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011A - 보냉용 페트병 - Google Patents

보냉용 페트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011A
KR20220105011A KR1020210007528A KR20210007528A KR20220105011A KR 20220105011 A KR20220105011 A KR 20220105011A KR 1020210007528 A KR1020210007528 A KR 1020210007528A KR 20210007528 A KR20210007528 A KR 20210007528A KR 20220105011 A KR20220105011 A KR 20220105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double
pet bottle
bottled water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원호
Original Assignee
윤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원호 filed Critical 윤원호
Priority to KR1020210007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5011A/ko
Publication of KR20220105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트병에 담긴 생수 또는 음료수를 보냉 또는 냉동 상태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온도차로 인한 표면 결로현상으로 물이 손에 묻게 되는 경우를 없애도록 하는 보냉용 페트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수가 담기는 페트병에 있어서, 페트병의 외측으로 이중병을 형성하되 상기 페트병과 이중병 사이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페트병과 이중병 사이에는 단열재를 채우고, 상기 이중병은 상하 분리되어 끼워진 후 결합되게 하며, 이중병의 입구는 페트병의 입구 주위에 밀착시켜 고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보냉용 페트병{Insulating PET bottle}
본 발명은 페트병에 담긴 생수 또는 음료수를 보냉 또는 냉동 상태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온도차로 인한 표면 결로현상으로 물이 손에 묻게 되는 경우를 없애도록 하는 보냉용 페트병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수지로 제작되는 페트병은 가볍고 잘 깨지지 않고, 재활용이 가능하다기 때문에 생수나 음료수 또는 각종 액체의 포장용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생수나 음료수를 야외에서도 시원하게 먹기 위하여 냉장 또는 냉동시킨 후 휴대하게 되나, 기존의 페트병에 담긴 냉수나 음료수는 빠른 시간에 온도가 높아지거나 녹기 때문에 야외에서 장시간 시원하게 즐기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페트병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공기층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보냉용 주머니에 넣어주고 있으나, 단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여름철 야외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장시간 시원한 생수를 즐기지 못하게 되고, 시원한 생수를 즐기기 위해서는 냉장고가 설치된 실내로 이동하여 냉장 또는 냉동된 생수를 갖다 먹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즉, 야외에서 작업을 할 때 갈증을 해소하기 위하여 시원한 생수를 찾게 되는데, 기존과 같이 페트병에 담긴 생수를 냉장 또는 냉동시킨 후 작업현장으로 이동하여 마시거나, 작업 도중에 실내로 이동하여 냉장된 생수를 먹어야 하고, 전술된 방식은 냉장 상태의 시원한 생수를 오랫동안 마실 수 없는 문제가 있고, 후술된 방식은 작업 현장을 자주 이탈하는 문제가 있으며, 냉장 기간을 늘리기 위하여 이중 페트병을 사용하거나 보냉 백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냉장시간을 늘리지 못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생수를 냉장 또는 냉동시킨 페트병이 대기와 접하게 되면 온도차로 인하여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결로 현상에 의해 페트병을 잡을 때 손에 물이 묻어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허등록 10-0928189호(2009.11.17. 등록) 실용신안공개 20-1998-032157호(1998.08.17. 공개) 특허공개 10-2013-0104445호(2013.09.25. 공개) 특허공개 10-2018-0010566호(2018.01.31. 공개) 실용신안등록 20-0190453호)(2000.05.16. 등록)
본 발명은 페트병에 담긴 생수나 음료수를 냉장 또는 냉동시킨 후 야외에서 사용할 때 빠른 시간에 냉장 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와 함께 결로 현상에 의해 물방울이 손에 묻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페트병의 외측으로 이중병을 설치하되 페트병과 이중병 사이에 단열재를 채움으로써 페트병에 담긴 생수의 냉장 또는 냉동 상태가 오래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물이 손에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생수가 담기는 페트병에 있어서, 페트병의 외측으로 이중병을 형성하되 상기 페트병과 이중병 사이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페트병과 이중병 사이에는 단열재를 채우고, 상기 이중병은 상하 분리되어 끼워진 후 결합되게 하며, 이중병의 입구는 페트병의 입구 주위에 밀착시켜 고정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중병을 손으로 잡는 한편 페트병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기 때문에 열전달이 차단되어 페트병에 담긴 냉장 생수가 장시간 차가움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페트병의 외측으로 단열재가 채워지게 이중병을 형성함으로서, 페트병에 담긴 생수의 냉장이나 냉동 상태가 장시간 유지되는 효과와 함께 결로 현상으로 인하여 물이 묻게 되는 경우를 없애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페트병에 담긴 음료나 생수를 보온 상태로도 장시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필요한 시원하거나 따스한 생수나 음료를 장기간 즐길 수 있다.
도 1은 기존 페트병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이중병만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페트병과 이중병 분리 상태 단면도
도 5는 페트병에 단열재를 씌운 단면도
도 6은 단열재에 상측의 이중병을 씌운 단면도
도 7은 단열재에 하측의 이중병을 씌운 단면도
본 발명은 생수나 음료수를 보관하는 포장용기인 페트병에 관한 것으로, 페트병의 외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중병을 형성하되 상기 페트병과 이중병 사이에는 단열재를 채움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페트병에 담긴 생수의 냉장 상태가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페트병의 외측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에 의해 손에 물이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페트병(10)은 생수나 음료 등을 포장하는 용기이며, 좁게 형성된 입구(11)를 마개(12)로 개폐시키는 구조이고, 이러한 페트병(10)은 주지 관용된 포장용기인 것으로, 야외에서 작업을 할 때 시원한 생수를 마시면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페트병(10)에 담긴 생수를 냉장 또는 냉동시킨 후 사용하게 되나,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스럽게 생수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며, 외부 기온이 높을수록 단시간에 시원함이 사라지게 된다.
페트병(10)에 담긴 생수를 장시간 시원하게 마시기 위해서는 냉동 또는 냉장시킨 생수가 들어있는 페트병(10)을 이중으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보냉백을 이용하여 넣어주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단순히 페트병(10)을 이중으로 형성하거나 보냉백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는 냉장시간을 일부 연장시킬 수는 있으나, 작업자가 소망하는 시간 동안 생수의 냉장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페트병(10)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중병(20)을 형성하되 상기 페트병(10)과 이중병(20) 사이에 단열재(30)을 채움으로써 페트병(10)에 담긴 생수의 온도 변화를 최대한 줄이도록 하는 것으로, 장시간에 걸쳐 야외에 놓더라도 쉽게 생수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중병(20)은 중간에 절단부위(21)를 형성하여 상하로 절단되게 한 후 상측은 페트병(10)의 입구(11) 외측에 밀착되어 접착이 이루어지게 하고, 하측은 페트병(10)을 씌우는 형태로 절단부위(21)를 맞닿게 한 후 융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이중병(20)의 절단부위(21)를 융착시키기 전에 페트병(10)의 외측을 단열재(30)로 감싸게 한 다음 단열재(30)가 이중병(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이중병(20)의 절단부위(21)를 융착하여 이중병(20)을 완성하도록 한다.
이중병(20)이 완성되면, 이중병(20)의 입구가 페트병(10)의 입구(11) 외측에 끼워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중병(20)의 절단부위(21)도 융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중병(20)은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같이 페트병(10)과 이중병(20)의 간격 형성으로 인하여 단열이 이루어지는 한편 단열재(30)의 충전으로 인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페트병(10)에 채워진 생수의 냉장 상태가 장시간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페트병(10)의 외측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페트병(10)의 외측에 외부공기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페트병(10)의 내부에 채워진 생수를 냉장 또는 냉장시키는 것으로, 이중병(20)을 냉장 또는 냉동고에 넣어 생수의 냉장 또는 냉동이 이루어지게 하고, 작업자가 외부로 이동할 때에 이중병(20)을 집어서 이동한 후 작업현장에 이중병(20)을 놓고 작업을 하다가 목이 마를 때 페트병(10)의 마개(12)를 열고 냉장된 생수를 마신 다음 마개(12)를 닫아 보관하게 된다.
냉장된 생수가 야외에서 장시간 경과되더라도 페트병(10)이 이중병(2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단열재(30)로 채워지기 때문에 페트병(10)에 담긴 생수는 쉽게 온도가 상승하지 않아, 장시간에 걸쳐 차가운 생수를 먹을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차가운 생수를 마시기 위하여 실내 공간으로 이동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킴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작업자는 시원한 생수를 접하여 체온을 낮추며 갈증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페트병(10)의 외측을 단열재(30)로 감싼 다음 단열재(30)의 외측을 이중병(20)으로 씌워주되 상기 이중병(20)은 페트병(1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단열재(30)가 설치된 공간의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중병(20)의 입구가 페트병(10)의 입구 외측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이중병(20)의 내측으로 외부공기가 이동되지 않아, 단열 효과를 높이게 된다.
10 : 페트병 11 : 입구
12 : 마개 20 : 이중병
21 : 절단부위 30 : 보온재

Claims (1)

  1. 생수가 담기는 페트병(10)에 있어서,
    페트병(10)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이중병(20)을 형성하되 이중병(20)은 중간에 절단부위(21)를 형성하여 상하로 절단되게 한 후 상측은 페트병(10)의 입구(11) 외측에 밀착되어 접착되게 하는 한편 하측은 페트병(10)을 씌우는 형태로 절단부위(21)를 맞닿게 한 후 융착하여 형성하고,
    상기 페트병(10)과 이중병(20) 사이에는 이중병(20)의 절단부위(21)가 융착되기 전에 단열재(30)를 채워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용 페트병.
KR1020210007528A 2021-01-19 2021-01-19 보냉용 페트병 KR20220105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528A KR20220105011A (ko) 2021-01-19 2021-01-19 보냉용 페트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528A KR20220105011A (ko) 2021-01-19 2021-01-19 보냉용 페트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011A true KR20220105011A (ko) 2022-07-26

Family

ID=8260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528A KR20220105011A (ko) 2021-01-19 2021-01-19 보냉용 페트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501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157U (ko) 1998-05-26 1998-08-17 라상규 페트병용 보온 백
KR200190453Y1 (ko) 2000-03-13 2000-08-01 주식회사라이스트 보온보냉용 페트병들이
KR100928189B1 (ko) 2009-06-22 2009-11-26 이준경 얼린 페트병용 덮개병
KR20130104445A (ko) 2012-03-14 2013-09-25 이준경 보냉용 이중병
KR20180010566A (ko) 2016-07-21 2018-01-31 박사언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157U (ko) 1998-05-26 1998-08-17 라상규 페트병용 보온 백
KR200190453Y1 (ko) 2000-03-13 2000-08-01 주식회사라이스트 보온보냉용 페트병들이
KR100928189B1 (ko) 2009-06-22 2009-11-26 이준경 얼린 페트병용 덮개병
KR20130104445A (ko) 2012-03-14 2013-09-25 이준경 보냉용 이중병
KR20180010566A (ko) 2016-07-21 2018-01-31 박사언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3835A (en) Thermally insulated bottl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4163374A (en) Refrigerat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US4183226A (en) Refrigerated beverage holder
US4986089A (en) Adjustable refrigeratable beverage wrap around holder
US20120305571A1 (en) Portable beverage can cooler
US20120193366A1 (en) Flexible Foam Beverage Holder
US5732567A (en) Chiller device for a pitcher
US20120125943A1 (en) Container for pet bottle
US20160031630A1 (en) Insulating Vessel
WO2014067927A1 (en) Container for temperature sensitive materials
WO2008002085A1 (en) Cooling cup for drink
KR20220105011A (ko) 보냉용 페트병
CN202704252U (zh) 一种方形杨梅保鲜篮
US11414259B2 (en) Beverage insulating device
WO2018003768A2 (ja) 保冷容器、保冷皿および赤ワイン用サーバー
CN205327807U (zh) 一种生鲜食品包装盒
KR20180010566A (ko) 간이 보냉용 외피 어셈블리
KR20120082971A (ko) 단열용 커버와 보냉용 커버를 가지는 용기
KR101743281B1 (ko) 냉기를 유지하는 컵
USRE26724E (en) Refrigerated tumbler
JP2001048244A (ja) 筒状保冷具
US20110042549A1 (en) Metallic Cylinder Core Ice Mold Beverage Cooler
KR20130045878A (ko) 단열용 커버와 보냉용 커버를 가지는 용기
US1635438A (en) Ice cap
KR200421659Y1 (ko) 보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