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548B1 - 음식물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548B1
KR101453548B1 KR1020130084421A KR20130084421A KR101453548B1 KR 101453548 B1 KR101453548 B1 KR 101453548B1 KR 1020130084421 A KR1020130084421 A KR 1020130084421A KR 20130084421 A KR20130084421 A KR 20130084421A KR 101453548 B1 KR101453548 B1 KR 101453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id
lid body
open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준
Original Assignee
이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준 filed Critical 이기준
Priority to KR1020130084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본체부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덮개부를 포함하고, 내덮개부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본체부와, 덮개본체부의 하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덮개본체부의 하단부를 둘러싸고, 덮개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저장부를 대향하는 부분이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캡부와, 캡부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는 온도유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저장용기{FOOD CONTAINER}
본 발명은 음식물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과 플라스틱 재질의 부속품간의 접촉이나 대면을 차단할 수 있고, 내부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음식물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온병(보냉병)이라 함은 음식물을 최초 저장 시의 온도와 거의 같은 온도로 장시간 유지하기 위해 만든 용기를 일컫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21938호(2002. 03. 23 공개, 발명의 명칭 : 진공보온병의 이중용기 제조방법 및 그 제조에 의한 용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과 플라스틱 재질의 부속품간의 접촉이나 대면을 차단할 수 있고, 내부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음식물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본체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덮개부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본체부;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덮개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부를 대향하는 부분이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캡부; 및 상기 캡부 내부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온도유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덮개부는 상기 캡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덮개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부를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단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덮개부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패킹부는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는 본체턱부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본체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 삽입되는 덮개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가 끼움 결합되는 덮개홈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덮개몸체의 하단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몸체와 상기 저장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 및 상기 캡판부의 둘레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캡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캡연장부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유지재를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캡연장부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캡걸림돌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유지재는 보온재 또는 보냉재이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본체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덮개부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본체부; 및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덮개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 내부의 상기 공간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액상의 음식물과 혼합되어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생성재가 놓인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덮개부는 상기 캡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덮개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부를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단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덮개부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패킹부는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는 본체턱부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부에는 상기 저장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액상의 상기 음식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저장부에 대향하는 부분이 액상의 상기 음식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본체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 삽입되는 덮개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가 끼움 결합되는 덮개홈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덮개몸체의 하단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몸체와 상기 저장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 및 상기 캡판부의 둘레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캡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캡연장부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캡걸림돌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료생성재는 티백, 차잎, 커피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본체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덮개부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본체부; 및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덮개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부를 대향하는 부분이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 내부의 상기 공간에는 음식물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제4측면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본체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덮개부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본체부;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단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덮개본체부에 결합되고,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캡부; 및 상기 캡부의 하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캡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캡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덮개부는 상기 캡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덮개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부를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단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덮개부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패킹부는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는 본체턱부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본체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 삽입되는 덮개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가 끼움 결합되는 덮개홈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덮개몸체의 하단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몸체와 상기 저장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 및 상기 캡판부의 둘레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캡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캡연장부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캡걸림돌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저장부는 상기 캡판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캡판부의 하면과의 사이에 상기 공간이 형성되는 캡저장판부; 및 상기 캡저장판부의 둘레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캡연장부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캡저장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연장부는 외측면의 둘레에 캡연장나사산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저장연장부는 내측면의 둘레에 상기 캡연장나사산부와 나사 결합되는 캡저장나사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저장부 내부의 상기 공간에는 음식물이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과 플라스틱 재질의 부속품간의 접촉이나 대면을 차단할 수 있고, 내부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재질의 캡부를 덮개본체부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부와 덮개본체부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과 플라스틱 재질의 부속품간의 접촉이나 대면을 차단하여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성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본체부를 금속 재질의 캡부로 둘러싸면서 음식물과 덮개본체부를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 재질에서 기인하는 유해성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재질의 캡부에 의해 음식물과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본체부를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음식물에 플라스틱 재질의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재질의 캡부가 음식물과 접촉되거나 대면하므로, 음식물이 캡부에 묻은 경우에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덮개부에서 음식물과 대향하는 부분인 캡부만을 금속 재질로 제조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하여 보온, 보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본체부와 캡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음식물과 접촉 또는 대면되는 캡부의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본체부 또는 캡부의 파손 시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와 내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와 내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4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변형예가 용기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6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6변형예가 용기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결합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결합예에서 덮개본체부와 캡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결합예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결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결합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결합예에서 덮개본체부와 캡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결합예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결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결합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결합예에서 덮개본체부와 캡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결합예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결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4결합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4결합예에서 덮개본체부와 캡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4결합예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4결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결합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결합예에서 덮개본체부와 캡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결합예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결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갖는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갖는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변형예를 갖는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변형예를 갖는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변형예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와 내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에서 외덮개부와 내덮개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4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변형예가 용기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6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6변형예가 용기본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1)는 용기본체부(100), 내덮개부(200), 외덮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음식물 저장용기(1)는 음식물을 따뜻하게 저장하기 위한 보온용기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장기간 보존하기 위한 보존용기 등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모든 용기를 일컫는다.
용기본체부(100)는 내부에 음식물(D), 예를 들어 밥, 국, 물 등이 저장되는 저장부(110)를 구비한다. 용기본체부(100)는 상부에 음식물(D)의 출입구 역할을 하는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용기본체부(100)는 음식물(D)과 맞닿게 되므로,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성분의 발생이 억제되도록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기본체부(100)는 저장부(110)와 개구부(120) 모두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기본체부(100)는 개구부(120) 중 저장부(110)와 연결되는 부위에 본체턱부(130)가 형성된다. 본체턱부(130)는 개구부(120)에서 돌출 형성되어 개구부(120)를 폐쇄하는 내덮개부(200), 구체적으로 패킹부(230)와 접하게 된다.
용기본체부(100)는 외측벽의 상부에 본체돌기(140)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체돌기(140)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기본체부(100)의 상부를 덮는 외덮개부(300)의 외덮개돌기(310)와 나사 결합된다.
외덮개부(300)는 외덮개돌기(310)와 본체돌기(140)의 나사 결합에 의해 용기본체부(100)에 트위스트 방식으로 착탈된다.
내덮개부(200)는 개구부(120)를 개폐하도록 개구부(120)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내덮개부(200)는 개구부(120)를 폐쇄하여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D)에 먼지와 같은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내덮개부(200)는 덮개본체부(210), 캡부(220), 패킹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덮개본체부(210)는 개구부(120)를 개폐하고, 덮개몸체(211)와 덮개커버(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개구부(120)의 폐쇄 시에 덮개몸체(211)는 개구부(120) 내에 삽입되어 개구부(120)를 폐쇄하고, 덮개커버(215)는 덮개몸체(211)가 개구부(120)에 과도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한다.
덮개커버(215)는 용기본체부(100)의 외측벽 상단을 감싸면서 덮개몸체(211)와 개구부(120) 사이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D)과 외부를 격리시켜 음식물(D)의 보존 효율을 향상시킨다.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는 나선 형상의 덮개나선돌기(212)가 형성되고, 개구부(120)에는 덮개나선돌기(212)에 대응되도록 나선 형상의 개구나선돌기(12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덮개몸체(211)의 일 방향 회전시에는 개구나선돌기(121)가 덮개나선돌기(212)를 안내하면서 덮개몸체(211)가 개구부(120)를 폐쇄하게 된다.
덮개몸체(21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덮개나선돌기(212)와 개구나선돌기(121)간의 결합이 해제되고, 덮개몸체(211)가 개구부(120)로부터 이탈되면서 개구부(12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덮개홈부(213)가 구비된다. 덮개홈부(213)는 덮개나선돌기(212)의 하방에 배치된다.
덮개홈부(213)에는 패킹부(23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덮개홈부(213)는 패킹부(230)의 단부가 헐겁게 끼워지지 않도록 패킹부(230)의 단부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조금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덮개몸체(211)와 덮개커버(215)를 포함한 덮개본체부(210)는 열전도도를 낮추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덮개몸체(211)의 내부에는 음식물(D)의 보온, 보냉, 보존 등을 위해 스티로폼 등과 같은 단열재가 삽입될 수 있다.
캡부(220)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를 둘러싸고, 저장부(110)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캡부(2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D)과 맞닿거나 대면하게 되므로,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성분의 발생이 억제되도록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캡부(22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부(220)는 캡판부(221), 캡연장부(222), 캡걸림돌기(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판부(221)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의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D)은 덮개몸체(211)와 저장부(110)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221)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몸체(211)와 격리된 채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캡판부(221)와 맞닿거나 대면하게 된다.
캡판부(221)는 횡단면이 원형인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의 하면을 둘러싼다.
캡연장부(222)는 캡판부(221)의 둘레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이로써 덮개몸체(211)는 캡판부(221)와 캡연장부(222)에 의해 하면과 외측면이 동시에 저장부(110)로부터 격리된다.
캡연장부(222)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연장부(222)를 덮개몸체(211)에 둘러싸도록 배치시키는 것만으로 캡부(220)와 덮개몸체(211)간의 가결합이 가능하다.
캡걸림돌기(223)는 캡연장부(222)의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캡걸림돌기(223)는 캡부(220)를 둘러싸는 패킹부(230)와의 걸림 결합을 이룬다.
캡걸림돌기(223)가 추가로 형성됨에 따라, 패킹부(230)와 캡부(220)간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패킹부(230)는 더욱 견고하게 캡부(220)를 둘러싼 채로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측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중력이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캡부(220)의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캡걸림돌기(223)와 패킹부(230)간의 결합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의도치 않은 상황에서 캡부(220)가 덮개몸체(2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걸림돌기(223)의 상단과 덮개홈부(213)의 하단을 이루는 덮개홈부턱(213a)은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캡부(220)는 세척, 파손 등에 의한 교체 시에 덮개몸체(211)로부터 분리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캡걸림돌기(223)는 사용자의 캡부(220) 파지를 용이하게 한다.
패킹부(230)는 덮개몸체(211)의 둘레를 둘러싼다. 내덮개부(200)가 개구부(120)를 폐쇄할 때, 패킹부(230)는 개구부(120)에 구비되는 본체턱부(130)에 밀착되어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패킹부(2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이 덮개몸체(211)의 둘레를 둘러싸고, 외측면이 본체턱부(130)와 밀착된다.
패킹부(230)는 본체턱부(130)와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유해성분의 발생이 없는 실리콘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킹부(230)는 캡부(220)를 둘러싸면서 덮개몸체(211)의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캡부(220)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측에 위치 고정된다.
패킹부(230)가 캡부(220)에 밀착된 상태로 둘러싸므로 덮개몸체(211)와 캡부(220) 사이로 음식물이 새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패킹부(230)는 패킹걸림부(231)와 패킹결합부(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킹걸림부(231)는 내측면이 캡연장부(222)의 측면과 캡걸림돌기(223)의 하면 및 측면에 밀착되도록 캡연장부(222)와 캡걸림돌기(223)를 둘러싼다. 본 실시예에서 패킹걸림부(231)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패킹걸림부(231)의 외측면은 내덮개부(200)의 개구부(120) 폐쇄 시에 본체턱부(130)와 밀착된다.
따라서 내덮개부(200)가 개구부(120)를 폐쇄하는 경우 패킹걸림부(231)에 의해 덮개몸체(211)와 개구부(120)의 사이 공간은 밀폐된다.
패킹결합부(232)는 일단부가 패킹걸림부(231)에서 연장 형성되고, 하측면이 캡걸림돌기(223)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캡걸림돌기(223)를 둘러싼다.
패킹결합부(232)의 타단부는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되어 패킹걸림부(231)에 의해 지지되는 캡부(220)를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측에 위치 고정시킨다.
패킹결합부(232)의 타단부가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에, 캡걸림돌기(223)의 상단과 덮개홈부턱(213a)은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패킹결합부(232)는 보다 용이하게, 보다 견고하게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된다.
만약 캡걸림돌기(223)의 상단이 덮개홈부턱(213a) 보다 높게 배치되면, 패킹결합부(232)의 타단부는 덮개홈부턱(213a)에 끼워지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패킹결합부(232)와 덮개홈부(213)간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캡걸림돌기(232)의 상단이 덮개홈부턱(213a) 보다 낮게 배치되면, 패킹결합부(232)가 캡걸림돌기(232)를 둘러싸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패킹결합부(232)에 의해 캡부(220)를 위치 고정시키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패킹결합부(232)에 의한 밀폐력이 저하될 수 있다.
결국 캡걸림돌기(223)의 상단과 덮개홈부턱(213a)이 동일 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패킹결합부(232)의 타단부가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되므로, 패킹결합부(232)와 덮개홈부(213)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킹결합부(232)에 의한 캡부(220)의 위치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고,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내덮개부(200)의 제1변형예에서 캡부(220A)는 캡판돌기(224)를 더 포함한다.
캡판돌기(224)는 캡판부(221)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금속 재질의 캡부(220A)의 강도는 보강되어 캡부(220)가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캡판돌기(224)의 돌출에 따라 캡판부(221)의 상면과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는 이격된다. 따라서 덮개몸체(211)와 캡판부(221)간에 수분에 의한 밀착 현상이 방지되므로, 캡부(220A)를 덮개몸체(2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덧붙여 캡판돌기(224)에 의해 형성되는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사이의 공간이 단열재 역할을 하므로, 열전도도를 낮출 수 있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음식물(D)의 보온, 보냉, 보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캡판돌기(224)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캡판돌기(224)와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가 360ㅀ 전 방위에서 접촉되므로, 캡판돌기(224)와 덮개몸체(211)의 접촉 시에 흔들림이 차단된다. 이로써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내덮개부(200)의 제2변형예에서 캡부(220B)는 캡판돌기(225)를 더 포함한다.
캡판돌기(225)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 면접촉되도록 캡판부(221)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금속 재질의 캡부(220)의 강도는 보강되어 캡부(220B)가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캡판돌기(225)의 돌출에 따라 캡판부(221)의 상면과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는 이격된다. 따라서 덮개몸체(211)와 캡판부(221)간에 수분에 의한 밀착 현상이 방지되므로, 캡부(220B)를 덮개몸체(2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덧붙여 캡판돌기(225)에 의해 형성되는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사이의 공간이 단열재 역할을 하므로, 열전도도를 낮출 수 있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음식물(D)의 보온, 보냉, 보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캡판돌기(225)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 면접촉되도록 캡판부(221)의 중앙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캡판돌기(225)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 점접촉이 아닌 면접촉되므로, 캡판돌기(225)와 덮개몸체(211)의 접촉 시에 흔들림이 차단된다. 이로써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캡판돌기(225)는 1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내덮개부(200)의 제3변형예에서 덮개본체부(210A), 구체적으로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에는 몸체돌기(216)가 구비된다.
몸체돌기(216)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몸체돌기(216)의 돌출에 따라 캡판부(221)의 상면과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는 이격된다. 따라서 덮개몸체(211)와 캡판부(221)간에 수분에 의한 밀착 현상이 방지되므로, 캡부(220)를 덮개몸체(2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덧붙여 몸체돌기(216)에 의해 형성되는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사이의 공간이 단열재 역할을 하므로, 열전도도를 낮출 수 있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음식물(D)의 보온, 보냉, 보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몸체돌기(216)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돌기(216)와 캡판부(221)가 360ㅀ 전 방위에서 접촉되므로, 몸체돌기(216)와 캡판부(221)의 접촉 시에 흔들림이 차단된다. 이로써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내덮개부(200)의 제4변형예에서 덮개본체부(210B), 구체적으로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에는 몸체돌기(217)가 구비된다.
몸체돌기(217)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몸체돌기(217)의 돌출에 따라 캡판부(221)의 상면과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는 이격된다. 따라서 덮개몸체(211)와 캡판부(221)간에 수분에 의한 밀착 현상이 방지되므로, 캡부(220)를 덮개몸체(21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덧붙여 몸체돌기(217)에 의해 형성되는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사이의 공간이 단열재 역할을 하므로, 열전도도를 낮출 수 있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음식물(D)의 보온, 보냉, 보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몸체돌기(217)는 캡판부(221)의 상면과 면접촉되도록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의 중앙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몸체돌기(217)는 캡판부(221)의 상면과 점접촉이 아닌 면접촉되므로, 몸체돌기(217)와 캡판부(221)의 접촉 시에 흔들림이 차단된다. 이로써 캡판부(221)와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돌기(217)는 1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내덮개부(200)의 제5변형예에서 패킹부(230A)는 패킹돌기부(233)를 더 포함한다.
패킹돌기부(233)는 패킹걸림부(231) 또는 패킹결합부(232)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내부덮개부(200)에 의한 개구부(120)의 폐쇄 시에 패킹돌기부(233)는 개구부(12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패킹걸림부(231) 및/또는 패킹결합부(232)에 의한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 공간의 밀폐와 더불어, 패킹돌기부(233)에 의한 덮개몸체(211)와 개구부(120) 사이 공간의 밀폐를 동시에 이룰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내덮개부(200)의 제6변형예에서 패킹부(230B)는 패킹돌기부(233)를 더 포함한다.
패킹돌기부(233)는 패킹걸림부(231) 또는 패킹결합부(232)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내부덮개부(200)에 의한 개구부(120)의 폐쇄 시에 패킹돌기부(233)는 개구부(12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패킹걸림부(231) 및/또는 패킹결합부(232)에 의한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 공간의 밀폐와 더불어, 패킹돌기부(233)에 의한 덮개몸체(211)와 개구부(120) 사이 공간의 밀폐를 동시에 이룰 수 있다.
특히 제6변형예의 패킹부(230B)는 제5변형예의 패킹부(230A)에 비해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되므로, 본체턱부(130)와의 접촉시 탄성 변형되어 본체턱부(130)를 감싸면서 밀폐하게 된다.
외덮개부(300)는 내덮개부(200)를 감싸고, 용기본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외덮개부(300)는 내덮개부(20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외덮개부(300)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외덮개돌기(310)와 용기본체부(100)의 외측벽 상부에 형성되는 본체돌기(140)간의 나사 결합에 의해 용기본체부(100)에 트위스트 방식으로 착탈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본체부(210)를 금속 재질의 캡부(220)로 둘러싸면서 음식물(D)과 덮개본체부(210)를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 재질에서 기인하는 유해성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캡부(220)에 의해 음식물(D)과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본체부(210)를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음식물(D)에 플라스틱 재질 특유의 냄새가 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캡부(220)가 음식물(D)과 접촉되거나 대면하므로, 음식물(D)이 캡부(220)에 묻은 경우에도 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내덮개부(200)에서 음식물(D)과 대향하는 부분인 캡부(220)만을 금속 재질로 제조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나머지 덮개본체부(2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하여 보온, 보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덮개본체부(210)와 캡부(2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음식물(D)과 접촉 또는 대면되는 캡부(220)의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덮개본체부(210) 또는 캡부(220)의 파손 시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어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결합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결합예에서 덮개본체부와 캡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결합예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결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결합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결합예에서 덮개본체부와 캡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결합예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결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결합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결합예에서 덮개본체부와 캡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결합예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결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4결합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4결합예에서 덮개본체부와 캡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4결합예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4결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결합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결합예에서 덮개본체부와 캡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결합예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5결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2 내지 도 41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여러 결합예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미 도 1 내지 도 21에서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 내지 도 25는 내덮개부(200)의 제1결합예를 나타낸 것으로, 내덮개부(200)는 덮개본체부(210C)와 캡부(220C)와 패킹부(230)를 포함하고, 덮개본체부(210C)는 덮개몸체(211)와 덮개커버(215)를 포함한다.
덮개몸체(211)는 개구부(120)의 폐쇄 시에 개구부(120) 내에 삽입되어 개구부(120)를 폐쇄한다.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는 덮개홈부(213)와 슬라이드홈부(241)가 구비된다.
덮개홈부(213)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덮개홈부(213)에는 패킹부(23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슬라이드홈부(241)는 덮개홈부(213)의 하방에 배치되어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슬라이드홈부(241)는 캡부(220C)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돌기(226)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슬라이드홈부(241)에서 슬라이드돌기(226)의 진입경로와 안착경로는 다른 선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홈부(241)는 세로슬라이드홈부(241a)와 가로슬라이드홈부(241b)를 포함한다.
세로슬라이드홈부(241a)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이드돌기(226)의 진입경로를 이룬다. 따라서 슬라이드돌기(226)는 초기에는 세로슬라이드홈부(241a)의 안내에 따라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세로슬라이드홈부(241a)의 연장 방향은 덮개몸체(211)의 하면과 직각을 이루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직각이 아닌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룰 수 있다.
가로슬라이드홈부(241b)는 덮개몸체(211)에 형성되고, 세로슬라이드홈부(241a)와 연결된다. 가로슬라이드홈부(241b)는 세로슬라이드홈부(241a)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슬라이드돌기(226)의 안착경로를 이룬다. 따라서 슬라이드돌기(226)는 세로슬라이드홈부(241a)를 거쳐 최종적으로 가로슬라이드홈부(241b)에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로슬라이드홈부(241b)의 연장 방향은 세로슬라이드홈부(241a)의 연장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직각이 아닌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진입경로인 세로슬라이드홈부(241a)와 안착경로인 가로슬라이드홈부(241b)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다른 선상에 배치되므로, 가로슬라이드홈부(241b)까지 이동된 슬라이드돌기(226)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세로슬라이드홈부(241a)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로써 캡부(220C)와 덮개본체부(210C)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캡부(220C)는 캡판부(221), 캡연장부(222), 캡걸림돌기(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판부(221)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의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D)은 덮개몸체(211)와 저장부(110)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221)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몸체(211)와 격리된 채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캡판부(221)와 맞닿거나 대면하게 된다.
캡연장부(222)는 캡판부(221)의 둘레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이로써 덮개몸체(211)는 캡판부(221)와 캡연장부(222)에 의해 하면과 외측면이 동시에 저장부(110)로부터 격리된다.
캡걸림돌기(223)는 캡연장부(222)의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캡걸림돌기(223)는 캡부(220C)를 둘러싸는 패킹부(230)와의 걸림 결합을 이룬다.
캡연장부(222)의 내측면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드돌기(226)가 구비된다. 슬라이드돌기(226)는 세로슬라이드홈부(241a)를 통해 슬라이드홈부(241)에 진입한 후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가로슬라이드홈부(241b)에 안착된다.
슬라이드돌기(226)가 가로슬라이드홈부(241b)에 안착되면 캡부(220C)와 덮개본체부(210C)의 결합은 완료된다. 반대로 캡부(220C)와 덮개본체부(210C)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돌기(226)를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슬라이드홈부(241)에 대한 슬라이드돌기(226)의 이동은 사용자가 캡부(220C)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움직임에 의해 이루어진다.
슬라이드돌기(226)와 슬라이드홈부(241) 각각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슬라이드돌기(226)와 슬라이드홈부(241)는 각각이 서로 동일한 회전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면, 어느 하나의 슬라이드돌기(226)가 슬라이드홈부(241)에 진입하는 경우 나머지 모든 슬라이드돌기(226) 역시 슬라이드홈부(241)에 진입하게 되어 결합 편의성이 증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돌기(226)와 슬라이드홈부(241)를 각각 4개씩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패킹부(230)는 덮개몸체(211)의 둘레를 둘러싼다. 내덮개부(200)가 개구부(120)를 폐쇄할 때, 패킹부(230)는 개구부(120)에 구비되는 본체턱부(130)에 밀착되어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패킹부(230)는 캡부(220C)를 둘러싸면서 덮개몸체(211)의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캡부(220C)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측에 위치 고정된다.
도 26 내지 도 29는 내덮개부(200)의 제2결합예를 나타낸 것으로, 내덮개부(200)는 덮개본체부(210D)와 캡부(220D)와 패킹부(230)를 포함하고, 덮개본체부(210D)는 덮개몸체(211)와 덮개커버(215)를 포함한다.
덮개몸체(211)는 개구부(120)의 폐쇄 시에 개구부(120) 내에 삽입되어 개구부(120)를 폐쇄한다.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는 덮개홈부(213)와 링홈부(242)가 구비된다.
덮개홈부(213)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덮개홈부(213)에는 패킹부(23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링홈부(242)는 덮개홈부(213)의 하방에 배치되어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링홈부(242)는 캡부(220D)에 형성되는 링돌기(227)가 끼움 결합되는 곳으로, 링홈부(242)의 상하폭은 링돌기(227)의 상하폭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다.
링홈부(242)는 링돌기(227)의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덮개홈부(213)의 외측면에 노출되는 부분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목적을 위해 링돌기(227)의 단부도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캡부(220D)는 캡판부(221), 캡연장부(222), 캡걸림돌기(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판부(221)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의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D)은 덮개몸체(211)와 저장부(110)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221)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몸체(211)와 격리된 채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캡판부(221)와 맞닿거나 대면하게 된다.
캡연장부(222)는 캡판부(221)의 둘레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이로써 덮개몸체(211)는 캡판부(221)와 캡연장부(222)에 의해 하면과 외측면이 동시에 저장부(110)로부터 격리된다.
캡연장부(222)는 링돌기(227)가 링홈부(242)에 끼움 결합되는 과정에서 내경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제조될 수 있다.
캡걸림돌기(223)는 캡연장부(222)의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캡걸림돌기(223)는 캡부(220D)를 둘러싸는 패킹부(230)와의 걸림 결합을 이룬다.
캡연장부(222)의 내측면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링돌기(227)가 구비된다. 링돌기(227)는 캡연장부(222)가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동안 링홈부(242)에 끼움 결합된다.
링돌기(227)가 링홈부(242)에 끼움 결합되면 캡부(220D)와 덮개본체부(210D)의 결합은 완료된다. 반대로 캡부(220D)와 덮개본체부(210D)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링돌기(227)와 링홈부(242)간의 끼움 결합이 해제되도록 캡연장부(222)를 외측 방향으로 확장시킨다.
링돌기(227)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링돌기(227)가 서로 동일한 회전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면, 캡부(220D)는 좌우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덮개본체부(210D)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돌기(227)가 4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패킹부(230)는 덮개몸체(211)의 둘레를 둘러싼다. 내덮개부(200)가 개구부(120)를 폐쇄할 때, 패킹부(230)는 개구부(120)에 구비되는 본체턱부(130)에 밀착되어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패킹부(230)는 캡부(220D)를 둘러싸면서 덮개몸체(211)의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캡부(220D)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측에 위치 고정된다.
도 30 내지 도 33은 내덮개부(200)의 제3결합예를 나타낸 것으로, 내덮개부(200)는 덮개본체부(210E)와 캡부(220)와 패킹부(230)를 포함하고, 덮개본체부(210E)는 덮개몸체(211)와 덮개커버(215)를 포함한다.
덮개몸체(211)는 개구부(120)의 폐쇄 시에 개구부(120) 내에 삽입되어 개구부(120)를 폐쇄한다.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는 덮개홈부(213)와 체결패킹부(243b)가 구비된다.
덮개홈부(213)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덮개홈부(213)에는 패킹부(23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체결패킹부(243b)는 덮개홈부(213)의 하방에 배치되고,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체결홈부(243a)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가 덮개몸체(21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체결홈부(243a)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부호 243은 체결홈부(343a)와 체결패킹부(243b)를 통칭한 것이다.
체결패킹부(243b)는 캡연장부(222)와의 접촉 시 탄성 변형되도록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부(220)는 캡판부(221), 캡연장부(222), 캡걸림돌기(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판부(221)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의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D)은 덮개몸체(211)와 저장부(110)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221)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몸체(211)와 격리된 채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캡판부(221)와 맞닿거나 대면하게 된다.
캡연장부(222)는 캡판부(221)의 둘레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이로써 덮개몸체(211)는 캡판부(221)와 캡연장부(222)에 의해 하면과 외측면이 동시에 저장부(110)로부터 격리된다.
캡연장부(222)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쌀 때, 덮개몸체(211)의 외측면보다 더 돌출된 체결패킹부(243b)를 가압하여 체결패킹부(243b)를 탄성 변형시킨다.
탄성 변형된 체결패킹부(343b)는 캡연장부(222)의 내측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도 밀착되면서 캡연장부(222)가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 대해 상대 운동하지 않도록 위치 고정시킨다. 이로써 캡부(220)는 덮개본체부(210E)에 대해 결합이 이루어진다.
캡부(220)와 덮개본체부(210E)의 분리는 체결패킹부(343b)와 캡연장부(222) 또는 덮개본체부(210E)간의 마찰력보다 큰 외력을 제공하여 캡부(220)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패킹부(230)는 덮개몸체(211)의 둘레를 둘러싼다. 내덮개부(200)가 개구부(120)를 폐쇄할 때, 패킹부(230)는 개구부(120)에 구비되는 본체턱부(130)에 밀착되어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패킹부(230)는 캡부(220)를 둘러싸면서 덮개몸체(211)의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캡부(220)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측에 위치 고정된다.
도 34 내지 도 37은 내덮개부(200)의 제4결합예를 나타낸 것으로, 내덮개부(200)는 덮개본체부(210F)와 캡부(220E)와 패킹부(230)를 포함하고, 덮개본체부(210F)는 덮개몸체(211)와 덮개커버(215)를 포함한다.
덮개몸체(211)는 개구부(120)의 폐쇄 시에 개구부(120) 내에 삽입되어 개구부(120)를 폐쇄한다.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는 덮개홈부(213)와 덮개나사산부(244)가 구비된다.
덮개홈부(213)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덮개홈부(213)에는 패킹부(23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덮개나사산부(244)는 덮개홈부(213)의 하방에 배치되어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나선 형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캡부(220E)는 캡판부(221), 캡연장부(222), 캡걸림돌기(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판부(221)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의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D)은 덮개몸체(211)와 저장부(110)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221)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몸체(211)와 격리된 채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캡판부(221)와 맞닿거나 대면하게 된다.
캡연장부(222)는 캡판부(221)의 둘레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이로써 덮개몸체(211)는 캡판부(221)와 캡연장부(222)에 의해 하면과 외측면이 동시에 저장부(110)로부터 격리된다.
캡걸림돌기(223)는 캡연장부(222)의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캡걸림돌기(223)는 캡부(220E)를 둘러싸는 패킹부(230)와의 걸림 결합을 이룬다.
캡연장부(222)의 내측면에는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나선 형상으로 나사산이 돌출 형성되는 캡나사산부(228)가 구비된다. 캡나사산부(228)는 캡연장부(222)가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동안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덮개나사산부(244)에 나사 결합된다.
캡나사산부(228)가 덮개나사산부(244)에 나사 결합되면 캡부(220E)와 덮개본체부(210F)의 결합은 완료된다. 캡나사산부(228)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덮개나사산부(244)와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어 캡부(220E)와 덮개본체부(210F)가 분리된다.
패킹부(230)는 덮개몸체(211)의 둘레를 둘러싼다. 내덮개부(200)가 개구부(120)를 폐쇄할 때, 패킹부(230)는 개구부(120)에 구비되는 본체턱부(130)에 밀착되어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패킹부(230)는 캡부(220E)를 둘러싸면서 덮개몸체(211)의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캡부(220E)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측에 위치 고정된다.
도 38 내지 도 41은 내덮개부(200)의 제5결합예를 나타낸 것으로, 내덮개부(200)는 덮개본체부(210)와 캡부(220F)와 패킹부(230)를 포함하고, 덮개본체부(210)는 덮개몸체(211)와 덮개커버(215)를 포함한다.
덮개몸체(211)는 개구부(120)의 폐쇄 시에 개구부(120) 내에 삽입되어 개구부(120)를 폐쇄한다.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는 덮개홈부(213)가 구비된다.
덮개홈부(213)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덮개홈부(213)에는 패킹부(23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캡부(220F)는 캡판부(221), 캡연장부(222), 캡걸림돌기(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판부(221)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의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D)은 덮개몸체(211)와 저장부(110)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221)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몸체(211)와 격리된 채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캡판부(221)와 맞닿거나 대면하게 된다.
캡연장부(222)는 캡판부(221)의 둘레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이로써 덮개몸체(211)는 캡판부(221)와 캡연장부(222)에 의해 하면과 외측면이 동시에 저장부(110)로부터 격리된다.
캡걸림돌기(223)는 캡연장부(222)의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캡걸림돌기(223)는 캡부(220F)를 둘러싸는 패킹부(230)와의 걸림 결합을 이룬다.
캡연장부(222)의 내측면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229)가 구비된다. 끼움돌기(229)는 캡연장부(222)가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동안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된다. 끼움 결합의 방식은 억지 끼움 결합이 될 수 있다.
캡연장부(222)는 끼움돌기(229)가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과정에서 내경의 확장이 용이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제조될 수 있다.
끼움돌기(229)가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되면 캡부(220F)와 덮개본체부(210)의 결합은 완료된다. 반대로 캡부(220F)와 덮개본체부(2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끼움돌기(229)와 덮개몸체(211)간의 끼움 결합이 해제되도록 캡연장부(222)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끼움돌기(229)가 캡연장부(222)의 내측면에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비연속적인 돌기 형상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끼움돌기(229)가 서로 동일한 회전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면, 캡부(220F)는 좌우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덮개본체부(2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끼움돌기(229)의 돌출에 따라 캡연장부(222)의 내측면과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은 이격된다. 따라서 덮개몸체(211)와 캡연장부(222)간에 수분에 의한 밀착 현상이 방지되므로, 캡부(220F)를 덮개본체부(2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덧붙여 끼움돌기(229)에 의해 형성되는 캡연장부(222)와 덮개몸체(211)의 사이의 공간이 단열재 역할을 하므로, 열전도도를 낮출 수 있어 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음식물(D)의 보온, 보냉, 보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패킹부(230)는 덮개몸체(211)의 둘레를 둘러싼다. 내덮개부(200)가 개구부(120)를 폐쇄할 때, 패킹부(230)는 개구부(120)에 구비되는 본체턱부(130)에 밀착되어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패킹부(230)는 캡부(220F)를 둘러싸면서 덮개몸체(211)의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캡부(220F)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측에 위치 고정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재질의 캡부(220)를 덮개본체부(21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캡부(220)와 덮개본체부(210)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이룰 수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며, 도 4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갖는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5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1변형예를 갖는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2변형예를 갖는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변형예를 갖는 음식물 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며, 도 5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덮개부의 제3변형예에서 캡부가 덮개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2 내지 도 58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용 저장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라 하더라도 일 실시예의 음식용 저장용기와 내덮개부의 일부 내용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도 1 내지 도21에서 설명한 내용 또는 도 22 내지 도 41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2 내지 도 4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저장용기는 용기본체부(100), 내덮개부(200), 외덮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기본체부(100)는 내부에 음식물, 예를 들어 밥, 국, 물 등이 저장되는 저장부(110)를 구비한다. 용기본체부(100)는 상부에 음식물의 출입구 역할을 하는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내덮개부(200)는 개구부(120)를 개폐하도록 개구부(120)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외덮개부(300)는 용기본체부(100)에 트위스트 방식으로 착탈되면서 내덮개부(200)를 감싼다.
내덮개부(200)는 덮개본체부(210)와 캡부(220G)와 패킹부(230)를 포함하고, 덮개본체부(210)는 덮개몸체(211)와 덮개커버(215)를 포함한다.
덮개몸체(211)는 개구부(120)의 폐쇄 시에 개구부(120) 내에 삽입되어 개구부(120)를 폐쇄한다.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는 덮개홈부(213)가 구비된다.
덮개홈부(213)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덮개홈부(213)에는 패킹부(23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캡부(220G)는 덮개몸체(211)의 하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캡부(220G)는 덮개몸체(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저장부(110)를 대향하는 부분이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부(220G)는 캡판부(221), 캡연장부(222), 캡걸림돌기(223), 고정부(221g)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판부(221)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의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은 덮개몸체(211)와 저장부(110)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221)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몸체(211)와 격리된 채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캡판부(221)와 맞닿거나 대면하게 된다.
캡판부(221)는 내부 공간에 온도유지재(M)가 배치되도록 온도유지재(M)의 높이 이상으로 덮개몸체(211)의 하면, 즉 하단부(214)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온도유지재(M)는 음식물에 대한 보온 효율을 높이기 위한 보온재이거나 보냉 효율을 높이기 위한 보냉재일 수 있다.
캡연장부(222)는 캡판부(221)의 둘레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이로써 덮개몸체(211)는 캡판부(221)와 캡연장부(222)에 의해 하면과 외측면이 동시에 저장부(110)로부터 격리된다.
캡연장부(222)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연장부(222)를 덮개몸체(211)에 둘러싸도록 배치시키는 것만으로 캡부(220)와 덮개몸체(211)간의 가결합이 가능하다.
캡걸림돌기(223)는 캡연장부(222)의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캡걸림돌기(223)는 캡부(220G)를 둘러싸는 패킹부(230)와의 걸림 결합을 이룬다.
고정부(221g)는 캡연장부(222)의 내면에 형성되어 온도유지재(M)를 위치 고정시킨다. 도 44에서는 온도유지재(M)의 각 모서리를 감싸는 고정부(221g)가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온도유지재(M)의 위치를 캡부(220) 내부의 공간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면 다른 형상이나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패킹부(230)는 덮개몸체(211)의 둘레를 둘러싼다. 내덮개부(200)가 개구부(120)를 폐쇄할 때, 패킹부(230)는 개구부(120)에 구비되는 본체턱부(130)에 밀착되어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패킹부(230)는 캡부(220G)를 둘러싸면서 덮개몸체(211)의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캡부(220G)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측에 위치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캡부(220G)가 덮개본체부(21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따라서 캡부(220G)는 도 22 내지 도 4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억지 끼움 방식이 아닌 다른 결합 방식으로 덮개본체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7 내지 도 52를 참조하면, 음식물 저장용기는 용기본체부(100), 내덮개부(200), 외덮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기본체부(100)는 내부에 음식물, 예를 들어 밥, 국, 물 등이 저장되는 저장부(110)를 구비한다. 용기본체부(100)는 상부에 음식물의 출입구 역할을 하는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내덮개부(200)는 개구부(120)를 개폐하도록 개구부(120)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외덮개부(300)는 용기본체부(100)에 트위스트 방식으로 착탈되면서 내덮개부(200)를 감싼다.
내덮개부(200)는 덮개본체부(210)와 캡부(220H)와 패킹부(230)를 포함하고, 덮개본체부(210)는 덮개몸체(211)와 덮개커버(215)를 포함한다.
덮개몸체(211)는 개구부(120)의 폐쇄 시에 개구부(120) 내에 삽입되어 개구부(120)를 폐쇄한다.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는 덮개홈부(213)가 구비된다.
덮개홈부(213)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덮개홈부(213)에는 패킹부(23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캡부(220H)는 덮개몸체(211)의 하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캡부(220H)는 덮개몸체(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부(220H)는 캡판부(221), 캡연장부(222), 캡걸림돌기(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판부(221)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의 하방에 배치된다. 캡판부(221)는 내부 공간에 음료생성재(T)가 놓일 수 있도록 음료생성재(T)의 높이 이상으로 덮개몸체(211)의 하면, 즉 하단부(214)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음료생성재(T)는 티백, 차잎, 커피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티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캡판부(221)에는 액상의 음식물(W)이 출입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홀부(221h)가 형성된다. 액상의 음식물(W)은 물이 될 수 있다.
캡연장부(222)는 캡판부(221)의 둘레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캡판부(221)와 더불어 캡연장부(222)에도 액상의 음식물(W)이 캡부(2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홀부(221h)를 통해 저장부(110)에 저장된 액상의 음식물(W)이 캡부(2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면, 캡부(220)의 내부 공간에 놓여진 음료생성재(T)와 액상의 음식물(W)이 섞이게 된다. 이때 음료생성재(T)의 종류에 따라 차나 커피 등의 음료가 생성된다.
도 52와 같이 음식물 저장용기를 뒤집어 놓으면 보다 많은 양의 액상의 음식물(W)을 캡부(2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기호에 맞게 음료생성재(T)와 액상의 음식물(W)의 섞임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홀부(221h)는 액상의 음식물(W)의 유입이나 유출은 용이하게 하되, 티백 형태의 음료생성재(T)가 저장부(110)측으로 유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홀부(221h)는 분말 형태의 음료생성재(T)인 경우에는 충분히 녹지 않은 분말이 저장부(110)측으로 유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캡부(220) 중 홀부(221h)가 형성되는 캡판부(221)와 캡연장부(222), 즉 저장부(110)에 대향하는 부분은 액상의 음식물(W)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캡연장부(222)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연장부(222)를 덮개몸체(211)에 둘러싸도록 배치시키는 것만으로 캡부(220)와 덮개몸체(211)간의 가결합이 가능하다.
캡걸림돌기(223)는 캡연장부(222)의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캡걸림돌기(223)는 캡부(220H)를 둘러싸는 패킹부(230)와의 걸림 결합을 이룬다.
패킹부(230)는 덮개몸체(211)의 둘레를 둘러싼다. 내덮개부(200)가 개구부(120)를 폐쇄할 때, 패킹부(230)는 개구부(120)에 구비되는 본체턱부(130)에 밀착되어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패킹부(230)는 캡부(220H)를 둘러싸면서 덮개몸체(211)의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캡부(220H)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측에 위치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캡부(220H)가 덮개본체부(21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따라서 캡부(220H)는 도 22 내지 도 4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억지 끼움 방식이 아닌 다른 결합 방식으로 덮개본체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3을 참조하면, 음식물 저장용기는 용기본체부(100), 내덮개부(200), 외덮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기본체부(100)는 내부에 음식물(R), 예를 들어 밥, 국, 물 등이 저장되는 저장부(110)를 구비한다. 용기본체부(100)는 상부에 음식물의 출입구 역할을 하는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내덮개부(200)는 개구부(120)를 개폐하도록 개구부(120)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외덮개부(300)는 용기본체부(100)에 트위스트 방식으로 착탈되면서 내덮개부(200)를 감싼다.
캡부(220I)는 덮개몸체(211)의 하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캡부(220I)는 덮개몸체(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저장부(110)를 대향하는 부분이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판부(221)는 내부 공간에 음식물(S)이 저장되도록 덮개몸체(211)의 하면, 즉 하단부(214)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캡연장부(222)는 캡판부(221)의 둘레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이로써 덮개몸체(211)는 캡판부(221)와 캡연장부(222)에 의해 하면과 외측면이 동시에 저장부(110)로부터 격리된다.
패킹부(230)는 덮개몸체(211)의 둘레를 둘러싼다. 내덮개부(200)가 개구부(120)를 폐쇄할 때, 패킹부(230)는 개구부(120)에 구비되는 본체턱부(130)에 밀착되어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캡부(220I)가 덮개본체부(21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따라서 캡부(220I)는 도 22 내지 도 4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억지 끼움 방식이 아닌 다른 결합 방식으로 덮개본체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4 내지 도 58을 참조하면, 음식물 저장용기는 용기본체부(100), 내덮개부(200), 외덮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용기본체부(100)는 내부에 음식물(R), 예를 들어 밥, 국, 물 등이 저장되는 저장부(110)를 구비한다. 용기본체부(100)는 상부에 음식물의 출입구 역할을 하는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내덮개부(200)는 개구부(120)를 개폐하도록 개구부(120)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외덮개부(300)는 용기본체부(100)에 트위스트 방식으로 착탈되면서 내덮개부(200)를 감싼다.
내덮개부(200)는 덮개본체부(210)와 캡부(220J)와 패킹부(230)와 캡저장부(240)를 포함하고, 덮개본체부(210)는 덮개몸체(211)와 덮개커버(215)를 포함한다.
덮개몸체(211)는 개구부(120)의 폐쇄 시에 개구부(120) 내에 삽입되어 개구부(120)를 폐쇄한다.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는 덮개홈부(213)가 구비된다.
덮개홈부(213)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덮개홈부(213)에는 패킹부(23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캡부(220J)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를 둘러싸면서 덮개몸체(211)에 결합된다. 캡부(220J)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덮개몸체(2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캡부(220J)는 캡판부(221), 캡연장부(222), 캡걸림돌기(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판부(221)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의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저장부(110)에 저장된 음식물(R)은 덮개몸체(211)와 저장부(110)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221)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의 덮개몸체(211)와 격리된다.
캡연장부(222)는 캡판부(221)의 둘레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이로써 덮개몸체(211)는 캡판부(221)와 캡연장부(222)에 의해 하면과 외측면이 동시에 저장부(110)로부터 격리된다.
캡연장부(222)는 덮개몸체(21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연장부(222)를 덮개몸체(211)에 둘러싸도록 배치시키는 것만으로 캡부(220)와 덮개몸체(211)간의 가결합이 가능하다.
캡연장부(222)는 외측면의 둘레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캡연장나사산부(222j)가 형성된다.
캡걸림돌기(223)는 캡연장부(222)의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캡걸림돌기(223)는 캡부(220J)를 둘러싸는 패킹부(230)와의 걸림 결합을 이룬다.
패킹부(230)는 덮개몸체(211)의 둘레를 둘러싼다. 내덮개부(200)가 개구부(120)를 폐쇄할 때, 패킹부(230)는 개구부(120)에 구비되는 본체턱부(130)에 밀착되어 덮개몸체(211)와 본체턱부(130) 사이를 밀폐시킨다.
패킹부(230)는 캡부(220J)를 둘러싸면서 덮개몸체(211)의 덮개홈부(213)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의해 캡부(220J)는 덮개몸체(211)의 하단부(214)측에 위치 고정된다.
캡저장부(240)는 캡부(220J)의 하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캡부(220J)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저장부(240)는 캡저장판부(241), 캡저장연장부(242), 캡저장돌기(2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저장판부(241)는 캡판부(221)의 하방에 배치되고, 캡판부(221)의 하면과의 사이에 음식물(S)이 저장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캡판부(221)와 이격된다.
캡저장연장부(242)는 캡저장판부(241)의 둘레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캡연장부(222)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이로써 덮개몸체(211)는 캡저장부(240)가 설치된 경우에는 캡저장판부(241)와 캡저장연장부(242), 그리고 캡판부(221)와 캡연장부(222)에 의해 저장부(110)로부터 격리된다.
캡저장연장부(242)는 내측면의 둘레에 캡연장나사산부(222j)와 나사 결합되는 캡저장나사산부(244)가 나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캡저장돌기(243)는 캡저장연장부(242)의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캡저장나사산부(244)가 캡연장나사산부(222j)에 나사 결합되면 캡저장부(240)와 캡부(220J)의 결합은 완료된다. 캡저장나사산부(244)를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연장나사산부(222j)와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면서 캡부(220J)와 캡저장부(240)는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캡부(220J)가 덮개본체부(21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따라서 캡부(220J)는 도 22 내지 도 4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억지 끼움 방식이 아닌 다른 결합 방식으로 덮개본체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과 플라스틱 재질의 부속품간의 접촉이나 대면을 차단할 수 있고, 내부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보온병(보냉병)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보온병(보냉병) 외에 음식물이 저장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음식물 저장용기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음식물 저장용기 100 : 용기본체부
110 : 저장부 120 : 개구부
130 : 본체턱부 140 : 본체돌기
200 : 내덮개부 210 : 덮개본체부
211 : 덮개몸체 212 : 덮개나선돌기
213 : 덮개홈부 213a : 덮개홈부턱
214 : 덮개몸체의 하단부 215 : 덮개커버
216, 217 : 몸체돌기 220 : 캡부
221 : 캡판부 222 : 캡연장부
223 : 캡걸림돌기 224, 225 : 캡판돌기
230 : 패킹부 231 : 패킹걸림부
232 : 패킹결합부 233 : 패킹돌기부
300 : 외덮개부 310 : 외덮개돌기

Claims (24)

  1.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용기본체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내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덮개부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본체부;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덮개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부를 대향하는 부분이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캡부;
    상기 캡부 내부의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온도유지재; 및
    상기 캡부를 둘러싸면서 상기 덮개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캡부를 상기 덮개본체부의 하단부에 위치 고정시키는 패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덮개부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 상기 패킹부는 상기 개구부에 구비되는 본체턱부에 밀착되며,
    상기 덮개본체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 삽입되는 덮개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가 끼움 결합되는 덮개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 저장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덮개몸체의 하단부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몸체와 상기 저장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캡판부; 및
    상기 캡판부의 둘레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덮개몸체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캡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 저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캡연장부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유지재를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캡연장부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캡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유지재는 보온재 또는 보냉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저장용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30084421A 2013-07-17 2013-07-17 음식물 저장용기 KR101453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421A KR101453548B1 (ko) 2013-07-17 2013-07-17 음식물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421A KR101453548B1 (ko) 2013-07-17 2013-07-17 음식물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548B1 true KR101453548B1 (ko) 2014-10-23

Family

ID=5199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421A KR101453548B1 (ko) 2013-07-17 2013-07-17 음식물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5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535U (ja) * 1992-10-13 1994-05-17 三信化工株式会社 保温食缶
KR200197682Y1 (ko) 2000-04-10 2000-09-15 류경문 진공용기의 뚜껑
KR200251605Y1 (ko) * 2001-07-13 2001-11-17 양현정 필터를 구비한 보온용기
JP3115860U (ja) * 2005-08-18 2005-11-17 パール金属株式会社 携帯用保温飲料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535U (ja) * 1992-10-13 1994-05-17 三信化工株式会社 保温食缶
KR200197682Y1 (ko) 2000-04-10 2000-09-15 류경문 진공용기의 뚜껑
KR200251605Y1 (ko) * 2001-07-13 2001-11-17 양현정 필터를 구비한 보온용기
JP3115860U (ja) * 2005-08-18 2005-11-17 パール金属株式会社 携帯用保温飲料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9081B2 (en) Lid for container
ES2836198T3 (es) Cierre para un recipiente y recipiente con un cierre de este tipo
AU2011241031B2 (en) Bottle closure with integrated flip top handle
JP4154722B2 (ja) 液体用容器の開口口部の構造
KR101668309B1 (ko) 음료용기
US7740147B1 (en) Ball and socket closing lid
US20120067890A1 (en) Dispensing cap
KR102376066B1 (ko) 단열 용기용 진공 밀봉 리드 인서트
KR101479852B1 (ko) 휴대용 식품 보존 용기
US20170238743A1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KR101453548B1 (ko) 음식물 저장용기
US20180257846A1 (en) Beverage container
KR101453547B1 (ko) 음식물 저장용기
US20230219720A1 (en) Lid assembly for beverage container
US5699841A (en) Thermos bottle
KR101229152B1 (ko) 밀폐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뚜껑
KR101450574B1 (ko) 음식물 저장용기
JP7105074B2 (ja) 飲料用容器
CN103156521B (zh) 储藏液态食品如奶的储藏容器
KR200460978Y1 (ko) 물통
KR20180010566A (ko)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KR200329361Y1 (ko) 캡을 갖춘 머그컵
JP7362215B2 (ja) 液体容器
KR200341276Y1 (ko)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
KR200343670Y1 (ko) 이중캡을 갖춘 머그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