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858B1 - 진공챔버용기 - Google Patents

진공챔버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858B1
KR100584858B1 KR1020030094190A KR20030094190A KR100584858B1 KR 100584858 B1 KR100584858 B1 KR 100584858B1 KR 1020030094190 A KR1020030094190 A KR 1020030094190A KR 20030094190 A KR20030094190 A KR 20030094190A KR 100584858 B1 KR100584858 B1 KR 100584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hamber
vacuum chamber
valve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2190A (ko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안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준영 filed Critical 안준영
Priority to KR1020030094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858B1/ko
Publication of KR2005006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65D77/045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 B65D77/0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and being a tray or like shal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챔버용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진공챔버장치의 결점을 보완하고, 밀폐력이 우수하여 진공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아주 저렴하게 공급되는 플라스틱 필름 포장지를 사용할 수 있어 진공포장에 드는 비용을 절감시키고, 또한 이와 같은 포장지는 아주 저렴하기 때문에 사용 후 그대로 폐기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고가인 관계로 사용 후 세척하여 재사용하게 되는 불편함이 없게 된다.
진공챔버장치, 진공포장지, 진공챔버용기, 진공챔버, 저장챔버, 외곽챔버

Description

진공챔버용기{Vacuum chamber container}
도1은 종래의 진공포장기를 나타낸다.
도2와 도3은 종래의 진공챔버장치를 나타낸다.
도4는 종래의 진공챔버장치에 사용되는 진공밸브를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도7은 도6의 진공챔버용기가 닫힌 모습을 나타낸다.
도8은 도7의 진공챔버용기로 진공포장한 후 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9는 종래의 진공포장용 노즐을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90...진공포장지,
220...상부케이스, 230...하부케이스, 240...진공챔버, 250...진공챔버 패킹, 270...진공밸브, 271...공기유출입통로, 281...걸쇠, 282...걸림편, 291...진공포장용 노즐,
340...저장챔버, 350...국물받이통,
440...외곽챔버, 481...상부걸림부, 482...상부걸림턱, 483...하부걸림부, 484...하부걸림턱,
510...해제밸브, 511...버튼, 513...스프링, 514...구멍, 515...돌기, 516...패킹, 521...저장챔버체크밸브, 522...진공챔버체크밸브
일반적으로 진공포장지는 내부에 음식물 등이 수납된 후 진공상태로 되어, 음식물 등이 진공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포장지이다.
종래에는 진공포장을 함에 있어 도1에 도시되듯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35323호이고 고안의 명칭이 "진공 및 접착용 포장기"에 기재된 종래의 진공포장기를 사용하였다.
도1과 같은 진공포장기는 상하부케이스(10, 20)와, 상기 상하부케이스(10, 20)의 내부에 진공포장지(30)의 일단이 삽입된 다음 패킹하는 고무패킹(23, 24)과, 상기 상하부 고무패킹(23, 24)에 의해 진공 포장지(3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진공펌프(25)와, 상기 하부 고무패킹(23)의 전면에는 진공 포장지(30)의 밀봉을 위한 가열수단인 히터(2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진공포장기에 의한 진공포장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식료품 등이 진공포장지(30)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진공 포장지(30)의 개봉부가 상하부 고무패킹(23, 24) 사이에 위치된 후에, 상하부 고무패킹(23, 24)이 맞물리도록 상기 상부케이스(20)가 하부케이스(10) 위로 하강된다.
그런 후에 소정의 스위치가 작동되면 진공펌프(25)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진공펌프(25)의 동작에 따라 고무패킹(23, 24) 사이의 공간에는 진공이 이루어져, 진공포장지의 내부도 진공이 된다. 이때 진공포장지(30)의 내부 일측면에 엠보싱(3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엠보싱(32a)에 의해 진공포장지(30) 내부의 공기가 잘 흡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진공포장지의 진공이 완료되면 히터(21)에 의해 상기 진공포장지를 열봉합하여 밀봉하고, 상부케이스를 열어 진공되고 열봉합된 진공포장지를 커팅하여 보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진공포장기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등 그 구성이 복잡하고, 또, 진공포장지를 열봉합하여 커팅하여야 하기 때문에 재활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진공포장지를 진공 밀폐시킨 후 함께 보관될 수 있는 진공챔버장치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12169호와 같은 것을 발명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진공챔버장치는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20), 하부케이스(130), 진공챔버(140), 패킹(150), 진공밸브(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2에서 유연한 호스노즐(160)은 진공포장지(90), 특히 엠보싱이 내면에 형성되지 않은 진공포장지에 대해서 엠보싱과 같은 역할을 하여 진공포장지 내에서 공기통로를 형성함으로서 진공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진공챔버장치의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측부 잠금수단으로서 걸쇠(181)와 걸림편(182)은 상부케이스(120)와 하부케이스(13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
도3에는 도2와 같은 진공챔버장치로 진공포장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포장지(190)의 한쪽 끝부분인 개봉부는 호스노즐(160)을 감싸며 진공챔버(140)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진공포장지(190)의 다른쪽 끝부분은 진공챔버(40)의 외부에 그대로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부케이스(120)가 하부케이스(130) 위로 닫히고, 패킹(150)에 의하여 진공챔버(140)는 밀폐된다.
상부케이스(120)가 닫힌 후 진공밸브(170)가 호스(192)를 통해 진공펌프(191)에 연결되고, 진공펌프(191)의 작동에 따라 진공포장지(190)의 내부와 진공챔버(140)가 진공된다. 소정의 진공도가 달성된 후에는 상기 호스(192)와 진공펌프(191)는 분리되고, 진공밸브(170)는 닫힌다.
그리고, 잠금수단(180)의 걸쇠(181)가 걸림편(182)에 결합되어, 상부케이스(120)는 하부케이스(130)에 닫힌 위치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진공포장지(190)의 진공포장작업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로 진공포장지(190)와 진공챔버장치가 함께 보관된다.
상기와 같은 진공챔버장치는 진공포장지의 개봉부를 포함한 일부만을 진공챔버 내에 수용하게 되고, 진공포장지의 나머지 부분은 진공챔버장치 밖으로 노출되고 있기 때문에, 진공포장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진공챔버장치 자체도 견고하여야 하지만, 진공포장지도 외력에 의해 찢기는 일이 없도록 비교적 튼튼한 소재로 만들어져야 한다. 그래서, 진공포장지가 얇은 필름으로 이루어져 약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진공챔버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 서, 진공포장에 있어 사용되는 진공포장지의 재질에 제한이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진공포장에 드는 전체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종래의 진공챔버장치의 결점을 보완하고, 밀폐력이 우수하여 진공상태가 오래 유지될 수 있는 진공챔버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아주 저렴하게 공급되는 플라스틱 필름 포장지를 사용할 수 있어 진공포장에 드는 비용을 절감시키고, 또한 이와 같은 포장지는 아주 저렴하기 때문에 사용 후 그대로 폐기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고가인 관계로 사용 후 세척하여 재사용하게 되는 불편함이 없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챔버용기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아 형성되며, 진공포장지의 개봉부를 포함한 일부가 내부로 노출되는 진공챔버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아 형성되며, 상기 진공포장지의 나머지 부분이 수용되는 저장챔버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아 형성되는 외곽챔버와;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외곽챔버로 통하는 공기유출입통로를 개폐하는 진공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곽챔버는 상기 진공챔버 및 저장챔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진공챔버 및 저장챔버는 그 내부공기가 상기 외곽챔버로 통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챔버용기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가 나타나 있으며, 도6에는 제2실시예가 나타나 있고, 도7에는 도6의 진공챔버용기가 닫혀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8은 진공 포장한 상태에서 도7의 A-A 부분에 대한 단면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20)가 하부케이스(230) 위로 닫히면서 상기 상부케이스(220)와 상기 하부케이스(230)가 맞닿아 형성되는 내부의 빈 공간에 의해 진공챔버(240)와 저장챔버(340)와 외곽챔버(440)가 형성된다.
도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공포장지(190)가 설치될 때 진공포장지(190)의 개봉부는 상기 진공챔버(240)에 위치되고, 피포장물이 수용되어 있는 진공포장지(190)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저장챔버(340)에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외곽챔버(440)는 도5 및 도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챔버(240)와 상기 저장챔버(340)를 둘러싸며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케이스(220)와 하부케이스(230)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5와 같이 힌지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상부케이스(220)와 하부케이스(230)가 맞닿는 면에는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탄성이 있는 패킹(25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패킹(250)은 진공챔버용기가 진공됨에 따라 내부의 진공압과 외부의 대기압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 탄성 변형으로 압축될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 어진다.
상기의 진공챔버(240)와 저장챔버(340)는 그 내부공기가 상기 외곽챔버(440)로 통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521,522)가 설치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5 및 도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장챔버(340)의 내부공기가 진공챔버(240) 내부로 통하여 빠질 수 있도록 체크밸브(521; 이하 '저장챔버체크밸브'라 함)를 설치하고, 진공챔버(240)의 내부 공기는 다시 상기 외곽챔버(440)로 통하여 빠질 수 있도록 체크밸브(522; 이하 '진공챔버체크밸브'라 함)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저장챔버체크밸브(521)는 도5 및 도6에 도시되는 것과는 달리, 상기 저장챔버(340)의 내부 공기가 직접 상기 외곽챔버(440)로 통하여 빠질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진공밸브(27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케이스(220)에 장착되고, 상기의 외곽챔버(440)와 외부의 대기가 서로 통하는 공기유출입통로(271)를 개폐하는 밸브이다. 상기 진공밸브(270)는 종래의 진공챔버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다르지 않다.
도2의 진공챔버장치에 사용되는 진공밸브(170)로서 도4와 같은 진공밸브(170)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공 시에는 호스(192)를 통해 고무(174)가 상승되어, 공기유출입통로(171)가 열려진다. 그리고, 진공 후에는 진공압에 의하여 고무(174)가 하강되어 스스로 공기유출입통로(171)가 닫힌다. 또한, 캡(173)과 나사산부(172)가 서로 체결된 상태로 상기 진공챔버장치는 장기간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해제는 상기 고무(174)를 옆으로 젖히거나 들어 올림으로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공밸브(170)는 도3에 도시되듯이 호스(192)를 통해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되고 공기유출입통로(171)는 개방되어, 진공펌프(19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진공챔버장치의 진공챔버(140)와 진공포장지(190)가 진공된다. 소정의 진공도로 진공된 후에 상기 진공밸브(170)에서 호스(192)와 진공펌프(191)가 분리되고, 상기 진공밸브(170)에 의해 공기유출입통로(171)가 폐쇄되어 상기 진공챔버장치의 진공챔버(140) 및 진공포장지(190)가 진공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외에도 상기 외곽챔버(440)의 공기유출입통로(271)를 개폐하는 진공밸브(270)로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제92-700998호(발명의 명칭: 플라스틱 백을 진공봉합하는 장치)에 기재된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진공밸브(270)는 도5 및 도6과 같이 상기 외곽챔버(440)에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진공펌프에 의해 상기 외곽챔버(440)의 내부 공기가 상기 진공밸브(270)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외곽챔버(440)가 진공된다. 이와 같이 외곽챔버(440)가 진공됨에 따라 상부케이스(220)와 하부케이스(230)는 외곽챔버(44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강하게 맞눌려 진공챔버용기의 밀폐가 강화된다. 그리고, 외곽챔버(440)의 내부 공기가 빠져나가면, 진공챔버(240)와 저장챔버(340)의 내부공기는 체크밸브(521,522)를 통해 상기 외곽챔버(440)로 빠져나가 상기 진공밸브(270)를 통해 다시 외부로 빠져나가며, 이로서 상기 진공챔버(240)와 저장챔버(340)는 진공된다. 이와 같이 진공챔버(240)와 저장챔버(340)가 진공되면 압력차에 의해 상 부케이스(220)와 하부케이스(230)가 더욱 강하게 맞닿게 되므로 그 밀폐는 더욱 강화된다. 한편, 진공포장지(190)는 진공챔버(240)가 진공됨에 따라 함께 진공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진공챔버용기가 진공되어 밀폐된 상태에서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건 외곽챔버(440)의 진공이 해제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이로 인해 진공챔버(240)와 진공포장지(190)의 진공은 해제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진공챔버용기의 진공 해제는 상부케이스(220)와 하부케이스(230)를 맞닿은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떨어뜨리면 되지만 압력차 때문에 용이하지는 않아 불편하다. 이때 진공밸브(270)를 열어 외곽챔버(440)를 먼저 진공해제 시키면 조금 용이해질 수는 있지만 저장챔버(340)와 진공챔버(240)는 여전히 진공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불편함이 여전히 남는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챔버(340)와 진공챔버(240)의 진공을 해제시킬 수 있는 별도의 수단으로 해제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해제밸브를 저장챔버(340)에 설치하여(도8 참조), 이를 통해 저장챔버(340)의 진공을 해제시키면, 저장챔버(340)와 진공챔버(240)가 도5 및 도6과 같이 체크밸브(521)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진공챔버(240)도 함께 진공 해제되게 된다. 이때, 외곽챔버(440)의 진공은 진공밸브(270)를 통해 해제시킬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진공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의 해제밸브는 도7 및 도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곽챔버(440)와 진공챔버(240)와 저 장챔버(340)를 동시에 함께 진공 해제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의 해제밸브(510)는 상부케이스(220)에 형성된 구멍(514)과, 상기 구멍(514)을 개폐하는 패킹(516)과, 상기 패킹(516)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돌기(515) 및 버튼(511)과, 상기 패킹(516)을 원래 폐쇄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스프링(5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버튼(511)을 누르면 상기 구멍(514)을 막고 있던 상기 패킹(516)이 아래로 이동하여 외부 공기가 챔버들(240,340,440) 안으로 유입되면서 진공이 해제된다.
그리고, 도5 및 도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진공챔버(240)에는 국물받이통(350)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포장지(190) 내부의 공기가 진공챔버(240) 안에 노출되어 있는 그 개봉부를 통해 유출될 때 진공포장지(19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국물이나 가루 등이 유출될 수 있는데 국물받이통(350)을 두어 이를 받아냄으로서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진공챔버용기는 도5 및 도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잠금장치를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5에 나타난 잠금장치는 도2의 진공챔버장치에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걸쇠(281)와 걸림편(282)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6에 나타난 잠금장치는 도6 내지 도8에 보이듯이, 클립형태의 상부걸림부(481)가 상부케이스(220)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걸림부(483)가 하부케이스(2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걸림부(481)의 상부걸림턱(482)이 상기 하부걸림부(483)의 하부걸림턱(484)에 걸리면서 잠금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챔버용기로 진공포장을 할 때에는 엠보싱이 형성된 고가의 진공포장지(190)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엠보싱이 형성되지 않은 진공포장지(19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5704호에 소개된 것과 같은 진공포장용 노즐(도9의 291)이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3806호에 소개된 것과 같은 진공포장용 스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진공포장용 노즐(291)이나 스틱을 사용하면 진공포장지(190)로는 아주 저렴하게 제공되는 플라스틱 필름 봉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진공포장에 드는 비용이 아주 저렴하게 된다. 도8에는 상기와 같은 진공포장용 노즐(291)과 저렴한 플라스틱 필름 봉투의 진공포장지(190)가 사용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챔버용기는 종래의 진공챔버장치의 결점을 보완하고, 밀폐력이 우수하여 진공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아주 저렴하게 공급되는 플라스틱 필름 포장지를 사용할 수 있어 진공포장에 드는 비용을 절감시키고, 또한 이와 같은 포장지는 아주 저렴하기 때문에 사용 후 그대로 폐기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고가인 관계로 사용 후 세척하여 재사용하게 되는 불편함이 없게 된다.

Claims (4)

  1.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아 형성되며, 진공포장지의 개봉부를 포함한 일부가 내부로 노출되는 진공챔버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아 형성되며, 상기 진공포장지의 나머지 부분이 수용되는 저장챔버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맞닿아 형성되는 외곽챔버와;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외곽챔버로 통하는 공기유출입통로를 개폐하는 진공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외곽챔버는 상기 진공챔버 및 저장챔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진공챔버 및 저장챔버는 그 내부공기가 상기 외곽챔버로 통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챔버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상기 저장챔버의 진공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해제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챔버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밸브는 상기 진공챔버와 상기 외곽챔버의 진공도 동시에 함께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챔버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에는 국물받이통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챔버용기.
KR1020030094190A 2003-12-20 2003-12-20 진공챔버용기 KR100584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190A KR100584858B1 (ko) 2003-12-20 2003-12-20 진공챔버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190A KR100584858B1 (ko) 2003-12-20 2003-12-20 진공챔버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190A KR20050062190A (ko) 2005-06-23
KR100584858B1 true KR100584858B1 (ko) 2006-05-30

Family

ID=37254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190A KR100584858B1 (ko) 2003-12-20 2003-12-20 진공챔버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8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190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1881A (en) Evacuateable bag
US6634384B2 (en) One-way valve for use with vacuum pump
BG292Y1 (bg) Устройство за пакетиране под вакуум на продукти, съхраняванив гъвкави торби
CN101454208B (zh) 用于抽空储藏袋的装置和方法
KR101335304B1 (ko) 진공 포장기
KR100584858B1 (ko) 진공챔버용기
KR101925211B1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KR100486640B1 (ko) 진공포장기
KR100500961B1 (ko) 잠금기능과 진공해제작업이 동시 수행이 가능한 진공포장기
KR200342785Y1 (ko) 진공챔버용기
KR100584856B1 (ko) 진공포장지 삽입통로가 구비된 진공챔버장치
KR100485883B1 (ko) 진공포장지 밀봉형 진공챔버장치
KR101920464B1 (ko) 진공포장장치
KR100584854B1 (ko) 자동 잠금구조의 진공챔버장치
KR200316231Y1 (ko) 노즐이 설치된 진공포장지용 밀폐장치
KR100494054B1 (ko) 클립형 잠금수단을 갖는 진공챔버장치
KR200274167Y1 (ko) 진공형성용 포장봉투의 진공형성에 사용되는 진공기
KR100510983B1 (ko) 텅이 부착된 진공챔버장치
KR20190007835A (ko) 가정용 진공포장기
KR100584851B1 (ko) 교체용 내부 백이 수납되는 이중 진공포장지 및 진공포장시스템
KR200312169Y1 (ko) 유연한 호스노즐이 부착된 진공챔버장치
KR200491275Y1 (ko) 진공 밀폐 커버
KR200328917Y1 (ko) 진공포장용 밸브
KR200432418Y1 (ko) 진공포장기
JP3550937B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