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280Y1 - 부항기의 공기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부항기의 공기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280Y1
KR910005280Y1 KR2019890010076U KR890010076U KR910005280Y1 KR 910005280 Y1 KR910005280 Y1 KR 910005280Y1 KR 2019890010076 U KR2019890010076 U KR 2019890010076U KR 890010076 U KR890010076 U KR 890010076U KR 910005280 Y1 KR910005280 Y1 KR 910005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ning
container
cap nut
push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0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283U (ko
Inventor
이양휘
Original Assignee
이양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휘 filed Critical 이양휘
Priority to KR2019890010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280Y1/ko
Publication of KR9100022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2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2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항기의 공기 밸브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 2a 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b는 본 고안의 조작상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밸브몸체 3 : 캡너트
4 : 푸쉬노브 6 : 개폐변
7 : 밸브공 10 : 탄발스프링
본 고안은 환부로 부터 고름이나 독혈 등을 빨아내는데 사용하는 부항기에 있어서, 사용시 공기의 유통을 제어하여 주게 하는 공기 밸브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도 공기 밸브장치를 부설한 부항기(실용신안공고 제 81-1433호)가 있었는데, 이 부항기의 밸브장치는 용기에 일체로 형성한 배기관내에 파수간과 지주가 단일체로 입설된 개폐구를 승강되게 삽입하고, 상기 배기관의 하부에 돌출한 입벽에는 통기공이 뚫어진 고무환대를 삽착하여서 된 것으로 사용시 용기내의 공기를 에어스포이드펌프로 흡입 배출시켜 주면 상기 개폐구가 고무환대의 통기공을 밀봉하여 주도록 하므로 용기내의 진공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용기를 피부로 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파수간을 잡고 들어올리면 개폐구가 상승되어 통기공이 개전되므로 이를 통해 공기가 신속히 용기내로 유입되어 진공상태가 해제되고 이에따라 용기는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사용시 배기관의 하부에 삽착한 고무환대가 용기내의 진공상태에 의한 흡입력등에 의해 자주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진공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특히 사용 완료후 진공상태를 해제시켜 주기 위해서는 파수간을 잡고 상부로 당겨주어야 되는데, 이 파수간은 그 크기가 매우 작고 또 개폐구는 진공상태에 의한 비교적 강한 흡입력에 의해 고무환대의 통기공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파수간을 잡고 상부로 당겨주기가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결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용기의 상부 중앙에 뚫은 결착공에 밸브몸체를 캡너트로 결착 고정시키고, 이 캡너트에는 상면 중앙에 공기유통공을 뚫은 원통형 푸쉬노브를 결합하여 이 노브를 누르면 밸브의 개폐변이 열려 공기가 용기내로 유입되어 진공상태가 해제되게 하므로 진공상태의 해제조작이 매우 간편 용이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1)의 상부 중앙에는 결착공을 뚫어 밸브몸체(2)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게 결합시켜 상부에서 캡너트(3)를 체결하여 결착 고정하며, 이 캡너트의 관통공에는 원통형푸쉬노브(4)를 결합하고, 상기 밸브몸체의 밸브시이트(5)에는 개폐변(6)을 결합시켜 밸브공(7)을 개폐토록 하며, 상기 푸쉬노브의 상면 중앙에는 공기유통공(8)을 뚫어 주고 하부는 경사면으로 되게 형성하여 하단부(4')가 개폐변(6)의 일측과 접촉되게 하며, 이 개폐변의 저면에는 고무등으로 성형한 패킹(9)을 부착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개폐변(6)의 상면에 탄발스프링(10)의 하단을 결착고정시키고 이 스프링은 푸쉬노브(4)내에 결합되게 하여도 되는데, 이렇게 하면 스프링(10)의 탄발력에 의해 항상 개폐변(6)은 밸브공(7)을 닫아주고 있게 되고 푸쉬노브(4)는 상승된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통상의 부항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용기(1)를 피부에 밀착시킨 다음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되게 하여 주면 제 2a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변(6)은 밸브시이트(5)에 밀착되 밸브공(7)을 밀폐시켜 주게 되고 푸쉬노브(4)는 상승된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는 스프링(10)이 없어도 용기(1)내의 진공상태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개폐변(6)이 밸브시이트(5)에 밀착되어 수평상태가 되면서 푸쉬노브(4)의 하단부(4')를 밀어올려주므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진공상태를 해제시키고져 할 때에는 제 2b 도에서와 같이 푸쉬노브(4)를 눌러주면 하강되면서 그 하단부(4')가 개폐변(6)의 일측을 눌러주게 되므로 이 개폐변의 타측이 밸브시이트(5)로 부터 들려지게 되어 외부욀멧 a 푸쉬노브(4)의 유통공(8)을 통과하여 밸브공(7)을 거쳐 용기(1)내로 들어가게 됨에 따라 진공상태가 해제되므로 용기(1)는 피부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은 밸브몸체를 캡너트로 체결하여 결착고정시켜 주므로 사용중 밸브몸체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되며, 특히 개폐변은 푸쉬노브를 눌려주는 것만으로 열어줄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부항기에 비하여 진공상태의 해제를 위한 조작이 매우 간편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 탄발스프링을 내장하여 개폐변의 밀폐작용을 향상시켜 줄 수도 있게 되는 등 매우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밸브몸체(2)는 캡너트(3)로 용기의 상부 중앙에 결착 고정시키고, 상기 캡너트에는 원통형 푸쉬노브(4)를 결합시켜 경사면으로 된 하단부가 상기 밸브몸체의 밸브공(7)을 개폐하는 개폐변(6)의 일측에 접촉되게 하여 상기 푸쉬노브를 누르면 개폐변이 열리도록 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의 공기 밸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캡너트(3)와 개폐변(6) 사이에 탄발스프링(10)을 탄력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의 공기 밸브장치.
KR2019890010076U 1989-07-10 1989-07-10 부항기의 공기 밸브장치 KR910005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076U KR910005280Y1 (ko) 1989-07-10 1989-07-10 부항기의 공기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0076U KR910005280Y1 (ko) 1989-07-10 1989-07-10 부항기의 공기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283U KR910002283U (ko) 1991-02-25
KR910005280Y1 true KR910005280Y1 (ko) 1991-07-22

Family

ID=1928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0076U KR910005280Y1 (ko) 1989-07-10 1989-07-10 부항기의 공기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2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283U (ko) 199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5900A (en) Bottle cap with an air removing device
KR200488469Y1 (ko) 병뚜껑 구조
CN106983331B (zh) 一种杯盖
KR910005280Y1 (ko) 부항기의 공기 밸브장치
US5971180A (en) Sealing plug cap for a sealing container
EP0409506A1 (en) A valve device
JPH0339417Y2 (ko)
CN207886059U (zh) 一种杯盖
JPH0731868Y2 (ja) 真空パット
JP3777364B2 (ja) オイル吸引装置
US2139867A (en) Air vent valve attachment
CN220024754U (zh) 一种具有泄压阀的压力锅盖
JPH0731869Y2 (ja) 真空パット
KR200158300Y1 (ko) 부항치료기용 부항컵
KR200344726Y1 (ko) 진공보온병의 뚜껑
KR830000993Y1 (ko) 유착기
KR200362558Y1 (ko) 부항기용 진공흡입기
JPS6031627Y2 (ja) びん用注液口栓
JPS5830528Y2 (ja) エアポツトの転倒時流水防止装置
JPS6241712Y2 (ko)
JPS5814298Y2 (ja) オ−バ−フロ−防止機構を備えた貯液装置
KR200227851Y1 (ko) 식품진공보존용기의공기유출입밸브
JPS6332680Y2 (ko)
KR860002178Y1 (ko) 부 항 기
KR19990004873U (ko) 부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