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307A - 팩트 내용기 - Google Patents

팩트 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307A
KR20190134307A KR1020180059776A KR20180059776A KR20190134307A KR 20190134307 A KR20190134307 A KR 20190134307A KR 1020180059776 A KR1020180059776 A KR 1020180059776A KR 20180059776 A KR20180059776 A KR 20180059776A KR 20190134307 A KR20190134307 A KR 20190134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upling
inner member
upper case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수
장석훈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장석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장석훈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59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4307A/ko
Publication of KR2019013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4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트 내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밀폐 효과를 높이면서 내용물의 크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내부부재를 설치한 팩트 내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팩트 내용기{Compact inner container}
본 발명은 팩트 내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밀폐 효과를 높이면서 내용물의 크랙을 최소화시키는 팩트 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필이 가능한 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는 외용기와 내용기가 합쳐진 구조이다.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는 퍼프가 들어갈 자리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화장품이 들어있는 내용기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외용기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내용기에 들어가는 화장품은 기능상 화장품 조성물에 오일이나 수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기밀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화장품이 변질될 수 있다. 기밀성이 낮아 오일이나 수분이 증발되면, 화장품이 원래의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고 품질이 저하되어 사용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종래 기술 중에 내용기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33281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33281호'에서는 하부 본체와 힌지 결합되는 상부 본체를 닫을 때, 상기 하부 본체에 형성된 격벽 상부에 형성된 라운드부와 상기 상부 본체에 형성되는 지지대가 접촉하여 서로 밀착되게 하여 상기 하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 사이를 밀폐시킨다.
그 후 상부 본체에 형성된 진공 밀폐 부재에 압력을 가하면, 격벽이 압력을 받게 되고, 결국 라운드부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상기 지지대와 상기 라운드부 사이의 틈으로 내부 공기가 빠져나가는 방식으로 밀폐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33281호'의 기술은 상기 격벽 안쪽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용기를 열고 닫을 때, 또는 상기 진공 밀폐 부재에 압력을 가하거나 압력을 풀 때, 상기 격벽의 움직임에 의해 내용물이 손상을 입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3328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팩트 내용기의 내용물을 위한 밀폐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내용물의 손상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는 팩트 내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팩트 내용기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 둘레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하부 둘레부보다 안쪽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의 안쪽에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내부부재와, 상기 하부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닫혔을 때, 상기 하부 둘레부와 닿는 상부 둘레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상기 둘레부보다 안쪽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닫혔을 때, 상기 밀폐부의 일측과 닿는 제1결합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상기 둘레부보다 안쪽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닫혔을 때, 상기 밀폐부의 타측과 닿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부재의 외측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의 내측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중 나머지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부재와 상기 밀폐부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 둘레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하부 둘레부보다 안쪽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안쪽에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내부부재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내부부재의 안쪽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하부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닫혔을 때, 상기 하부 둘레부와 닿는 상부 둘레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상기 둘레부보다 안쪽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닫혔을 때, 일측은 상기 제1결합부와 닿고, 타측은 상기 내부부재에 닿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부재의 외측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내측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중 나머지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부재와 상기 격벽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는 일측이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될 때, 상기 밀폐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밀폐부의 일측을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폐시키는 것과 같이 향상된 밀폐 효과를 낼 수 있다.
밀폐부와 화장품 내용물이 충전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부재 사이에 여유공간을 형성하거나, 내용기의 상부 케이스를 개폐할 때 밀폐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내측으로 원상 복구될 때 발생하는 변형에 의해 내용물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내용기의 상부 케이스 개폐시 밀폐부와 닿는 내부부재와 화장품 내용물이 충전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격벽 사이에 여유공간을 형성하여, 내용기의 상부 케이스를 개폐할 때 밀폐부가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내측으로 원상 복구될 때 발생하는 변형에 의해 내용물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내용물의 고온 충전이 가능한 트레이를 하부 트레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내용기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의 냉각 공정을 별도로 진행함으로써, 공정 효율을 높이고, 케이스 째로 냉각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내부부재의 상부를 하부 케이스의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냉각시 측면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 현상의 육안 관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팩트 내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팩트 내용기의 하부 케이스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팩트 내용기의 하부 케이스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팩트 내용기의 하부 케이스의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팩트 내용기의 하부 케이스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팩트 내용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팩트 내용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팩트 내용기의 하부 케이스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팩트 내용기의 하부 케이스의 정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팩트 내용기의 하부 케이스의 측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팩트 내용기의 하부 케이스의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팩트 내용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팩트 내용기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팩트 내용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리필이 가능한 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는 외용기(미도시)와 내용기가 합쳐진 구조이다. 외용기의 뚜껑 안쪽에는 거울(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내용기에는 화장품 내용물이 충전 되며,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는 퍼프(미도시)가 들어갈 자리가 마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기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는 힌지 결합되어 상부 케이스(200)를 힌지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열고 닫을 수 있다.
============== 제1실시예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팩트 내용기는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와 내부부재(300)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00)는 도 2,3,4,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00)는 바닥(111)과, 바닥(111)에 연결된 바닥 둘레부(112)와, 바닥 둘레부(112)에 연결된 밀폐부(120)와, 밀폐부(120)에 연결된 연결부(113)와, 연결부(113)에 연결된 하부 둘레부(114)와, 하부 둘레부(114)의 일측에 연결된 힌지부(130)와, 하부 둘레부(114)의 타측 및 연결부(113)에 연결된 버튼 체결부(140)를 포함한다.
바닥(11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바닥 둘레부(112)는 바닥(111)의 측면에 바닥 둘레부(112)의 하단이 연결되게 형성된다.
바닥 둘레부(112)는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밀폐부(120)는 바닥 둘레부(112)의 상단에 밀폐부(120)의 하부가 연결되게 형성된다.
밀폐부(120)는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밀폐부(120)는 전체적으로 하부가 안쪽방향으로 돌출된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밀폐부(120)의 하부 구멍의 반지름은 밀폐부(120)의 상부 구멍의 반지름보다 후술할 내부부재(300)의 두께만큼 작게 형성되고, 밀폐부(120)의 상부 내경은 내부부재(30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다. 그로 인해 밀폐부(120) 하부 안쪽에는 내부부재(300)가 삽입될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부재(300)를 밀폐부(120) 안쪽에 끼운 후에는, 내부부재(300)의 하면과 밀폐부(120) 하부의 상면이 맞닿는다.
밀폐부(120)의 하부의 원주방향 두께는 바닥 둘레부(112)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밀폐부(120)의 하부의 내측면과 바닥 둘레부(112)의 상부의 내측면은 서로 일치되게 형성된다. 밀폐부(120)의 하부를 두껍게 함으로써, 후술할 내부부재(300)를 하부 케이스(100)에 끼울 때의 압력을 하부 케이스(100)가 잘 견딜 수 있게 할 수 있다.
밀폐부(120)의 내측면의 중간부에는 밀폐부 돌기(121)가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밀폐부 돌기(121)는 밀폐부(120)의 내측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의 띠를 이루며 형성된다.
밀폐부(120)의 중앙부와 상부의 두께는 밀폐부(120)의 하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밀폐부(120)의 중앙부와 상부에 유연성이 확보되어, 상부 케이스(200)를 닫아 하부 케이스(100)를 밀폐하는 과정이 좀 더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밀폐부(120)의 상부의 외측면에는 탄성부(122)가 형성된다.
탄성부(122)는 밀폐부(120)의 외측방향으로 뻗은 후 아래쪽 방향을 향해서 굴곡지게 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탄성부(122)는 판스프링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하부 케이스(100)가 상부 케이스(200)에 의해 밀폐될 때 탄성력에 의해 더 효율적으로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
바닥(111)의 상면과 바닥 둘레부(112)의 내측면과 밀폐부(120)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내부 공간(115)이라고 한다.
내부 공간(115)에는 화장품의 내용물이 충전될 수 있다.
연결부(113)는 연결부(113) 일단이 밀폐부(120) 하부의 외측면 상부에 연결되고, 연결부(113)의 타단이 밀폐부(120)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되게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부(113)는 밀폐부 돌기(121)의 높이와 비슷한 위치에 위치한다.
연결부(113)로 인해 연결부(113)의 위쪽 방향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그로 인해 밀폐부(120)가 외측으로 움직일 공간과, 후술할 상부 케이스(200)의 제1결합부(212)가 하부 케이스(100) 안쪽으로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연결부(113)로 인해 연결부(113) 아래쪽 방향에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그로 인해 내용기를 외용기에 끼울 때 후술할 결합홈(116)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하부 케이스(100)의 외부 변형이 화장품 내용물에 끼칠 수 있는 영향을 감소시켜 준다.
하부 둘레부(114)는 연결부(113)의 타단과 연결되고, 연결부(113)를 중심으로 위아래로 돌출된 원형의 티 형태로 형성된다.
하부 둘레부(114)는 복수의 결합홈(116)을 포함한다.
결합홈(116)은 하부 둘레부(114) 하단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결합홈(116)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용기의 돌기(미도시)가 내용기의 결합홈(116)에 끼워짐으로써, 외용기와 내용기가 결합된다.
결합홈(11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힌지부(130) 및 버튼 체결부(140)와 겹치지 않게 45°, 135°, 225° 315°방향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3,6에 도시되어 있는 결합홈(116)은 하부 둘레부(114)의 상하방향에서의 결합홈(116)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하부 케이스(100)는 지지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17)는 하부 둘레부(114)의 하부 안측면과 연결부(113)의 하면이 연결되게, 측면에서 봤을 때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대(117)는 내용기를 외용기에 끼울 때 결합홈(116)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하부 둘레부(114)의 하부 및 연결부(113)가 부러지지 않고, 내용기와 외용기가 결합 된 후 하부 둘레부(114)의 형상이 원상 복귀될 수 있게 하부 둘레부(114) 및 연결부(113)의 강도를 높여준다.
힌지부(130)의 일측은 하부 둘레부(114)의 상부 외측면의 일측에 연결된다.
힌지부(130)는 힌지 바닥(131)과 힌지 바닥(131)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는 힌지 측면(132)을 포함한다.
힌지 바닥(131)은 전체적으로 전후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판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된다.
힌지 바닥(131)의 일측은 하부 둘레부(114)의 상부 외측면의 일측에 연결된다.
힌지 바닥(131)의 타측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후술할 상부 케이스(200)의 힌지축(230)과 힌지부(130) 사이에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힌지 측면(132)은 상부가 굴곡지게 반원 형태로 형성돼서, 후술할 상부 케이스(200)를 열고 닫을 때, 힌지축(230)과 맞닿는 면의 형태가 연속적으로 일치할 수 있게 되어, 힌지 측면(132)과 힌지축(230) 사이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힌지 측면(132)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체결홈(133)이 형성된다.
체결홈(133)은 힌지부(130)의 외측의 반경을 힌지부(130)의 내측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핀(미도시)을 체결홈(133)에 삽입하는 과정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버튼 체결부(140)는 하부 둘레부(114)의 타측 및 연결부(113)에 연결된다.
하부 둘레부(114)의 타측에는 버튼 체결부(140)가 형성되므로, 연결부(113)를 중심으로 하부에만 하부 둘레부(114)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버튼 체결부(140)는 하부 둘레부(114)의 타측의 상부 및 연결부(113)의 상부에 걸쳐 위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버튼 체결부(140)의 상부의 외측면에는 버튼 체결홈(141)이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200)는 도 1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00)는 덮개(210)와, 덮개(210)의 일측에 연결된 힌지축(230)과, 덮개(210)의 타측에 연결된 손잡이(240) 및 버튼(250)과, 퍼프 둘레부(261)를 포함한다.
덮개(210)는 원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덮개(210)에는 상부 둘레부(211)가 상부 둘레부(211)의 상단이 덮개(210)의 측면과 연결되게,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 둘레부(211)는 상부 케이스(200)를 닫았을 때, 상부 둘레부(211)의 하면이 하부 둘레부(114)의 상면과 맞닿을 수 있게 형성된다.
덮개(210)의 하면에는 제1결합부(212)와 제2결합부(213)가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제1결합부(212)의 일단과 제2결합부(213)의 일단은 덮개(210)의 하면에 연결된다.
제1결합부(212)는 상부 둘레부(211)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제2결합부(213)는 제1결합부(212)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제1결합부(212)는 상부 케이스(200)를 닫았을 때, 제1결합부(212)의 안측면이 밀폐부(120)의 탄성부(122)의 외측면과 닿을 수 있게 형성된다.
제2결합부(213)는 상부 케이스(200)를 닫았을 때, 제2결합부(213)의 외측면이 밀폐부(120)의 내측면과 닿을 수 있게 형성된다. 이때, 제2결합부(213)의 외측면은 밀폐부(120)의 내측면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게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200)를 닫을 때, 밀폐부(120)가 제2결합부(213)의 외측면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제2결합부(213)를 누름으로써 내부 공간(115)이 밀폐되게 된다.
제1결합부(212)의 안측면에서부터 제2결합부(213)의 외측면까지의 거리는 밀폐부(120)의 내측면에서부터 탄성부(122)의 외측면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200)를 닫으면, 제1결합부(212)와 제2결합부(213)에 의해 탄성부(122)의 외측면이 안쪽방향으로 눌리며 내부 공간(115)이 밀폐되게 된다.
제1결합부(212)의 하단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윗방향으로 향하게 경사가 형성되고, 제2결합부(213)의 하단은 외측이 라운드 처리 되어 있어, 상부 케이스(200)를 닫았을 때, 밀폐부(120)가 매끄럽게 제1결합부(212)와 제2결합부(213)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
힌지축(230)의 일측은 덮개(210)의 일측의 상면 및 외측면에 연결되게 형성되고, 힌지축(230)의 일측은 전후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판의 형태로, 힌지축(230)의 타측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원통의 형태로 형성된다.
힌지축(230)의 상면의 높이는 덮개(210)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아, 상부 케이스(200) 위에 놓일 퍼프가 힌지축(230) 방향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해준다.
힌지축(230)의 타측의 상하방향 양단에는 힌지축(230)의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의 내경은 하부 케이스(100)의 체결홈(133)의 내경과 동일 유사하다. 상부 케이스(200)는 상기 체결홈과 체결홈(133)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열리고 닫힌다.
손잡이(240)는 덮개(210)의 타측에 윗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200) 위에 놓일 퍼프가 손잡이(240) 방향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해준다.
손잡이(240)의 상부는 상부 케이스(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잡이(240) 아래쪽에 손을 넣어, 손을 들어 올림으로써 상부 케이스(200)를 열 수 있게 한다.
버튼(250)은 덮개(210)의 타측에 아랫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버튼(250)의 외주방향 길이는 하부 케이스(100)의 버튼 체결부(140)의 외주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다.
버튼(250)의 내측면에는 버튼 돌기(251)가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버튼 돌기(251)는 상부 케이스(200)를 닫았을 때, 버튼 돌기(251)가 하부 케이스(100)의 버튼 체결홈(141)에 위치할 수 있게 형성된다.
퍼프 둘레부(261)는 덮개(210)의 측면에 윗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힌지축(230)과 손잡이(240)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퍼프 둘레부(261)는 상부 케이스(200) 위에 높여질 퍼프가 힌지축(230)과 손잡이(240)외의 방향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해준다.
내부부재(300)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내측으로 돌출된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내부부재(300)는 내부부재 돌기(310)와 돌출부(320)를 포함한다.
내부부재 돌기(310)는 내부부재(300)의 외측면에 바깥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내부부재 돌기(310)는 내부부재(300)가 밀폐부(120) 안쪽에 끼워질 때, 내부부재 돌기(310)가 밀폐부 돌기(121) 바로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내부부재(300)와 밀폐부(120)는 내부부재 돌기(310)와 밀폐부 돌기(121)에 의해 돌기 결합 되므로, 결합 후 내부부재(300)의 외측면과 밀폐부(120)의 내측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으로 인해 상부 케이스(200)를 열고 닫을 때, 밀폐부(120)가 바깥방향과 안쪽방향으로 탄성 변형을 하더라도, 내부부재(300) 안쪽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115)에 충전된 화장품 내용물의 측면에까지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돌출부(320)는 내부부재(300)의 상부 내측면에 안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팩트 내용기는 트레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4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트레이(4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트레이(400)는 고온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트레이 안쪽에 고온의 화장품 내용물을 충전할 수 있다.
트레이(400)의 둘레부의 외측면은 내부부재(300)의 돌출부(320)의 외측면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게 형성된다. 그로 인해 트레이(400) 안쪽에 충전되는 화장품 내용물의 냉각시 트레이(400)와 내용물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 현상의 육안 관찰이 최소화될 수 있다.
============== 제2실시예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팩트 내용기는 하부 케이스(1100)와 상부 케이스(1200)와 내부부재(1300)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100)는 도 7,8,9,10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100)는 바닥(1111)과, 바닥(1111)에 연결된 바닥 둘레부(1112) 및 격벽(1120)과, 바닥 둘레부(1112)에 연결된 연결부(1113)와, 연결부(1113)에 연결된 결합부(1118) 및 하부 둘레부(1114)와, 하부 둘레부(1114)의 일측에 연결된 힌지부(1130)와, 하부 둘레부(1114)의 타측 및 연결부(1113)에 연결된 버튼 체결부(1140)를 포함한다.
바닥(111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바닥 둘레부(1112)는 바닥(1111)의 측면에 바닥 둘레부(1112)의 하단이 연결되게 형성된다.
바닥 둘레부(1112)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격벽(1120)은 바닥(1111)의 상면에 격벽(1120)의 하단이 연결되게 형성된다.
격벽(1120)은 바닥 둘레부(1112)의 안쪽에 이격되어 위치한다.
격벽(1120)은 격벽(1120)은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격벽(1120)의 외측면 상부에는 격벽 돌기(1121)가 바깥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격벽 돌기(1121)는 격벽(1120)의 외측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의 띠를 이루며 형성된다.
바닥(1111)의 상면과 격벽(1120)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내부 공간(1115)이라고 한다.
내부 공간(1115)에는 화장품의 내용물이 충전될 수 있다.
연결부(1113)는 연결부(1113) 일단이 바닥 둘레부(1112) 외측면 상부에 연결되고, 연결부(1113)의 타단이 바닥 둘레부(1112)의 바깥방향으로 돌출되게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부(1113)로 인해 연결부(1113)의 위쪽 방향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 후술할 결합부(1118)가 외측으로 움직일 공간과, 후술할 상부 케이스(1200)의 밀폐부(1220)가 하부 케이스(1100) 안쪽으로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연결부(1113)로 인해 연결부(1113)의 아래쪽 방향에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다. 그로 인해 내용기를 외용기에 끼울 때 후술할 결합홈(1116)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하부 케이스(1100)의 외부 변형이 화장품 내용물에 끼칠 수 있는 영향을 감소시켜 준다.
결합부(1118)는 연결부(1113)의 상면에 결합부(1118)의 하면이 연결되게 형성된다.
결합부(1118)는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부(1118)는 상부 케이스(1200)를 닫았을 때, 후술할 상부 케이스(1200)의 밀폐부(1220)의 탄성부(1222)의 일단이 결합부(1118)의 내측면에 닿을 수 있게 형성된다.
하부 둘레부(1114)는 연결부(1113)의 타단과 연결되고, 연결부(1113)를 중심으로 위아래로 돌출된 원형의 티 형태로 형성된다.
하부 둘레부(1114)는 복수의 결합홈(1116)을 포함한다.
결합홈(1116)은 하부 둘레부(1114) 하단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결합홈(1116)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용기의 돌기(미도시)가 내용기의 결합홈(1116)에 끼워짐으로써, 외용기와 내용기가 결합된다.
결합홈(111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힌지부(1130) 및 버튼 체결부(1140)와 겹치지 않게 45°, 135°, 225° 315°방향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7,9,12에 도시되어 있는 결합홈(1116)은 하부 둘레부(1114)의 상하방향에서의 결합홈(1116)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하부 케이스(1100)는 지지대(1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117)는 하부 둘레부(1114)의 하부 안측면과 연결부(1113)의 하면이 연결되게, 측면에서 봤을 때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대(1117)는 내용기를 외용기에 끼울 때 결합홈(1116)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하부 둘레부(1114)의 하부 및 연결부(1113)가 부러지지 않고, 내용기와 외용기가 결합 된 후 하부 둘레부(1114)의 형상이 원상 복귀될 수 있게 하부 둘레부(1114) 및 연결부(1113)의 강도를 높여준다.
힌지부(1130)의 일측은 하부 둘레부(1114)의 상부 외측면의 일측에 연결된다.
힌지부(1130)는 힌지 바닥(1131)과 힌지 바닥(1131)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는 힌지 측면(1132)을 포함한다.
힌지 바닥(1131)은 전체적으로 전후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판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된다.
힌지 바닥(1131)의 일측은 하부 둘레부(1114)의 상부 외측면의 일측에 연결된다.
힌지 바닥(1131)의 타측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후술할 상부 케이스(1200)의 힌지축(1230)과 힌지부(1130) 사이에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힌지 측면(1132)은 상부가 굴곡지게 반원 형태로 형성돼서, 후술할 상부 케이스(1200)를 열고 닫을 때, 힌지축(1230)과 맞닿는 면의 형태가 연속적으로 일치할 수 있게 되어, 힌지 측면(1132)과 힌지축(1230) 사이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힌지 측면(1132)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체결홈(1133)이 형성된다.
체결홈(1133)은 힌지부(1130)의 외측의 반경을 힌지부(1130)의 내측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핀(미도시)을 체결홈(1133)에 삽입하는 과정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버튼 체결부(1140)는 하부 둘레부(1114)의 타측 및 연결부(1113)에 연결된다.
하부 둘레부(1114)의 타측에는 버튼 체결부(1140)가 형성되므로, 연결부(1113)를 중심으로 하부에만 하부 둘레부(1114)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버튼 체결부(1140)는 하부 둘레부(1114)의 타측의 상부 및 연결부(1113)의 상부에 걸쳐 위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버튼 체결부(1140)의 상부의 외측면에는 버튼 체결홈(1141)이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1200)는 도 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1200)는 덮개(1210)와, 덮개(1210)의 일측에 연결된 힌지축(1230)과, 덮개(1210)의 타측에 연결된 손잡이(1240) 및 버튼(1250)과, 퍼프 둘레부(1261)를 포함한다.
덮개(1210)는 원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덮개(1210)에는 상부 둘레부(1211)가 상부 둘레부(1211)의 상단이 덮개(1210)의 측면에 연결되게,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상부 둘레부(1211)는 상부 케이스(1200)를 닫았을 때, 상부 둘레부(1211)의 하면이 하부 둘레부(1114)의 상면과 맞닿을 수 있게 형성된다.
덮개(1210)의 하면에는 밀폐부(1220)가 밀폐부(1220)의 상단이 덮개(1210)의 하면과 연결되게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밀폐부(1220)는 상부 둘레부(1211)보다 안쪽에 위치한다.
밀폐부(1220)는 상부 케이스(1200)를 닫았을 때, 밀폐부(1220)의 후술할 탄성부(1222)의 외측면이 결합부(1118)의 내측면에 닿고, 밀폐부(1220)의 내측면이 후술할 내부부재(1300)의 외측면에 닿을 수 있게 형성된다. 이때, 밀폐부(1220)의 내측면은 내부부재(1300)의 외측면보다 안쪽에 위치하게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1200)를 닫을 때, 밀폐부(1220)가 내부부재(1300)의 외측면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내부부재(1300)를 누름으로써 내부 공간(1115)이 밀폐되게 된다.
탄성부(1222)의 외측면에서부터 밀폐부(1220)의 내측면까지의 거리는 결합부(1118)의 내측면부터 내부부재(1300)의 외측면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1200)를 닫으면, 결합부(1118)와 내부부재(1300)에 의해 탄성부(1222)의 외측면이 안쪽방향으로 눌리며 내부 공간(1115)이 밀폐되게 된다.
밀폐부(1220)의 상부의 외측면에는 탄성부(1222)가 형성된다.
탄성부(1222)는 밀폐부(1220)의 외측방향으로 뻗은 후 위쪽 방향을 향해서 굴곡지게 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탄성부(1222)는 판스프링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하부 케이스(1100)가 상부 케이스(1200)에 의해 밀폐될 때 탄성력에 의해 더 효율적으로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
힌지축(1230)의 일측은 덮개(1210)의 일측의 상면 및 외측면에 연결되게 형성되고, 힌지축(1230)의 일측은 전후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판의 형태로, 힌지축(1230)의 타측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원통의 형태로 형성된다.
힌지축(1230)의 상면의 높이는 덮개(1210)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아, 상부 케이스(1200) 위에 놓일 퍼프가 힌지축(1230) 방향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해준다.
힌지축(1230)의 타측의 상하방향 양단에는 힌지축(1230)의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의 내경은 하부 케이스(1100)의 체결홈(1133)의 내경과 동일 유사하다. 상부 케이스(1200)는 상기 체결홈과 체결홈(1133)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열리고 닫힌다.
손잡이(1240)는 덮개(1210)의 타측에 윗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1200) 위에 놓일 퍼프가 손잡이(1240) 방향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해준다.
손잡이(1240)의 상부는 상부 케이스(1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240) 아래쪽에 손을 넣어, 손을 들어 올림으로써 상부 케이스(1200)를 열 수 있게 한다.
버튼(1250)은 덮개(1210)의 타측에 아랫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버튼(1250)의 외주방향 길이는 하부 케이스(1100)의 버튼 체결부(1140)의 외주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다.
버튼(1250)의 내측면에는 버튼 돌기(1251)가 안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버튼 돌기(1251)는 상부 케이스(1200)를 닫았을 때, 버튼 돌기(1251)가 하부 케이스(1100)의 버튼 체결홈(1141)에 위치할 수 있게 형성된다.
퍼프 둘레부(1261)는 덮개(1210)의 측면에 윗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힌지축(1230)과 손잡이(1240)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퍼프 둘레부(1261)는 상부 케이스(1200) 위에 높여질 퍼프가 힌지축(1230)과 손잡이(1240)외의 방향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해준다.
내부부재(1300)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내측으로 돌출된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내부부재(1300)는 내부부재 결합홈(1310)과 돌출부(1320)를 포함한다.
내부부재 결합홈(1310)은 내부부재(130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내부부재 결합홈(1310)은 내부부재(1300)가 격벽(1120)의 바깥쪽에 끼워질 때, 내부부재 결합홈(1310)이 격벽 돌기(1121)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내부부재 결합홈(1310)은 격벽 돌기(1121)와 결합되었을 때, 내부부재(1300)의 내측면과 격벽(1120)의 외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공간으로 인해, 상부 케이스(1200)를 열고 닫을 때, 밀폐부(1220)가 바깥방향과 안쪽방향으로 탄성 변형을 하여, 밀폐부(1220)에 의해 내부부재(1300)가 힘을 받더라도, 격벽(1120) 안쪽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1115)에 충전된 화장품 내용물의 측면에까지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돌출부(1320)는 내부부재(1300)의 상부 내측면에 안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돌출부(1320)로 인해 격벽(1120) 안쪽에 충전되는 화장품 내용물이 냉각될 때 격벽(1120)과 내용물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 현상의 육안 관찰이 최소화될 수 있다.
============== 제3실시예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일부를 변형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사항에 대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3과 도 14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00)의 제2결합부(213')를 상부 케이스(200)를 닫았을 때, 제2결합부(213')의 하면이 하부 케이스(100)에 끼워진 내부부재(300)의 상면에 닿을 수 있도록 형성하여 밀폐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하부 케이스 111: 바닥
112: 바닥 둘레부 113: 연결부
114: 하부 둘레부 115: 내부 공간
116: 결합홈 117: 지지대
120: 밀폐부 121: 밀폐부 돌기
122: 탄성부 130: 힌지부
131: 힌지 바닥 132: 힌지 측면
133: 체결홈 140: 버튼 체결부
141: 버튼 체결홈
200: 상부 케이스 210: 덮개
211: 상부 둘레부 212: 제1결합부
213: 제2결합부 230: 힌지축
240: 손잡이 250: 버튼
251: 버튼 돌기 261: 퍼프 둘레부
300: 내부부재 310: 내부부재 돌기
320: 돌출부
400: 트레이
1100: 하부 케이스 1111: 바닥
1112: 바닥 둘레부 1113: 연결부
1114: 하부 둘레부 1115: 내부 공간
1116: 결합홈 1117: 지지대
1118: 결합부 1120: 격벽
1121: 격벽 돌기 1130: 힌지부
1131: 힌지 바닥 1132: 힌지 측면
1133: 체결홈 1140: 버튼 체결부
1141: 버튼 체결홈
1200: 상부 케이스 1210: 덮개
1211: 상부 둘레부 1220: 밀폐부
1222: 탄성부 1230: 힌지축
1240: 손잡이 1250: 버튼
1251: 버튼 돌기 1261: 퍼프 둘레부
1300: 내부부재 1310: 내부부재 결합홈
1320: 돌출부
213': 제2결합부

Claims (5)

  1.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 둘레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하부 둘레부보다 안쪽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의 안쪽에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내부부재;
    상기 하부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힌지축;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닫혔을 때, 상기 하부 둘레부와 닿는 상부 둘레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상기 둘레부보다 안쪽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닫혔을 때, 상기 밀폐부의 일측과 닿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상기 둘레부보다 안쪽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닫혔을 때, 상기 밀폐부의 타측과 닿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팩트 내용기.
  2.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 둘레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하부 둘레부보다 안쪽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안쪽에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내부부재;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내부부재의 안쪽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격벽;
    상기 하부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힌지축;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닫혔을 때, 상기 하부 둘레부와 닿는 상부 둘레부;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면에 상기 둘레부보다 안쪽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닫혔을 때, 일측은 상기 제1결합부와 닿고, 타측은 상기 내부부재에 닿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팩트 내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밀폐부는 일측이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될 때, 상기 밀폐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트 내용기.
  4. 청구항 1에서,
    상기 내부부재의 외측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의 내측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중 나머지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부재와 상기 밀폐부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트 내용기.
  5. 청구항 2에서,
    상기 내부부재의 외측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중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내측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중 나머지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부재와 상기 격벽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트 내용기.
KR1020180059776A 2018-05-25 2018-05-25 팩트 내용기 KR20190134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76A KR20190134307A (ko) 2018-05-25 2018-05-25 팩트 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76A KR20190134307A (ko) 2018-05-25 2018-05-25 팩트 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07A true KR20190134307A (ko) 2019-12-04

Family

ID=6900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776A KR20190134307A (ko) 2018-05-25 2018-05-25 팩트 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43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580B1 (ko) * 2023-12-07 2024-05-10 이성환 콤팩트 타입 화장품용 리필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281B1 (ko) 2015-04-15 2017-05-08 조지원 진공 밀폐 타입의 화장품용 컴팩트 리필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281B1 (ko) 2015-04-15 2017-05-08 조지원 진공 밀폐 타입의 화장품용 컴팩트 리필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580B1 (ko) * 2023-12-07 2024-05-10 이성환 콤팩트 타입 화장품용 리필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482B1 (ko) 밀폐용기
KR102024304B1 (ko) 재료, 특히 화장품 조성물을 위한 포장
US20130087165A1 (en) Sealing ring structure of a cosmetic container
KR101816997B1 (ko) 화장품 리필 케이스
US10717567B2 (en) Discharge container
KR20130048518A (ko) 기밀 화장품용기
US10464721B2 (en) Vapor-tight container
KR200474225Y1 (ko) 화장품 용기
KR20140125582A (ko)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KR200492473Y1 (ko) 간이형 에어쿠션 파우더 케이스
KR200489087Y1 (ko) 화장품 용기
KR20190134307A (ko) 팩트 내용기
KR20150034708A (ko)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KR101299727B1 (ko) 밀폐형 화장품 케이스
JP3620668B2 (ja) 気密化粧料容器
KR101897961B1 (ko) 밀폐력이 향상된 에어타이트 립 화장품 용기
KR101756963B1 (ko) 컴팩트 용기
KR200477270Y1 (ko) 화장용 콤팩트 용기
KR100926708B1 (ko) 밀폐용기
KR101931762B1 (ko) 이중밀폐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KR200492501Y1 (ko) 에어쿠션 파우더 케이스
KR101208870B1 (ko) 화장품 용기
KR20090107738A (ko) 밀폐용기
KR10153363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병마개
KR20210132846A (ko)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