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273Y1 -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273Y1
KR200217273Y1 KR2020000027773U KR20000027773U KR200217273Y1 KR 200217273 Y1 KR200217273 Y1 KR 200217273Y1 KR 2020000027773 U KR2020000027773 U KR 2020000027773U KR 20000027773 U KR20000027773 U KR 20000027773U KR 200217273 Y1 KR200217273 Y1 KR 200217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discharge
container
gas
fermentat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7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학수
Original Assignee
한성에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에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성에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77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273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 하게는 밀폐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 압력과 배출수단으로 스프링을 구성하여 스프링의 탄성력과의 힘의 차이를 이용하여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한 배출수단을 밀폐용기 뚜껑으로 구비하여 밀페용기 내의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 되도록 하므로서 용기내의 발효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와 뚜껑으로 구분되는 통상의 밀폐용기에 있어서, 용기내의 가스 배출수단으로 뚜껑체의 상단 중앙부로 배출부를 형성하되, 배출부의 중앙 요부로 내향으로 홈을 형성하되 상기 홈의 외둘레 상측으로 뚜껑의 상면으로 스프링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다수개의 스프링 이탈 형성된, 상기 중앙 요부로 용기내부와 관통 형성되어 가스 배출이 유도되는 형성하며 상기 면상으로 일정치수의 반경을 지니며 돌출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감싸도록 원기둥 형상을 취하되 내부로 고무 패킹이 고정되며, 상기 원기둥의 하측으로 일정 반경을 지닌 스프링 연장 형성하되 스프링 걸림 테두리의 상부 면상으로 다수개의 스프링 이탈 형성되며 배출구에 상하 회동이 상기 배출구 일정간격의 형성하여 이를 통해 가스 배출이 유도되는 가스 배출로와, 상하 회동을 단속키 위한 수단으로 상기 스프링 스프링 걸림 테두리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스프링 이탈 스프링의 양단을 끼움 특징으로 하는 발효 가스 배출용 밀폐용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용기내의 음식물에 의해 발생한 발효가스의 압력과 스프링의 탄성력과의 의해 용기내의 발효가스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수 있어 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A receptacle drain to fermentation gas}
본 고안은 음식물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 하게는 밀폐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 압력과 배출수단으로 스프링을 구성하여 스프링의 탄성력과의 힘의 차이를 이용하여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도록한 배출수단을 밀폐용기 뚜껑으로 구비하여 밀페용기 내의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 되도록 하므로서 용기내의 발효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물은 밀폐용기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냉장고에 보관하게 되는데, 이렇게 밀폐용기에 저장된 음식물은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상태로 보관 및 저장되어야 상하지 않고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어 음식물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김치등과 같은 발효식품을 보관 및 저장하게 되는 경우에는 용기 내부의 공기와 발효가스가 어느정도 배출되면서 순환되어야 적당히 발효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기내부의 공기나 발효가스를 배출 또는 순환시킬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기능을 지닌 밀폐용기가 제작되었고 이의 전형적인 일례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이다.
도 1에서 부재번호 (10)은 밀폐용기이며, (20)은 가스 배출부이고, (30)은 배출버튼이고, (40)은 스프링이며, (50)은 수용홈, (51)은 발효가스 배출공이고, (60)은 고무패킹을 을 각각 가리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밀폐용기는 용기내에 김치와 같은 발효성 음식물을 저장하며, 저장된 음식물로 부터 발효가스가 발생시 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가스 배출부(20)를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데, 이는 내부에 스프링(40)이 내설된 배출버튼(30)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버튼(30)의 하측 외둘레로 고무 패킹(60)을 형성 시키며, 상기 배출버튼을 수용토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용홈(50)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홈(50)의 면상으로 용기 내부와 연통된 발효가스 배출공(51)을 구성시킴에 있어서,
용기내부의 음식물에 의해 발효가스 발생시 배출부에 형성되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배출버튼을 스프링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므로서 뚜껑의 저면부와 밀착되어져 있던 고무패킹과 뚜껑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며, 상술한 수용홈의 면상으로 용기내부와 연통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발효가스의 흐름이 유도되며, 유도된 발효가스는 상기한 이격공간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지니므로서 용기내의 발효가스의 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밀폐용기의 경우 음식물로 부터 발효가스 발생시 배출버튼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의 탄력을 극복 할만한 외력 즉 인력에 의해 배출버튼을 조작 가스배출이 이루어 졌으며, 또한 가스같은 경우 가스발생 여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길이 없어 가스 배출시기를 예측할수 없으므로 인해 음식물의 신선도를 저하 시키며, 또한 음식물을 상하게 하는 주된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자주 배출버튼을 조작하여 가스를 배출 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파생되는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것으로서, 가스 배출캡을 구성 시키되 배출캡과 용기뚜껑 사이에 탄성 스프링을 구성 시키므로써 밀폐용기내에 발생한 발효가스압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므로서 별도의 조작없이 발효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한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 하기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용기와 뚜껑으로 구분되는 통상의 밀폐용기에 있어서,
용기내의 가스 배출수단으로 뚜껑체의 상단 중앙부로 배출부를 형성하되,
배출부의 중앙 요부로 내향으로 홈을 형성하되 상기 홈의 외둘레 상측으로 뚜껑의 상면으로 부터 연장형성된 스프링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걸림턱의 저면부로 다수개의 스프링 이탈 방지홈이 형성된 배출캡 수용홈과,
상기 배출캡의 중앙 요부로 용기내부와 관통 형성되어 가스 배출이 유도되는 배출공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홈 면상으로 부터 일정치수의 반경을 지니며 돌출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감싸도록 원기둥 형상을 취하되 내부로 고무 패킹이 내설 고정되며, 상기 원기둥의 외둘레 하측으로 일정 반경을 지닌 스프링 걸림테두리를 연장 형성하되 스프링 걸림 테두리의 상부 면상으로 다수개의 스프링 이탈 방지홈이 형성되며 배출구에 끼움고정되어 상하 회동이 가능토록한 배출캡과,
상기 배출캡의 내측면과 배출구 외둘레 면사이에 일정간격의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가스 배출이 유도되는 가스 배출로와,
배출캡의 상하 회동을 단속키 위한 수단으로 상기 스프링 걸림턱과 스프링 걸림 테두리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스프링 이탈 방지홈에 스프링의 양단을 끼움 고정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가스 배출용 밀폐용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용기내의 음식물에 의해 발생한 발효가스의 압력과 스프링의 탄성력과의 압력차에 의해 용기내의 발효가스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밀폐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배출 밀폐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가스배출 밀폐용기의 가스배출부의 밀폐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발효가스 배출시 발효가스의 흐름을 나타낸 작용 상태도
<도면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1. 용기체 2. 뚜껑체 3. 배출캡 수용홈
4.배출구 5.배출캡 6.가스 배출로
10. 탄성 스프링 22. 가스 배출부 31. 스프링 걸림턱
41. 배출공 51. 고무 패킹 52. 스프링 걸림 테두리
311,311'. 스프링 이탈 방지홈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밀폐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배출 밀폐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는 가스배출 밀폐용기의 가스 배출부의 밀폐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발효가스 배출시 발효가스의 흐름을 나타낸 작용 상태도 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음식물을 저장할수 있는 용기체와 뚜껑체로 구분되는 통상적인 밀폐용기에 있어서, 밀폐용기체(1) 상측으로 밀폐용기 뚜껑체(2)을 구성시키되, 상기 밀폐용기 뚜껑체(2)의 중앙 요부에 가스 배출부(22)를 형성하며, 상기 가스 배출부(22)에 있어서, 용기체의 내향으로 배출캡 수용홈(3)을 형성하되, 상기 배출캡 수용홈(3)의 외둘레 상측으로 뚜껑의 상면으로 부터 연장 형성된 스프링 걸림턱(31)을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 걸림턱(31)의 저면부로 스프링의 끝단을 삽입 고정시킬수 있도록 스프링 이탈 방지홈(311)을 형성하며, 배출캡 수용홈(3)의 중앙면상으로 부터 일정치수의 반경을 지니며 돌출 형성 시킨 배출구(4)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구(4)는 용기 내부와 연통 되어 이를 통해 가스 배출이 이루어 지도록 배출공(41)을 형성하며, 원기둥 형상을 취하되 상기 배출구(4) 외둘레로 끼움고정되어 상하 회동이 가능토록한 배출캡(5)을 형성하되, 배출캡(5)의 내측면과 배출구의 외둘레면 사이에 일정간격의 이격 공간을 두어 발효가스 배출시 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 되도록 가스 배출로(6)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캡(5)의 내부 상측으로 밀폐시 배출구를 완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무 패킹(51)을 내설 고정하며, 배출캡의 외둘레 하측으로 스프링 걸림 테두리(52)를 배출캡으로 부터 연장 형성하되, 상기 스프링 걸림 테두리(52) 상부 면상으로 다수개의 스프링 이탈 방지홈(311')을 형성하여, 이와 상술한 스프링 걸림턱(31) 저면에 형성된 스프링 이탈 방지홈(311)사이에 스프링(10)을 구성 시키되, 스프링(10)의 양끝단을 상기한 각각의 스프링 방지홈(311,311')에 삽입 고정하므로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용기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 시킬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밀폐용기내에 음식물 즉 김치등과 같은 발효성 음식물을 장시간 보관시 음식물과 용기 내부 공기와의 화학작용으로 인해 발효가스가 발생되고 발생된 발효가스로 인해 밀폐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화학작용이 계속해서 진행될 경우 용기내의 발생된 가스압은 대기압보다 높아지게 되고 양압간의 압력차에 의해 용기내부에 발생된 가스압은 배출구(4)에 형성된 배출공(41)과 배출캡과 배출구 사이의 배출로(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배출캡(5)과 용기 뚜껑(2)의 스프링 걸림턱(31) 사이에 탄성스프링(10)을 구성시키므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는 배출캡(5)을 단속 하므로써 외부로 방출되는 배출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발효가스에 의해 용기내 압력이 상승되면 이로인하여 스프링 탄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발효 가스압이 배출캡(5)에 힘을 가하게 되고 배출캡(5)에 지지된 스프링(10)의 탄성력과의 압력차에의해 배출캡(5)이 상측으로 밀려 나가므로써 배출캡(5)의 내부의 고무 패킹(51)이 배출구(4) 상단으로 부터 분리되어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의 발효가스는 배출구(4)에 용기 내부와 관통 형성된 배출공(41)과 상기한 이격 공간 즉 배출로(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원리이다.
따라서 발효가스 배출후 용기 내부압이 저하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지 못 하면 탄성력을 전달받은 배출캡은 다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때 고무 패킹(51)이 배출구(4) 상측에 완전 밀착되어 배출공(41)을 차단하므로서 완전 밀폐가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스프링의 탄성력은 배출되는 발효가스 배출량을 조절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므로 용기내에 적정한 발효가스량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적당한 탄성계수(k)를 지닌 스프링을 구성 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배출가스용 밀폐용기는 용기내부의 발효가스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력과의 압력차에의해 자동으로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종래의 수동조작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용기내부의 발효가스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용기내 음식물의 신선도와 맛을 높일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괄목할 만한 고안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용기내의 가스 배출수단으로 뚜껑체(2)의 상면 중앙부로 배출부(22)를 형성하되;
    배출부(22)의 중앙 요부로 내향으로 홈을 형성하되 상기 홈의 외둘레 상측으로 뚜껑의 상면으로 부터 연장형성된 스프링 걸림턱(31)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걸림턱의 저면부로 다수개의 스프링 이탈 방지홈(311)이 형성된 배출캡 수용홈(3)과,
    상기 배출캡 수용홈(3)의 중앙 요부로 용기내부와 관통 형성되어 가스 배출이 유도되는 배출공(41)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홈 면상으로 부터 일정치수의 반경을 지니며 돌출 형성된 배출구(4)와,
    상기 배출구(4)의 외둘레를 감싸도록 원기둥체 형상을 취하되 내부로 고무 패킹(51)이 내설 고정되며, 상기 원기둥체의 외둘레 하측으로 일정 반경을 지닌 스프링 걸림테두리(52)를 연장 형성하되 스프링 걸림 테두리(52)의 상부 면상으로 다수개의 스프링 이탈 방지홈(311')이 형성되며 배출구(4)에 끼움고정되어 상하 회동이 가능토록한 배출캡(5)과,
    상기 배출캡의 내측면과 배출구 외둘레 면사이에 일정간격의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가스 배출이 유도되는 가스 배출로(6)와,
    배출캡(5)의 상하 회동을 단속키 위한 수단으로 상기 스프링 걸림턱(31)과 스프링 걸림 테두리(52)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스프링 이탈 방지홈(311,311')에 스프링(10)의 양단을 각각 끼움 고정되어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가스 배출용 밀폐용기.
KR2020000027773U 2000-10-05 2000-10-05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 KR200217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773U KR200217273Y1 (ko) 2000-10-05 2000-10-05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773U KR200217273Y1 (ko) 2000-10-05 2000-10-05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273Y1 true KR200217273Y1 (ko) 2001-03-15

Family

ID=7305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773U KR200217273Y1 (ko) 2000-10-05 2000-10-05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2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882A (ko) * 2001-05-09 2001-08-22 윤인서 넘침 방지용 김치 저장용기
KR100406831B1 (ko) * 2001-01-05 2003-12-01 김성태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KR101243341B1 (ko) 2010-11-05 2013-03-25 유정임 김치 발효 숙성용 탱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31B1 (ko) * 2001-01-05 2003-12-01 김성태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KR20010078882A (ko) * 2001-05-09 2001-08-22 윤인서 넘침 방지용 김치 저장용기
KR101243341B1 (ko) 2010-11-05 2013-03-25 유정임 김치 발효 숙성용 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367B1 (ko)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KR101223759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EP1506120B1 (en) Hose direct canister lid
US7097067B2 (en) Hermetically sealable container with internal partial vacuum making facilities
RU2337867C2 (ru) Крышка емкости, в частности вакуумной емкости для хран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2005193987A (ja) 発酵食品用密閉容器
KR20140012845A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JP3194876U (ja) 真空保存容器
US20170369212A1 (en) Vapor-tight container
KR20130025932A (ko) 내부압력 자동배출 기능을 갖춘 식품용기용 밀폐뚜껑
KR200217273Y1 (ko)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
KR101524412B1 (ko) 진공과 밀폐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밀폐용기
KR10174261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KR101625494B1 (ko) 진공 밀폐용기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WO2021015434A1 (ko) 진공밸브를 갖는 식품 진공보관 용기용 멀티 푸시버튼
KR100675485B1 (ko) 조리 용기
KR101496238B1 (ko) 부압형성 기능을 갖춘 식품보관용기용 밀폐뚜껑
KR200272506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의 누름판의 구조
KR20170076176A (ko)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200255229Y1 (ko) 저장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진공보존용기
KR200311105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CN215963621U (zh) 样本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