(25)의 동작에 따라 고무패킹(23, 24) 사이의 공간에는 진공이 이루어져, 진공포장지의 내부도 진공이 된다. 이때 진공포장지(30)의 내부 일측면에 엠보싱(3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엠보싱(32a)에 의해 진공포장지(30) 내부의 공기가 잘 흡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진공포장지의 진공이 완료되면 히터(21)에 의해 상기 진공포장지를 열봉합하여 밀봉하고, 상부케이스를 열어 진공되고 열봉합된 진공포장지를 커팅하여 보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진공포장기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등 그 구성이 복잡하고, 또, 진공포장지를 열봉합하여 커팅하여야 하기 때문에 재활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진공포장지를 진공 밀폐시킨 후 함께 보관될 수 있는 진공챔버장치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121695호와 같은 것을 발명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진공챔버장치는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20), 하부케이스(130), 진공챔버(140), 패킹(150), 진공밸브(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에서 유연한 호스노즐(160)은 진공포장지(90), 특히 엠보싱이 내면에 형성되지 않은 진공포장지에 대해서 엠보싱과 같은 역할을 하여 진공포장지 내에서 공기통로를 형성함으로서 진공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진공포장지를 진공 밀폐시킨 후 함께 보관될 수 있는 진공챔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는 진공챔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챔버의 진공이 이루어지면서 상.하부케이스의 잠금작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진공챔버장치를 간단한 구성을 통해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진공포장지의 두께와 관계없이 잠금작용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진공챔버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아 형성되며, 진공포장지의 개봉부가 내부로 노출되고 상기 진공포장지의 다른쪽 끝부분은 외부에 위치하는 진공챔버와;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챔버와 통하여 공기유출입통로를 개폐하는 진공밸브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걸림턱이 있는 걸림부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걸이부와, 상기 걸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진공챔버장치(210)의 상부케이스(220)가 완전히 열려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그리고, 도4에는 상기와 같은 진공챔버장치(210)가 진공포장지(290)와 함께 닫혀져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으며, 도5는 도4와 같은 상태에서의 단면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진공챔버(240)는 도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20)가 하부케이스(230) 위로 닫히는 경우 그 맞닿아 형성되는 내부의 빈 공간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케이스(220)와 하부케이스(230)는 분리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힌지(300)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부케이스(220)와 하부케이스(230)가 맞닿는 면에는 상기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탄성이 있는 패킹(2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의 패킹(250)은 진공챔버(240)가 진공됨에 따라 진공챔버(240) 내부의 진공압과 외부 대기압의 압력차이에 의해 탄성 변형으로 압축될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진공밸브(270)는 도4와 도6에 도시되듯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케이스(220)에 장착되고, 진공챔버(240)와 대기가 서로 통하는 공기유출입통로(271)를 개폐하는 밸브이다. 이러한 밸브는 진공챔버장치는 물론 진공용기에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도6과 같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232016호(고안의 명 칭: 날자표시 진공용기 밸브)에 기재된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진공밸브(270)는 도4, 6에 도시되듯이 호스(292)를 통해 진공 시에는 고무(274)가 상승되어, 공기유출입통로(271)가 열려진다. 그리고, 진공된 후에는 진공압에 의하여 고무(274)가 하강되어 스스로 공기유출입통로(271)가 닫힌다. 또한, 캡(273)과 나사산부(272)가 서로 체결된 상태로 진공챔버(240)는 장기간 보관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진공밸브(270)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제92-700998호(고안의 명칭: 플라스틱 백을 진공봉합하는 장치)에 기재된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진공밸브(270)는 도4에 도시되듯이 호스(292)를 통해 진공펌프(291)와 연결되고 공기유출입통로(271)는 개방되어, 진공펌프(29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진공챔버(240)와 진공포장지(290)가 진공된다. 소정의 진공도로 진공된 후에 상기 진공밸브(270)에서 호스(292)와 진공펌프(291)가 분리되고, 상기 진공밸브(270)에 의해 공기유출입통로(271)가 폐쇄되어 상기 진공챔버(240)와 진공포장지(290)가 진공된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진공펌프(291)에는 압력센서(미도시)가 내장되어, 자동적으로 소정의 진공도가 달성되면 진공펌프(291)가 정지된다. 그리고, 진공밸브(270)가 다시 개방되면 진공챔버(240)와 대기가 연결되고 이에 따라 진공챔버(240)의 진공이 해제되어, 상부케이스(220)가 쉽게 열려진다. 이외에도 진공밸브(270)는 흡입밸브와 배기밸브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잠금수단은, 상부케이스(220) 또는 하부케이스(23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걸림턱(283,284)이 있는 걸림부(281)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281)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걸이부(282)와, 상기 걸림부(28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걸림부(281)는 도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23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걸림턱(283,284)은 안쪽면에 형성되되 2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걸이부(282)는 도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20)의 측부 끝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걸림부(281)의 걸림턱(283,284)에 걸릴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걸이부(282)는 도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20)의 측부 끝단에서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곳에 간단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탄성수단은 상기 걸림부(28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에서 걸림부(281)가 하부케이스(230)에 힌지(미도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281)를 하부케이스(230)에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서 그 자체로 탄성수단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탄성수단은 도7a와 같이 상부케이스(220)가 하부케이스(230) 위로 닫히면서 상기 걸이부(282)에 의해 상기 걸림부(281)가 우측으로 변형되어 밀리면 다시 제자리로 복원되도록 하여 도7b와 같이 상기 걸이부(282)가 걸림턱(283)에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7에는 상기와 같은 잠금수단에 대한 작동을 나타내고 있는데, 도7a는 상부 케이스(220)와 하부케이스(230)에 닫히기 전의 상태이며, 도7b는 상부케이스(220)와 하부케이스(230)가 맞닿은 상태로 진공챔버(240) 내부가 밀폐된 상태이다. 도7b에서 상기 걸이부(282)는 제1걸림턱(283)에 걸려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도7c는 상기 걸이부(282)가 제2걸림턱(284)에 걸려 있는 상태로 이때 상부케이스(220)와 하부케이스(230)는 압착되어 있으며, 진공챔버(240) 내부는 진공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잠금수단에 의하면 상부케이스(220)를 인위적으로 누르지 않더라도 상기 진공챔버(240) 내부가 진공 됨에 따라 내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상부케이스(220)와 하부케이스(230)가 맞닿은 상태에서 압착되게 되므로 자동으로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7b와 같은 상태에서 진공챔버(240) 내부를 진공시키게 되면 외부의 대기압에 의해 상부케이스(220)와 하부케이스(230)는 압착되므로 상기 걸이부(282)가 걸림부(281)의 제2걸림턱(284)에 자동으로 걸려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제1걸림턱(283)은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도3과 같이 열린 상태에서 상부케이스(220)를 살짝 건드려도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걸이부(282)가 상기 제1걸림턱(283)에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잠금수단에 의하면 사용자는 잠금장치를 전혀 건드리지 않고도 잠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도3과 같은 상태에서 상부케이스(220)를 살짝 건드리면 상부케이스(220)가 회전되어 상기 걸이부(282)가 상기 제1걸림턱(283)에 걸림으로서 진공챔버(240)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런 후 진공펌프(291)를 연결하여 진공포장지(290)와 진공챔버(240)를 진공시키면 상부케이스(220)가 하부케이스(230)에 압착되면서 상기 걸이부(282)가 제2걸림턱(284)에 자동으로 걸리게 된다.
한편, 도3 및 도8에 보이는 바와 같이 걸이부(28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220)의 측면에는 홈(이하 '고정홈'이라 함)을 형성하고, 도8에 보이는 바와 같이 걸림부(281)의 안쪽 면에는 상기 고정홈(288)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이하 '고정돌기'라 함)(28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케이스(220)가 하부케이스(230)에 완전히 닫히면 상기 고정홈(288)에 고정돌기(287)가 삽입되게 되며, 이로써 상부케이스(220)가 하부케이스(230)로부터 측방향으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로 인한 진공 해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9에 보이는 바와 같이 걸림턱 간의 단차를 적게 하면서 제3걸림턱(285), 제4걸림턱(286) 등 다수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면 상기 걸이부(282)는 단계적으로 걸림턱에 걸리면서 잠금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걸림턱을 여러 단으로 형성하게 되면 진공포장지(290)의 두께가 두꺼워 상부케이스(220)와 하부케이스(230)가 덜 압착되는 경우에도 그 잠금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진공챔버장치(21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3과 같이 진공포장지(290)의 내부에 식료품 등이 수납된다. 이때 진공포장지(290)의 한쪽 끝부분인 개봉부는 상기 진공챔버(240)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진공포장지(290)의 다른쪽 끝부분은 진공챔버(240)의 외부에 그대로 위치된다. 그런 후에 도4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220)가 하부케이스(230) 위로 닫히고, 패킹에 의하여 진공챔버(240)는 밀폐된다.
진공밸브(270)가 호스(292)를 통해 진공펌프(291)에 연결되어, 진공펌프(291)의 작동에 따라 진공포장지(290)의 내부와 진공챔버(240)가 진공된다. 진공이 모두 완성되면, 상부케이스(220)와 하부케이스(230)는 자동으로 잠기고, 호스(292)와 진공펌프(291)는 분리되며, 진공밸브(270)는 닫힌다.
잠금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220)는 상기 하부케이스(230)가 닫힌 위치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진공포장지(290)의 진공포장작업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로 진공포장지(290)와 진공챔버장치(210)가 함께 보관된다.
본 발명이 나타내는 효과를 요약하면 대체로 다음과 같다.
첫째, 진공챔버가 진공되면 잠금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둘째, 잠금장치를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에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다.
셋째, 걸림턱을 다수 형성하여 여러 단으로 하면 진공포장지의 두께에 관계없이 잠금이 항상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돌기와 고정홈을 형성함으로서 상부케이스가 하부케이스로부터 측방향으로 미끄러져 이탈됨으로서 진공이 해제되는 문제가 없다.

Claims (3)

  1. 삭제
  2.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아 형성되며, 진공포장지의 개봉부가 내부로 노출되고 상기 진공포장지의 다른쪽 끝부분은 외부에 위치하는 진공챔버와;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챔버와 통하여 공기유출입통로를 개폐하는 진공밸브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걸림턱이 있는 걸림부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걸이부와, 상기 걸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턱은 걸림부에 2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챔버장치.
  3.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아 형성되며, 진공포장지의 개봉부가 내부로 노출되고 상기 진공포장지의 다른쪽 끝부분은 외부에 위치하는 진공챔버와;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챔버와 통하여 공기유출입통로를 개폐하는 진공밸브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걸림턱이 있는 걸림부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걸이부와, 상기 걸림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챔버장치.
KR1020030067202A 2003-09-27 2003-09-27 자동 잠금구조의 진공챔버장치 KR100584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202A KR100584854B1 (ko) 2003-09-27 2003-09-27 자동 잠금구조의 진공챔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202A KR100584854B1 (ko) 2003-09-27 2003-09-27 자동 잠금구조의 진공챔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039A KR20050031039A (ko) 2005-04-01
KR100584854B1 true KR100584854B1 (ko) 2006-05-30

Family

ID=3723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202A KR100584854B1 (ko) 2003-09-27 2003-09-27 자동 잠금구조의 진공챔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8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039A (ko) 200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582A (en) Self vacuum storage bag
US6634384B2 (en) One-way valve for use with vacuum pump
BG292Y1 (bg) Устройство за пакетиране под вакуум на продукти, съхраняванив гъвкави торби
WO2008086668A1 (fr) Récipient d'emballage sous vide
KR100780813B1 (ko) 잠금날개 결착식 진공 밀폐용기
KR100886414B1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100584854B1 (ko) 자동 잠금구조의 진공챔버장치
KR100485883B1 (ko) 진공포장지 밀봉형 진공챔버장치
KR100500961B1 (ko) 잠금기능과 진공해제작업이 동시 수행이 가능한 진공포장기
KR100584856B1 (ko) 진공포장지 삽입통로가 구비된 진공챔버장치
EP1520787A1 (en) Device for generating at least partial vacuum in bags for packaging clothes or the like
KR100494054B1 (ko) 클립형 잠금수단을 갖는 진공챔버장치
KR200342785Y1 (ko) 진공챔버용기
US732854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troducing air into, or removing air from, containers
KR100584858B1 (ko) 진공챔버용기
KR200316231Y1 (ko)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용 밀폐장치
KR100510983B1 (ko) 텅이 부착된 진공챔버장치
KR200389425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200312169Y1 (ko) 유연한 호스노즐이 부착된 진공챔버장치
KR100648598B1 (ko) 잠금수단이 구비된 진공포장기
KR101920464B1 (ko) 진공포장장치
US20080199335A1 (en) Vacuum storage container with integrated pump
KR20100092093A (ko) 진공포장지용 스티커형 체크밸브 및 이를 이용한 진공포장지 밀봉세트
JP5171375B2 (ja) 液体収納体の蓋体構造
KR100584852B1 (ko) 수직 관통형 잠금수단을 갖는 진공챔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