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432Y1 - 진공용기의 공기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용기의 공기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432Y1
KR200196432Y1 KR2020000007227U KR20000007227U KR200196432Y1 KR 200196432 Y1 KR200196432 Y1 KR 200196432Y1 KR 2020000007227 U KR2020000007227 U KR 2020000007227U KR 20000007227 U KR20000007227 U KR 20000007227U KR 200196432 Y1 KR200196432 Y1 KR 200196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lid
air
container
discharg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새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새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새샘
Priority to KR2020000007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4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47J41/0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용기의 뚜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내부의 공기를 진공상태로 하는 진공용기의 뚜껑을 열 경우 우선적으로 공기를 배출토록 함으로써 뚜껑의 열림을 용이하도록 한 진공용기의 공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구멍(11)이 중앙부에 형성된 뚜껑(10)에는 다수개의 공기배출공(12)과 돌출환테(13)를 형성하고; 뚜껑(10)의 돌출환테(13)가 형성된 면에는 구멍(21)을 구비한 팩킹(20)을 매개로 손잡이(31)가 형성된 공기배출 조절구(30)를 위치시키며; 뚜껑(10)의 하측면에는 공기배출 조절구(30)의 일단부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탄력지지구(40)를 설치시켜 공기배출 조절구(30)의 손잡이(31)를 잡아당길 경우에는 진공용기(1) 내부의 공기가 공기배출공(1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공기배출 조절구(30)의 손잡이(31)를 잡아당기지 않을 경우에는 탄력지지구(40)의 탄력작용에 의해 공기배출 조절구(30)가 팩킹(20)을 강제로 압착시켜 공기배출공(12)을 막아 진공용기(1)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기내부에 음식물을 넣은 상태에서 뚜껑을 열 경우 먼저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용기 내부의 공기가 공기배출공(12)으로 빠지게 됨으로써 용기내부의 진공 상태가 해제되어 뚜껑을 용이하게 열 수 있으며 공기배출 조절구(30)의 손잡이(31)를 놓으면 탄력편에 의해 공기배출 조절구(30)에 의해 공기배출공(12)이 자동적으로 막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용기의 공기 배출장치{Air vent apparatus for vacuum vessel}
본 고안은 식품용기의 뚜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내부의 공기를 진공상태로 하는 식품용기(이하 진공용기라 약칭함)의 뚜껑을 열 경우 우선적으로 공기를 배출토록 함으로써 뚜껑의 열림을 용이하도록 한 진공용기의 공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등에서 음식물을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진공용기는 그의 내부를 외부공기로부터 밀폐시켜야만 음식물의 맛이 더욱 좋게되는데 이 경우 뚜껑은 진공용기 본체에 완전히 밀폐되도록 닫혀져야 하는바, 진공용기로부터 뚜껑을 열고자할 경우에는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잘 열리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진공용기의 뚜껑을 열고자 할 경우 뚜껑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내부의 공기가 빠지도록 하여 뚜껑의 열림을 용이하도록 한 진공용기의 공기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 공기 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진공용기의 결합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이용되는 탄력지지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 공기 배출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 공기 배출장치의 작동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진공용기 10: 진공용기 뚜껑
11,21: 구멍 12: 공기배출공
13: 돌출환테 20: 패킹
30: 공기배출조절구 31: 손잡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 공기 배출장치의 특징은, 구멍이 중앙부에 형성된 뚜껑에는 다수개의 공기배출공과 돌출환테를 형성하고; 뚜껑의 돌출환테가 형성된 면에는 구멍을 구비한 팩킹을 매개로 손잡이가 형성된 공기배출 조절구를 위치시키며; 뚜껑의 하측면에는 공기배출 조절구의 일단부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탄력지지구를 설치시켜 공기배출 조절구의 손잡이를 잡아당길 경우에는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가 공기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공기배출 조절구의 손잡이를 잡아당기지 않을 경우에는 탄력지지구의 탄력작용에 의해 공기배출 조절구가 팩킹을 강제로 압착시켜 공기배출공을 막아 진공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탄력지지구는 뚜껑의 하부면에 탄력 지지되는 탄력레그를 구비하되, 이 탄력레그는 2개의 탄력레그가 180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탄력레그는 3개가 120도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원추형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용기용 공기 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통상적으로 진공용기(1)(도2 참조)는 그의 내부의 공기를 진공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뚜껑(10)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공기 배출장치는 뚜껑(10)의 중앙부가 아닌 임의의 장소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뚜껑(10)의 중앙부에는 구멍(11)이 형성되어 있고, 그에 인접된 부위에는 다수개의 공기배출공(12)과 돌출환테(13)가 형성되어 있는바, 공기배출공(12)은 용기(1)내부에 있는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한 것이며, 돌출환테(13)는 이후 설명할 실리콘재의 패킹(20)이 압착되어 있다가 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돌출환테(13)가 없을 경우에는 손잡이(31)를 잡아당기더라도 뚜껑(10)의 공기배출공(12)을 누르고 있던 패킹(20)이 뚜껑(10)의 평평한 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돌출환테(13)를 형성한 것이다.
한편 뚜껑(10)의 돌출환테(13)가 형성된 면에는 구멍(21)을 구비한 팩킹(20)을 매개로 공기배출 조절구(30)가 위치되는바, 공기배출 조절구(30)에는 뚜껑(10)의 개방시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31)의 일단부에는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10)의 하측면에는 탄력지지구(40)가 결합되는데 이 탄력지지구(40)는 공기배출 조절구(30)의 손잡이(31)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2)에 결합되는바, 도3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탄력지지구(40)에는 자유단부가 뚜껑(10)의 하측면(내측면)에 탄력 지지되는 2개의 탄력레그(41)가 중앙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력레그(41)의 중앙부에는 공기배출 조절구(30)의 손잡이(31)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2)에 끼워지는 홈(42)이 형성되고, 일단 끼워진 탄력지지구(40)를 90도 각도로 돌렸을 경우 걸림턱(32)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 2개의 걸림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배출 조절구(30)의 손잡이(31)를 잡아당길 경우에는 진공용기(1) 내부의 공기가 공기배출공(1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고, 공기배출 조절구(30)의 손잡이(31)를 잡아당기지 않을 경우에는 탄력지지구(40)의 탄력작용에 의해 공기배출 조절구(30)가 팩킹(20)을 강제로 압착시켜 공기배출공(12)을 막아 진공용기(1)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토록 구성된다.
그런데 도3 및 도1에 도시된 탄력지지구(40)는 2개의 탄력레그(41)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고자 의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이용되는 탄력지지구(40)는 2개의 탄력레그(41)이외에 1개의 탄력레그(41)를 더 구비하여 이들이 120도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원추형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면 우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를 밀폐한 상태에서 손잡이(31)를 잡아당기지 않을 경우에는 탄력지지구(40)의 탄력레그(41)에 의해 공기배출조정구(30)가 뚜껑(10)과 밀착 결합되는데, 이 경우에는 패킹(20)이 뚜껑(10)의 상부면 즉 돌출환테(13)와 압착되어 있음으로써 공기배출공(12)을 통해 공기가 용기(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전혀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어서 용기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5에서와 같이 밀폐된 용기(10)의 뚜껑(10)을 열고자 손잡이(31)를 잡아당기면 탄력레그(41)의 자유단부가 진공용기(1)의 뚜껑(10)의 하부면에 지지되어 만곡되지만 뚜껑(10)의 상측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다시말하면 손잡이(31)의 상향 당김시 탄력지지구(40)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밀려남에 따라 공간(SP)이 형성되므로 용기(1)내부로부터 공기배출공(12)을 통과한 공기가 이 공간(SP)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됨에 따라 용기(1)의 진공상태가 해제되어 뚜껑(10)이 용이하게 열릴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단 용기(1)의 진공상태가 해제되면 사람은 손잡이(31)를 더 잡아 당김으로써 뚜껑(10)을 용기(1)로부터 열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 배출장치에 의하면 손잡이를 잡아당김으로써 진공용기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시켜 진공용기로부터 뚜껑을 용이하게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였을 지라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도 있다.
예컨대 탄력지지구의 탄력레그는 3개가 120도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원추형으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손잡이(31)의 걸림턱(32)과 탄력지지구(40)의 결합방식은 암나사 및 수나사에 의한 결합방식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내부의 공기를 진공상태로 하는 진공용기(1)의 뚜껑(10)을 구성함에 있어서:
    구멍(11)이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뚜껑(10)에는 다수개의 공기배출공(12)과 돌출환테(13)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10)의 돌출환테(13)가 형성된 면에는 구멍(21)을 구비한 팩킹(20)을 매개로 손잡이(31)가 형성된 공기배출 조절구(30)를 위치시키며;
    상기 뚜껑(10)의 하측면에는 상기 공기배출 조절구(30)의 일단부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탄력지지구(40)를 설치시켜 상기 공기배출 조절구(30)의 손잡이(31)를 잡아당길 경우에는 진공용기(1)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공(1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배출 조절구(30)의 손잡이(31)를 잡아당기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탄력지지구(40)의 탄력작용에 의해 상기 공기배출 조절구(30)가 팩킹(20)을 강제로 압착시켜 상기 공기배출공(12)을 막아 진공용기(1)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의 공기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구(40)는 뚜껑(10)의 하부면에 탄력 지지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탄력레그(4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의 공기 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구(40)의 탄력레그(41)는 원추형으로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의 공기 배출장치.
KR2020000007227U 2000-03-14 2000-03-14 진공용기의 공기 배출장치 KR200196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227U KR200196432Y1 (ko) 2000-03-14 2000-03-14 진공용기의 공기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227U KR200196432Y1 (ko) 2000-03-14 2000-03-14 진공용기의 공기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432Y1 true KR200196432Y1 (ko) 2000-09-15

Family

ID=1964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227U KR200196432Y1 (ko) 2000-03-14 2000-03-14 진공용기의 공기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4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719B1 (ko) * 2021-05-25 2021-09-23 엠지엠씨(주) 산화방지 진공 용기
KR20220152021A (ko) * 2021-05-07 2022-11-15 손영식 진공 저장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021A (ko) * 2021-05-07 2022-11-15 손영식 진공 저장용기
KR102473228B1 (ko) 2021-05-07 2022-11-30 손영식 진공 저장용기
KR102303719B1 (ko) * 2021-05-25 2021-09-23 엠지엠씨(주) 산화방지 진공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6120B1 (en) Hose direct canister lid
US5944211A (en) Container system including an air evacuation valve
US5558243A (en) Sealing cap for vacuum containers
US7481329B2 (en) Trash receptacle having a depressurization apparatus
KR20120064058A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KR101240577B1 (ko) 원터치로 패킹의 공기차단 상태를 제어하는 밀폐용기 뚜껑
US20210061536A1 (en) Vacuum Sealable Container with Internal Pump Mechanism
US20040238542A1 (en) Trash receptacle lid having a pumping apparatus
KR200196432Y1 (ko) 진공용기의 공기 배출장치
KR101524412B1 (ko) 진공과 밀폐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밀폐용기
KR200420228Y1 (ko) 용기 안전 캡
KR100455105B1 (ko)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US732854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troducing air into, or removing air from, containers
KR100599579B1 (ko) 밀폐 용기 뚜껑
KR100675485B1 (ko) 조리 용기
JP2007161337A (ja) 圧縮袋の排気バルブ
KR101496238B1 (ko)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101480290B1 (ko) 펌핑에 의한 진공을 유도하는 쳇크밸브가 구비된 밀폐용기
KR101956065B1 (ko) 압축팩용 마개
WO2008131583A1 (fr) Récipient étanche à pompage sous vide
KR100607543B1 (ko)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KR102666219B1 (ko) 내부압을 배출하는 진공 밀폐용기
KR100662892B1 (ko)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밀폐용기
JPH084439Y2 (ja) 真空密着蓋付容器
KR200227851Y1 (ko) 식품진공보존용기의공기유출입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