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726Y1 - 진공보온병의 뚜껑 - Google Patents

진공보온병의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726Y1
KR200344726Y1 KR20-2003-0040260U KR20030040260U KR200344726Y1 KR 200344726 Y1 KR200344726 Y1 KR 200344726Y1 KR 20030040260 U KR20030040260 U KR 20030040260U KR 200344726 Y1 KR200344726 Y1 KR 200344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vacuum
connecting member
hole
vacuum therm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기
Original Assignee
우주보온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주보온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주보온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40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7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7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뚜껑에 공기유입수단을 설치하여 진공상태인 진공보온병내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진공보온병내의 진공상태를 완화시킴으로써 뚜껑의 개방이 용이한 진공보온병의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진공보온용기의 뚜껑은 진공보온병의 뚜껑에 있어서, 유입공(112)이 형성된 상부커버(110);와, 상기 상부커버(110)의 하측에 조립되는 것으로 통공(122)이 형성된 하부몸체(120);및, 상기 유입공(112)과 통공(122)사이에 개재되어 탄압작동에 의해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시키는 공기유입수단(130)을 포함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진공보온병의 뚜껑{Cover for Vacuum-bottle}
본 고안은 진공보온병내의 내용물을 꺼내고자 할 때 진공상태인 용기내로 공기를 유입시켜 진공상태를 해제시킨 뒤 뚜껑을 쉽게 열 수 있도록 하는 진공보통병의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진공보온병은 용기내에 내용물을 담은 다음, 이를 밀폐시켜야만 내용물을 보온시킬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을 투입하거나, 꺼내기 위한 뚜껑에 밀폐용 패킹등을 구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내용물의 밀폐만을 위하여 뚜껑을 설계하게 되면 용기내의 내압에 의해서 뚜껑을 열기가 매우 난해하여 뚜껑을 쉽게 열지 못하게 되고, 또한 뚜껑을 열 때 자칫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이 쏟아지게 되는 점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공보온병 주입구를 막는 뚜껑(10) 하단에 삽입홈(11)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11)에 고무패킹(13)을 설치하여 고무패킹(13)이 진공보온병의 주입구를 밀폐시키도록 한 뒤, 삽입홈(11)의 일측에 미세량의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개구부(15)를 형성하여 진공보온병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개구부를 형성한 뚜껑은 뚜껑의 개폐가 용이한 잇점은 있으나내용물의 보관중 뚜껑의 개구부를 통해 내용물의 액체가 용기외부로 흘러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공보온병의 주입구를 밀폐시키는 뚜껑에 공기이동통로를 형성하고 이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뚜껑을 열기가 매우 편리한 진공보온병의 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진공보온병의 뚜껑의 절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의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의 부분절개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의 결합단면도,
도 5a, 5b는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의 작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상부커버 112:유입공
114:돌출부 116:걸림턱
120:하부몸체 122:통공
124:요철부 126:돌출턱
130:공기유입수단 132:연결부재
132a:공기통로 132b:턱부
132c:테이퍼부 132d:요홈부
132e:걸림턱 134:작용축
134a:볼 134b:지지편
136:탄성스프링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은 진공보온병의 뚜껑에 있어서, 유입공이 형성된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에 조립되는 것으로 통공이 형성된 하부몸체;및, 상기 유입공과 통공사이에 개재되어 탄압작동에 의해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시키는 공기유입수단을 포함하는 진공보온병의 뚜껑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의 상기 공기유입수단은 내측에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상부커버의 유입공과 하부몸체의 통공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내에서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작용축과, 상기 연결부재와 작용축 사이에 탄입되는 탄성스프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수단의 연결부재는 공기통로상에 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작용축은 상기 연결부재의 턱부에 삽입지지되는 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턱부의 하측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의 상기 하부커버는 통공 상측에 요철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유입수단의 연결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요철부가 삽입되는 요홈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의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은 크게 상부커버(110)와 하부몸체(120) 및 상기 상부커버(110)와 하부몸체(120)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이동통로를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용기내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수단(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110)는 중앙에 수직관통되는 유입공(112)을 형성하고 저면중앙에 중공의 돌출부(114)를 형성하며 이 돌출부(114)의 외측면에 걸림턱(116)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몸체(120)는 중앙에 수직관통되는 통공(122)을 형성하고, 이 통공(122)의 상면에 요철부(124)를 형성하며 요철부(124)의 주위로 중공의 돌출턱(126)을 형성한다.
상기 공기유입수단(130)은 상기 상부커버(110)와 하부몸체(120)의 유입공(112)과 통공(12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32)와, 이 연결부재(132)내에서 공기통로를 개폐하는 작용축(134) 및 이 작용축(134)을 상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1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136)는 중앙에 공기통로(136a)가 형성되고 공기통로(136a)의 하측에 내측으로 돌출된 턱부(136b)가 형성되고 이 턱부(136b)의 저부에는 테이퍼부(136c)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재(132)의 하단에는 요홈부(136d)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걸림턱(136e)이 형성된다.
상기 작용축(134)은 상단에 헤드부(134a)가 형성되고 하단에 원형의 볼(134b)이 형성되며 중앙에 지지편(134c)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스프링(136)은 상기 연결부재(132)와 상기 작용축(134)의 사이에 탄설되어 작용축(134)을 상측으로 탄성지지한다.
이하,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의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4는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진공보온병용 뚜껑의 작용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입공(112)이 형성된 상부커버(110)와 통공(122)이 형성된 하부몸체(120)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재(132)는 내측으로 형성되는 공기통로(132a)의 상측이 상기 상부커버(110)의 하측에 돌출형성된 돌출부(114)를 감싸도록 삽입되면서 연결부재(132)의 상단이 돌출부(114)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116)에 걸려지고, 하측에 형성된 요홈부(132d)는 상기 하부몸체(120)의 상측에 형성된 요철부(124)에 끼워지면서 하단이 돌출턱(126)내로 삽입되어 돌출턱(126)상단이 연결부재(132)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32e)에 걸림으로써 상기 상부커버(110)의 유입공(112)과 하부몸체(120)의 통공(122)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공기유입수단(130)의 연결부재(132)의 내측에 형성된 턱부(132b)에는 작용축(134)의 하단에 형성된 볼(134b)이 관통삽입되어 볼(134b)이 턱부(132b)에 걸려짐으로써 삽입측으로의 이탈이 제한되며, 이 연결부재(132)의 턱부(132b)상측면과 작용축(134)의 지지편(134c)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36)이 탄입되어 작용축(134)을 상측으로 탄성지지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32)의 턱부(132b) 하측에는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테이퍼부(132c)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36)에 의해 상측으로 탄성지지되는 상기 작용축(134)의 볼(134b)이 연결부재(132)의 공기통로(132a)를 기밀하게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부커버(110)의 유입공(112)을 통해 상단이 노출되는 작용축(134)의 헤드부(134a)를 사용자가 누르면 작용축(134)의 지지편(134c)과 연결부재(132)의 턱부(132b)사이에 탄입된 탄성스프링(136)이 압축되면서 작용축(134)의 볼(134b)이 연결부재(132)의 턱부(132b)하단에 형성된 테이퍼부(132c)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되어 이 틈새를 통해 외부공기가 진공보온병의 용기내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의 작용에 의해 공기의 유입이 완료되어 작용축(134)의 헤드부(134a)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상기작용에서 압축된 탄성스프링(136)이 탄성부세하면서 작용축(134)의 지지편(134c)을 들어올리게 되므로 다시 작용축(134)의 볼(134b)이 연결부재(132)의 테이퍼부(132c)에 밀착하게 되어 공기통로(132a)가 폐쇄된다. 한편, 상기 작용축(134)의 지지편(134c) 상면이 상기 상부커버(110)의 돌출부(114)에 걸려 상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작용축(134)의 수직이동을 통해 용기내의 진공상태를 완화시킴으로써 뚜껑의 개방이 수월해지는 것이며, 평상시에는 탄성스프링(136)의 탄성력에 의해 작용축(134)의 볼(134b)이 연결부재(132)의 테이퍼부(132c)에 밀착되어 공기통로(132a)를 막고 있으므로 진공보온병 내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또한, 연결부재(132)의 상단부가 상부커버(110)의 돌출부(114)에 삽입된뒤 걸림턱(116)에 걸리게 하고, 연결부재(132)의 하단부와 하부몸체(120)의 결합부위에 요홈부(132d)와 요철부(124)를 형성하여 결합되게 하며, 이 요철부(124)의 외측으로 돌출턱(126)을 형성하여 이 돌출턱(126)이 연결부재(132)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132e)에 걸려지게 함으로써 기밀성을 보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스프링(136)의 탄성력은 용기내의 진공압에 의해 작용축의 하강되는 것을 방지되는 정도이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진공보온병의 뚜껑은 뚜껑에 공기유입수단을 설치하여 진공상태인 진공보온병내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진공상태를 완화시킴으로써 뚜껑의 개방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또한, 연결부재와 상부커버 및 하부몸체의 틈새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중턱구조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기밀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진공보온병의 뚜껑에 있어서,
    유입공(112)이 형성된 상부커버(110);
    상기 상부커버(110)의 하측에 조립되는 것으로 통공(122)이 형성된 하부몸체(120);및,
    상기 유입공(112)과 통공(122)사이에 개재되어 탄압작동에 의해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시키는 공기유입수단(130)을 포함하는 진공보온병의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수단(130)은 내측에 공기통로(132a)를 형성하여 상부커버(110)의 유입공(112)과 하부몸체(120)의 통공(12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32)와, 상기 연결부재(132)내에서 공기통로(132a)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작용축(134)과, 상기 연결부재(132)와 작용축(134) 사이에 탄입되는 탄성스프링(13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보온병의 뚜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수단(130)의 연결부재(132)는 공기통로(132a)상에 턱부(132b)를 형성하고,
    상기 작용축(134)은 상기 연결부재(132)의 턱부(132b)에 삽입지지되는볼(134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보온병의 뚜껑.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32)의 턱부(132b)의 하측에는 테이퍼부(132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보온병의 뚜껑.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120)는 통공(122) 상측에 요철부(124)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유입수단(130)의 연결부재(132)의 하단에는 상기 요철부(124)가 삽입되는 요홈부(132d)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보온병의 뚜껑.
KR20-2003-0040260U 2003-12-26 2003-12-26 진공보온병의 뚜껑 KR200344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260U KR200344726Y1 (ko) 2003-12-26 2003-12-26 진공보온병의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260U KR200344726Y1 (ko) 2003-12-26 2003-12-26 진공보온병의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726Y1 true KR200344726Y1 (ko) 2004-03-18

Family

ID=4942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260U KR200344726Y1 (ko) 2003-12-26 2003-12-26 진공보온병의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7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636B1 (ko) * 2015-04-20 2016-08-30 구정오 진공 용기용 안전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636B1 (ko) * 2015-04-20 2016-08-30 구정오 진공 용기용 안전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4726Y1 (ko) 진공보온병의 뚜껑
JPH0339417Y2 (ko)
JP3830741B2 (ja) クリーム状物等注出容器
JPS6023Y2 (ja) 電気ポツト
JP5962433B2 (ja) 加圧注出式液体容器
JP3620040B2 (ja) 液体容器の栓体
JP3620039B2 (ja) 液体容器の栓体
JP3620038B2 (ja) 液体容器の栓体
JPS5823313Y2 (ja) エア−ポツト
JP2516580Y2 (ja) てこ式複合空気弁
JPS582255Y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KR100607543B1 (ko)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JPS5931159Y2 (ja) 液体汲上式液体容器の転倒止水装置
CN220308846U (zh) 杯盖组件和杯具
KR200259302Y1 (ko) 발효용 용기뚜껑
RU2008147140A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снабженное средствами для введения добавки в содержимое контейнера
KR100435734B1 (ko) 누유 방지용 오일필러 캡
JP3126205U (ja) 弾性伸縮飲み口を具えた水筒
KR101962935B1 (ko) 휴대용 진공 보관용기
KR20050091686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뚜껑의 구조
KR970003538Y1 (ko) 에어매트용 공기 주입, 배출구
JPS6241712Y2 (ko)
JPS5827733Y2 (ja) 魔法瓶の栓装置
KR910005280Y1 (ko) 부항기의 공기 밸브장치
KR200189559Y1 (ko) 우유병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