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566A -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566A
KR20180010566A KR1020160092860A KR20160092860A KR20180010566A KR 20180010566 A KR20180010566 A KR 20180010566A KR 1020160092860 A KR1020160092860 A KR 1020160092860A KR 20160092860 A KR20160092860 A KR 20160092860A KR 20180010566 A KR20180010566 A KR 20180010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uilt
main body
casing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사언
Original Assignee
박사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사언 filed Critical 박사언
Priority to KR1020160092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0566A/ko
Publication of KR2018001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피복을 갖는 용기, 특히 구매 생수, 음료 또는 주류 등과 같은 보틀에 결합되어 보온 또는 보냉을 가능하게 하는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틀(내장용기)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를 형성하는 상부외피와, 상기 상부외피에 결합되는 하부외피로 이루어져 보틀 외면에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야외로 나갈 때 시원하게 마시기 위하여 얼린 음료를 장시간동안 녹지 않도록 보틀을 보냉하고, 사용자가 잡을 때 냉기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HANDY INSULATION JACKET ASSEMBLY}
본 발명은 단일 피복을 갖는 용기, 특히 구매 생수, 음료 또는 주류 등과 같은 보틀에 결합되어 보온 또는 보냉을 가능하게 하는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틀(내장용기)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를 형성하는 상부외피와, 상기 상부외피에 결합되는 하부외피로 이루어져 보틀 외면에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야외로 나갈 때 시원하게 마시기 위하여 얼린 음료를 장시간동안 녹지 않도록 보틀을 보냉하고, 사용자가 잡을 때 냉기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과 같이 더운 날씨에, 하루 단위로 가까운 산이나 계곡으로 나들이하거나 가까운 산으로 등산을 갈 때, 야외에서 마실 물을 가져가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 때, 야외에서 시원한 물을 마시기 위하여 집에서 냉장고를 이용하여 얼음을 얼려서 야외로 가져가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 때, 냉장고에서 얼음을 얼리기 위한 용기로서는 대부분의 음료수 용기로 사용되는 페트병이 이용된다. 이러한 페트병은 페트병 내에 수용된 물이 얼을 때, 패트병이 가지는 신축성 때문에 얼음의 부피 팽창으로 인한 페트병의 동파가 방지될 수 있고, 또한 주위에서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것이다. 페트병은 크기가 운반하기 적합하고 일정시간 동안 사용하기 적합한 양의 물이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가까운 산에 등산을 가거나 간단하게 준비하여 야외로 나갈 때, 야외에서 마실 물을 페트병에 얼음으로 얼린 상태로 나들이하거나 등산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이 얼려진 페트병은 내부의 얼음으로 인하여, 얼음이 얼려진 페트병은 다른 계절에 비하여 공기 중에 습기를 많이 함유하는 주위의 공기와 온도 차이로 인하여 외부에 습기가 서리게 되고, 이러한 습기 때문에 얼음이 얼려진 페트병는 비닐 봉지로 감싼 상태에서 배낭으로 운반되거나 얼음이 얼려진 페트병이 비닐 봉지에 넣어진 상태에서 운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얼음이 얼려진 페트병이 비닐 봉지에 넣어진 상태로 배낭에 넣어져 운반되는 경우, 얼음이 얼려진 페트병이 담겨니는 비닐 봉지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페트병과 접촉되는 비닐 봉지 부분에 습기가 맺히게 되어, 배낭 내의 다른 물건을 적시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얼음이 얼려진 페트병이 비닐 봉지에 넣어진 상태에서 이동되는 경우에, 외부의 열에 의하여 페트병에서 얼려진 얼음을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중 구조의 보냉장치에 관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32123호 『페트병을 위한 간이 보온병』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가 병입구에 형성된 나사부와 결합되는 너트부 및 마개가 결합되는 볼트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병이 수용되었을 때, 병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크기를 가지는 상부부재와, 외부의 공기로부터 내부에 수용된 병을 차단하도록 상기 상부 부재와 나사부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간이 보온병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페트병의 주둥이부분과 결합되고, 하부본체에 지지돌기를 구성하여 페트병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페트병을 모두 수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사용의 제한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9077호 『분리 소제가 용이하도록 된 플라스틱 보온 병』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를 내부뚜껑과 외부뚜껑으로 나사결합 체결되게 하고 내부에 장착되는 용기를 스티로폴에 의하여 단열 할 수 있도록 된 보온병에 있어서, 각 부를 플라스틱 재로 성형하되, 몸통체의 하부 측에는 내부에 스티로폴 하부 끼움 고정부를 갖는 분리뚜껑을 나사결합 체결하고, 내측 상부에는 용기 고정리브를 돌출 형성하여 패킹을 끼우고, 용기의 상단을 끼워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용기의 외주 단열재인 스티로폴과 몸통체 내부 간에는 단열공간부가 형성되게 하여 기층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플라스틱 보온병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시중에 흔히 사용되는 페트병을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내부 용기를 함께 구입해야 하며, 분실 시에는 다시 내장용기를 포함하여 구입해야하므로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928298호 『이중구조의 일회용 컵』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내겹과 외겹을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일회용 컵으로서, 상기 외겹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절개된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의 타측 단부 내측에는 상기 내겹에 대응하는 부위에 접착되는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겹의 접착부가 상기 내벽에 대응하는 부위와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겹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절개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된 이중구조의 일회용 컵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2-0131004호 『이중구조를 갖는 일회용 컵』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측벽부재가 내, 외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이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내부 수용공간에 담기는 내용물의 보온 및 보냉효과를 현저히 증대시켜 내용물 본래의 참맛을 장시간 보존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구조를 갖는 일회용 컵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모두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기층을 형성함으로서 보냉, 보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컵에 관한 것으로서, 야외활동을 할 때 음료를 담아 가지고 다닐 수 없어 야외활동에서 이동하며 음료를 마시기에는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내장용기의 상본체가 수용되는 상부외피, 상기 상부외피와 결합하여 내장용기의 하본체가 수용되는 하부외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장용기과 이격되어 단영공간을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내장용기의 보냉 및 보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외피에는 상기 내장용기의 하부를 고정하도록 하지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페트병이 상기 상부외피와 하부외피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수단에 크기조절수단을 더 구비하여, 시중에 판매되는 내장용기, 특히 페트병의 종류에 따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는
배출구를 갖는 상본체와, 이 상본체와 이어지고 저면부를 갖는 하본체와, 내용물 수용부를 갖는 내장용기의 간이 단열을 위한 것으로,
내장용기의 상본체와 이격되며, 상본체 외면 일부와 접하는 상지지부 및 하결합부를 갖는 상부외피;
내장용기의 하본체와 이격되며, 하본체 저면부 하면과 접하는 하지지부 및 상기 상부외피의 하결합부에 체결되는 상결합부를 갖는 하부외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는
내장용기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상부외피 및 하부외피를 구비하여, 이들과 내장용기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외부의 열이 내장용기 내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음료를 얼린 경우에 얼린 음료가 쉽게 녹지 않아 사용자는 외부활동 시 보다 오랜시간 차가운 음료를 마실 수 있고,
상기 내장용기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하지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하지지부에 크기조절수단을 더 구비하여 시중에 판매되는 내장용기, 특히 페트병의 종류, 즉 크기의 차이에 맞게 크기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상부외피와 하부외피 내부에 페트병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의 범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트병용 보냉장치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트병용 보냉장치 어셈블리의 고정수단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보냉은 보온 및 보냉을 포함하는 온도유지기능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명칭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제한 되서는 안 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A)는 내장용기(P)가가 수용되는 상부외피(10)와 상기 상부외피(10)에 결합되는 하부외피(20) 및 상기 하부외피(20)에 구비되어 내장용기(P)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크기조절수단(30)을 포함하되, 상기 내장용기(P)과 상부외피(10) 및 하부외피(2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내장용기(P)은 보틀, 즉 시중에 판매되는 페트병과 같은 보틀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용기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배출구(P1)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P1) 주위에 뚜껑이 결합되는 뚜껑체결부(P11)가 형성되며,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P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음료는 생수, 탄산음료, 막걸리, 맥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다시 상기 내장용기(P), 특히 페트병은 하부에 저면부(P4)가 형성되는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내장용기(P)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 및 배출구(P1)의 폭은 차이가 날 수 있으나, 저면부(P4)는 항상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내장용기(P)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본체(P5) 및 하본체(P6)로 구분지어 설명하나, 이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시중에 판매되는 합성수지 용기, 특히 PET 용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유리 또는 금속 용기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은 이러한 내장용기(P)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 1을 참고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부외피(10)는 내장용기(P)의 상본체(P5)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장용기(P)의 상본체(P5)의 배출구 외면에 결합되는 상지지부(13)와 상기 상지지부(13) 반대방향에 하결합부(15)가 구비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외피(10)는 내장용기(P)의 상본체(P5)와 유사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상지지부(13)는 상기 내장용기(P)의 배출구(P1),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장용기(P)의 배출구(P1) 외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외피(10)의 상지지부(13)는 하결합부(15)의 직경보다는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장용기(P)를 결합함에 있어, 내장용기(P)의 배출구(P1)의 직경보다는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지지부(13)에는 상기 내장용기(P)의 배출구(P1)와의 밀폐력을 향상시켜, 응결되는 물방울이 내장용기(P)를 거꾸로 들었을 때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막고, 배출구(P1)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내장용기(P)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배출구(P1)의 크기에 대응하기 위한 크기조절수단(30) 중 제1 패킹부재(31)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패킹부재(31)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상부외피(10)의 하결합부(15)는 상기 상부외피(10)의 하단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하부외피(20)와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도면에는 상부외피(10)가 외면에, 하부외피(20)가 상기 상부외피(10) 내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반대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상부외피(10)의 하부에는 하부외피(20)가 체결되게 되는데, 상기 하부외피(20)는 내장용기(P)의 나머지 일부, 하본체(P6)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외피(10)에는 상기 하결합부(15)와 체결될 수 있는 대응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상결합부(2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내장용기(P)를 상기 상부외피(10)와 하부외피(20)에 결합하는 경우, 상부외피(10)의 상지지부(13)에 내장용기(P)의 배출구(P1)부분을 넣어 결합하고, 하부외피(20)를 상기 상부외피(10)에 체결시킴으로서 상기 내장용기(P)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상부외피(10)와 내장용기(P), 하부외피(20)와 내장용기(P)는 각각 서로 이격되어 단열공간을 형성하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단열공간이 기층을 형성함에 따라 내장용기(P) 내부로 외부 열기가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장용기(P)의 보냉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나아가 상기 내장용기(P)가 상부외피(10)와 하부외피(20)와 이격됨에 따라 이동간에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A)에는 하지지부(21)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지지부(21)는 상기 하부외피(20),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외피(20) 하부에 구비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지지부(21)가 상기 내장용기(P) 바닥에 형성되는 저면부(P4)에 끼워져 내장용기(P)을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상부외피(10)와 하부외피(20)는 PET,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내장용기(P)를 내부에 수용하여 단열공간을 형성함으로서 내장용기(P)의 보냉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시중에 판매되는 내장용기(P)를 이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시중에 판매되는 내장용기(P)는 그 크기 및 배출구(P1)의 크기가 다른 여러 종류로 이루어져 있어 이들을 모두 수용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크기조절수단(3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크기조절수단(30)은 상기 상지지부(13)에 구비되는 제1 패킹부재(31), 상기 하지지부(21)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32), 상기 하결합부(15) 및 상결합부(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 패킹부재(33) 중 일부 또는 모두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 패킹부재(31)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내장용기(P)의 배출구(P1)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는 제1 패킹부재(3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패킹부재(31)는 상기 상지지부(13)의 단부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상지지부(13) 외면에 밀착되는 외부밀착부(311)와, 상기 외부밀착부(311)에 연장되어 상기 상지지부(13)의 상부, 즉 상부 단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상부밀착부(312), 상기 상부밀착부(312)에 연장되어 상기 상지지부(13)의 내측과 내장용기(P)의 배출구(P1) 사이의 틈새를 막는 내부밀착부(313)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형상에 의해 상기 외부밀착부(311)와 내부밀착부(313) 사이에 형성되는 밀착홈(314)에 상기 상지지부(13)가 삽입되어 상지지부(13)와 내장용기(P)의 배출구(P1) 사이를 보다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내장용기(P)의 배출구(P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장용기(P)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패킹부재(31)를 교체형으로 구성하되, 각각의 패킹부재(31)의 차이는 상기 내부밀착부(313)의 폭(두께)를 달리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의 일점쇄선에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만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두께의 다른 실시예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밀착부(313)의 두께가 달라짐에 따라 사용자는 끼워지는 내장용기(P)의 배출구(P1) 두께에 맞는 제1 패킹부재(31)를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어 내장용기(P)의 종류에 상관없이 상지지부(13)가 상기 내장용기(P)의 배출구(P1)에 밀착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내장용기(P)의 배출구(P1)의 크기는 두 가지로 성형되어 있어, 다른 두께의 제1 패킹부재(31) 하나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패킹부재(31)의 재질이 고무,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져 약간의 오차는 수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상기 제1 패킹부재(31)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지지부(13)에는 패킹결합돌기(1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패킹결합돌기(131)에 제1 패킹부재(31)가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배출구(P1)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패킹부재(31)는 상기 패킹결합돌기(131)에 삽입될 수 있는 헤드부(316)와 상기 헤드부(316)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P1)에 밀착되거나, 또 다른 제1 패킹부재(31)의 헤드부(31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헤드결합부(317)가 구비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P1)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패킹부재(31)의 개수를 선택하여 결합함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배출구(P1)를 모두 수용할 수 있다.
다시 상기 크기조절수단(30)에는 제2 패킹부재(33)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패킹부재(33)는 상기 상부외피(10)의 하결합부(15)와 상기 하부외피(20)의 상결합부(23)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내장용기(P)의 크기에 따라 결합되는 나사산의 길이가 달라짐에 따라 그 틈새의 크기가 변경되게 되고, 이 크기에 맞는 제2 패킹부재(33)를 선택하여 끼움에 따라 틈새로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서로 다른 내장용기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이러한 내장용기의 종류에 따라 배출구(P1)의 크기뿐만 아니라, 내장용기 전체의 크기에 따라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높이조절수단(30)에 높이조절부재(32)를 더 포함하며 이 높이조절부재(32)의 변형례를 통하여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먼저 도 2는 높이조절부재(32)의 제1 및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에 도시된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하지지부(21)는 상기 하부외피(20) 바닥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둥부(211)와 상기 기둥부(211) 상부에 구비되는 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213)로 구성되며, 상기 기둥부(211)와 삽입부(213) 사이에는 걸림홈(215)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213)가 상기 저면부(P4)에 들어가 고정함으로서 내장용기(P)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내장용기(P)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상기 삽입부(23)가 상기 저면부(P4)에 안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하지지부(21)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3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부재(32)는 상기 하지지부(21)에 결합되어 상기 하지지부(21)의 돌출정도를 변경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지지부(21)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가 개방된 날개부(321)와, 상기 날개부(321) 상부에 구비되어 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부(213)를 내삽하는 제1 보조삽입부(323) 및 상기 제1 보조삽입부(323) 상부에 구비되어 구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보조삽입부(324) 및 상기 날개부(321)와 제2 보조삽입부(324) 사이에 구비되는 결속부(3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하지지부(21)의 돌출정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32)는 복수개로 중첩 결합됨으로서 내장용기(P)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결합하여 내장용기(P)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2[B]는 상기 높이조절부재(32)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하지지부(21)는 상기 하부외피(2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되 가운데 관통부(217)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하지지부(21) 내측에 복수개의 높이조절부재(32)가 구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기 높이조절부재(32)는 상기 관통부(217)를 통과하여 상승함으로서 상기 하지지부(21)의 돌출정도를 변경하는 것으로서, 높이조절부재(32)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러한 제2 실시예의 경우, 상기 높이조절부재(32)가 관통부(217)를 상승하거나 상승하지 않았을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데, 본 발명은 마그넷(326)을 구비함으로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지지부(21)의 상부단부와 하부단부에는 각각 마그넷(326)이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32)의 상부단부와 하부단부에도 마그넷(326)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접하는 마그넷(326)의 인력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32)는 관통부(217)를 관통하지 않고 하지지부(21)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고, 상기 높이조절부재(32)가 상기 관통부(217)를 관통하여 상승하는 경우에도 그 위치를 인접하는 마그넷(326)의 인력에 따라 고정시키며, 이에 따라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크기의 내장용기(P)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하지지부(211)의 하부에 있는 마그넷(326)을 제1 마그넷(326a)으로, 높이조절부재(32)의 상부에 위치하는 마그넷(326)을 제2 마그넷(326b), 높이조절부재(32)의 하부에 위치하는 마그넷(326)을 제3 마그넷(326c)으로 명명하면,
높이조절부재(32)가 상승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마그넷(326a)과 제3 마그넷(326c)의 인력에 의해 높이조절부재(32)가 상기 하지지부(21)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재(32)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마그넷(326b)과 제3 마그넷(326c)의 인력에 의해 높이조절부재(32)가 상승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높이조절부재(32)의 수에 따라 동일한 원리로 마그넷(326)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P : 내장용기 P1 : 배출구
P11 : 뚜껑체결부 P2 : 수용부
P4 : 저면부 P5 : 상본체
P6 : 하본체
10 : 상부외피 13 : 상지지부
131 : 패킹결합돌기
15 : 하결합부 20 : 하부외피
21 : 하지지부 211 : 기둥부
213 : 삽입부 215 : 걸림홈
217 : 관통부
23 : 상결합부
30 : 크기조절수단 31 : 제1 패킹부재
311 : 외부밀착부 312 : 상부밀착부
313 : 내부밀착부 314 : 밀착홈
316 : 헤드부 317 : 헤드결합부
32 : 높이조절부재 321 : 날개부
323 : 제1 보조삽입부 324 : 제2 보조삽입부
325 : 결속부 326 : 마그넷
326a : 제1 마그넷 326b : 제2 마그넷
326c : 제3 마그넷 33 : 제2 패킹부재

Claims (4)

  1. 배출구를 갖는 상본체와, 이 상본체와 이어지고 저면부를 갖는 하본체와, 내용물 수용부를 갖는 내장용기의 간이 단열을 위한 것으로,
    내장용기의 상본체와 이격되며, 상본체 외면 일부와 접하는 상지지부 및 하결합부를 갖는 상부외피;
    내장용기의 하본체와 이격되며, 하본체 저면부 하면과 접하는 하지지부 및 상기 상부외피의 하결합부에 체결되는 상결합부를 갖는 하부외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외피의 하지지부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외피의 상지지부는 내장용기의 상본체의 외면을 둘러싸 외부와 내장용기 및 외피 사이의 단열공간을 차단하는 밀폐형 상지지부이고,
    내장용기의 크기와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내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크기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조절수단은
    상지지부에 구비되는 제1패킹부재, 상기 하지지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하결합부 및 상결합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패킹부재 중 일부 또는 이 모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KR1020160092860A 2016-07-21 2016-07-21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KR20180010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860A KR20180010566A (ko) 2016-07-21 2016-07-21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860A KR20180010566A (ko) 2016-07-21 2016-07-21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566A true KR20180010566A (ko) 2018-01-31

Family

ID=6108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860A KR20180010566A (ko) 2016-07-21 2016-07-21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05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606A (ko) * 2020-09-03 2022-03-11 주식회사 유로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
KR20220105011A (ko) 2021-01-19 2022-07-26 윤원호 보냉용 페트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606A (ko) * 2020-09-03 2022-03-11 주식회사 유로 쿨링탱크 및 그것을 구비한 냉온 매트
KR20220105011A (ko) 2021-01-19 2022-07-26 윤원호 보냉용 페트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5624B1 (en) Drinking bottle having a separate thermally regulating container
US4163374A (en) Refrigera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US5904267A (en) No-ice cooler
US4811858A (en) Combination single bottle cooler and liquid container
US20140054010A1 (en) Container chilling apparatus
KR100828147B1 (ko) 생수병 단열 케이스
US20180194537A1 (en) Thermal and cold insulation bottle structure
US20080087674A1 (en) Double walled beverage container
US20160031630A1 (en) Insulating Vessel
US20150096324A1 (en) Beverage Cooling Device
US20070090077A1 (en) Container arrangement
US20120193366A1 (en) Flexible Foam Beverage Holder
KR200190453Y1 (ko) 보온보냉용 페트병들이
WO2008002085A1 (en) Cooling cup for drink
US7055706B2 (en) Drink bottle
KR20180010566A (ko)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US11414259B2 (en) Beverage insulating device
WO2004045961A2 (en) Bottle coolers and method of promoting bottled beverages
KR101187880B1 (ko) 팩 내장형 보온용기
US20140175105A1 (en)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for both heated and chilled liquids
US20110226784A1 (en) Covered cooler assembly
KR200460978Y1 (ko) 물통
KR101100090B1 (ko) 페트병용 덮개병
KR200309860Y1 (ko) 휴대용 냉장병
KR200351679Y1 (ko) 냉각이 용이한 맥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