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543B1 -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 Google Patents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543B1
KR100607543B1 KR1020040000395A KR20040000395A KR100607543B1 KR 100607543 B1 KR100607543 B1 KR 100607543B1 KR 1020040000395 A KR1020040000395 A KR 1020040000395A KR 20040000395 A KR20040000395 A KR 20040000395A KR 100607543 B1 KR100607543 B1 KR 100607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le
vacuum container
cover
val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1979A (ko
Inventor
김금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롤팩
Priority to KR1020040000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543B1/ko
Publication of KR20050071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1/00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fly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진공 용기(1)의 내부를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10)가 제공된다. 상기 진공 용기 커버(10)는 관통공(34)이 형성된 바닥(30)과 이 바닥(30)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측벽(26)을 갖고 상기 진공 용기(1)의 개구(3)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부착되는 커버 본체(20); 상기 관통공(3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본체(20)의 바닥(30)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 부재(50); 및 통기구(76)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26)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브 조정 부재(60)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 조정 부재(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밸브 부재(50)는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는 제1 위치, 상기 관통공(3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위치 및 상기 관통공(34)을 개방하는 제3 위치를 갖는다. 밸브 구조가 손상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도 진공 용기에서 공기를 빼내는 진공화 작업과 진공 용기의 커버를 분리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진공, 커버, 밸브, 개폐, 힌지, 패킹

Description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VACUUM CONTAINER COVER OF IMPROVED VALV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가 장착된 진공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용기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버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밸브 부재의 평면도이.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밸브 제어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저부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D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E-E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결합된 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도록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진공 용기 커버에 흡입 포트를 부착하여 수행하는 흡입 작업을 나타 내는 도 12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2의 밸브 조정 부재를 화살표가 “닫힘” 마크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2의 밸브 조정 부재를 화살표가 “열림” 마크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 진공 용기 10: 진공 용기 커버
20: 커버 본체 28, 68: 나사
32: 축 돌기 34: 관통공
36: 지지대 40: 패킹
50: 밸브 부재 54: 러그
56a, 56b: 경사부 58: 볼록부
60: 밸브 조정 부재 64: 노브
72: 기둥 74: 누름 부재
본 발명은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의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 로는 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낼 수 있는 작업 위치, 용기 내부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하는 폐쇄 위치 및 용기 내부를 외부에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의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밸브 구조가 손상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도 진공 용기에서 공기를 빼내는 진공화 작업과 진공 용기의 커버를 분리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음식물을 오랫동안 저장하는 방법으로는 온도를 낮추거나 공기를 뺀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온도를 낮추는 방법으로는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냉장고 등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냉매의 압축 및 팽창을 통해 장치의 저장실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음식물을 저장하고 있다. 한편, 진공을 이용한 저장 방법 즉 진공 저장 방법으로는 포장지 내에 음식물을 넣고 이를 진공 상태로 봉합하여 저장하는 방법과, 고정된 형태의 진공 용기에 음식물을 넣은 다음 이 용기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진공 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 냄으로써 음식물을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진공 저장 방법은 음식물의 산화를 방지하고 그 고유의 향취를 유지할 수 있어서 가정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음식물 저장 방법이다.
이와 같은 진공 저장에 사용되는 진공 용기는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중공형의 본체, 이 본체의 개구와 밀봉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및 이 커버의 일측에 설치된 밸브를 구비한다. 즉, 진공 용기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음식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먼저 커버를 열게 되고, 진공 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낼 때는 밸브를 통해 진공 작업을 수행 하게 된다.
커버와 진공 용기의 개구는 상호 밀착 결합되도록 결합되는 부분이 패킹으로 처리되어 있다. 한편, 밸브는 진공 작업을 수행할 때는 개방되고 진공 작업 후에는 폐쇄되어 진공 용기 내부를 외부로부터 격리시켜야 한다. 만약 밸브가 진공 작업 중에 제대로 개방되지 않으면 진공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고, 저장 중에 미세하게라도 열리면 외기가 진공 용기 내부로 유입되므로 용기 내부의 진공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밸브의 성능이 진공 용기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밸브의 개폐 작업은 사용자가 흡입기의 팁을 밸브에 압박하거나 밸브의 노브를 손으로 잡아당긴 다음 돌려서 수행한다. 하지만 팁을 밸브에 압박하는 방법은 밸브에 손상을 가할 수 있으며, 밸브 노브를 잡아당기는 방법은 사용이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낼 수 있는 작업 위치, 용기 내부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하는 폐쇄 위치 및 용기 내부를 외부에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의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 구조가 손상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도 진공 용기에서 공기를 빼내는 진공화 작업과 진공 용기의 커버를 분리하는 동작을 용이 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의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진공 용기의 내부를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가 제공된다. 상기 진공 용기 커버는 관통공이 형성된 바닥과 이 바닥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측벽을 갖고 상기 진공 용기의 개구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부착되는 커버 본체; 상기 관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본체의 바닥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 부재; 및 통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브 조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조정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는 제1 위치, 상기 관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위치 및 상기 관통공을 개방하는 제3 위치를 갖는다.
상기 진공 용기 커버는 상기 관통공에 장착되는 상기 관통공보다 작은 직경을 형성되어 상기 밸브 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되는 통공이 있는 패킹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부재는 힌지축과 교차하게 연장된 타원형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측방인 상기 힌지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러그; 상기 러그를 중심으로 상기 관통공을 향한 상기 본체의 일부에 형성된 볼록부; 및 상기 러그를 중심으로 상기 볼록부와 상기 관통공 반대편을 향해 상기 본체에 외측으로 원호를 형성하며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조정 부재는 상기 밸브 부재의 힌지축의 중심과 접촉하도록 연장된 기둥; 및 상기 밸브 부재의 힌지축의 중심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에서 상기 밸브 부재와 접촉하도록 연장된 누름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돌기와 상기 밸브 부재의 접촉에 따라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제1 내지 제3 위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특징 및 장점을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하기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가 장착된 진공 용기(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가 장착된 진공 용기(1)는 원통 형태의 본체(2)를 구비하며, 이 본체(2)의 상단에는 개구(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는 커버(10)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개구(3)와 커버(10) 사이의 밀봉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이들의 접촉면에 패킹(도시 생략)이 부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용기 커버(10)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3을 참조하면, 진공 용기 커버(10)는 원판 형태로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커버 본체(20)와 이 커버 본체(20)의 수용부(25)에 수용되는 패킹(40), 밸브 부재(50) 및 밸브 조정 부재(60)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커버 본체(20)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와 5를 선행하는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커버 본체(20)는 환상의 플랜지(22), 이 플랜지(22)의 안쪽에 경사지게 상향 연장되어 형성된 구면 경사부(24), 이 경사부(24)의 상단에서 하향 절곡된 측벽(26) 및 이 측벽(26)의 하단에 형성된 바닥(30)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26)과 바닥(30)에 의해 원통형의 내부 공간 또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측벽(26)의 내측에는 암나사(28)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30)의 중앙에는 축 돌기(32)가 미리 정해진 높이로 돌출해 있으며, 이 축 돌기(32)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를 두고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4)은 커버 본체(20)의 수용부와 진공 용기(1)의 저장 공간을 서로 연결한다. 한편, 상기 축 돌기(32)의 양쪽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러그 지지대(36)가 돌출해 있으며, 이들 지지대(36)에 형성된 러그 홀(36a)은 상기 축 돌기(32)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관통공(34) 반대편의 측벽(26)의 상단에는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밸브 조정 부재(60)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패킹(40)은 헤드(42)와 이 헤드(42)보다 작은 직경으로 하향 연장된 네크(44)를 포함하며, 헤드(42)와 네크(44)에는 축방향으로 공기 채널(4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네크(44)는 상기 관통공(34)에 꽉 끼어 지도록 상기 관통공(34)과 동일하거나 다소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탄성 소재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밸브 부재(50)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7과 7을 선행하는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밸브 부재(50)는 타원형의 대체로 평탄한 본체(52)를 가지며 이 본체(52)의 양쪽 측부에는 한 쌍의 러그(54)가 돌출해 있다. 이 러그(54)는 전술한 커버 본체(20)의 지지대(36)의 러그 홀(36a)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36)는 상기 러그 홀(36a)이 러그(54)를 착탈 가능하게 파지(把持)할 수 있도록 탄성 소재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밸브 부재 본체(52)는 러그(54)의 축선(C)을 중심으로 전방 섹션(52a)과 후방 섹션(52b)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방 섹션(52a)과 후방 섹션(52b)의 상부에는 각각 원호 형태의 경사부(56a, 56b)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경사부(56a)은 본체(52)에 비해 후방 경사부(56b)는 더 높게 형성되며, 이들 경사부(56a, 56b)의 원호는 동일한 곡률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방 섹션(52a)의 하부에는 구면의 일부를 이루는 볼록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58)는 커버 본체(20)의 관통공(34)에 삽입된 패킹(40)의 공기 채널(46)과 대응하는 위치에 폐쇄 위치에서 이를 폐쇄하도록 형성된다.
도 8은 도 3의 밸브 조정 부재(60)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저부도이고, 도 10은 도 8의 D-D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8의 E-E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11을 선행하는 도 2 및 3과 함께 참조하면, 밸브 조정 부재(60)는 약간 오목한 원판 형태의 상판(62), 이 상판(62)의 직경을 따다 돌출한 노브(64) 및 상판(62)의 가장자리에서 하향 연장된 측벽(66)을 포함한다. 측벽(66)의 외측에는 외측에 커버 본체(20)의 암나사(28)와 맞물리는 수나사(6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판(62)의 원주에는 한 쌍의 탄성 돌기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부(70)는 외측에 볼록부(70a)가 형성되고 내측은 상판(62)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크기의 틈새(70b)를 갖는다. 이 볼록부(70a)는 커버 본체(20)의 측벽(26) 상단에 형성된 오목부(38)가 볼록부(70a)를 탄성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이들 오목부(38)와 대응하는 형태 및 치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노브(64)의 밑면에는 밸브 조정 부재(60)의 중심에서 기둥(72)이 하향 돌출되며, 상판(62)의 밑면에는 이 기둥(72)에 인접하여 누름 돌기(74)가 하향 돌출되어 있다. 이때, 이들 기둥(72)과 누름 돌기(74)는 그 말단이 동일 수평선에 놓이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노브(64)의 전방부에는 화살표 형태의 통기구(7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통기구(76)는 후술하는 도 12 내지 15에서와 같이 밸브 조정 부재(60)가 커버 본체(20)에 결합되었을 때 커버 본체(20)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결한다.
도 12는 결합된 커버(10)의 구성을 보여주도록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선행하는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패킹(40)은 커버 본체(20)의 관통공(34)에 삽입되어 있고, 밸브 부재(50)는 러그(54)가 지지대(36)의 러그 홀(36a)에 끼워져 커버 본체(2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있으며, 밸브 조정 부재(60)는 커버 본체(20)의 암나사(28)와 밸브 조정 부재(60)의 수나사(68)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커버 본체(20)에 결합되어 있다. 커버 본체(20)의 축 돌기(32)와 밸브 조정 부재(60)의 기둥(72)은 밸브 부재(50)의 러그(54)의 중간에서 밸브 부재(50)를 상하에서 지지한다.
이때, 밸브 부재(50)는 전방 섹션(52a) 쪽이 후방 섹션(52b)보다 더 길게 연장되고 또 질량이 크므로, 자연스럽게 러그(54)를 중심으로 전방 섹션(52a)이 하향하는 경향을 갖고 그에 따라 도 12에서와 같이 밸브 부재(50)의 볼록부(58)가 패킹(40)의 공기 채널(46)을 폐쇄하게 된다. 즉 커버(10)를 위를 향하게 진공 용기(1)를 위치시키고 도 2에서와 같이 밸브 조정 부재(60)를 화살표인 통기구(76)가 “동작” 마크를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밸브 부재(50)의 볼록부(58)가 패킹(40)의 공기 채널(46)을 폐쇄하여 진공 용기(1)의 내부 진공을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커버(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예컨대 도 13에서와 같이 진공 펌프(도시 생략)의 흡입 포트(4)를 커버(10)에 부착하여 흡입 작업을 실시하면, 흡입 압력에 의해 밸브 부재(50)는 화살표(F)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패킹(40)에서 떨어지고 그에 따라 진공 용기 본체(2) 내부의 공기가 화살표(AF)를 따라 흡입 포트(4)를 통해 진공 펌프로 흡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진공 펌프를 정지시키면 진공 용기 본체(2)의 내부의 낮은 압력에 의해 밸브 부재(50)는 당겨져 패킹(40)의 공기 채널(46)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동작 위치는 진공 용기 본체(2)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 진공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임을 알 수 있다.
즉 진공 용기 본체(2)에 저장물 즉 음식물을 넣은 사용자는 커버(10)를 진공 용기(1)의 개구(3)에 결합시키고 밸브 부재(50)를 “동작” 위치로 놓은 후 도 13에서와 같이 흡입 펌프의 흡입 포트(4)를 이용하여 진공 용기 본체(2)의 공기를 빼내는 진공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도 2의 밸브 조정 부재(60)를 화살표(76)가 “닫힘” 마크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도 12와 비교하 면, 밸브 조정 부재(60)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그 누름 돌기(74)가 밸브 부재(50)의 전방 섹션(52a)의 경사부(56a)를 누르는데, 이 경사부(56a)는 미세하나마 돌출되어 있으므로 누름 돌기(74)의 압박에 의해 밸브 부재(50)의 볼록부(58)는 패킹(40) 쪽으로 힘을 받아 공기 채널(46)을 더욱 밀착되게 폐쇄하게 된다. 이 “닫힘” 위치에서, 본 발명의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10)는 진공 용기(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효과적으로 격리하게 된다.
즉 도 13과 같은 진공화 작업을 수행한 다음 사용자는 이와 같이 커버(10)를 “닫힘” 위치에 놓아 진공 용기(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효과적으로 격리하면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에 안정적인 진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도 2의 밸브 조정 부재(60)를 화살표(76)가 “열림” 마크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도 12 및 13과 비교하면, 밸브 조정 부재(60)가 도 12의 위치로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 도 13의 위치로부터 180도 회전하여 그 누름 돌기(74)가 밸브 부재(50)의 후방 섹션(52b)의 경사부(56b)를 누르는데, 이 경사부(56b)의 돌출 길이에 의해 밸브 부재(50)는 러그(54)를 중심으로 지레처럼 패킹(40)에서 멀어지게 회전하여 볼록부(58)가 공기 채널(46)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진공 용기(1)에 결합된 상태에서, 밸브 조정 부재(50)를 “열림” 마크에 위치시키면,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기 채널(46)을 통해 진공 용기(1) 안으로 유입되어 진공 용기(1) 내부의 진공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진공 용기(1) 내부의 진공을 해제한 후, 사용자는 커버(10)를 본 체(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고 진공 용기 본체(2)에 저장된 음식물을 전부 또는 일부만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을 꺼낸 후 다시 저장하려면 전술한 바와 같은 도 12 내지 14의 동작을 다시 수행하여 음식물을 진공 상태로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는 밸브 조정 부재의 회전에 따라 밸브 부재가 공기 채널을 개폐시키므로, 사용자는 진공 용기에 음식물 등을 저장하고 진공 용기 내부를 진공화 또는 진공 해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밸브의 개폐시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밸브가 손상될 우려가 감소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진공 용기(1)의 내부를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10)에 있어서,
    관통공(34)이 형성된 바닥(30)과 이 바닥(30)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측벽(26)을 갖고 상기 진공 용기(1)의 개구(3)에 탈착 가능하게 밀봉 부착되는 커버 본체(20);
    상기 관통공(3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본체(20)의 바닥(30)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된 밸브 부재(50); 및
    통기구(76)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26)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밸브 조정 부재(60)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조정 부재(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밸브 부재(50)는 상기 관통공을 폐쇄하는 제1 위치, 상기 관통공(3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위치 및 상기 관통공(34)을 개방하는 제3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34)에 장착되는 상기 관통공(34)보다 작은 직경을 형성되어 상기 밸브 부재(50)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되는 통공(46)이 있는 패킹(4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50)는
    힌지축과 교차하게 연장된 타원형 본체(52);
    상기 본체(52)로부터 측방인 상기 힌지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러그(54);
    상기 러그를 중심으로 상기 관통공(34)을 향한 상기 본체(52)의 일부에 형성된 볼록부(58); 및
    상기 러그(54)를 중심으로 상기 볼록부(58)와 상기 관통공(34) 반대편을 향해 상기 본체(52)에 외측으로 원호를 형성하며 형성된 경사부(5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 커버.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정 부재(60)는
    상기 밸브 부재(50)의 힌지축의 중심과 접촉하도록 연장된 기둥(72); 및
    상기 밸브 부재(50)의 힌지축의 중심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에서 상기 밸브 부재(50)와 접촉하도록 연장된 누름 돌기(74)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 돌기(74)와 상기 밸브 부재(50)의 접촉에 따라 상기 밸브 부재(5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 커버.
KR1020040000395A 2004-01-05 2004-01-05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KR100607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395A KR100607543B1 (ko) 2004-01-05 2004-01-05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395A KR100607543B1 (ko) 2004-01-05 2004-01-05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79A KR20050071979A (ko) 2005-07-08
KR100607543B1 true KR100607543B1 (ko) 2006-08-02

Family

ID=3726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395A KR100607543B1 (ko) 2004-01-05 2004-01-05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054B1 (ko) * 2019-12-30 2021-07-08 (주)네오플램 진공 밀폐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381B1 (ko) * 2016-03-23 2018-04-24 주식회사 롤팩 체크밸브
US10829290B2 (en) 2016-07-27 2020-11-10 Hbl Holdings, Llc Vacuum sealable container with internal pump mechanis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3287U (ko) * 1988-09-19 1990-03-26
JPH0338693A (ja) * 1989-07-05 1991-02-19 Roland Corp 電子楽器
JPH04118349U (ja) * 1991-01-30 1992-10-22 山津製陶株式会社 食品用蓋物
JPH1077062A (ja) * 1996-07-26 1998-03-24 Kraft Inc 貯蔵容器用の通気アセンブリ
JPH11171257A (ja) * 1997-12-15 1999-06-29 Shimomura Kogyo Kk 減圧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3287U (ko) * 1988-09-19 1990-03-26
JPH0338693A (ja) * 1989-07-05 1991-02-19 Roland Corp 電子楽器
JPH04118349U (ja) * 1991-01-30 1992-10-22 山津製陶株式会社 食品用蓋物
JPH1077062A (ja) * 1996-07-26 1998-03-24 Kraft Inc 貯蔵容器用の通気アセンブリ
JPH11171257A (ja) * 1997-12-15 1999-06-29 Shimomura Kogyo Kk 減圧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054B1 (ko) * 2019-12-30 2021-07-08 (주)네오플램 진공 밀폐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79A (ko) 200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9274A1 (en) Seal and saver container
KR100969703B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KR20140076018A (ko) 용기 본체와 덮개로 구성된 식품진공보관용기
KR101240577B1 (ko) 원터치로 패킹의 공기차단 상태를 제어하는 밀폐용기 뚜껑
KR100607543B1 (ko)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KR100886414B1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0420228Y1 (ko) 용기 안전 캡
US732854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troducing air into, or removing air from, containers
JP2007161337A (ja) 圧縮袋の排気バルブ
CN212196783U (zh) 真空杯
KR200240733Y1 (ko) 진공 용기
KR101440990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KR200389425Y1 (ko) 노즐하우징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KR100662892B1 (ko)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밀폐용기
KR200311105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90113157A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0187987Y1 (ko) 식품 진공보존용기의 공기 유출/입 밸브
KR200255229Y1 (ko) 저장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진공보존용기
KR200196432Y1 (ko) 진공용기의 공기 배출장치
KR200347235Y1 (ko)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KR100726355B1 (ko) 진공보관 케이스용 밸브
KR200344726Y1 (ko) 진공보온병의 뚜껑
KR19990010727U (ko) 기체배출 압력밸브가 형성된 음식물 저장용기
KR200417832Y1 (ko) 진공용기의 진공해제 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G171 Publication of modified document after post-grant opposi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