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993Y1 - 유착기 - Google Patents

유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993Y1
KR830000993Y1 KR2019810008019U KR810008019U KR830000993Y1 KR 830000993 Y1 KR830000993 Y1 KR 830000993Y1 KR 2019810008019 U KR2019810008019 U KR 2019810008019U KR 810008019 U KR810008019 U KR 810008019U KR 830000993 Y1 KR830000993 Y1 KR 830000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le
main body
exhaust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8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용
Original Assignee
김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용 filed Critical 김기용
Priority to KR2019810008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9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9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07Breast; mamma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고,
제2도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예시도로서,
제2도는 배기시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것이고,
제3도는 흡입시의 상태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4 : 고무튜브
3 : 저유구 7 : 흡기변
9 : L형관 13 : 배기변
18 : 체결환
본 고안은 본인의 선등록고안인 공번 82-687호의 유착기를 개량하여 흡입시 흡기공을 통하여 들어온 유액이 배기시 배기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본체 하단에 파지부를 겸한 저유구를 형성하여 한번에 좀더 많은 량의 유액을 저유하여 사용에 간편함을 얻고자 안출된 것이다. 본인의 선등록 고안인 공번 82-687호를 보게되면 본체의 일측에 배기변을 형성하여 한번 유방에 흡착시킨 상태에서 계속하여 유착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으나 이는 흡입시 흡기공을 통하여 들어온 유액이 고무튜브속에 있다가 고무튜브를 압착시켜 공기를 배출할때에 배기공을 통하여 유액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결함이 있었으며 또한 본체에 별도의 저유구가 없어 저유량이 적으므로 계속하여 유착기는 유착할 수 있더라도 유액을 저유하지 못하여 일단 유액을 버린후 다시 유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별도의 파지부가 없어 고무튜브를 잡고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합을 시정 보완하여 한번 유방에 흡착시켜 계속하여 작동시키더라도 외부로 유액이 누출되지 않고 필요한 만큼의 량을 충분히 저유하여 받아낼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에 나팔관형 흡착부(2)를 형성하고 타측에 구형의 고무압출 튜브(4)를 연설하여서 되는 공지의 유착기에 있어서 본체(1)의 하부에는, 하단부에 나개(16)가 나착된 파지부 를 겸한 저유구(3)를 형성하고 본체(1)의 내면 중앙부에 흡기공(5)을 구비한 돌출부(6)를 형성하여 그 외측에 상기한 흡기공(5)을 개폐하는 흡기변(7)을 설치하고, 그 돌출부(6)의 내면에는 상단부에 통공(8)이 천설된 L형 관(9)을 내삽하되 상부에는 공기통로(10)를 형성하여 본체(1)의 상부주벽에 형성한 배기실(11)과 배기공(12)으로 연통시키고, 배기실(11)의 내부에는 배기공(12)을 개폐하는 배기변(13)을 설치하며, 배기실(11)의 외측은 통기공(14)을 천설한 마개판(15)을 개폐할 수 있게 장착한 것이며, 또한 본체(1)의 일측 외연부에는 나합부(1')를 연장 돌설하여 그 단부에 고무압축튜브(4)의 개구부(4')의 외주면에 돌설한 환상턱(17)을 일치하고 그 환상턱(17)에 괘지되는 괘지단(18')을 가진 체혈환(18)을 나합부(1')에 나착시켜 튜브(4)를 본체(1)에 견고히 연설하게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19)는 고무압축튜브(4)의 개구부(4')내에 감삽한 지지체로서 튜브(4)의 압축시 튜브(4)의 개구부(4')가 축소되어 체결환(18)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나팔관형 흡착부(2)를 유방에 압접시키고 고무압축튜브(4)를 압축시키면 흡기공(5)은 흡기변(7)에 의하여 밀폐되는 고로 압축된 공기는 제2도의 화살표 표시와 같이 공기통로(10)와 배기공(12)을 거쳐 배기변(13)을 열고 배기실(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나간다.
이때 압축된 고무튜브(4)를 놓게되면 고무튜브(40는 탄성에 의하여 원상으로 복귀되며 그 흡력으로 공기를 흡입하려 하나 이때에는 제3도와 같이 배기변(13)이 배기공(12)을 폐쇄하고 대신에 흡기변(7)이 열려 L형판(9)의 상부통공(8)을 통하여 흡기공(5)으로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고로 그 흡입력으로 모유가 유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나팔관형 흡착부(2)를 유방에 한번 압접시킨 상태에서 고무튜브(4)만을 반복해서 신축시키면 계속적으로 모유를 유착하여 하부의 저유구(3)에 저유할 수 있으며 또한 흡착시에는 통공(8)이 L형관(9)의 상단부를 넘지않는한 흡입유액이 흡기공(5)으로 들어올 수가 없으므로 배기시에 배기공(12)으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유액이 누출되어 몸이나 옷을 더럽히는 일이 없으며 또한 저유를 버릴때 종래에는 흡착부를 통하여 저유를 버리게 되므로 운반도중 저유가 넘거나 엎질러지는 폐단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저유구(3)하부의 나게(16)만 나해하면 간편하게 버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유구(3)를 파지부로 겸할 수가 있어 사용이 용이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고무튜브(4)의 개구부(4')내부에 지지체(19)를 내삽하여 내측으로 찌그러드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사용중에 고무튜브(4)가 유착기 본체(1)로 부터 이탈될 우려가 없고 체결환(18)에 의하여 견고히 연결되어 있어 공기의 누출이 없으므로 흡력이 약해지는 일이 전혀 없다.

Claims (1)

  1. 일측에 구형의 고무압축튜부(4)가 연설된 유착기본체(1)의 상면에 고무압축튜브(4)의 내부와 연통되는 흡기공(5)과 배기공(12)을 천설한 후 흡기변(7)과 배기변(13)을 설치하여, 고무압축튜브(4)의 개구부(4')내에 지지체(19)를 내삽한 상태로 고무튜브(4)를 본체(1)의 나합부(1')에 일치시켜 체결환(18)으로 나착하여서된 통상의 유착기에 있어서, 본체(1)의 하부에는 단부에 나개(16)가 나착된 저유구(3)를 형성하며 본체(1)의 중앙에 형성된 흡기공(5)이 천설된 돌출부(6)의 일측에 상단부에 통공(8)이 천설된 L형관(9)을 내삽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기.
KR2019810008019U 1981-11-27 1981-11-27 유착기 KR830000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019U KR830000993Y1 (ko) 1981-11-27 1981-11-27 유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019U KR830000993Y1 (ko) 1981-11-27 1981-11-27 유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993Y1 true KR830000993Y1 (ko) 1983-06-29

Family

ID=1922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019U KR830000993Y1 (ko) 1981-11-27 1981-11-27 유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9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K1043099A1 (en) A pourer for simultaneously pouring liquid from a container and mixing air into the liquid
US5462194A (en) Self-venting straw tip
KR850004407A (ko) 분무기 및 분무매체 인세트
CN106954997A (zh) 一种杯盖
KR830000993Y1 (ko) 유착기
CA2333382A1 (en) Penile enlargement device
KR820000687Y1 (ko) 유 착 기(乳搾器)
CN213849918U (zh) 吸管杯
JPS61146261U (ko)
JPS63197605U (ko)
KR910005280Y1 (ko) 부항기의 공기 밸브장치
JPS5931159Y2 (ja) 液体汲上式液体容器の転倒止水装置
JPH049967Y2 (ko)
JPH055930Y2 (ko)
JPS62145913U (ko)
JPS5927401Y2 (ja) オイルタンクのガス抜き器
JPS5927400Y2 (ja) オイルタンクのガス抜き器
JPH01141243U (ko)
JPH0336600Y2 (ko)
JPH0415144Y2 (ko)
KR870011051A (ko) 식수산소 보충장치
JPS58167097U (ja) 液体取出装置
TWM569317U (zh) Easy to open sealed container
JPS59153773U (ja) 調圧装置
JPH01118263U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