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574B1 - 음식물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574B1
KR101450574B1 KR1020130084419A KR20130084419A KR101450574B1 KR 101450574 B1 KR101450574 B1 KR 101450574B1 KR 1020130084419 A KR1020130084419 A KR 1020130084419A KR 20130084419 A KR20130084419 A KR 20130084419A KR 101450574 B1 KR101450574 B1 KR 101450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id
packing
lid bod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준
Original Assignee
이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준 filed Critical 이기준
Priority to KR1020130084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본체부와, 개구부를 개폐하고 저장부를 대향하는 부분이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저장용기{FOOD CONTAINER}
본 발명은 음식물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과 플라스틱 재질의 부속품간의 접촉이나 대면을 차단할 수 있는 음식물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온병(보냉병)이라 함은 음식물을 최초 저장 시의 온도와 거의 같은 온도로 장시간 유지하기 위해 만든 용기를 일컫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21938호(2002. 03. 23 공개, 발명의 명칭 : 진공보온병의 이중용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에 의한 용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과 플라스틱 재질의 부속품간의 접촉이나 대면을 차단할 수 있는 음식물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본체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고, 상기 저장부를 대향하는 부분이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덮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저장용기는 상기 내덮개부를 감싸고, 상기 용기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덮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덮개부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본체부; 및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덮개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덮개부는 상기 캡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덮개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부를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단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덮개부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패킹부는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는 본체턱부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본체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 삽입되는 덮개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가 끼움 결합되는 덮개홈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덮개몸체의 하단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몸체와 상기 저장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 및 상기 캡판부의 둘레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캡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캡연장부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캡걸림돌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홈부의 덮개홈부턱과 상기 캡걸림돌기의 상단은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캡판부와 상기 덮개몸체의 하단부가 이격되도록 상기 캡판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캡판돌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판돌기는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판돌기는 상기 덮개몸체의 하단부와 면접촉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캡판부와 상기 덮개몸체의 하단부가 이격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몸체돌기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돌기는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돌기는 상기 캡판부와 면접촉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킹부는 상기 캡연장부와 상기 캡걸림돌기에 밀착된 채로 상기 덮개홈부에 끼움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킹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는, 내측면이 상기 캡연장부와 상기 캡걸림돌기에 밀착되고, 외측면이 상기 본체턱부에 밀착되는 패킹걸림부; 및 상기 패킹걸림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덮개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패킹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킹부는 상기 패킹걸림부 또는 상기 패킹결합부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패킹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본체부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캡부는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패킹부는 실리콘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과 플라스틱 재질의 부속품간의 접촉이나 대면을 차단하여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성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본체부를 금속 재질의 캡부로 둘러싸면서 음식물과 덮개본체부를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 재질에서 기인하는 유해성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재질의 캡부에 의해 음식물과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본체부를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음식물에 플라스틱 재질의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재질의 캡부가 음식물과 접촉되거나 대면하므로, 음식물이 캡부에 묻은 경우에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덮개부에서 음식물과 대향하는 부분인 캡부만을 금속 재질로 제조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하여 보온, 보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본체부와 캡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음식물과 접촉 또는 대면되는 캡부의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본체부 또는 캡부의 파손 시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와 내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와 내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4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변형예가 용기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6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6변형예가 용기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와 내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와 내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4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변형예가 용기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6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6변형예가 용기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1)는 용기본체부(100), 내덮개부(200), 외덮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음식물 저장용기(1)는 음식물을 따뜻하게 저장하기 위한 보온용기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장기간 보존하기 위한 보존용기 등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모든 용기를 일컫는다.
용기본체부(100)는 내부에 음식물(D), 예를 들어 밥, 국, 물 등이 저장되는 저장부(110)를 구비한다. 용기본체부(100)는 상부에 음식물(D)의 출입구 역할을 하는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용기본체부(100)는 음식물(D)과 맞닿게 되므로,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성분의 발생이 억제되도록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기본체부(100)는 저장부(110)와 개구부(120) 모두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기본체부(100)는 개구부(120) 중 저장부(110)와 연결되는 부위에 본체턱부(130)가 형성된다. 본체턱부(130)는 개구부(120)에서 돌출 형성되어 개구부(120)를 폐쇄하는 내덮개부(200), 구체적으로 패킹부(230)와 접하게 된다.
용기본체부(100)는 외측벽의 상부에 본체돌기(140)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체돌기(140)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기본체부(100)의 상부를 덮는 외덮개부(300)의 외덮개돌기(310)와 나사 결합된다.
외덮개부(300)는 외덮개돌기(310)와 본체돌기(140)의 나사 결합에 의해 용기본체부(100)에 트위스트 방식으로 착탈된다.
내덮개부(200)는 개구부(120)를 개폐하도록 개구부(120)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내덮개부(200)는 개구부(120)를 폐쇄하여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D)에 먼지와 같은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내덮개부(200)는 덮개본체부(210), 캡부(220), 패킹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덮개본체부(210)는 개구부(120)를 개폐하고, 덮개몸체(211)와 덮개커버(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개구부(120)의 폐쇄 시에 덮개몸체(211)는 개구부(120) 내에 삽입되어 개구부(120)를 폐쇄하고, 덮개커버(215)는 덮개몸체(211)가 개구부(120)에 과도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한다.
덮개커버(215)는 용기본체부(100)의 외측벽 상단을 감싸면서 덮개몸체(211)와 개구부(120) 사이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D)과 외부를 격리시켜 음식물(D)의 보존 효율을 향상시킨다.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는 나선 형상의 덮개나선돌기(212)가 형성되고, 개구부(120)에는 덮개나선돌기(212)에 대응되도록 나선 형상의 개구나선돌기(12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덮개몸체(211)의 일 방향 회전시에는 개구나선돌기(121)가 덮개나선돌기(212)를 안내하면서 덮개몸체(211)가 개구부(120)를 폐쇄하게 된다.
덮개몸체(21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덮개나선돌기(212)와 개구나선돌기(121)간의 결합이 해제되고, 덮개몸체(211)가 개구부(120)로부터 이탈되면서 개구부(12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덮개홈부(213)가 구비된다. 덮개홈부(213)는 덮개나선돌기(212)의 하방에 배치된다.
덮개홈부(213)에는 패킹부(23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덮개홈부(213)는 패킹부(230)의 단부가 헐겁게 끼워지지 않도록 패킹부(230)의 단부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조금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덮개몸체(211)와 덮개커버(215)를 포함한 덮개본체부(210)는 열전도도를 낮추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덮개몸체(211)의 내부에는 음식물(D)의 보온, 보냉, 보존 등을 위해 스티로폼 등과 같은 단열재가 삽입될 수 있다.
캡부(220)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를 둘러싸고, 저장부(110)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캡부(2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D)과 맞닿거나 대면하게 되므로,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성분의 발생이 억제되도록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캡부(22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부(220)는 캡판부(221), 캡연장부(222), 캡걸림돌기(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판부(221)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의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D)은 덮개몸체(211)와 저장부(110)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221)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몸체(211)와 격리된 채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캡판부(221)와 맞닿거나 대면하게 된다.
캡판부(221)는 횡단면이 원형인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의 하면을 둘러싼다.
캡연장부(222)는 캡판부(221)의 둘레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이로써 덮개몸체(211)는 캡판부(221)와 캡연장부(222)에 의해 하면과 외측면이 동시에 저장부(110)로부터 격리된다.
캡연장부(222)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연장부(222)를 덮개몸체(211)에 둘러싸도록 배치시키는 것만으로 캡부(220)와 덮개몸체(211)간의 가결합이 가능하다.
캡걸림돌기(223)는 캡연장부(222)의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캡걸림돌기(223)는 캡부(220)를 둘러싸는 패킹부(230)와의 걸림 결합을 이룬다.
캡걸림돌기(223)가 추가로 형성됨에 따라, 패킹부(230)와 캡부(220)간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패킹부(230)는 더욱 견고하게 캡부(220)를 둘러싼 채로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측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중력이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캡부(220)의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캡걸림돌기(223)와 패킹부(230)간의 결합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의도치 않은 상황에서 캡부(220)가 덮개몸체(2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걸림돌기(223)의 상단과 덮개홈부(213)의 하단을 이루는 덮개홈부턱(213a)은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캡부(220)는 세척, 파손 등에 의한 교체 시에 덮개몸체(211)로부터 분리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캡걸림돌기(223)는 사용자의 캡부(220) 파지를 용이하게 한다.
패킹부(230)는 덮개몸체(211)의 둘레를 둘러싼다. 내덮개부(200)가 개구부(120)를 폐쇄할 때, 패킹부(230)는 개구부(120)에 구비되는 본체턱부(130)에 밀착되어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패킹부(2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이 덮개몸체(211)의 둘레를 둘러싸고, 외측면이 본체턱부(130)와 밀착된다.
패킹부(230)는 본체턱부(130)와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유해성분의 발생이 없는 실리콘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킹부(230)는 캡부(220)를 둘러싸면서 덮개몸체(211)의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캡부(220)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측에 위치 고정된다.
패킹부(230)가 캡부(220)에 밀착된 상태로 둘러싸므로 덮개몸체(211)와 캡부(220) 사이로 음식물이 새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패킹부(230)는 패킹걸림부(231)와 패킹결합부(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킹걸림부(231)는 내측면이 캡연장부(222)의 측면과 캡걸림돌기(223)의 하면 및 측면에 밀착되도록 캡연장부(222)와 캡걸림돌기(223)를 둘러싼다. 본 실시예에서 패킹걸림부(231)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패킹걸림부(231)의 외측면은 내덮개부(200)의 개구부(120) 폐쇄 시에 본체턱부(130)와 밀착된다.
따라서 내덮개부(200)가 개구부(120)를 폐쇄하는 경우 패킹걸림부(231)에 의해 덮개몸체(211)와 개구부(120)의 사이 공간은 밀폐된다.
패킹결합부(232)는 일단부가 패킹걸림부(231)에서 연장 형성되고, 하측면이 캡걸림돌기(223)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캡걸림돌기(223)를 둘러싼다.
패킹결합부(232)의 타단부는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되어 패킹걸림부(231)에 의해 지지되는 캡부(220)를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측에 위치 고정시킨다.
패킹결합부(232)의 타단부가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에, 캡걸림돌기(223)의 상단과 덮개홈부턱(213a)은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패킹결합부(232)는 보다 용이하게, 보다 견고하게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된다.
만약 캡걸림돌기(223)의 상단이 덮개홈부턱(213a) 보다 높게 배치되면, 패킹결합부(232)의 타단부는 덮개홈부턱(213a)에 끼워지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패킹결합부(232)와 덮개홈부(213)간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캡걸림돌기(232)의 상단이 덮개홈부턱(213a) 보다 낮게 배치되면, 패킹결합부(232)가 캡걸림돌기(232)를 둘러싸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패킹결합부(232)에 의해 캡부(220)를 위치 고정시키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패킹결합부(232)에 의한 밀폐력이 저하될 수 있다.
결국 캡걸림돌기(223)의 상단과 덮개홈부턱(213a)이 동일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패킹결합부(232)의 타단부가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되므로, 패킹결합부(232)와 덮개홈부(213)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킹결합부(232)에 의한 캡부(220)의 위치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고,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내덮개부(200)의 제1변형예에서 캡부(220A)는 캡판돌기(224)를 더 포함한다.
캡판돌기(224)는 캡판부(221)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금속 재질의 캡부(220A)의 강도는 보강되어 캡부(220)가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캡판돌기(224)의 돌출에 따라 캡판부(221)의 상면과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는 이격된다. 따라서 덮개몸체(211)와 캡판부(221)간에 수분에 의한 밀착 현상이 방지되므로, 캡부(220A)를 덮개몸체(2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덧붙여 캡판돌기(224)에 의해 형성되는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사이의 공간이 단열재 역할을 하므로, 열전도도를 낮출 수 있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음식물(D)의 보온, 보냉, 보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캡판돌기(224)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캡판돌기(224)와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가 360ㅀ 전 방위에서 접촉되므로, 캡판돌기(224)와 덮개몸체(211)의 접촉 시에 흔들림이 차단된다. 이로써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내덮개부(200)의 제2변형예에서 캡부(220B)는 캡판돌기(225)를 더 포함한다.
캡판돌기(225)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 면접촉되도록 캡판부(221)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금속 재질의 캡부(220)의 강도는 보강되어 캡부(220B)가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캡판돌기(225)의 돌출에 따라 캡판부(221)의 상면과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는 이격된다. 따라서 덮개몸체(211)와 캡판부(221)간에 수분에 의한 밀착 현상이 방지되므로, 캡부(220B)를 덮개몸체(2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덧붙여 캡판돌기(225)에 의해 형성되는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사이의 공간이 단열재 역할을 하므로, 열전도도를 낮출 수 있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음식물(D)의 보온, 보냉, 보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캡판돌기(225)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 면접촉되도록 캡판부(221)의 중앙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캡판돌기(225)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 점접촉이 아닌 면접촉되므로, 캡판돌기(225)와 덮개몸체(211)의 접촉 시에 흔들림이 차단된다. 이로써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캡판돌기(225)는 1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내덮개부(200)의 제3변형예에서 덮개본체부(210A), 구체적으로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에는 몸체돌기(216)가 구비된다.
몸체돌기(216)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몸체돌기(216)의 돌출에 따라 캡판부(221)의 상면과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는 이격된다. 따라서 덮개몸체(211)와 캡판부(221)간에 수분에 의한 밀착 현상이 방지되므로, 캡부(220)를 덮개몸체(2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덧붙여 몸체돌기(216)에 의해 형성되는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사이의 공간이 단열재 역할을 하므로, 열전도도를 낮출 수 있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음식물(D)의 보온, 보냉, 보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몸체돌기(216)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돌기(216)와 캡판부(221)가 360ㅀ 전 방위에서 접촉되므로, 몸체돌기(216)와 캡판부(221)의 접촉 시에 흔들림이 차단된다. 이로써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내덮개부(200)의 제4변형예에서 덮개본체부(210B), 구체적으로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에는 몸체돌기(217)가 구비된다.
몸체돌기(217)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몸체돌기(217)의 돌출에 따라 캡판부(221)의 상면과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는 이격된다. 따라서 덮개몸체(211)와 캡판부(221)간에 수분에 의한 밀착 현상이 방지되므로, 캡부(220)를 덮개몸체(2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덧붙여 몸체돌기(217)에 의해 형성되는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사이의 공간이 단열재 역할을 하므로, 열전도도를 낮출 수 있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음식물(D)의 보온, 보냉, 보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몸체돌기(217)는 캡판부(221)의 상면과 면접촉되도록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의 중앙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몸체돌기(217)는 캡판부(221)의 상면과 점접촉이 아닌 면접촉되므로, 몸체돌기(217)와 캡판부(221)의 접촉 시에 흔들림이 차단된다. 이로써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돌기(217)는 1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내덮개부(200)의 제5변형예에서 패킹부(230A)는 패킹돌기부(233)를 더 포함한다.
패킹돌기부(233)는 패킹걸림부(231) 또는 패킹결합부(232)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내부덮개부(200)에 의한 개구부(120)의 폐쇄 시에 패킹돌기부(233)는 개구부(12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패킹걸림부(231) 및/또는 패킹결합부(232)에 의한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 공간의 밀폐와 더불어, 패킹돌기부(233)에 의한 덮개몸체(211)와 개구부(120) 사이 공간의 밀폐를 동시에 이룰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내덮개부(200)의 제6변형예에서 패킹부(230B)는 패킹돌기부(233)를 더 포함한다.
패킹돌기부(233)는 패킹걸림부(231) 또는 패킹결합부(232)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내부덮개부(200)에 의한 개구부(120)의 폐쇄 시에 패킹돌기부(233)는 개구부(12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패킹걸림부(231) 및/또는 패킹결합부(232)에 의한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 공간의 밀폐와 더불어, 패킹돌기부(233)에 의한 덮개몸체(211)와 개구부(120) 사이 공간의 밀폐를 동시에 이룰 수 있다.
특히 제6변형예의 패킹부(230B)는 제5변형예의 패킹부(230A)에 비해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되므로, 본체턱부(130)와의 접촉시 탄성 변형되어 본체턱부(130)를 감싸면서 밀폐하게 된다.
외덮개부(300)는 내덮개부(200)를 감싸고, 용기본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외덮개부(300)는 내덮개부(20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외덮개부(300)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외덮개돌기(310)와 용기본체부(100)의 외측벽 상부에 형성되는 본체돌기(140)간의 나사 결합에 의해 용기본체부(100)에 트위스트 방식으로 착탈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본체부(210)를 금속 재질의 캡부(220)로 둘러싸면서 음식물(D)과 덮개본체부(210)를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 재질에서 기인하는 유해성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캡부(220)에 의해 음식물(D)과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본체부(210)를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음식물(D)에 플라스틱 재질 특유의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캡부(220)가 음식물(D)과 접촉되거나 대면하므로, 음식물(D)이 캡부(220)에 묻은 경우에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내덮개부(200)에서 음식물(D)과 대향하는 부분인 캡부(220)만을 금속 재질로 제조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나머지 덮개본체부(2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하여 보온, 보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덮개본체부(210)와 캡부(2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음식물(D)과 접촉 또는 대면되는 캡부(220)의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덮개본체부(210) 또는 캡부(220)의 파손 시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보온병(보냉병)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보온병(보냉병) 외에 음식물이 저장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음식물 저장용기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음식물 저장용기 100 : 용기본체부
110 : 저장부 120 : 개구부
130 : 본체턱부 140 : 본체돌기
200 : 내덮개부 210 : 덮개본체부
211 : 덮개몸체 212 : 덮개나선돌기
213 : 덮개홈부 213a : 덮개홈부턱
214 : 덮개몸체의 하단부 215 : 덮개커버
216, 217 : 몸체돌기 220 : 캡부
221 : 캡판부 222 : 캡연장부
223 : 캡걸림돌기 224, 225 : 캡판돌기
230 : 패킹부 231 : 패킹걸림부
232 : 패킹결합부 233 : 패킹돌기부
300 : 외덮개부 310 : 외덮개돌기

Claims (19)

  1.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본체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고, 상기 저장부를 대향하는 부분이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덮개부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본체부;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덮개본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캡부; 및
    상기 캡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덮개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부를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단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패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덮개부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패킹부는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는 본체턱부에 밀착되며,
    상기 덮개본체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 삽입되는 덮개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가 끼움 결합되는 덮개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덮개부를 감싸고, 상기 용기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덮개몸체의 하단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몸체와 상기 저장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 및
    상기 캡판부의 둘레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캡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캡연장부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캡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홈부의 덮개홈부턱과 상기 캡걸림돌기의 상단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캡판부와 상기 덮개몸체의 하단부가 이격되도록 상기 캡판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캡판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캡판돌기는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캡판돌기는 상기 덮개몸체의 하단부와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캡판부와 상기 덮개몸체의 하단부가 이격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몸체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돌기는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돌기는 상기 캡판부와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는 상기 캡연장부와 상기 캡걸림돌기에 밀착된 채로 상기 덮개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는, 내측면이 상기 캡연장부와 상기 캡걸림돌기에 밀착되고, 외측면이 상기 본체턱부에 밀착되는 패킹걸림부; 및
    상기 패킹걸림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덮개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패킹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는 상기 패킹걸림부 또는 상기 패킹결합부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패킹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본체부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캡부는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는 실리콘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KR1020130084419A 2013-07-17 2013-07-17 음식물 저장용기 KR101450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419A KR101450574B1 (ko) 2013-07-17 2013-07-17 음식물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419A KR101450574B1 (ko) 2013-07-17 2013-07-17 음식물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574B1 true KR101450574B1 (ko) 2014-10-15

Family

ID=5199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419A KR101450574B1 (ko) 2013-07-17 2013-07-17 음식물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61U (ko) 2016-01-25 2017-08-02 주식회사 아가프라 음식물 보관용 실리콘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415A (ja) * 1994-05-19 1995-12-05 Daiwa Can Co Ltd プラスチック製オーバーキャップ
KR19980087666A (ko) * 1998-09-07 1998-12-05 강철원 보온병 뚜껑의 결합 구조
KR20000050524A (ko) * 1999-01-11 2000-08-05 김세경 보온용기의 마개구조
KR20090060258A (ko) * 2006-09-06 2009-06-11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컴파니 밀폐장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415A (ja) * 1994-05-19 1995-12-05 Daiwa Can Co Ltd プラスチック製オーバーキャップ
KR19980087666A (ko) * 1998-09-07 1998-12-05 강철원 보온병 뚜껑의 결합 구조
KR20000050524A (ko) * 1999-01-11 2000-08-05 김세경 보온용기의 마개구조
KR20090060258A (ko) * 2006-09-06 2009-06-11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컴파니 밀폐장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61U (ko) 2016-01-25 2017-08-02 주식회사 아가프라 음식물 보관용 실리콘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4063B2 (en) Double walled insulated container with rechargeable vacuum
US8033407B2 (en) System for providing an insulated bottle having a location to secure a protective nipple top when not located to protect the nipple
US20100044334A1 (en) Glass insert infant nursing device
CN107284857B (zh) 冰淇淋机
US9708098B2 (en) Fully eversible beverage receptacle
KR101242634B1 (ko) 밀폐용기용 뚜껑
CN108502347A (zh) 食品罐
KR101494254B1 (ko) 밀폐용기
TW201806830A (zh) 飲料用容器及其瓶蓋結構
KR102376066B1 (ko) 단열 용기용 진공 밀봉 리드 인서트
KR101450574B1 (ko) 음식물 저장용기
KR101479852B1 (ko) 휴대용 식품 보존 용기
KR101453547B1 (ko) 음식물 저장용기
CN112707011B (zh) 冷藏箱
KR100597955B1 (ko) 플라스틱용기
KR101089167B1 (ko)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0477270Y1 (ko) 화장용 콤팩트 용기
KR20200027572A (ko) 폼 절연물을 갖는 누설 방지 용기 뚜껑
KR101616877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 뚜껑
KR101453548B1 (ko) 음식물 저장용기
CN113716203A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KR200485939Y1 (ko) 밀폐용기
JP5197314B2 (ja) 携帯式飲料容器
KR20190134307A (ko) 팩트 내용기
TWM541995U (zh) 密封容器結構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