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695Y1 -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 - Google Patents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695Y1
KR0138695Y1 KR2019980010491U KR19980010491U KR0138695Y1 KR 0138695 Y1 KR0138695 Y1 KR 0138695Y1 KR 2019980010491 U KR2019980010491 U KR 2019980010491U KR 19980010491 U KR19980010491 U KR 19980010491U KR 0138695 Y1 KR0138695 Y1 KR 0138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ker
valve seat
vacuum container
foo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명
Original Assignee
박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명 filed Critical 박준명
Priority to KR2019980010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6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6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10)에 관한 것으로, 밸브시트(30)의 흡반고정공(10)에 부착된 흡반(25)에 의해 흡반고정공(21)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공기배출공(22)을 개폐시키도록 한 진공용기의 밸브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배출공(22)의 사이에는 요홈(1)을 형성하고, 밸브시트(30)의 외주면에는 밀폐캡(5)을 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진공용기(55)에 저장된 음식물로부터 과도한 가스가 발생하므로써 흡반(25)이 밸브시트(30)로부터 분리되어도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
본 고안은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진공용기의 일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흡반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 공기유통공의 사이에 요홈을 형성하므로써 흡반의 흡착효율을 높이도록 한 음식물 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상온에서 장시간 보관하면 음식물에 함유된 미생물의 증식에 의해 음식물이 변질되는데, 일반적으로 음식물의 변질은 호기성 미생물의 작용에 기인하는 관계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활동성을 저하시키기 위해 음식물을 저온상태로 보관하거나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여 공기의 유통을 차단시키므로써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시락과 같은 휴대용 음식물의 경우에는 저온상태로 보관하기가 곤란한 관계로 음식물을 장시간 저장하거나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여 공기의 유출을 차단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측에 흡반고정공(21)을 형성하고, 상기한 흡반고정공(21)의 외측으로는 공기배출공(22)을 방사상으로 형성한 밸브시트(30)에 공기배출공(22)을 개폐시키도록 흡반(25)을 부착한 구조로 이루어진 공기배출 밸브(40)를 진공용기의 커버(50) 일측에 구성하여 진공용기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켰으며, 예로써 음식물이 채워진 진공용기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진공용기의 커버(50) 일측을 압박하여 내부의 공기를 공기배출공(22)을 통해 배출시키거나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진공용기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부압에 의해 흡반(25)이 밸브시트(30)와 밀착되므로써 진공용기를 밀폐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공기 배출밸브(40)는 흡반(25)과 밸브시트(30)의 공간이 적기 때문에 진공용기 내부의 저장된 음식물로부터 가스가 발생되어 진공용기의 내부압력이 약간만 상승하여도 흡반(25)의 밀착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흡반(25)이 밸브시트(30)로부터 떨어져 나가므로써 진공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통되거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었으며, 이에따라 음식물의 장기보관이 곤란하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흡반의 흡착효율을 높여 밸브시트로 부터 흡반의 분리를 방지하는 한편, 밸브시트의 외부에 별도의 밀폐캡을 구비하여 흡반이 임의로 밸브시트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진공용기에 저장된 음식물로부터 과도한 가스가 발생하므로써 압력이 증대되어 흡반이 밸브시트로부터 분리되어도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밸브시트의 흡반고정공에 부착된 흡반에 의해 흡반고정공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공기배출공을 개폐시키도록 한 진공용기의 밸브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배출공의 사이에는 확개홈부를 갖는 +자형 요홈을 형성하고, 밸브시트의 외주면에는 밀폐캡을 부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제1도는 종래의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a,b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요홈 1a : 확개홈부
5 : 밀폐캡 21 : 흡반고정공
22 : 공기배출공 25 : 흡반
30 : 밸브시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10)는, 밸브시트(30)의 흡반고정공(21)에 부착된 흡반(25)에 의해 흡반고정공(21)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공기배출공(22)을 개폐시키도록 한 통상의 진공용기의 밸브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공기배출공(22)의 사이에는 흡반(25)의 밀착력을 높이도록 요홈(1)을 +자형태로 형성하고, 밸브시트(30)의 외주면에는 밸브시트(30)로부터 흡반(25)이 분리되므로써 내용물이 유출되어도 진공용기의 외부로 상기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가 폐쇄된 밀폐캡(5)을 힌지(5A)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결합시킨 것으로, 상기한 바와같은 구조의 밸브를 진공용기의 커버(50)일측에 구성하므로써 공기의 유통을 차단시키게 되는데, 상기한 요홈(1)의 일측에는 확개홈부(1A)을 형성하여 흡반(25)의 흡착효율을 더욱 높이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음식물이 담긴 진공용기에 커버(40)를 부착시킨 다음, 커버(40)의 일측을 강하게 압박시키거나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진공용기로부터 공기배출공(22)을 통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면 진공용기의 내부는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갖게 되므로 제4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압에 의해 흡반(25)이 밸브시트(30)와 밀착되는 한편, 밸브시트(30)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공기배출공(22)을 폐쇄시키게 되는데, 이때 흡반(25)을 강하게 압착시키면 공기배출공(22) 사이에 형성된 요홈(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흡반(25)을 흡착시키게 되므로써 흡반(25)은 진공용기 내부의 부압과 상기한 요홈(1)의 진공에 따른 흡착력에 의해 밸브시트(30)와 밀착되므로 강한 흡착력을 갖게 되며, 상기한 상태에서 밸브시트(30)의 외주면에 밀폐캡(5)을 부착시키면, 진공용기에 저장된 음식물로부터 가스가 발생하므로써 흡반(25)의 밀착력이 약화되어 밸브시트(30)로부터 흡반(25)이 분리되어도 제4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시트(30)의 외부가 밀폐캡(5)에 의해 밀폐된 구조를 갖게 되므로 가스의 발생에 의해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김치의 숙성과정중 김치를 가압숙성시키도록 한 효과를 갖게하며 이와함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10)는 흡반(25)이 밸브시트(30)와 강하게 밀착되므로써 음식물이 저장된 진공용기(55)의 진공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흡반(25)의 흡착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밸브시트(30)로부터 흡반(25)이 이탈되어도 밸브시트(30)의 외부에는 상기한 밸브시트(30)를 밀폐시키도록 한 밀폐캡(5)이 구비되므로써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Claims (1)

  1. 밸브시트(30)의 흡반고정공(21)에 부착된 흡반(25)에 의해 흡반고정공(21)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공기배출공(22)을 개폐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공(22)의 사이에 요홈(1)을 +자로 형성하고 이 요홈(1)의 끝에는 확개홈부(1A)를 형성하며, 밸브시트(30)의 외주면에는 밀폐캡(5)을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
KR2019980010491U 1998-06-18 1998-06-18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 KR0138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491U KR0138695Y1 (ko) 1998-06-18 1998-06-18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491U KR0138695Y1 (ko) 1998-06-18 1998-06-18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275A Division KR970009704A (ko) 1995-08-07 1995-08-07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8695Y1 true KR0138695Y1 (ko) 1999-04-01

Family

ID=1953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491U KR0138695Y1 (ko) 1998-06-18 1998-06-18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6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9014A (en) Vacuum storage device
JP4286153B2 (ja) 真空ホース用容器蓋
US6644489B2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a cover cap provided with a pump member to pump out air from a container
KR100752223B1 (ko)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KR101223759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101399411B1 (ko) 포장용기의 가스 배출 장치
US10865029B2 (en) Packaging bag fresh-keeping exhaust valve structure
KR20080056452A (ko) 진공형성을 위한 커버부재를 가진 진공용기
KR0138695Y1 (ko) 음식물보관용 진공용기의 밸브구조
KR101409575B1 (ko) 식품보관용기용 가압식 밀폐뚜껑
KR20110037611A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KR200433727Y1 (ko) 음식물 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0164651B1 (ko) 김치 진공포장용기 뚜껑
KR200258608Y1 (ko) 다단식 밀폐형 용기
KR100261816B1 (ko) 냉장고 야채실의 밀폐구조
KR20130097621A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200308962Y1 (ko) 가스의 배출구조를 갖는 용기 덮개
KR200272506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의 누름판의 구조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CN216710226U (zh) 保温箱的箱体和保温箱
KR950003867Y1 (ko) 포장용기용 속마개의 가스배출구조
KR200217273Y1 (ko)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
KR200332153Y1 (ko) 진공용기
KR100726355B1 (ko) 진공보관 케이스용 밸브
CN214397980U (zh) 一种真空食品保鲜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