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305B1 - 패킹부 일체형 밀폐뚜껑 - Google Patents

패킹부 일체형 밀폐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305B1
KR101825305B1 KR1020160112910A KR20160112910A KR101825305B1 KR 101825305 B1 KR101825305 B1 KR 101825305B1 KR 1020160112910 A KR1020160112910 A KR 1020160112910A KR 20160112910 A KR20160112910 A KR 20160112910A KR 101825305 B1 KR101825305 B1 KR 101825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acking
sealing lid
lid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중휴
Original Assignee
추중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중휴 filed Critical 추중휴
Priority to KR102016011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96Producing closure members for containers, e.g. closure caps or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6Moulds having annular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73Moulds with 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2Moulds having several axially spaced mould cavities, i.e. for making several separ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165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밀폐뚜껑 제조장치(3)는 하부금형(320), 측부금형(340), 상부금형(350) 사이의 공간에 의해서 밀폐뚜껑(2)의 성형공간(A)이 제공되고, 하부금형(320)은 뚜껑몸체(100)의 밑면을 성형하기 위한 기저면(321); 삽입부(120)의 내측면을 성형하기 위하여 기저면(321)의 가장자리에서 밑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삽입부 형성측면(322); 패킹부(110)의 성형을 위하여 삽입부 형성측면(322)에서 옆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패킹 형성면(32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측부금형(340)의 측면에는 하부금형(320)의 패킹 형성면(323)과 상부금형(350)에 대해 이격된 상태에서 성형공간(A) 쪽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341)가 마련됨으로써, 돌출부(341)와 패킹 형성면(323)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 패킹부(110)가 얻어지고, 돌출부(341)와 상부금형(350)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서 걸림부(140)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킹부 일체형 밀폐뚜껑{Packing integral type sealing cover}
본 발명은 식품용기의 밀폐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킹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밀폐뚜껑에 관한 것이다.
김치 등과 같은 각종 식품을 장시간 위생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밀폐뚜껑이 있는 식품보관용기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 때, 식품보관용기의 밀폐를 위하여 밀폐뚜껑에는 실리콘과 같은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지는 패킹부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밀폐뚜껑(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뚜껑(1)은 뚜껑몸체(10)와 삽입부(12)로 구분된다. 뚜껑몸체(10)는 용기(20)의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고, 삽입부(12)는 용기(20)의 입구에 끼워지도록 뚜껑몸체(10)의 밑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패킹부(11)는 삽입부(12)의 외주면을 따라 옆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삽입부(12)의 외주면에는 끼움홈(13)이 형성되며, 패킹부(11)는 끼움홈(13)에 탄성 끼움으로 조립됨으로써 삽입부(12)의 제 위치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용기(20)에 밀폐뚜껑(1)을 끼우면 패킹부(11)의 끝단이 용기(20)의 입구 내벽에 밀착되어 위로 약간 휘어 올라가면서 용기(20)의 입구 내벽에 강하게 밀착되어 용기(20)의 밀폐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밀폐뚜껑(1)은 이 과정에서 패킹부(11)가 끼움홈(13)에서 이탈되면서 긴밀한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밀폐뚜껑(1)의 열고 닫음을 반복하다 보면 이러한 현상의 반복으로 인하여 패킹부(11)의 탄성 끼움력이 상실되어 끼움홈(13)에 의해 패킹부(11)가 고정되는 기능이 아예 상실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뿐만 아니라 삽입부(12)가 뚜껑몸체(10)의 밑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역학적으로 볼 때 삽입부(12)는 용기(10)의 입구 내벽을 미는 반발력에 대해서 기여를 하지 못하고, 오로지 패킹부(11)에 의해 발생하는 반발력에 의해서만 밀폐력이 결정되므로 강한 밀폐력을 보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패킹부가 뚜껑 삽입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패킹부가 용기의 입구 내벽에 밀착되는 데에 뚜껑 삽입부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여 좀 더 강한 밀폐력을 보장할 수 있는 패킹부 일체형 밀폐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킹부 일체형 밀폐뚜껑은,
둘레에 형성되는 걸림부(140)를 통해서 용기(20)의 입구에 얹혀서 용기(20)의 입구를 막도록 설치되는 뚜껑몸체(100); 상기 용기(20)의 입구에 끼워지도록 상기 뚜껑몸체(100)의 밑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밑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삽입부(120); 및 상기 삽입부(120)에 일체화되어 상기 삽입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옆으로 링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패킹부(110);를 포함하는 밀폐뚜껑(2)으로서,
하부금형(320), 측부금형(340), 상부금형(350) 사이의 공간에 의해서 상기 밀폐뚜껑의 성형공간(A)이 제공되고,
상기 하부금형(320)은, 상기 뚜껑몸체(100)의 밑면을 성형하기 위한 기저면(321); 상기 삽입부(120)의 내측면을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기저면(321)의 가장자리에서 밑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삽입부 형성측면(322); 상기 패킹부(110)의 성형을 위하여 상기 삽입부 형성측면(322)에서 옆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패킹 형성면(3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부금형(340)의 측면에는, 상기 하부금형(320)의 패킹 형성면(323)과 상기 상부금형(350)에 대해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성형공간(A) 쪽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341)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돌출부(341)와 패킹 형성면(323)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 상기 패킹부(110)가 얻어지고, 상기 돌출부(341)와 상부금형(350)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140)가 얻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금형(320)은 베이스부(31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금형(350)은 상기 하부금형(320)과 측부금형(340) 상에 위치하여 이송수단(380)에 의해 상하로 이송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부금형(340)은 측부금형 지지체(330)에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하부금형(320)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돌출부(341)가 상기 패킹 형성면(323)에 대해서 상승하여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측부금형 지지체(330)는 이송수단(390)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310)에서 떨어져 위로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310) 상에 설치된 밀폐뚜껑의 제조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성형공간(A) 내에서 상기 밀폐뚜껑(2)이 성형되면, 상기 밀폐뚜껑(2)이 상기 하부금형(320)에서 이탈되도록 이송수단을 통하여 상기 측부금형 지지체(330)를 1차적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상부금형(350)이 밀폐뚜껑(2)에서 떨어지도록 이송수단(380)을 통해서 상기 상부금형(350)을 2차적으로 상승시킨 후, 성형체 승강수단(370)을 통하여 밀폐뚜껑(2)을 3차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밀폐뚜껑(2)이 단일사출 후 다단분리되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패킹부 일체형 밀폐뚜껑에 의하면, 패킹부가 삽입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킹부가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종래의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삽입부가 밑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가 용기의 입구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삽입부가 안쪽으로 밀리면서 약간 오므라들게 되고 이로 인해 삽입부에 의해 용기의 내벽을 미는 반발력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패킹부에 의한 탄성 반발력뿐 만 아니라 삽입부에 의한 탄성 반발력까지 밀착력에 기여하게 되어 종래보다 밀폐력이 더욱 좋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뚜껑 제조장치에 의하면, 금형의 다단 분리를 통해서 성형체인 밀폐뚜껑의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옆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나 패킹부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밀폐뚜껑의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지고 특히 밀폐뚜껑의 분리과정에서 패킹부가 손상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특히 상부금형 뿐만 아니라 측부금형도 상하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옆으로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부금형의 삽입부 형성측면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짐으로 인해 밀폐뚜껑의 이탈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폐뚜껑(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뚜껑(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뚜껑(2)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뚜껑 제조장치(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밀폐뚜껑 제조장치(3)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뚜껑(2)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뚜껑(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뚜껑(2)은 뚜껑몸체(100)와 삽입부(120)로 구분된다. 뚜껑몸체(100)가 용기(20)의 입구에 얹혀 지도록 뚜껑몸체(100)의 바깥측 둘레에 걸림부(14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패킹부(110)는 삽입부(120)에 일체화되어 삽입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옆으로 돌출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부(140)와 패킹부(110) 사이에는 홈부(150)가 형성되며, 패킹부(110)가 위쪽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여유 공간이 홈부(150)에 의해 제공된다.
삽입부(120)는 용기(20)의 입구에 끼워지도록 뚜껑몸체(100)의 밑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데 종래와 같이 수직하게 형성되기 보다는 밑으로 갈수록 약간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수직축에 대해서 θ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뚜껑(2)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에 밀폐뚜껑(2)을 끼우면 뚜껑몸체(100)가 용기(20)의 입구에 얹혀 지면서 삽입부(120)가 용기(20)의 입구에 끼워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패킹부(110)의 끝단이 홈부(150)가 있는 위쪽으로 약간 휘어 올라가면서 용기(20)의 입구 내벽에 밀착되어 용기(20)의 밀폐가 이루어진다. 이 때 패킹부(110)가 삽입부(1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킹부(110)가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종래의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삽입부(120)가 밑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120)가 용기(20)의 입구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삽입부(120)가 안쪽으로 밀리면서 약간 오므라들게 되고 이로 인해 삽입부(120)가 용기(20)의 내벽을 미는 반발력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패킹부(110)에 의한 탄성 반발력뿐 만 아니라 삽입부(120)에 의한 탄성 반발력까지 밀착력에 기여하게 되어 종래보다 밀폐력이 더욱 좋아진다.
참조부호 θ는 삽입부(120)가 용기(20)에 끼워지기 전 상태에서의 벌어진 각도를 나타낸 것이며, 참조부호 θ1은 삽입부(120)가 용기(20)에 끼워진 후에 있어서의 벌어진 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둘은 θ1≤θ의 관계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밀폐뚜껑(2)의 경우 삽입부(120)를 기준으로 할 때 2군데 즉, 걸림부(140)와 패킹부(110)가 옆으로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성형된 밀폐뚜껑(2)을 손상 없이 손쉽게 금형에서 빼내기 위해서는 금형의 다단 분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새로운 요구에 직면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뚜껑 제조장치(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뚜껑 제조장치(3)는 하부금형(320), 측부금형(340), 및 상부금형(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부금형(320), 측부금형(340), 및 상부금형(350) 사이의 공간이 바로 밀폐뚜껑의 성형을 위한 성형공간(A)이 된다.
하부금형(320)은 밀폐뚜껑(2)의 밑면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것이고, 측부금형(340)은 밀폐뚜껑(2)의 옆면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것이며, 상부금형(350)은 밀폐뚜껑(2)의 윗면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측부금형(340)은 필요에 따라 원하는 형상의 것으로 교체설치가 가능하도록 측부금형 지지체(330)에 체결수단(413)을 통하여 분리 조립 가능하게 체결된다. 측부금형(340)의 형상에 따라 패킹부(110)의 형상이 결정되며, 측부금형(340)의 교체를 통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중사출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측부금형 지지체(330)와 하부금형(320)은 베이스부(310)에 설치되는데, 하부금형(320)은 체결수단(414)을 통하여 베이스부(31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측부금형 지지체(330)는 이송수단(390)에 의해서 베이스부(310)에 대해 상하로 이송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송수단(390)은 여러 가지 공지의 것이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는 스크류가 측부금형 지지체(330)를 관통하여 베이스부(310)에 삽입되는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었다. 이렇게 스크류가 선택될 때에는 스크류가 꼽혀지는 베이스부(310)에 베어링(39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스크류가 측부금형 지지체(330)에 대해서는 겉돌지 않으면서 베이스부(310)에 대해서는 겉돌게 되므로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서 측부금형 지지체(330)의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성형 완성된 밀폐뚜껑을 상승시키기 위한 성형체 승강수단(370)은 하부금형(3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성형체 승강수단(37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부금형(340)으로부터 밀폐뚜껑(2)을 이탈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부금형(350)은 하부금형(320)과 측부금형(340)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이송수단(380)에 의해 상하로 이송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부금형(350)에는 냉각수유로(35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금형(350) 상에는 상부금형(350)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금형 지지체(360)가 설치된다.
하부금형(320)은 기저면(321), 삽입부 형성측면(322), 패킹 형성면(3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저면(321)은 뚜껑몸체(100)의 밑면 성형을 위한 것이다. 삽입부 형성측면(322)은 삽입부(120)의 내측면 성형을 위한 것으로서 기저면(321)의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으로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약 7도 정도 경사지면서 밑으로 연장 형성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에 의해서 삽입부(120)의 경사가 얻어진다.
패킹 형성면(323)은 패킹부(110)의 성형을 위한 것으로서 삽입부 형성측면(322)에서 옆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측부금형(340)의 측면에는 하부금형(320) 및 상부금형(350)과 각각 이격되면서 삽입부 형성측면(322) 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41)가 형성된다. 돌출부(341)에 의해서 홈부(150)가 얻어지며, 하부금형(320)의 패킹 형성면(323)과 돌출부(341)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서 패킹부(110)가 얻어지며, 돌출부(341)와 상부금형(350)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서 걸림부(140)가 얻어진다.
도 5 내지 도 7은 밀폐뚜껑 제조장치(3)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주입구(미도시)를 통하여 성형공간(A)으로 성형조성물을 주입하여 밀폐뚜껑(2)을 성형한다.
다음에, 도 6에서와 같이 이송수단(390)을 통하여 측부금형 지지체(330)를 d만큼 위로 들어올린다. 이때 측부금형(340)의 돌출부(341) 위에 밀폐뚜껑(2)의 걸림부(140)가 얹혀 있는 상태이므로 밀폐뚜껑(2)이 하부금형(320)에서 위로 이탈되게 된다. 하부금형(320)의 삽입부 형성측면(322)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밀폐뚜껑(2)의 이탈이 쉽게 이루어진다. 삽입부 형성측면(322)이 경사지지 않고 수직하게 있다면 하부금형(320)에서 밀폐뚜껑(2)이 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도 7에서와 같이, 상부금형(350)이 밀폐뚜껑(2)에서 떨어지도록 이송수단(380)을 통해서 상부금형(350)을 상승시킨 후, 성형체 승강수단(370)을 통하여 밀폐뚜껑(2)을 상승시킨다. 성형체 승강수단(370)의 상승 과정에서 돌출부(341)의 아래에 밀착되어 있던 패킹부(110)가 자연스럽게 휘어지면서 돌출부(341)로부터 미끄러지면서 빠져나오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도 7의 과정 이전에 도 6의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금형이 제조된 점에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측부금형(340)이 형성되지 않아 도 6의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도 7의 과정에 의하여 밀폐뚜껑(2)을 그대로 들어올린다면, 밀폐뚜껑(2)의 패킹부(110)가 측부금형(340)의 돌출부(341)의 하면과 하부금형(320)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끼어있어 상승시 온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가 찢기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두 금형을 먼저 d만큼 벌어지게 유지하여 밀폐뚜껑(2)을 분리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도 6의 과정을 위한 금형의 다단분리 및 이들 분리된 금형이 모두 상하로만 움직이도록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설치 공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측부금형 지지체(330)에 결합된 측부금형(340)을 교체함으로써 이중사출을 통하여 도 8에서와 같이 패킹부(110)와 삽입부(120)는 연질이면서 뚜껑몸체(100)는 경질의 것으로 구분되게 제조할 수 있다. 뚜껑몸체(100)의 성형을 위한 측부금형을 측부금형 지지체(330)에 조립하여 먼저 뚜껑몸체(100)를 1차 사출한 후에, 패킹부(110)와 삽입부(120)의 성형을 위한 측부금형(340)으로 교체하여 성형하면 기 성형된 뚜껑몸체(100)에 삽입부(120)와 패킹부(110)가 일체로 이루어진 밀폐뚜껑(2)을 2차로 사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뚜껑 제조장치(3)에 의하면, 금형의 다단 분리를 통해서 성형체인 밀폐뚜껑(2)의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옆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부(140)나 패킹부(110)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밀폐뚜껑(2)의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지고 특히 밀폐뚜껑(2)의 분리과정에서 패킹부(110)가 손상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특히 상부금형(350) 뿐만 아니라 측부금형(340)도 상하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옆으로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부금형(320)의 삽입부 형성측면(322)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짐으로 인해 밀폐뚜껑(2)의 이탈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장점도 있다.
1, 2: 밀폐뚜껑 3: 밀폐뚜껑 제조장치
10, 100: 뚜껑몸체 11, 110: 패킹부
12, 120: 삽입부 13: 끼움홈
20: 용기 140: 걸림부
150: 홈부 310: 베이스부
320: 하부금형 321: 기저면
322: 삽입부 형성측면 323: 패킹 형성면
330: 측부금형 지지체 340: 측부금형
341: 돌출부 350: 상부금형
355: 냉각수유로 380, 390: 이송수단
360: 상부금형 지지체 391: 베어링
413, 414: 체결수단 A: 성형공간

Claims (4)

  1. 둘레에 형성되는 걸림부(140)를 통해서 용기(20)의 입구에 얹혀서 용기(20)의 입구를 막도록 설치되는 뚜껑몸체(100); 상기 용기(20)의 입구에 끼워지도록 상기 뚜껑몸체(100)의 밑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밑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삽입부(120); 및 상기 삽입부(120)에 일체화되어 상기 삽입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옆으로 링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패킹부(110);를 포함하는 밀폐뚜껑(2)으로서,
    하부금형(320), 측부금형(340), 상부금형(350) 사이의 공간에 의해서 상기 밀폐뚜껑의 성형공간(A)이 제공되고,
    상기 하부금형(320)은, 상기 뚜껑몸체(100)의 밑면을 성형하기 위한 기저면(321); 상기 삽입부(120)의 내측면을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기저면(321)의 가장자리에서 밑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삽입부 형성측면(322); 상기 패킹부(110)의 성형을 위하여 상기 삽입부 형성측면(322)에서 옆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패킹 형성면(3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부금형(340)의 측면에는, 상기 하부금형(320)의 패킹 형성면(323)과 상기 상부금형(350)에 대해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성형공간(A) 쪽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341)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돌출부(341)와 패킹 형성면(323)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 상기 패킹부(110)가 얻어지고, 상기 돌출부(341)와 상부금형(350)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140)가 얻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금형(320)은 베이스부(31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금형(350)은 상기 하부금형(320)과 측부금형(340) 상에 위치하여 이송수단(380)에 의해 상하로 이송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측부금형(340)은 측부금형 지지체(330)에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하부금형(320)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돌출부(341)가 상기 패킹 형성면(323)에 대해서 상승하여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측부금형 지지체(330)는 이송수단(390)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310)에서 떨어져 위로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310) 상에 설치된 밀폐뚜껑의 제조장치를 기반으로,
    상기 성형공간(A) 내에서 상기 밀폐뚜껑(2)이 성형되면, 상기 밀폐뚜껑(2)이 상기 하부금형(320)에서 이탈되도록 이송수단을 통하여 상기 측부금형 지지체(330)를 1차적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상부금형(350)이 밀폐뚜껑(2)에서 떨어지도록 이송수단(380)을 통해서 상기 상부금형(350)을 2차적으로 상승시킨 후, 성형체 승강수단(370)을 통하여 밀폐뚜껑(2)을 3차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밀폐뚜껑(2)이 단일사출 후 다단분리되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부 일체형 밀폐뚜껑.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12910A 2016-09-02 2016-09-02 패킹부 일체형 밀폐뚜껑 KR101825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10A KR101825305B1 (ko) 2016-09-02 2016-09-02 패킹부 일체형 밀폐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10A KR101825305B1 (ko) 2016-09-02 2016-09-02 패킹부 일체형 밀폐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305B1 true KR101825305B1 (ko) 2018-02-05

Family

ID=6122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910A KR101825305B1 (ko) 2016-09-02 2016-09-02 패킹부 일체형 밀폐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3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462A (ko) * 2019-03-28 2020-10-07 우리스타 주식회사 밀폐용기용 뚜껑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223B1 (ko) 2006-10-02 2007-08-27 리엔리하이테크(주)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JP2010149886A (ja) * 2008-12-24 2010-07-08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製容器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223B1 (ko) 2006-10-02 2007-08-27 리엔리하이테크(주)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JP2010149886A (ja) * 2008-12-24 2010-07-08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製容器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462A (ko) * 2019-03-28 2020-10-07 우리스타 주식회사 밀폐용기용 뚜껑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0300B1 (ko) 2019-03-28 2020-10-26 우리스타 주식회사 밀폐용기용 뚜껑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1887B2 (en) Rubber seal for vacuum receptacle and lid for the receptacle using the same
US3840152A (en) Sealable and resealable container
US20120248116A1 (en) Container with air-tight lid
US20170166360A1 (en) Closure capsule for closing bottles
JP2005193980A (ja) 食品保存用容器
KR101825305B1 (ko) 패킹부 일체형 밀폐뚜껑
KR100559939B1 (ko) 밀폐 용기 뚜껑의 패킹 고정 구조
KR20130025932A (ko) 내부압력 자동배출 기능을 갖춘 식품용기용 밀폐뚜껑
KR20070120007A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20110040593A (ko) 병마개 조립체
KR20060071602A (ko) 밀폐 용기 뚜껑
KR200485939Y1 (ko) 밀폐용기
RU2012102380A (ru) Транспортная заглушка
JP7178795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170004242U (ko) 뚜껑의 분리가 용이한 밀폐용기
KR200413849Y1 (ko) 음식물 보관용기용 뚜껑
KR101616877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 뚜껑
JPH107160A (ja) ガスケット付き成形キャップ
KR101240030B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20120002483U (ko) 막걸리병의 마개 구조
KR101849611B1 (ko) 무패킹 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의 제작을 위한 금형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200431896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KR200422468Y1 (ko)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BR112021014221A2 (pt) Fecho para um recipiente, método para fabricar um fecho, e, conjun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