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831B1 -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831B1
KR100406831B1 KR10-2001-0000505A KR20010000505A KR100406831B1 KR 100406831 B1 KR100406831 B1 KR 100406831B1 KR 20010000505 A KR20010000505 A KR 20010000505A KR 100406831 B1 KR100406831 B1 KR 100406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essure
gas
fermented fo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7467A (ko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01-000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831B1/ko
Priority to PCT/KR2002/000018 priority patent/WO2002053002A1/en
Publication of KR2002005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탄성작용에 의해 배출시키는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가스배출장치는, 관통 호울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작용 압력을 견디도록 된 내압부재; 상기 내압부재의 호울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 호울에 삽입된 절두원추형의 마개와, 상기 마개에 결합되어 가스의 작용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 또는 복원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는 기부를 구비한 플라스틱 탄성유동부재; 그리고 상기 호울의 개도시에 용기내의 가스가 용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 및 상기 기부가 안착되는 기부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압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탄성유동부재를 수용하며 발효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개구된 부위를 폐쇄하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발효식품이 수용된 용기내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용기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용기내에 수용된 발효식품 고유의 풍미와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고, 과도한 용기 내압으로 인해 용기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용기 자체가 훼손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Gas exhausting device using elasticity of plastics for fermented food container}
본 발명은 가스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효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플라스틱의 탄성작용에 의해 배출시키는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나 젓갈류와 같은 장류, 그리고 막걸리와 같은 주류들은 각각 젖산균에 의한 젖산발효나 알코올에 의한 주정발효 등 각종 미생물 또는 화학물질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쳐 제조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류, 주류, 그리고 음료(요구르트 등)를 포함하는 발효식품들은 생산과정에서 일정한 용기에 담겨져 유통이 되거나 가정에서 사용이 되는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용기내의 내용물과 첨가물들의 화학 반응에 의하여 발효가 지속되면서 유해가스를 발생시키게 되어 식품 본래의 풍미가 변질되고 신선도를 잃게 되고 만다.
따라서, 용기내에 수용된 발효식품이 상하지 않고 오랫동안 보관 및 보존되기 위해서는 용기 내에 존재하는 가스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발효가 지속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용기가 팽창하거나 내부 압력이 높아져 용기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데, 상품화되어 판매되는 발효식품이 소비자에게 도달하기 까지의 유통기간을 고려하여 소정의 저장 조건하에서 식품을 용기에 담아 출하시키는 경우, 특별한 전용 용기가 아닌 통상의 용기에 담아서 유통시킴으로써 그러한 예가 다반사로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견고한 재질의 용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밀폐시킴으로써,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용기의 파손을 예방하는 사례가 많은데, 이럴 경우에는 발효과정에서 발생된 유해가스가 용기 내부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발효식품 고유의 맛을 낼 수 없게 된다.
더우기, 용기내의 발효식품 자체에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해 용기의 내압이 증가함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용기의 가장 취약한 부분인 밀봉부위가 훼손되고 내용물이 용기밖으로 유출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효식품이 수용된 용기내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용기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용기의 내압으로 인해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용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장치가 적용된 발효식품 용기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스배출장치중 탄성유동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발효식품 용기에 장착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장치가 적용된 발효식품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예시된 용기와 가스배출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용기에 대한 가스배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내압부재 1a, 10a : 호울
1b : 안착부 1c : 환주면
1d, 30c : 스크류 1e, 30d : 돌출편
2, 2', 20 : 탄성유동부재 2a, 2'a, 20a : 마개
2b, 2'b, 20b : 탄성체 2c, 2'c, 20c : 기부
3, 30 : 커버 3a, 30a : 기부안착홈
3b, 30b : 배출공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는, 관통 호울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작용 압력을 견디도록 된 내압부재; 상기 내압부재의 호울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 호울에 삽입된 절두원추형의 마개와, 상기 마개에 결합되어 가스의 작용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 또는 복원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는 기부를 구비한 플라스틱 탄성유동부재; 그리고 상기 호울의 개도시에 용기내의 가스가 용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 및 상기 기부가 안착되는 기부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압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탄성유동부재를 수용하며 발효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개구된 부위를 폐쇄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탄성체는 한쌍의 대칭되는 꺽쇠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한쌍의 대칭되는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장치가 적용된 발효식품 용기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발효식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발효의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모든 장류와 주류, 그리고 음료를 포괄하며, 상기 용기는 이러한 발효식품의 유통이나 저장에 사용되는 포장 용기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출장치는 이와 같은 포장 용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에는 가스배출장치가 막걸리병과 같은 용기(100)의 개구부, 즉 출입구(110)에 뚜껑으로서의 역할을 겸하여 적용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면상에는 가스배출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내압부재(耐壓部材;1)와 커버(3)가 나타나 있다.
도 2는 도 1에 제시된 가스배출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발효식품 용기에 장착된 가스배출장치의 단면도로서, 이 가스배출장치는 크게 세 가지 구성요소, 즉 내압부재(1)와 탄성유동부재(彈性遊動部材;2) 및 커버(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압부재(1)는, 용기(100) 내에서 지속적으로 가스가 발생함에 따라 증가하는 내압(內壓)을 견디면서 용기(100)의 개구된 출입구(110)를 차폐하게 되는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지되, 그 외주부에는 용기(100)의 출입구(110)에 대한 뚜껑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용기 출입구(110)의 형상을 따라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환주면(1c)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내압부재(1)의 플레이트 형상부 중앙에는 하나의 관통된 호울(1a)과, 이 호울(1a)의 언저리로부터 돌출된 안착부(1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용기의 출입구(110)와 접하는 환주면(1c)의 내면에는 내압부재(1)가 용기(100)의 뚜껑으로서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출입구(11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서 스크류(1d)가 형성되어 있다(물론, 출입구(110)의 외주면에도 이와 치합되는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음).
이러한 결합수단은 스크류(1d)뿐만 아니라, 클램프, 크라운 마개, 스핀 또는 초음파 융착방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내압부재(1)의 플레이트 형상부 하측면에는 상기 결합수단에 의한 결합 및 밀봉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용기(100)의 출입구(110) 표면을 내압부재(1)의 원통형상부위쪽으로 밀착시키는 돌출편(1e)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상기 내압부재(1)는 탄성 변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탄성유동부재(2)는 상기 내압부재(1)의 안착부(1b)에 안착되어 호울(1a)을 폐쇄하게 되는 마개(2a)와, 이 마개(2a)의 상측에 결합 또는 접합되어 탄성 변형 및 복원되는 탄성체(2b), 그리고 이 탄성체(2b)를 지지하는 기부(2c)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마개(2a)는 상기 호울(1a)에 쉽게 삽입되면서 호울(1a)을 효과적으로 폐쇄하며 가공이 용이한 형상으로 되는 것이 좋은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절두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이와 더불어, 상기 안착부(1c) 역시 마개(2a)의 형상을 따르는 것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마개(2a)는 상기 내압부재(1)와 마찬가지로 외력에 의해 쉽게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탄성체(2b)는 용기(100) 내부로부터 상기 마개(2a)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 탄성 변형되었다가, 압력이 감소하면 다시 복원되는 아세탈이나 나일론과 같은 탄성이 양호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더우기, 상기 탄성체(2b)는 도 2에 보여진 것처럼 대칭을 이루는 한쌍의 꺽쇠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3에 제시된 탄성유동부재(2')의 탄성체(2'b)와 같이 마개(2'a)와 기부(2'c)를 연결하는 타원이나 원의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탄성변형 및 복원에 지장을 주지 않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3)는 상기 탄성유동부재(2,2')를 수용하게 되며, 이커버(3)의 일측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통된 배출공(3b)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배출공(3b)의 위치는 상기 용기(100)의 외측에서 상기 내압부재(1)의 호울(1a)과 연통될 수 있는 부위라면 어디에라도 형성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의 상측에는 상기 탄성유동부재(2,2')의 기부(2c,2'c)가 수용되는 기부안착홈(3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기부안착홈(3a)은 상기 기부(2c,2'c)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약간 유동이 가능한 정도로 기부(2c,2'c)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기부(2c,2'c)와 기부안착홈(3a)을 배제하고, 상기 탄성체(2b,2'b)를 커버(3)의 내측면에 접합시켜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탄성유동부재(2,2')를 에워싸는 커버(3)의 외주부 하단은 상기 내압부재(1)의 환주면(1c) 상단과 결합이 됨으로써 용기(100)의 출입구(110)를 폐쇄하는 하나의 뚜껑 역할을 하게 되는데, 초음파 또는 스핀 융착을 통해 접합을 시킬 수도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체결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3)와 내압부재(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탄성유동부재(2,2')가 포위됨에 따라, 상기 탄성유동부재(2,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유동부재(2)의 마개(2a)와 기부(2c)가각각 내압부재(1)의 안착부(1b)와 커버(3)의 기부안착홈(3a)에 안착된 상태에서 내압부재(1)와 커버(3)의 결합이 이루어져 있게 된다.
그리고, 용기(100) 안에 발효식품이 담겨지고, 상기 내압부재(1)의 스크류(1d)가 용기(100)의 출입구(110) 외주부에 체결이 되는데, 이때 내압부재(1)에 형성된 돌출편(1e)이 출입구(110)의 표면을 내압부재(1)의 환주면(1c)쪽으로 밀착시키게 되어 결합 및 밀봉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내압부재(1)와 커버(3)가 하나의 뚜껑으로서 용기(100)의 출입구(110)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용기(100) 내의 발효식품을 구성하는 내용물로부터 발효과정이 지속되어 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이 가스에 의한 용기(100)의 내압이 증가하게 되면 용기(100) 내부의 전면에 걸쳐 가스의 압력이 작용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용기(100)의 출입구(110)를 막고 있는 내압부재(1)를 비롯하여 가스의 압력이 작용하는 용기(100)의 전 부위가 모두 탄성 변형이 어려운 경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용기(100)의 내압은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 때,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성유동부재(2)의 마개(2a)에도 가스의 압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내압이 어느 임계값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마개(2a)에 작용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기 마개(2a)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탄성체(2b)가 탄성 변형되어 마개(2a)를 들어 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개(2a)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내압부재(1)의 호울(1a)이개도되고, 이 개도된 호울(1a)을 통해 용기(100)내의 가스가 내압부재(1)와 커버(3) 사이의 공간을 경유하여 커버(3)의 배출공(3b)을 빠져나와 용기(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어서, 가스의 배출로 인해 용기(100) 내의 압력이 저하하게 되면, 상기 탄성체(2b)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상기 마개(2a)는 다시 내압부재(1)의 호울(1a)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체(2b)의 탄성 변형과 복원이 반복됨으로써, 용기(100) 내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용기(100)내 발효식품의 고유한 풍미와 신선도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체(2b)의 탄성 변형 및 복원을 유도하는 용기(100)내 가스압력의 임계값은, 상기 탄성체(2b)의 탄성률과, 가스의 작용압력을 받는 상기 마개(2a)의 표면적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첨부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출장치가 김치포장용기와 같은 용기의 뚜껑을 겸하여 적용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가스배출장치는, 용기(200)의 개구부(210)중에 놓일 수 있도록 개구부(210)보다 작은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내압부재(10)와, 탄성 변형 및 복원력을 갖는 탄성유동부재(20), 그리고 이 탄성유동부재(20)를 수용하면서 상기 내압부재(10)와 결합되는 커버(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압부재(10)의 중앙부위에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관통 호울(1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유동부재(2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마개(20a)와 탄성체(20b) 및 기부(20c)로 이루어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커버(30)의 가장 바깥 둘레부분 안쪽에는 상기 용기(20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서 스크류(30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함께 스크류(30c)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돌출편(30d)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내압부재(10)는 상기 커버(30)의 하측에 접합 또는 체결됨으로써, 커버(30)와 함께 상기 탄성유동부재(20)를 수용하게 된다.
이 밖에, 상기 커버(30)에, 탄성유동부재(20)의 기부(20c)가 수용되는 기부안착홈(30a)과, 상기 내압부재(10)의 호울(10a)과 연통될 수 있는 배출공(30b)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는 제1실시예의 커버와 동일하다.
아울러, 상기 내압부재(10)와 탄성유동부재(20) 및 커버(30)에 대한 선택적인 구성사항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배출장치의 작동관계가 도 7 및 도 8에 나타나 있다.
먼저,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내압부재(10)와 탄성유동부재(20) 및 커버(30)의 결합관계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발효식품 용기(200)에 대한 뚜껑으로서의 결합은 상기 커버(30)에 형성된 결합수단, 즉 스크류(30c)에 의해 용기(200)에 체결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30)의 돌출편(30d)가 용기(200)와 커버(30)의 결합부위를 밀착시킴으로써 용기(200)의 밀봉상태는 더욱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용기(200)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과정에 따라, 도 8에서와 같이, 용기(200)내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탄성체(20b)의 탄성변형에 의해 개도된 내압부재(10)의 호울(10a)과 커버(30)의 배출공(30b)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는, 발효식품이 수용된 용기내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용기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용기내에 수용된 발효식품 고유의 풍미와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발효식품 용기내에서 발생된 가스에 의한 과도한 용기 내압으로 인해 용기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용기 자체가 훼손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3)

  1. 관통 호울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작용 압력을 견디도록 된 내압부재;
    상기 내압부재의 호울이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 호울에 삽입된 절두원추형의 마개와, 상기 마개에 결합되어 가스의 작용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 또는 복원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는 기부를 구비한 플라스틱 탄성유동부재;
    상기 호울의 개도시에 용기내의 가스가 용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공 및 상기 기부가 안착되는 기부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압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탄성유동부재를 수용하며 발효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개구된 부위를 폐쇄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한쌍의 대칭되는 꺽쇠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한쌍의 대칭되는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1-0000505A 2001-01-05 2001-01-05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KR100406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505A KR100406831B1 (ko) 2001-01-05 2001-01-05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PCT/KR2002/000018 WO2002053002A1 (en) 2001-01-05 2002-01-05 Gas exhaust device for food contain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505A KR100406831B1 (ko) 2001-01-05 2001-01-05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218U Division KR200227429Y1 (ko) 2001-01-05 2001-01-05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467A KR20020057467A (ko) 2002-07-11
KR100406831B1 true KR100406831B1 (ko) 2003-12-01

Family

ID=2769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505A KR100406831B1 (ko) 2001-01-05 2001-01-05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637B1 (ko) 2010-08-27 2013-02-22 세 원 김 발효용기
CN107150857A (zh) * 2017-06-26 2017-09-12 中山市意创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泄压功能的容器盖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70B1 (ko) * 2001-05-25 2003-11-21 주식회사 두산 침전법을 이용한 계란 난황에서의 유용 수용성 성분의분리방법 및 침전 부산물의 이용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402Y1 (ko) * 1999-09-21 2000-03-15 김미자 숨쉬는 발효용 뚜껑
KR20000017476U (ko) * 1999-02-26 2000-09-25 김용희 발효식품 저장용기
KR200217273Y1 (ko) * 2000-10-05 2001-03-15 한성에너텍주식회사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
KR20010049619A (ko) * 1999-09-21 2001-06-15 김미자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 배출기 및 이 배출기가 장착된 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476U (ko) * 1999-02-26 2000-09-25 김용희 발효식품 저장용기
KR200172402Y1 (ko) * 1999-09-21 2000-03-15 김미자 숨쉬는 발효용 뚜껑
KR20010049619A (ko) * 1999-09-21 2001-06-15 김미자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 배출기 및 이 배출기가 장착된 용기 뚜껑
KR200217273Y1 (ko) * 2000-10-05 2001-03-15 한성에너텍주식회사 발효가스 배출용 밀폐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637B1 (ko) 2010-08-27 2013-02-22 세 원 김 발효용기
CN107150857A (zh) * 2017-06-26 2017-09-12 中山市意创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泄压功能的容器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467A (ko)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6460B1 (en) Oversized air valve for use with inflatable devices and method
ATE481553T1 (de) Filtereinrichtung
EP1622814B1 (en) Valve closure
KR100406831B1 (ko)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KR200227429Y1 (ko)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발효식품 용기용 가스배출장치
KR101206170B1 (ko) 용기마개의 밀봉부재
KR200439696Y1 (ko) 포장대의 가스배출용 밸브
AU2004201244B2 (en) Valve assembly
JPH08282703A (ja) 弁付き口栓
KR200233048Y1 (ko) 탁주병뚜껑의 발효가스 배출장치
KR100405964B1 (ko)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숨쉬는 발효식품 용기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CN113716203A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KR100976335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120002483U (ko) 막걸리병의 마개 구조
KR200308962Y1 (ko) 가스의 배출구조를 갖는 용기 덮개
KR20170076176A (ko)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KR950003867Y1 (ko) 포장용기용 속마개의 가스배출구조
KR200201671Y1 (ko) 포장용기 뚜껑
KR20180018640A (ko) 발효식품 보관 용기
KR20060108386A (ko) 발효식품 용기
KR200342906Y1 (ko) 가스 누출 방지용 마개
WO2002053002A1 (en) Gas exhaust device for food containers
KR200230242Y1 (ko) 컵 겸용 음료용기 뚜껑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